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122B1 -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122B1
KR100927122B1 KR1020090073232A KR20090073232A KR100927122B1 KR 100927122 B1 KR100927122 B1 KR 100927122B1 KR 1020090073232 A KR1020090073232 A KR 1020090073232A KR 20090073232 A KR20090073232 A KR 20090073232A KR 100927122 B1 KR100927122 B1 KR 10092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astening
water
scraper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덕 용 김
Original Assignee
덕 용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용 김 filed Critical 덕 용 김
Priority to KR102009007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나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정수·하수 처리시설의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정수·하수 처리시설을 이루는 침전조 중심의 로터샤프트 상단에서 정수·하수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걸러주는 스크랩퍼를 형성하고, 그 끝단에 브러쉬부를 체결하여 그 브러쉬부를 통해 수위턱의 웨어와 침전조수로를 항상 청소할 수 있도록 하되, 그 동력은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슬러지수집기의 회동력을 그대로 이용한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이다.
수위턱, 웨어, 침전조수로, 브러쉬부, 로터샤프트, 스크랩퍼

Description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DECONTAMINATION DEVICE OF FLOATING MATTER FOR SETTLING TANK}
본 발명은 정수나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정수·하수 처리시설의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정수·하수 처리시설을 이루는 침전조 중심의 로터샤프트 상단에서 정수·하수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걸러주는 스크랩퍼를 형성하고, 그 끝단에 브러쉬부를 체결하여 그 브러쉬부를 통해 수위턱의 웨어와 침전조수로를 항상 청소할 수 있도록 하되, 그 동력은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슬러지수집기의 회동력을 그대로 이용한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나 분료 등의 폐수는 별도의 정화처리시설을 통해 정화처리되고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정화처리시설 또는 하수처리시설에는 침전물이 바닥에 깔리게 되어, 별도의 침전물 배출 장치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이러한 침전조에는 다양한 부유물이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부유물로는 물에 비하여 비중이 낮은 부유체, 기름오물, 거품 등이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정화처리시설 등의 침전조에서는 이러한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침전조는 대부분 침전조에 부유되는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할 뿐, 침전조 가장자리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곤란하여, 이러한 부유물이 침전조 가장자리에 묻어 있게 되어, 보기가 않좋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부유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기도 하고, 정수 능력도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모든 얼룩과 더러움을 작업자가 직접 솔과 세척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번거로움을 가져왔다. 사실상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은 세척조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장치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나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정수·하수 처리시설의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하수 처리시설을 이루는 침전조 중심의 로터샤프트 상단에서 정수·하수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걸러주는 스크랩퍼를 형성하고, 그 끝단에 브러쉬부를 체결하여 그 브러쉬부를 통해 수위턱의 웨어와 침전조수로를 항상 청소할 수 있도록 하되, 그 동력은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슬러지수집기의 회동력을 그대로 이용한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부를 자연물질인 물을 분사시켜 브러쉬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부유물에 대한 제거능력이 월등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하수 처리장의 부유물 제거장치는, 원형의 침전조(11) 외곽으로 돌출하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 웨어(12)가 다수 개 갖추어진 수위턱(10); 상기 수위턱(10)의 외부로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가 형성되고, 그 외곽으로 정수·하수의 드레인을 위해 형성시킨 침전조수로(20); 및 원형의 침전조(11) 중심부에 형성된 로터샤프트(30)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 장형의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된, 상기 웨어(12)와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를 포개어 덮는 1단브러쉬(41)와 상기 1단브러쉬(41)의 외부로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침전 조수로(20)에 수용되는 2단브러쉬(42), 및 상기 1단브러쉬(41)와 2단브러쉬(42)를 중심에서 결합시키는 지지축(43)으로 이루어진 브러쉬부(40);가 결합하되, 상기 로터샤프트(30)의 하단에 고정되는 슬러지수집기(50)의 회전과 동시에 동일 로터샤프트(30)의 회전으로 스크랩퍼(31)의 끝단에 고정된 브러쉬부(40)가 웨어(12), 단턱부(21), 침전조수로(20)를 청소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에 따른,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되는 브러쉬부(40)의 체결수단(70)은, 상기 봉의 형태로 브러쉬부(40)를 지지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71)를 형성한 지지축(43);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은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크랩퍼(31)의 끝단에 볼트(72) 체결되고 타측면은 그 중심부에 장형의 가이드공(73)이 형성된 체결프렌지(74); 상기 지지축(43)에 스크류 체결되고, 너트의 전면 일측으로 상기 가이드공(73)의 지름에 대응하는 돌출된 스톱퍼돌기(75)가 형성된 체결너트(76); 및 상기 체결너트(76)에 대응하는 대응너트(77)가; 결합하되, 상기 체결너트(76)가 체결된 지지축(43)이 체결너트(76)의 스톱퍼돌기(75)와 함께 상기 가이드공(7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공(73)의 타측방향으로 부터 대응너트(77)가 체결되어 브러쉬부(4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체결을 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의 침전조(11) 내부의 외곽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웨어(12)가 