KR200474420Y1 - 곡물세척기 - Google Patents

곡물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20Y1
KR200474420Y1 KR2020130010552U KR20130010552U KR200474420Y1 KR 200474420 Y1 KR200474420 Y1 KR 200474420Y1 KR 2020130010552 U KR2020130010552 U KR 2020130010552U KR 20130010552 U KR20130010552 U KR 20130010552U KR 200474420 Y1 KR200474420 Y1 KR 200474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ashing
impeller
filtration body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구 이
Original Assignee
창 구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구 이 filed Critical 창 구 이
Priority to KR2020130010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08B3/1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using propellers

Abstract

본 고안은 참깨나 들깨,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세척통의 바닥면 일측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포함된 모래나 흙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체의 여과체틀을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형성하되, 곡물세척통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하며, 상기 호(弧)부분의 상면에 경사면을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현(弦)부분이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여과체틀의 경사진 저면에 여과망을 설치함으로써, 여과체의 상측에서 세척수와 함께 회전하는 수류에 포함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경사진 하측으로 모이면서 상측의 걸림턱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척기본체(1)의 상측에는 곡물세척통(2)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에는 일측 소정위치에 배수구(3)가 형성되며 여과체(30)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22)가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편심된 위치에는 상하에 임펠러날개(5)가 돌출 형성된 회전임펠러(6)가 모터(7)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소정위치에는 외측에 곡물배출관(10)이 연결된 곡물배출구(9)가 외향 형성되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곡물배출구(9)를 개폐하는 개폐구(12)가 개폐레버(13)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본체(1)에는 곡물세척통(2)의 내측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공급관(14)이 설치된 곡물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3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여과체틀(32)을 형성하되, 곡물세척통(2)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6)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한 뒤에 그 여과체틀(32)의 경사진 하단부에 여과망(31)이 설치되며,
상기 호(弧)부분의 테두리부 상면에 경사면(33)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현(弦)부분의 상면 테두리부가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34)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체틀(32)의 현부분의 일측 상면에는 벽체(3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세척기{Grain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참깨나 들깨,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세척통의 바닥면 일측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포함된 모래나 흙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체의 여과체틀을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형성하되, 곡물세척통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하며, 상기 호(弧)부분의 상면에 경사면을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현(弦)부분이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여과체틀의 경사진 저면에 여과망을 설치함으로써, 여과체의 상측에서 세척수와 함께 회전하는 수류에 포함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경사진 하측으로 모이면서 상측의 걸림턱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세척기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191153호(고안의 명칭 : 곡물세척기)의 고안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기본체(1)의 상측에는 곡물세척통(2)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11)에는 일측 소정위치에 배수구(3)가 형성되며 여과망(8)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여과망설치공간부(4)가 바닥면(11)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의 편심된 위치에는 상하에 임펠러날개(5)가 돌출 형성된 회전임펠러(6)가 모터(7)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11)의 소정위치에는 외측에 곡물배출관(10)이 연결된 곡물배출구(9)가 외향 형성되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곡물배출구(9)를 힌지식으로 개폐하는 개폐구(12)가 개폐레버(13)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본체(1)에는 곡물세척통(2)의 내측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공급관(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여과망설치공간부(4)가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11) 보다 낮게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여과망설치공간부(4)의 상부에 여과망(8)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여과망(8)이 설치된 높이가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11)과 동일한 높이 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여과망(8)의 상면 