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256U - 곡물세척기 - Google Patents

곡물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256U
KR980006256U KR2019980002473U KR19980002473U KR980006256U KR 980006256 U KR980006256 U KR 980006256U KR 2019980002473 U KR2019980002473 U KR 2019980002473U KR 19980002473 U KR19980002473 U KR 19980002473U KR 980006256 U KR980006256 U KR 9800062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rain
pipe
induction pip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복
문대붕
Original Assignee
이창복
문대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복, 문대붕 filed Critical 이창복
Priority to KR2019980002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256U/ko
Publication of KR980006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256U/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참깨나 들깨, 그리고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깨나 들깨, 그리고 쌀 등의 곡물을 세척시 상기 곡물에 포함되있는 모래나 흙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과 참깨 및 쌀과 같이 물에 가라 앉는 곡물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곡물세척기는, 하부동체(1)의 상부에 하측이 호퍼형으로 형성된 상부동체(1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동체(1a)의 호퍼부 중앙부 하측에는 급수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향분사시키는 분사노즐(5)이 상향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5)의 상측에는 선단 배출관(31)이 지팡이손잡이 형태로 하향만곡된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되, 상기 유도관(30)의 말단부와 분사노즐(5)의 선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여 벤츄리현상에 의해 상부동체(1a)에 채워져 있는 곡물과 물이 유도관(30)으로 흡입된 뒤에 상부동체(1a)로 배출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곡물을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동체(1a)의 호퍼부 하방에는 하측 소정위치에 배수관(6)이 하향설치되고 모서리가 라운딩된 모래고임공간부(33)가 형성되고, 이 모래고임공간부(33)의 상부에는 중앙부 분사노즐(5)이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한 여과망(34)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31)의 말단부가 상부동체(1a) 내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세척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참깨나 들깨, 그리고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깨나 들깨, 그리고 쌀 등의 곡물을 세척시 상기 곡물에 포함되있는 모래나 흙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과 참깨 및 쌀과 같이 물에 가라 앉는 곡물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동체(1)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동체(1a)에 세척할 곡물을 일정량 넣고 급수관(4a)에 설치한 전자밸브(3a)를 절환스위치(18)로 열어준 다음 하부동체(1)내에 설치한 급수펌프(2)를 가동시켜 일정수위까지 급수시칸다.
그뒤 스위치(18)을 절환시켜 급수관(4)에 설치한 전자밸브(3)을 열어주게 되면 상부동체(1a)의 저면에 연결시킨 급수관(4)에 설치한 분사노즐(5)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역유형회전유도관(10)을 통하여 상승되어 역유형회전유도관(10)의 일측 단부에 연결시킨 배출각도유도관(10a)으로 배출된다.
이때, 지지관(8)에 관삽된 역유형호전유도관(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팔부(9)와 분사노즐(5)이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어서, 여기에서 벤츄리현상이 일어나 상부동체(1a)에 담겨있는 곡물과 물이 같이 흡인되어 역유형회전유도관(10)내로 유도되어 배출각도유도관(10a)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곡물과 물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배출되므로 분출되는 수압에 의하여 역유형호전유도관(10)이 지지관(8)내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곡물과 물을 배출하게 될 때 세척이 일어나는 동시에 상부동체(1a)내의 곡물은 물과 같이 와류하게 되어 더욱 세척을 촉진시켜주게 된다.