형성된 수위턱(10); 상기 수위턱(10)의 외부로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가 형성되고,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의 외곽으로 정수· 하수의 드레인을 위해 형성된 침전조수로(20); 원형의 침전조(11) 중심부에 형성된 로터샤프트(30)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 장형의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브러쉬부(40)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부(40)는 상기 웨어(12)와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에 걸쳐 포개어 덮는 1단브러쉬(41)와, 상기 1단브러쉬(41)의 외부로 1단브러쉬(41)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침전조수로(20)에 수용되는 2단브러쉬(42), 및 상기 1단브러쉬(41)와 2단브러쉬(42)의 중심에 결합되는 지지축(43)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샤프트(30)의 하단에 고정된 슬러지수집기(50)가 회전되고, 로터샤프트(30)의 회전으로 스크랩퍼(31)의 끝단에 고정된 브러쉬부(40)가 침전조(11) 내에서 회전되면서 웨어(12), 단턱부(21), 침전조수로(20)가 청소되도록 구비되는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는 브러쉬부(4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7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43)은 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브러쉬부(40)를 지지하고 외주면에 스크류(7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70)에는 스크랩퍼(31) 끝단에 결합되는 체결프렌지(74)가 구비되어지되, 체결프렌지(74)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크랩퍼(31)의 끝단에 볼트(72)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중심부에 장형의 가이드공(7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43)의 스크류(71)에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너트(76)가 형성되고, 체결너트(76)의 일측면으로 상기 가이드공(73)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스톱퍼돌기(75)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76)에 대응하는 대응너트(77)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너트(76)가 체결된 지지축(43)이 체결너트(76)의 스톱퍼돌기(75)와 함께 상기 체결프렌지(74)의 가이드공(7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공(73)이 형성된 체결프렌지(74)를 중심으로 하여 체결너트(76)와 타측방향의 대응너트(77)의 체결력에 의하여 브러쉬부(40)가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침전조(11) 내에서 회전되는 브러쉬부(40)에 묻은 이물질이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하는 브러쉬청소장치(80)가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청소장치(80)는, 상기 침전조(11) 내벽면에 형성된 브러쉬청소영역(81)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82); 상기 분사노즐(82) 측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분사펌프(83); 상기 브러쉬청소영역(81)에 브러쉬부(40)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84); 상기 브러쉬부(40)가 브러쉬청소영역(81)으로부터 벗어남을 감지하기 위한 통과감지센서(85); 상기 근접센서(84), 통과감지센서(85)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분사펌프(83)가 작동되도록 하는 물분무청소제어부(86)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정수·하수 처리장에서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던 슬러지수집기의 회동력을 그대로 활용하되, 그 회동력을 통해 정수와 하수의 상부로 떠오른 부유물을 걸러줌과 동시에 부유물의 배수로가 되는 침전조수로와 수위턱을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처리시설을 이용하여 동력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항상 상기 수위턱의 웨어를 청소하기에 웨어 사이에 머리카락이나 불순물이 끼어 배수작용을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부를 자연물질인 물을 분사시켜 브러쉬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부유물에 대한 제거능력이 월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측면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브러쉬부에 대한 결합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브러쉬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물분무청소장치에 대한 개략적인구성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물분무청소장치에 대한 브러쉬청소영역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정수·하수 처리장용 부유물 제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구비된 것이다.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처리시설을 설명하자면, 입수 된 폐수 등의 하수가 침전조(11)로 들어오게 되면, 그 중심부에 축으로 세로진 로터샤프트(30)가 회전하게 된다. 이 로터샤프트(30)는 별도의 모터와 기어의 치합 또는 기어와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로터샤프트(30)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슬러지수집기(50)가 체결되어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물론 이 슬러지수집기(50)는 침전조(11)의 바닥을 쓸어주면서 가라앉은 침전물을 쓸어 그 중심부의 오목한 배출공간(63)으로 배출을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와 하수 처리시설을 입수한 하수는 그 침전물(61)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로터샤프트(30)에 상단에는 즉, 하수의 수위가 되는 부분에 상기 로터샤프트(30)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스크랩퍼(31)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크랩퍼(31)는 하수의 상부 즉, 수위 부분을 회전하면서 하수의 상부로 떠오르는 부유물들을 밀어 침전조(11) 외부의 침전조수로(20)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11)의 외곽부를 이루는 상기 수위턱(10)은 사실상 침전조(11)의 수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턱(10)은 그 원형의 돌출부위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틈인 웨어(1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에는 쐐기형의 절개를 하여 웨어(12)를 형성하고 있는데 일정한 간격을 가진 형태를 모두 웨어라 칭하는 것이다. 이 웨어(12)란 하수의 상부 즉 부유물이 상기 스크랩퍼(31)를 통해서 쓸리게 되면, 외부로 밀려나게 될 것이고, 이러한 부유물(62)을 자연스럽게 외부의 침전조수로(20)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형성한다. 즉 외부로 쓸린 부유물(62)이 상기 쐐기형 간격인 웨어(12)를 통해서 외부 침전조수로(2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 이다.