높이가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11)과 동일한 높이 선상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여과망(8)을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망(8)의 상면에 걸려 있는 굵은 모래는, 곡물세척통(2) 내측에서 세척하는 곡물의 량이 맣을 경우에는 회전수류에 의해 회전하는 곡물에 휩쓸려면서 곡물만 모여야 할 바닥면측에서 곡물에 섞이게 될 염려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여과망(8)측의 회전수류가 약해지게 회전임펠러(6)를 편심된 위치에 설치하고, 곡물세척통(2)의 내벽 소정위치에 월류판(15)을 설치하며, 여과망(8)의 상면 소정위치에 모래수거대(16)를 설치하였으나, 곡물의 세척량이 많은 경우에는 곡물만 모여야 할 바닥면측으로 소량이지만 굵은 모래가 곡물에 휩쓸리면서 곡물에 섞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망설치공간부(4)의 단면형상이 도 7의 (가)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개방된 상부에 여과망(8)이 얹힌 상태이기 때문에, 여과망설치공간부(4)에 강한 수류가 작용하고 곡물세척통(2)에서 세척하는 곡물의 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여과망설치공간부(4)의 바닥에 쌓여 있던 가는 모래가 상측으로 떠오르면서 세척하는 곡물과 섞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곡물세척통(2) 내에서 곡물을 투입하고 세척수를 공급하면서 곡물세척을 시작할 때, 상기 회전임펠러(6)의 임펠러날개(5)의 높이가 평판에 가까울 정도로 낮기 때문에 바닥면에 쌓인 곡물을 퍼트리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세척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191153호(고안의 명칭 : 곡물세척기)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물세척통의 바닥면 일측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포함된 모래나 흙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체의 여과체틀을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형성하되, 곡물세척통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하며, 상기 호(弧)부분의 상면에 경사면을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현(弦)부분이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여과체틀의 경사진 저면에 여과망을 설치함으로써, 여과체의 상측에서 세척수와 함께 회전하는 수류에 포함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경사진 하측으로 모이면서 상측의 걸림턱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회전임펠러의 상부에 교반날개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곡물세척통 안에 담겨진 세척할 곡물을 세척 초기에 빠르게 흩트려서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척기본체의 상측에는 곡물세척통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세척통의 바닥면에는 일측 소정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여과체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가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편심된 위치에는 상하에 임펠러날개가 돌출 형성된 회전임펠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소정위치에는 외측에 곡물배출관이 연결된 곡물배출구가 외향 형성되고, 상기 곡물세척통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곡물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구가 개폐레버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본체에는 곡물세척통의 내측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공급관이 설치된 곡물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여과체틀을 형성하되, 곡물세척통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한 뒤에 그 여과체틀의 경사진 하단부에 여과망이 설치되며, 상기 호(弧)부분의 테두리부 상면에 경사면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현(弦)부분의 상면 테두리부가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체틀의 현부분의 일측 상면에는 벽체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곡물세척기는, 곡물세척통의 바닥면 일측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포함된 모래나 흙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체의 여과체틀을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형성하되, 곡물세척통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하며, 상기 호(弧)부분의 상면에 경사면을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현(弦)부분이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여과체틀의 경사진 저면에 여과망을 설치함으로써, 여과체의 상측에서 세척수와 함께 회전하는 수류에 포함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여과체의 내측 공간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경사진 하측으로 모이면서 상측의 걸림턱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임펠러의 상부에 교반날개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곡물세척통 안에 담겨진 세척할 곡물을 세척 초기에 빠르게 흩트려서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설치되는 요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여과체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여과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가)(나)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와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곡물세척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2,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기본체(1)의 상측에는 곡물세척통(2)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에는 임펠러설치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설치대(20)는 일측 소정위치에 배수구(3)가 형성되며 여과체(30)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22)가 곡물세척통(2)의 바닥면이 되는 임펠러설치대(2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 