이때, 역유형회전유도관(10)의 상부에 고정시킨 높이조절링(13)에 고정시킨 회전봉(14)(14a)이 따라 돌게 되므로 세척효과를 더욱 높여주는 동시에 회전봉(14)에 속도조절판(15)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속도조절판(15)은 수압을 덜 받게 하거나 많이 받게 방향을 틀어 조절해 주므로서 역유형회전유도관(10)의 회전속도를 곡물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시에 수면에 떠서 중앙부로 모이는 거품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인 지지관(8)의 상부에 설치한 이물질집수통(16)에 모여 배출되므로 곡물의 청결도를 높여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된 곡물을 역유형회전유도관(10)의 단부에 삽입설치된 배출각도유도관(10a)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경사장공(11)에 꽂은 핀(12)을 따라 상승되고 이를 회동시키면 상부동체(1a)의 상부일츨에 형성한 배 구(17)에 재치되므로 세척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수조(21)에는 급수펌프(2)와 배수관을 연결시켰기 때문에 급수펌프(2)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곡물에 섞여있는 모래가 곡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분사노즐(5)이 장착되어 있는 상부동체(1a)의 호퍼부 하측에 많은 량은 아니지만 모래가 쌓이게 되는데, 이 호퍼부 하측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곡물이 상호 호퍼부 하측에도 쌓여서 곡물과 모래가 함께 섞여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모래가 함께 섞여있는 곡물은 세척을 하여도 곡물에 모래가 섞여있게 되어 사실상 실용화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의 곡물세척기는 수조나 수도꼭지를 통해 깨끗한 물을 통에 일정량이 받혀지면, 전자밸브를 동작시켜 수조나 수도꼭지를 통해 깨끗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부동체(1a)에 받혀진 물을 순환시키면서 세척수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깨끗한 수도물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곡물을 세척하여 더러워진 물로 곡물을 세척하므로 곡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이물질집수통(16)보다 수위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부가 개방된 이물질집수통(16)으로 세척중인 곡물이 넘어들어가 곡물이 유실되게 되는 폐단과, 필요이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단가가 상승됨은 물론이고 고장발생요인이 많은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곡물세척기는 쌀이나 참깨 등과 같이 물속에 잠기는 곡물의 세척은 가능하였으나,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은 회전유도관의 하측으로 물위로 떠 있는 곡물이 흡인될 수 없어서 세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참깨나 들깨, 그리고 쌀등의 곡물을 세척시 상기 곡물에 포함되있는 모래나 흙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곡물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도관의 중앙부에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을 하측으로 가라 앉히게 하는 세척수분사기를 설치함으로서,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곡물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동체(1)의 상부에 하측이 호퍼형으로 형성된 상부동체(1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동체(1a)의 호퍼부 중앙부 하측에는 급수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향분사시키는 분사노즐(5)이 상향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5)의 상측에는 선단 배출관(31)이 지팡이손잡이 형태로 하향만곡된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되, 상기 유도관(30)의 말단부와 분사노즐(5)의 선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여 벤츄리현상에 의해 상부동체(1a)에 채워져 있는 곡물과 물이 유도관(30)으로 역유를 반복하면서 곡물을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동체(1a)의 호퍼부 하방에는 하측 소정위치에 배수관(6)이 하향설치된 모래고임공간부(33)가 형성되고, 이 모래고임공간부(33)의 상부에는 중앙부 분사노즐(5)이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한 여과망(34)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31)의 말단부가 상부동체(1a) 내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부를 확대도시한 요부발췌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B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제7도 도시된 삼실시예의 요부인 세척수분사기의 구조와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a도 및 9b도는 상기 세척수분사기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단면도.
제10도는 제9a도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평면도.