이에 상기 침전조(11)의 하수에는 그 부유물(62)로 다양한 형태의 섬유 또는 머리카락, 섬유질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부유물(62)들이 엉켜서 상기 간격으로 형성되는 웨어(12)를 막고, 부유물의 원활한 배출을 막는다. 또한 항상 하수를 어느 정도 정화를 하는 침전조(11)는 더러울 소지가 높아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만 한다. 특히 상기 부유물(62)을 배출시키는 수위턱(10), 웨어(12)과 침전조수로(20)는 항상 불결하고 오염된 부유물(62)과 얼룩으로 뒤덮여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부유물(62)이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시된 도 1 내지 6에서처럼, 원형의 침전조(11) 외곽으로 돌출하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 웨어(12)가 다수 개 갖추어진 수위턱(10)이 있고, 상기 수위턱(10)의 외부로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가 형성되고, 그 외곽으로 정수·하수의 드레인을 위해 형성시킨 침전조수로(20)이 있으며, 원형의 침전조(11) 중심부에 형성된 로터샤프트(30)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 장형의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된, 상기 웨어(12)와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를 포개어 덮는 1단브러쉬(41)와 상기 1단브러쉬(41)의 외부로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침전조수로(20)에 수용되는 2단브러쉬(42), 및 상기 1단브러쉬(41)와 2단브러쉬(42)를 중심에서 결합시키는 지지축(43)으로 이루어진 브러쉬부(4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로터샤프트(30)의 하단에 고정되는 슬러지수집기(50)의 회전과 동시에 동일 로터샤프트(30) 의 회전으로 스크랩퍼(31)의 끝단에 고정된 브러쉬부(40)가 웨어(12), 단턱부(21), 침전조수로(20)를 청소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은 침전조(11)의 중심부에서 올라선 로터샤프트(30)의 회전력을 이용한다. 즉 침전조(11)의 하단에서 침전조(11)에 가라앉은 침전물(61)을 쓸어서 배출시키는 슬러지수집기(50)가 상기 로터샤프트(30)에 체결되어 있는데, 이 로터샤프트(30)는 모터와 기어 및 체인을 통해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슬러지수집기(50)가 상기 침전조(11)의 바닥을 긁으면서 침전물(61)을 그 중심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정수처리시설의 침전조(11)에는 그 내부에서 회전하는 슬러지수집기(50)가 존재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러한 슬러지수집기(5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그대로 활용하여 부유물(62)을 제거하고, 또 침전조(11)와 수위턱(10) 및 침전조수로(20)를 동시에 청소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즉 상기 회전하는 로터샤프트(30)에는 침전조(11)에 수용된 하수의 수위 정도의 수준에 양쪽으로 팔을 뻗는 장형의 스크랩퍼(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는 브러쉬부(40)가 체결된 상태이다. 상기 스크랩퍼(31)는 회전하는 로터샤프트(30)의 회전과 함께 회전을 하면서 하수의 상부에 떠오르는 부유물(62)를 쓸어 상기 수위턱(10)의 웨어(12)를 통해서 외부의 침전조수로(20)로 흘려 보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쐐기형 간격으로 형성된 웨어(12)로는 부유물(62) 과 일부의 하수가 같이 흘러 내리고, 수위턱(10)의 외부에 형성된 "ㄱ"자형 단턱부(21)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 단턱부(21)는 모서리부를 둥글게 형성한 라운드진 상태인데, 이는 부유물(62)과 하수가 떨어지면서 튀지 않고 부드럽게 흘려 내려 상기 침전조수로(20)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더러워진 침전조(11), 수위턱(10), 웨어(12), "ㄱ"자형 단턱부(21) 및 침전조수로(20)는 역시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된 브러쉬부(40)가 청소를 한다. 도시된 도 3, 4에서처럼, 상기 지름이 작은 1단브러쉬(41)는 그 하단에 수위턱(10)과 웨어(12) 및 "ㄱ"자형 단턱부(21)를 쓸어주고, 상기 2단브러쉬(42)는 상기 침전조수로(20)를 쓸어 청소하는 것이다. 동력도 기존에 사용되던 슬러지수집기(50)의 회동력을 그대로 사용하여 사실상 특별히 부가되는 비용의 발생이 없다.