임펠러설치대(20)의 상면 타측의 편심된 위치에는 회전임펠러(6)가 설치될 임펠러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홈(21)에는 상하에 임펠러날개(5)가 돌출 형성된 회전임펠러(6)가 모터(7)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데, 임펠러본체(6a)와 임펠러본체(6a)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측 임펠러날개(5)는 임펠러홈(21)에 삽입되고, 상부측 임펠러날개(5)는 임펠러설치대(20)의 상면 보다 상측으로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7)는 임펠러설치대(20)의 일측 저면에 하향 설치되는 모터브래킷(7d)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임펠러(6)는 임펠러홈(21)의 중심부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축(7e)에 설치되고,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7a)과 회전축(7e)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7b)의 사이에 체인(7c)이 감겨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설치대(20)의 소정위치에는 외측에 곡물배출관(10)이 연결된 곡물배출구(9)가 외향 형성되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곡물배출구(9)를 힌지식으로 개폐하는 개폐구(12)가 개폐레버(13)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본체(1)에는 선단부에 수도꼭지(18)가 설치된 수돗물공급관(14)이 설치되어 곡물세척통(2)의 내측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체(3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여과체틀(32)을 형성하되, 곡물세척통(2)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부분(A)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6)와 인접한 현부분(B)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한 뒤에 그 여과체틀(32)의 경사진 하단부에 여과망(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弧)부분의 테두리부 상면에 경사면(33)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현(弦)부분의 상면 테두리부가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34)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체틀(32)의 현부분의 일측 물살이 돌아나가는 쪽의 상면에는 벽체(3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체틀(32)의 호부분의 내주면과 걸림턱(34) 하측의 현부분의 하측 내주면에는 수개의 반원형 돌출부(33a,34a)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임펠러(6)의 상부에는 (스텐레스)철사를 절곡하여 형성한 교반날개(23)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임펠러설치대(20)와 여과체틀(32)을 주물로 제작하여 동일한 제품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17"은 배수관(19)을 개폐하는 배수레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곡물세척기(100)를 이용하여 참깨나 들깨 등의 곡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일 먼저 배수구(3) 하측의 개폐구를 닫아 배수구(3)를 통하여 세척수가 배수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곡물세척통(2)의 내측에 세척할 곡물을 투입하고, 수돗물공급관(14)의 수도꼭지를 열어 수돗물을 곡물세척통(2)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곡물세척통(2)의 내측으로 수돗물을 공급하여 일정량의 수돗물이 곡물세척통(2)의 내측에 받혀지면, 수도꼭지를 잠가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모터(7)를 가동시켜 회전임펠러(6)와 교반날개(23)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회전임펠러(6)와 교반날개(23)가 회전하게 되면, 초기에 곡물세척통(2)의 내측 하부에 가라앉은 곡물 알갱이들이 회전임펠러(6)와 교반날개(23)의 회전에 의해 빠르게 흩어져 분산되게 되고, 여과체(30)의 내부에도 들어가 있던 곡물알갱이들도 떠오르면서 물속 전체에서 느슨하게 흩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곡물알갱이들이 느슨하게 흩어진 상태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회전임펠러(6)가 곡물세척통(2)의 내측 바닥의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되므로 회전임펠러(6)측의 물살은 빠르고, 회전임펠러(6) 측과 비교적 거리가 멀며 여과체(30)측으로 물살이 돌아가는 부분의 곡물세척통(2)의 벽면에 설치된 월류판(15)에 부딪치면서 여과체(30) 측의 물살이 느리고 약하게 회전수류가 발생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되는 회전수류에 의해 곡물세척통(2) 내측의 물과 세척할 곡물이 빠르고 느린 동작이 반복되는 파상적인 회전수류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곡물세척통(2) 내측의 물과 곡물이 회전수류에 의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척되게 되며, 상기 교반날개(23)는 단면이 원형인 스텐레스 철사를 절곡하여 제작한 것임에 따라 곡물세척통(2) 내측의 세척수와 곡물을 휘저으면서 교반작용을 하게 되나, 곡물과 부딪치는 부분이 둥글기 때문에 곡물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휘젓게 된다.
이와 같이 곡물에 대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곡물과, 곡물에 포함되어 있던 모래가 여과체(30) 부근을 지날 때는 여과체(30) 부근의 물살이 약하고 느리기 때문에 곡물보다 무거운 모래는 여과체(30) 측으로 내려앉게 된다.
이렇게 여과체(30) 측으로 내려앉는 모래가 내려앉는 과정에서 여과망(31)의 호부분(A)에는 여과체틀(32)의 내측 공간부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3)이 형성되어서 모래가 여과체틀(32)의 내측 공간부측으로 쉽게 유입되게 되며, 여과체틀(32)의 내측 공간부측으로 유입되는 모래 중에 여과망(31)의 망구멍보다 가는 모래나 흙은 여과망(31)의 하측으로 내려가 여과체설치공간부(22)에 쌓이게 되고, 여과망(31)의 망구멍보다 입자가 굵은 모래는 여과망의 망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망의 상측에 얹히게 된다.
그런데, 여과체(30)의 여과체틀(32)은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곡물세척통(2)의 벽면과 인접한 호부분(A)은 하측으로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6) 측에 근접한 현부분(B)의 하측 깊이가 깊도록 경사지면서 그렇게 경사진 하부에 여과망(31)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곡물세척통(2)의 내벽면을 따라 돌던 물살이 여과망(31)의 낮은 부분에서 깊은 부분으로 "C"와 같이 이동하여 굵은 모래(D)가 공간부의 깊은 부분 하측에 모이게 된다.