제13도는 사실시예의 요부인 2차여과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오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오실시예의 요부인 분사세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육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육실시예의 요부인 물, 곡물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8도는 물, 곡물분리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리판의 평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하부동체 1a:상부동체 2:급수펌프 3,3a:전자밸브
4,4a:급수관 5:분사노즐 6:배수관 7:여과망
8:지지관 9:나팔부 10:역유형회전유도관 10a:배축각도유도관
11:경사장공 12:핀 13:조절링 14,14a:회전봉
15:회전속도조절판 16:이물질집수통 17:배출구 30:유도관
30a:상부유도관 30b:하부유도관 31:배출관 32:배출호스
33:모래고임공간부 34:여과망 35:분기배출관 36:개폐밸브
40:세 수분사기 41:축소직경부 42:경사관부 43:배출 및 흡입공간부
44:안내판 45:숫나사부 46:개폐링 47:조임핸들
50:2차여과기 51:여과기본체 52:여과망 53:배수공
54:하우징 55:세목여과망 60:분사세척기 61:상부콘형부
62:하부콘형부 63:분사틈새 64:분사공 65:급수관
66:분기관 60:물, 곡물분리기 71:물, 곡물유입구 72:물배출구
73:물, 곡물분리기본체 74:;슬릿홈 75:분리판 76:곡물배출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동체(1)의 내측에는 수도꼭지의 물 또는 수조에 받아놓은 깨끗한 물을 급수하는 급수펌프(2)가 설치되고, 이 하부동체(1)의 상부측에는 하측이 호퍼형으로 형성된 상부동체(1a)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동부체(1a)이 호퍼부 중앙부 하측에는 하측 소정위치에 배수관(6)이 하향설치된 모래고임공간부(33)가 형성되고, 이 모래고임공간부(33)의 상부에는 중앙부 분사노즐(5)이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한 여과망(34)이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모래고임공간부(33)는 모서리부분이 라운딩되어 모래의 적체를 방지하고, 이 모래고임공간부(33)의 중심부에는 상기 급수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향분사시키는 분사노즐(5)을 상향설치하되, 상기 분사노즐(5)이 모래고임공간부(33)의 통공을 관통하여 소정의 높이만큼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5)의 상측에는 선단 배추관(31)이 지팡이손잡이 형태로 하향만곡된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되, 상기 유도관(30)의 말단부와 분사노즐(5)의 선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여 벤츄리현상에 의해 상동부체(1a)에 채워져 있는 곡물과 물이 유도관(30)으로 흡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31)의 말단부가 상동부체(1a) 내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유도관(30)을 통해 흡인된 물과 곡물이 상동부체(1a)의 내측하부로 배출되며 와류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31)의 말단부에는 배출호스(32)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세척완료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시 배출호스(32)를 상동부체(1a)의 외측으로 넘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실시예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세척이 완료된 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분기배출관(35)이 분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유도관(30)의 상부 만곡개시부 소정위치에는 말단부가 상동부체(1a)의 외측으로 만곡된 분기배출관(35)이 분기되게 설치되고, 상기 분기된 부위에는 분기배출관(35)과 배출관(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삼실시예는 상기 유도관(30)의 중앙부 소정위치에 세척수분사기(40)를 설치하여 수위가 세척수분사기(40)보다 아래에 있을 경우에는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을 하측으로 가라 앉혀 세척하고, 수위가 세척수분사기(40)보다 상측에 있을 경우에는 상동부체(1a)에 채워져 있는 물과 곡물을 유도관(30)으로 흡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도관(30)의 중앙부 소정위치에는 유도관(30)의 내경보다 직경이 축소된 축소직경부(41)가 형성되고, 이 축소직경부(41)의 하단에는 유도관(30)의 내경보다 확대된 경사관부(42)가 형성되고, 이 경사관부(42)의 외주연에는 방사상으로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의 하측 전둘레에는 하향 경사진 안내판(44)이 형성되어 있다.
제9a, 9b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세척수분사기(40)의 다른 실시예는, 세척수분사기(40)의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을 선택적으로 막아서 물위에 뜨는 곡물은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을 열어서 물아래로 가라앉히고, 물아래로 가라앉는 곡물을 세척시에는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막아서 물과 곡물이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즉, 상기 유도관(30)의 중앙부가 절단되어 상부유도관(30a)과 하부유도관(30b)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유도관(30a)의 말단부에는 내측상부에 유도관(30)의 내경보다 직경이 축소된 축소직경부(41)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유도관(30)의 내경보다 확대된 경사관부(42)가 형성되며, 이 경사관부(42)의 외주연에는 숫나사부(45)가 형성되며 하측전둘레에 3∼6개의 배출 및 흡입공간부(43)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유도관(30b)의 선단부는 경사관부(42)의 하단부 내주연에 체결되고 하부유도관(30b)의 상부측 외주연에는 하향경사진 안내판(44)이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45)에는 일측에 조임핸들(47)이 나사식으로 체결된 개폐링(45)이 상기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을 개폐토록 설치되어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사실시예는,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 또는 이실시예의 상동부체(1a)의 내측에 2차여과기(50)가 설치되어 2차로 곡물에 섞여있는 모래를 걸러내는 것이다.