1, 2단브러쉬(41, 42)를 이용하여 수위턱(10)과 웨어(12) 및 단턱부(21)를 쓸어 웨어(12)에 끼인 머리카락이나 엉킨 섬유질을 제거하고, 모서리가 라운드진 "ㄱ"자형 단턱부(21)를 쓸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웨어(12)에 끼인 섬유질이나 머리카락을 제거함은 후 작업의 스크랩퍼(31)가 쓸어 버리게 될 부유물(62)의 배수 작업을 더욱더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여건을 제시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상기 브러쉬부(40)를 체 결하는 방식에도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랩퍼(31)와 같이 회전하면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1단브러쉬(41)와 2단브러쉬(42)는 항상 수위턱(10), 웨어(12), 단턱부(21) 및 침전조수로(20)를 브러쉬의 하단으로 면접한 상태로 청소를 하기에 브러쉬의 일측단 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러쉬부(40)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상기 브러쉬부(40)를 회전시켜 다른 면과도 접촉하게 만들 수 있는 체결수단(70)이 필요하며, 상기 브러쉬부(40)를 일정한 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전후 좌우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체결한 수 있는 가변성이 필요하다. 바로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 3과 4에 도시된 체결수단(70)이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되는 브러쉬부(40)의 체결수단(70)은, 상기 봉의 형태로 브러쉬부(40)를 지지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71)를 형성한 지지축(43)이 있고,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은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크랩퍼(31)의 끝단에 볼트(72) 체결되고 타측면은 그 중심부에 장형의 가이드공(73)이 형성된 체결프렌지(74)가 있으며, 상기 지지축(43)에 스크류 체결되고, 너트의 전면 일측으로 상기 가이드공(73)의 지름에 대응하는 돌출된 스톱퍼돌기(75)가 형성된 체결너트(76)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76)에 대응하는 대응너트(77)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체결너트(76)가 체결된 지지축(43)이 체결너트(76)의 스톱퍼돌기(75)와 함께 상기 가이드공(7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공(73)의 타측방향으로 부터 대응너트(77)가 체결되어 브러쉬 부(4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체결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체결수단(70)을 통한 체결의 방식을 설명하자면, 상기 브러쉬부(40)를 이루는 1, 2단브러쉬(41, 42)는 지지축(43)을 통해서 결합된 상태이다. 또한 이 지지축(43)은 그 외주면에 나사산 즉, 스크류(7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는 "ㄱ"자형의 체결프렌지(74)가 체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축(43)에 도시된 체결너트(76)를 회전시켜 일정한 깊이까지 삽입을 하게 된다. 이때 만일 체결너트(76)의 회전이 많아 지지축(43)의 깊이까지 체결너트를 회전시키게 되면, 브러쉬부(40)가 상기 체결프렌지(74)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1, 2단브러쉬(41, 42)는 침전조(11)의 끝단 즉 수위턱(10)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체결이 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체결너트(76)의 회전이 적어 지지축(43)의 작은 깊이까지 체결너트(76)를 회전시키게 되면, 브러쉬부(40)가 상기 체결프렌지(74)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1, 2단브러쉬(41, 42)는 침전조(11)의 끝단 즉 수위턱(10)에서 멀리 벗어나는 상태로 체결이 된다. 바로 본 발명의 체결수단(70)은 이 체결너트(76)를 상기 지지축(43)에 어느 위치까지 이동시키는가에 따라서 브러쉬부(40)의 전후 방향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너트(76)에는 도시된 것처럼 그 일측면에서 돌출된 스톱퍼돌기(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돌기(75)는 상기 가이드공(73)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너트(76)가 지지축(43)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43)에 상기 체결프렌지(74)의 가이드공(73)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체결너트(76)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상기 스톱퍼돌기(75)도 상기 가이드공(7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스톱퍼돌기(75)는 상기 스크랩퍼(31)가 항상 회전하면서 그 끝단의 브러쉬부(40)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하는 작동에 의해 1, 2단브러쉬(41, 42)가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돌아가거나 그 지지축(43)이 체결프렌지(74)에서 해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너트(76)에 대응하는 또 다른 대응너트(77)를 상기 체결프렌지(74)의 건너편에서 상기 관통된 지지축(43)의 끝단에 끼워 강하게 조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축(43)은 체결프렌지(74)를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프렌지(74)의 일측면은 상기 체결너트(76)가 위치하여 더 이상 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체결프렌지(74)의 타측에는 상기 대응너트(77)가 체결하여 지지축(43)이 전방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너트 체결방식으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 브러쉬부(40)를 견고히 체결시킨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본 발명의 브러쉬부(40)는 상하 방향으로 그 수준을 이동시키면서 체결도 가능하다. 