위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여과망(31)을 따라 "C"방향으로 이동하는 수류가 현부분(B) 측을 통하여 여과체(30)의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회전하는 수류를 따라 회전임펠러(6)측으로 돌아 회전하는데, 위와 같이 현부분(B) 상측으로 돌아 올라가는 수류에 의해 굵은 모래(D)가 따라 올라갈 수 있겠으나, 현부분(B)에 호부분(A)을 향하는 걸림턱(3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있고, 그 현부분의 상측에 벽체(3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물살이 돌아나가는 부분에서 물살이 더욱 더 약화되어 굵은 모래(D)가 현부분(B)의 걸림턱(34)을 올라가지 못하고 공간부의 낮은 쪽 모서리부분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호부분(A)과 현부분(B)의 하측에는 수개의 반원형 돌출부(33a,34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여과체(30)의 내측 공간부로 유입되는 물살이 각각의 반원형 돌출부(33a,34a)에 부딪치면서 물살이 더욱 약해져 굵은 모래가 여과망(31) 측으로 가라앉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곡물세척통(2)의 내측에서 물과 세척할 곡물이 회전임펠러(6)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세척되는 과정에서 물과 세척하는 곡물이 곡물세척통(2)의 내벽면에 설치된 월류판(15)에 부딪쳤다가 계속적으로 밀려오는 회전수류에 의해 월류판(15)에 부딪쳤던 물과 세척하는 곡물이 월류판(15)을 넘어가게 되고, 이렇게 넘어간 물과 세척하는 곡물은 월류판(17)의 뒤쪽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계속적으로 밀려오는 회전수류에 의해 다시 회전하는 수류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세척효율이 배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곡물의 세척작업을 수분동안 실시함에 따라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걸려지면서 곡물이 세척되게 되면, 모터(7)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임펠러(6)의 회전을 정지시키는데, 이때의 세척수는 곡물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탁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때는 배수관(19)에 설치된 배수레버(17)를 열어서 여과체설치공간부(22)에 모인 작은 모래와 오염되어 탁한 세척수를 배수관(19)을 통해 배수시키는데, 세척수의 상태를 확인하며 수차례 세척과 배수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에 배수레버(17)를 잠그고 수돗물공급관(14)을 통하여 곡물세척통(2)의 내부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수돗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수도꼭지(18)를 잠근 뒤에 회전임펠러(6)를 다시 회전시켜 곡물을 2차로 세척한다.
이렇게 재차 곡물을 세척하여 곡물이 깨끗하게 세척되게 되면, 개폐레버(13)를 조작하여 개폐구(12)를 개방하면, 곡물세척통(2)에 들어 있던 세척한 곡물이 물과 함께 곡물배출돤(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여과체(30)에 걸려 모여진 굵은 모래는 여과체 내측의 공간부, 특히 경사진 하측의 모서리부분에 모여 있고, 여과체틀(32)에 형성된 걸림턱(34)에 의해 여과체(30)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 곡물배출구(9)를 통하여 세척한 곡물과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도 회전임펠러(6)를 회전시키면, 일정하게 회전하는 회전임펠러(6)에 의해 파상적으로 세척한 곡물과 물이 배출되므로 더욱 더 깨끗하게 세척되면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세척한 곡물과 물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수돗물을 곡물세척통(2)의 내벽면으로 물이 뿌리면서 곡물세척통(2)의 내벽면에 묻어 있던 곡물까지 깨끗하게 아래로 흘러 내려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에는 모터(7)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배수관(19)을 열어서 나머지 물기까지 배출시키고 여과체(30)를 들어내어 여과망(31)에 걸러진 굵은 모래를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임펠러(6)의 하부에도 임펠러날개(5)가 임펠러본체(6a)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회전임펠러(6)의 하부와 임펠러홈(21)의 사이에 세척하는 깨와 같은 작은 곡물알갱이가 끼지 않게 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1 : 세척기본체 2 : 곡물세척통 3 : 배수구
4 : 여과망설치공간부 5 : 임펠러날개 6 : 회전임펠러
7 : 모터 8 : 여과망 9 : 곡물배출구
10 : 곡물배출관 11 : 바닥면 12 : 개폐구
13 : 개폐레버 14 : 수돗물공급관 15 : 월류판
16 : 모래수거대 17 : 배수레버 18 : 수도꼭지
19 : 배수관 20 : 임펠러설치대 21 : 임펠러홈
22 : 여과체설치공간부 23 : 교반날개 30 : 여과체
31 : 여과망 32 : 여과체틀 33 : 경사면
34 : 걸림턱 35 : 벽체 100 : 곡물세척기

Claims (2)