즉, 상기 2차여과기(50)는 상기 상동부체(1a)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전후방이 개구된 여과기본체(51)가 하향 경사지게 현(弦)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본체(51)의 내측하부에는 여과망(52)이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52)의 하측에는 외주연과 하측에 다수개의 배수공(53)을 형성한 하우징(54)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54)의 내측에는 세목여과망(55)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오실시예는, 유도관(30)의 상부측에 분사세척기(60)가 설치되어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에 상부동체(1a)의 내측에 묻어있는 곡물찌꺼기 및 이물질들이 세척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분사세척기(60)는 유도관(30)의 상부측 소정위치에 상부콘형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콘형부(61)의 하측에는 상부콘형부(61)보다 경사각이 큰 하부콘형부(62)를 설치하되, 상기 상부콘형부(61)와 하부콘형부(62)의 외주연 말단부는 외측으로 세척수가 하향분사되는 소정의 분사틈새(63)를 두고 설치되며, 이 하부콘형부(62)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세척수분사용 분사공(64)이 형성되고 급수관(65)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6도 내지 제18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육실시예는, 세척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곡물과 물을 분리하는 물, 곡물분리기(70)가 추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물, 곡물분리기(70)는 상기 분기배출관(35)의 말단부에는 상측에 물, 곡물유입구(71)가 설치되고 하측에 물배출구(72)를 구비한 물, 곡물분리기본체(73)가 설치되며, 상기 물, 곡물분리기본체(73)의 내측에는 전방측은 판상태이며 후방측에 다수의 슬릿홈(7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분리판(75)이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배출구(72)는 모래고임공간부(33)의 하측에 하향 설치된 배수관(6)과 접속되어 곡물과 분리된 물이 하수구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곡물세척기를 이용하여 쌀이나 참깨, 들깨 등의 곡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동부체(1a)의 내측에 세척할 곡물을 투입하고, 모래고임공간부(33)에 하향설치된 배수관(6)을 조금만 개방하여 상동부체(1a)에 받혀지는 물이 조금씩 배수되게 하면서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급수펌프(2)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급수펌프(2)와 연결된 수도꼭지나 물통의 깨끗한 물이 분사노즐(5)로 공급되어 분사노즐(5)의 상측으로 분사된다.
이렇게 상향분사되는 세척수는 분사노즐(5)의 상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된 유도관(30)의 말단부로 유입되는데, 상기 분사노즐(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속도는 빠르나 압력이 약하고, 분사노즐(5)의 주변 상동부체(1a)의 호퍼부 하측부분은 압력이 높아서 분사노즐(5) 주변의 물과 곡물이 빠르게 유도관(30)의 말단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함께 빨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관(30)으로 빨려 들어가는 물과 곡물은 유도관(30)의 상부 선단부에 형성된 배출관(31)을 통하여 상동부체(1a)의 내측으로 배출되게 되고, 이렇게 배출되어 상동부체(1a)의 하측으로 내려오는 물과 곡물은 상기와 같은 벤츄리 현상에 의해 유도관(30)의 말단부로 다시 흡입되며, 유도관(30)으로 흡입된 물과 곡물은 다시 상동부체(1a)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세척할 곡물이 물과 함께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곡물이 세척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곡물이 세척되는 동안 급수되는 물은 수도꼭지나 물통에 받아놓은 깨끗한 물을 계속 공급하면서 배수관(6)으로는 소량의 물을 하측으로 흘려 보내기 때문에 항상 깨끗한 물로 곡물을 세척하게 되어 곡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곡물을 세척하는 동안에 곡물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등의 이물질은 곡물보다 무게가 무거우므로 하측으로 가라앉게 되어 상동부체(1a)의 호퍼부를 통하여 모래고임공간부(33)로 내려오게된다.
상기 모래고임공간부(33)의 상측에는 곡물은 빠지지 않고 모래만 빠지는 크기의 여과망(34)이 설치되어서 곡물중의 모래는 하측으로 걸러져 내려가게 되고, 배수관(6)을 조금 열어서 물을 조금씩 흘려 보내기 때문에 모래고임공간부(33)로 모이는 모래가 그때 그때 배출되므로 곡물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를 완벽하게 제거시키면서 곡물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곡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출관(31)에 배출호스(32)를 끼우거나, 또는 작업초기에 끼워놓은 배출호스(32)를 상동부체(1a)의 외측으로 내보낸 상태로 상기 급수펌프(2)를 계속 동작시키면서 상기 세척시와 동일하게 유도관(30)으로 흡입되게 되고, 유도관(30)으로 흡입된 곡물과 같은 배출호스(32)를 통하여 상동부체(1a)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곡물과 물은 그물망과 같은 물빠짐구멍이 있는 용기에 받아서 목적하는 바대로 세척한 곡물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34)은 장기간 사용하면 이물질이나 부서진 곡물조각에 의해 막힐 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여과망(34)이 막히면 여과망(34)을 간단히 분해하여 이물질을 털어내고 재장착하여 계속적으로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세척기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작용설명을 하였는데, 이제부터는 각각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이실시예는 배출관(31)의 일측에 또 하나의 분기배출관(35)을 연결접속하고 상기 연결접속부위에 개폐밸브(36)를 설치한 것으로, 곡물의 세척과정에서는 분기배출관(35)이 막아지고 배출관(31)이 개방되도록 개폐밸브(36)를 조작하면 유도관(30)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올라오는 물을 포함한 곡물이 상동부체(1a)의 내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곡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출관(31)이 막아지고 분기배출관(35)이 개방되도록 개폐밸브(36)를 조작하여 세척완료된 곡물과 물이 상동부체(1a)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다음은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삼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삼실시예의 경우에는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을 세척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동부체(1a) 내측의 수위가 세척수분사기(40)보다 아래에 있을 경우에는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을 하측으로 가라앉혀 세척하고, 수위가 세척수분사기(40)보다 상측에 있을 경우에는 상동부체(1a)에 채워져 있는 물과 곡물을 유도관(30)으로 흡입시키게 된다.
즉, 상동부체(1a)의 내측에 들깨가 투입된 상태에서 분사노즐(5)로 물이 분사되면서 상동부체(1a)의 내측에 물이 서서히 채워지게 되면 들깨가 물위로 떠오르게 되고, 분사노즐(5)로부터 분사되는 물(들깨포함)은 유도관(3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상측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유도관(30)의 중앙부측에는 축소직경부(41)를 구비한 경사관부(4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축소직경부(41)에서 저항을 받으면서 상승하던 물과 곡물이 제8도와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물살은 안내판(44)에 안내되면서 하향경사지게 분사되면서 물위로 떠오르는 곡물(들깨)을 하측으로 내려 눌러주어 호퍼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렇게 내려오는 곡물(들깨)은 벤츄리현상으로 유도관(30)으로 흡인되어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통하여 일부의 물과 곡물이 하향분사되는 상황에서 또 일부는 제8도에서와 같이 축소직경부(41)를 통과하여 상부유도관(30a)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배출관(31)을 통해 상동부체(1a)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세척이 된다.