  1. 세척기본체의 상측에는 곡물세척통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세척통의 바닥면에는 일측 소정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여과체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여과체설치공간부가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편심된 위치에는 상하에 임펠러날개가 돌출 형성된 회전임펠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소정위치에는 외측에 곡물배출관이 연결된 곡물배출구가 외향 형성되고, 상기 곡물세척통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곡물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구가 개폐레버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본체에는 곡물세척통의 내측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공급관이 설치된 곡물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경사진 궁형(弓形)으로 여과체틀을 형성하되, 곡물세척통의 내벽면과 인접한 호(弧)부분의 하측 깊이가 낮고 회전임펠러와 인접한 현(弦)부분의 하측깊이가 깊게 형성한 뒤에 그 여과체틀의 경사진 하단부에 여과망이 설치되며,
    상기 호(弧)부분의 테두리부 상면에 경사면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현(弦)부분의 상면 테두리부가 호부분 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체틀의 현부분의 일측 상면에는 벽체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틀의 호부분의 내주면과 걸림턱 하측의 현부분의 하측 내주면에는 수개의 반원형 돌출부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임펠러의 상부에는 철사를 절곡하여 형성한 교반날개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KR2020130010552U 2013-12-18 2013-12-18 곡물세척기 KR200474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52U KR200474420Y1 (ko) 2013-12-18 2013-12-18 곡물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52U KR200474420Y1 (ko) 2013-12-18 2013-12-18 곡물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420Y1 true KR200474420Y1 (ko) 2014-10-30

Family

ID=5228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552U KR200474420Y1 (ko) 2013-12-18 2013-12-18 곡물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846A (ko) * 2018-11-29 2020-06-08 양재희 이중 임펠라 구조를 갖는 곡물세척기
KR20210098799A (ko) * 2020-02-03 2021-08-11 이제연 미세 플라스틱 제거가 가능한 해조류 세척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67Y1 (ko) * 1993-08-20 1996-12-16 나창환 곡물세척기
KR980006256U (ko) * 1998-02-19 1998-04-30 이창복 곡물세척기
KR19980014557U (ko) * 1998-03-18 1998-06-05 이창복 곡물세척기
KR20000000650U (ko) * 1998-06-08 2000-01-15 이창구 곡물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67Y1 (ko) * 1993-08-20 1996-12-16 나창환 곡물세척기
KR980006256U (ko) * 1998-02-19 1998-04-30 이창복 곡물세척기
KR19980014557U (ko) * 1998-03-18 1998-06-05 이창복 곡물세척기
KR20000000650U (ko) * 1998-06-08 2000-01-15 이창구 곡물세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846A (ko) * 2018-11-29 2020-06-08 양재희 이중 임펠라 구조를 갖는 곡물세척기
KR102133988B1 (ko) * 2018-11-29 2020-07-14 양재희 이중 임펠라 구조를 갖는 곡물세척기
KR20210098799A (ko) * 2020-02-03 2021-08-11 이제연 미세 플라스틱 제거가 가능한 해조류 세척 장치 및 방법
KR102406062B1 (ko) * 2020-02-03 2022-06-08 이제연 미세 플라스틱 제거가 가능한 해조류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2714B (zh) 自洁式节水防堵水槽
JP3439108B2 (ja) 洗濯機
CN106419786B (zh) 用于水槽的排水、排渣结构
CN205922740U (zh) 一种黄颡鱼产品加工设备
RU2007133610A (ru) Туалет промывного типа
CN203750576U (zh) 一种清洗小麦的装置
KR200474420Y1 (ko) 곡물세척기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8072881A1 (en) Multipurpose water tank
CN109182740A (zh) 一种稀土分离装置
KR20110053644A (ko) 디스포저
CN109667321A (zh) 一种洗菜盆废水、废物处理装置
JP2009068264A (ja) 排水栓構造
CN105833573B (zh) 排泄物固液分离装置
KR100875394B1 (ko) 물탱크용 세척장치
CN209721756U (zh) 一种污泥预处理装置
KR100893941B1 (ko) 모래용 순환골재의 세척장치
CN208306602U (zh) 一种工程车辆清洗装置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KR1012774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이송장치
JP2011220080A (ja) 生ゴミ脱水装置
KR200191153Y1 (ko) 곡물세척기
KR100799915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0385855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가능한 배수트랩
CN209348195U (zh) 黄泥咸鸭蛋清洗装置的泥水过滤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