그리고, 상동부체(1a) 내측의 수위가 세척수분사기(40)보다 상측에 있을 경우에는 유도관(30)의 말단부로 흡입되어 올라가는 곡물 및 물의 역류속도는 빠르나 압력이 약하고, 세척수분사기(40)이 외측부분의 압력이 높아서 세척수분사기(40)주면의 물과 곡물이 빠르게 세척수분사기(40)의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분사기(40)의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로 빨려들어 가는 물과 곡물은 유도관(30)의 상측으로 유도관(30)의 선단 배출관(31)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세척수분사기(40)의 다른실시예는 상기 삼실시예와 작용이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다른 점은 하향분사되는 물줄기를 막을 수 있는 개폐링(45)을 설치한 것으로, 쌀과 참깨 등의 물에 뜨지 않는 곡물을 세척시에는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으로 물을 분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럴 경우에 조임핸들(47)를 풀어 개폐링(45)의 회전이 원활하게 한뒤에, 개폐링(45)을 회전시켜서 개폐링(45)이 상기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막아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통하여 물을 포함한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폐링(45)으로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을 막은 뒤에는 조임핸들(47)을 돌려서 조임핸들(47)의 선단부가 숫나사부(45)와 압착되어 개폐링(45)이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개폐링(45)으로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로 분사되는 물과 곡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에 도시된 세척수분사기(40)의 다른실시예는 상기 제9도에 도시된 삼실시예와 유사한 부분 즉, 경사관부(42)로 올라가던 물과 곡물이 일부는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로 빠져나가고, 또다른 일부는 상부 유도관(30a)의상측으로 계속 올라가면서 배출관(31)을 통해 상부동체(1a)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과정이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사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실시예의 요부인 2차여과기(50)가 상부동체(1a)의 내측에 현(弦)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2차여과기(50)의 여과기본체(51)로 세척되면서 배출관(31)으로 배출되는 곡물과 물이 쏟아져 내리면, 여과기본체(51)의 내측 바닥면으로 떨어지면서 개구된 후방으로 곡물과 물이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처럼 전후방이 개구된 여과기본체(51)의 내측으로 곡물과 물이 흘러 내려가는 과정에서 곡물과 물이 섞여있는 모래는 여과기본체(51)의 내부후방측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망(52)의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곡물은 여과망(52)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개구된 후방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망(52)의 하측으로 내려온 모래와 물은 하우징(54)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세목여과망(55)으로 유입되게 되며 그중에서 물은 세목여과망(55)을 통하여 하우징(54)의 배수공(53)으로 배수되나, 모래는 세목여과망(55)의 내측에서 받혀지게 된다. 이렇게 세목여과망(55)에 받혀지는 모래는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에 하우징(54)과 함께 세목여과망(55)을 분해하여 세목여과망(55)에 받혀진 모래를 털어내고 세척한 뒤에 다시 장착하여 모래를 걸러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기본체(51)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과 곡물은 현방향으로 경사지게 하향설치된 여과기본체(51)에 의해 상기 물과 곡물이 원통형 상부동체(1a)의 내측에는 와류를 형성하게 하여 곡물의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오실시예는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에 상부동체(1a)의 내측에 곡물의 부스러기나 찌꺼기, 이물질등이 묻어있는 것을 세척수를 분사시켜 닦아내는 것이다.
즉,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에 급수관(65)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면, 상기 세척수는 분사세척기(60)의 상하부콘형부(61)(62)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되고, 이렇게 유입되는 세척수는 상하부콘형부(61)(6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분사틈새(63)와 하부콘형부(62)의 분사공(64)으로 세척수가 각각 분사된다.
상기 분사틈새(63)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하부콘형부(61)(62)의 형상대로 하향경사지게 분사되면서 원통형 상부동체(1a)의 내면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질을 씻겨 내리고, 상기 분사공(64)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분사 세척기(60)의 하측의 유도관(30)을 비롯하여 세척수분사기(40)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질을 씻겨 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급수관(65)의 일측에는 분기관(66)이 설치되어서 분사세척기(6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과 동일하게 분기관(66)으로도 세척수가 분사되는데, 이 분기관(66)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2차여과기(50)의 여과기본체(51)의 내측으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어 여과기본체(51)이 내측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질도 깨끗하게 씻겨 내릴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16도 내지 제18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육실시예인 물, 곡물분리기(7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세척이 완료된 곡물이 배출관(31) 또는 분기배출관(35)을 통하여 물과 함께 물, 곡물분리기(70)의 물, 곡물유입구(71)로 유입되면서 물, 곡물분리기(70)의 내측에 착탈식으로 설치된 분리판(75)의 평판부분에 쏟아지게 된다. 상기 곡물의 분리판(75)의 평판부분으로 쏟아지게 하는 것은 망이나 슬릿홈(74)으로 곡물이 직접 쏟아지면 곡물의 표면에 흠집이 가거나 심한 경우에는 곡물이 쪼개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과 물이 경사지게 설치된 분리판(75)의 상부 평판부로 떨어지면서 물과 곡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려 가는데, 분리판(75)의 하단에는 곡물보다 가늘게 다수개의 슬릿홈(74)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형성하여서 상기 물은 슬릿홈(74)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물배출구(72)로 빠져나가게 되고, 물이 빠진 곡물만 곡물배출구(76)를 통하여 별도의 곡물받이통으로 배출되어 받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배출구(72)는 모래고임고안부(33)의 하측에 하향설치된 배수관(6)과 접속되어 있어서 모래가 섞인 물과 함께 세척완료되어 물배출구(72)로 배수되는 물이 하수굴오 배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세척기는, 1, 2차에 걸쳐 모래를 여과시키는 모래여과수단이 마련되어서 곡물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를 완벽하게 걸러낼 수 있는 가장 큰 효과와, 종래의 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상부동체에 받혀진 물로 곡물을 세척하던 것을 깨끗한 직수로만 곡물을 세척하므로 사람이 먹게 되는 곡물을 깨끗하게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잇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들깨와 같이 물위로 뜨는 곡물과, 참깨 및 쌀과 같은 물에 가라앉는 곡물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분사기가 설치되어서 물위로 뜨는 곡물이나 물속에 가라앉는 곡물을 모두 세척할 수 있어 타사제품과의 제품경쟁력에서 앞설 수 있는 장점과,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에는 곡물세척기의 내측에 묻어있게되는 곡물찌꺼기 및 이물질을 분사세척기로서 세척하므로 곡물세척기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어 곡물세척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음에 세척하는 곡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곡물세척기에는 물, 곡물분리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세척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곡물과 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와, 물, 곡물분리기에서 곡물과 분리된 물이 배수구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장으로 물이 넘쳐서 발생하던 문제점들을 간단하게 해소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특출한 고안이다.

Claims (7)

  1. 하부동체(1)의 상부에 하측이 호퍼형으로 형성된 상부동체(1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동체(1a)의 호퍼부 중앙부 하측에는 급수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향분사시키는 분사노즐(5)이 상향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5)의 상측에는 선단 배출관(31)이 지팡이손잡이 형태로 하향만곡된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되, 상기 유도관(30)의 말단부와 분사노즐(5)의 선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도관(30)을 수직설치하여 벤츄리현상에 의해 상부동체(1a)에 채워져 있는 곡물과 물이 유도관(30)으로 흡입된 뒤에 상부동체(1a)에 배출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곡물을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동체(1a)의 호퍼부 하방에는 하측 소정위치에 배수관(6)이 하향설치되고 모서리가 라운딩된 모래고임공간부(33)가 형성되고, 이 모래고임공간부(33)의 상부에는 중앙부 분사노즐(5)이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한 여과망(34)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31)의 말단부가 상부동체(1a) 내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30)의 상부 만곡개시부에는 말단부가 상부동체(1a)의 외측으로 만곡된 분기 배출관(35)이 분기되게 설치되고, 상기 분기된 부위에는 분기배출관(35)과 배출관(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30)의 중앙부 소정위치에는 유도관(30)의 내경보다 직경이 축소된 축소직경부(41)가 형성되고, 이 축소직경부(41)의 하단에는 유도관(30)의 내경보다 확대된 경사관부(42)가 형성되고,이 경사관부(42)의 외주연에는 방사상으로 배출 및 흡입공간부(43)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의 하측 전둘레에는 하향 경사진 안내판(4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30)의 중앙부가 절단되어 상하부유도관(30a)(30b)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유도관(30a)의 말단부에는 내측상부에 유도관(30)의 내경보다 직경이 축소된 축소직경부(41)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유도관(30)의 내경보다 확대된 경사관부(42)가 형성되며, 이 경사관부(42)의 외주연에는 숫나사부(45)가 형성되며 하측전둘레에 3∼6개의 배출 및 흡입공간부(43)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하부유도관(30b)의 선단부는 경사관부(42)의 하단부 내주연에 연결되고 하부유도관(30b)의 상부측 외주연에는 하향경사진 안내판(44)이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45)에는 일측에 조임핸들(47)이 나사식으로 체결된 개폐링(45)이 상기 배출 및 흡입공간부(43)을 개폐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상동부체(1a)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전후방이 개구된 여과기본체(51)가 하향 경사지게 현(弦)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본체(51)의 내측하부에는 여과망(52)이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52)의 하측에는 외주연과 하측에 다수개의 배수공(53)을 형성한 하우징(54)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54)의 내측에는 세목여과망(55)이 삽입설치된 2차여과기(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30)의 상부측 소정위치에는 상부동체(1a)의 내부를 세척하는 분사세척기(60)를 설치하되, 상기 분사세척기(60)는 유도관(30)의 상부측 소정위치에 상부콘형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콘형부(61)의 하측에는 상부콘형부(61)보다 경사각이 큰 하부콘형부(62)를 설치하되, 상기 상부콘형부(61)와 하부콘형부(62)의 외주연 말단부는 소정의 분사틈새(63)를 두고 설치되며, 이 하부콘형부(62)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세척수분사용 분사공(64)이 형성되고 급수관(65)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출관(35)의 말단부에는 상측에 물, 곡물유입구(71)가 설치되고 하측에 물배출구(72)를 구비한 물, 곡물분리기본체(73)가 설치되며, 상기 물, 곡물분리기본체(73)의 내측에는 전방측은 판상태이며 후방측에 슬릿홈(74)을 형성한 분리판(75)이 착탈식으로 설치된 물, 곡물분리기(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80002473U 1998-02-19 1998-02-19 곡물세척기 KR9800062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473U KR980006256U (ko) 1998-02-19 1998-02-19 곡물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473U KR980006256U (ko) 1998-02-19 1998-02-19 곡물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256U true KR980006256U (ko) 1998-04-30

Family

ID=6971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473U KR980006256U (ko) 1998-02-19 1998-02-19 곡물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625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92A (ko) * 2002-08-31 2004-03-09 설재석 이동식 및 수도와 싱크대 고정부착용 수압을 이용한 쌀세척기
KR200474420Y1 (ko) * 2013-12-18 2014-10-30 창 구 이 곡물세척기
CN109329989A (zh) * 2018-11-15 2019-02-15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桂圆干果加工自动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92A (ko) * 2002-08-31 2004-03-09 설재석 이동식 및 수도와 싱크대 고정부착용 수압을 이용한 쌀세척기
KR200474420Y1 (ko) * 2013-12-18 2014-10-30 창 구 이 곡물세척기
CN109329989A (zh) * 2018-11-15 2019-02-15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桂圆干果加工自动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N109329989B (zh) * 2018-11-15 2023-08-25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桂圆干果加工自动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2891A (en) Dishwasher soil collecting circuit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US7077957B2 (en) Overflow screening device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JP4633502B2 (ja) 砂分離洗浄装置
KR980006256U (ko) 곡물세척기
GB2293993A (en) Hydrocyclone separator
CN209721756U (zh) 一种污泥预处理装置
CA2199023A1 (en) Separation device
JP2568805B2 (ja) 貯水槽
US7468136B2 (en) Grit trap
KR20050033406A (ko)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침사 제거 및 종합 전처리 장치
KR100927122B1 (ko)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0429422B1 (ko) 원심 혼합 모래 여과기
KR200433900Y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0962038B1 (ko)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KR102523326B1 (ko) 다용도 와류형 세척기
NO311697B1 (no) Flisvask
KR102677940B1 (ko)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KR102362382B1 (ko) 협잡물 여과 및 모래탈수 효과가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GB2042933A (en) Devices for Washing Flower Bulbs
US20230142536A1 (en) Swimming pool structure with water drawing, filtering and recirculating circuit
KR0167135B1 (ko) 양어장 물 여과 장치
KR19990015689U (ko) 오,폐수처리용 스크린의 크리닝장치
KR890002208Y1 (ko) 정수용 침전 ·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