즉, 브러쉬의 섬유 길이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40)의 축인 지지축(43)이 일정한 수준으로 상승한 상태로 체결되어야 할 경 우도 있고, 일정 수준 이하로 하강한 상태에서 체결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바로 이때, 상기 지지축(43)은 체결프렌지(74)의 장형의 가이드공(73)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수직방향으로 적당히 이동시키고 나서 상기 대응너트(77)와 체결너트(76)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견고히 체결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러쉬부는 그 체결과 해체 및 길이와 수준의 제어가 용이하여 브러쉬의 사용 후 일측의 부러쉬가 닳게 된 경우에도 손쉽게 해체하여 약간의 각도 회전으로 브러쉬부를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기존의 사용되고, 또 사용될 수밖에 없는 동력을 이용하여 정화처리시설의 부유물(62)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침전조(11)와 수위턱(10) 및 웨어(12)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작용도 함께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100)에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침전조(11) 내에서 회전되는 브러쉬부(40)에 묻은 이물질이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하는 브러쉬청소장치(8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침전조(11)에 부유된 부유물(62)을 제거하게 되는 브러쉬부(40)에는 부유물(62)에 의한 이물질이 눌러 붙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청소장치(80)에 의하여 브러쉬부(40)에 붙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브러쉬청소장치(80)는 상기 침전조(11) 내벽면에 형성된 브러쉬 청소영역(81)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82)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분사노즐(82) 측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분사펌프(83)가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탱크(87)에 저장된 물이 분사펌프(83)에서 공급되고 분사노즐(82)에서 분사되어, 브러쉬부(4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브러쉬청소영역(81)에 브러쉬부(40)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84)와, 상기 브러쉬부(40)가 브러쉬청소영역(81)으로부터 벗어남을 감지하기 위한 통과감지센서(8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84), 통과감지센서(85)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분사펌프(83)가 작동되도록 하는 물분무청소제어부(86)가 함께 구비되어, 브러쉬청소영역(81)에 브러쉬부(40)가 위치되면 물분무청소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하여 브러쉬부(40)로 물이 분사되어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100)의 물분무청소장치(80)에 의하면, 침전조(11) 내에서 회전되면서 청소되도록 하는 브러쉬부(40)가 브러쉬청소영역(81)에 인입되게 되면, 이를 근접센서(84)에서 감지하며, 근접센서(84)에서 감지한 근접감지신호는 물분무청소제어부(86)에 전송되게 된다.
이후 물분무청소제어부(86)의 센서수신부(862)에서 근접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분무컨트롤러(861)에 전송하게 되며, 메모리부(863)에 설정된 분사펌프(83) 작동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분사펌프의 작동제어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즉 분사펌프 작동제어신호는 펌프신호처리부(864)를 통하여 분사펌프(83) 측으로 전송되어, 분사펌프(83)가 작동된다. 그리하여 물탱크(87)의 물이 분사펌프(83) 작동으로 분사 노즐(82)에서 분사됨으로써, 브러쉬청소영역(81)에 위치된 브러쉬부(40) 측으로 분사되어 브러쉬부(40)에 붙은 이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그리고 브러쉬부(40)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 브러쉬청소영역(81)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브러쉬부(40)가 통과됨을 통과감지센서(85)에서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통과감지센서(85)에서 감지된 통과감지신호는 물분무청소제어부(86)로 전송되고, 물분무청소제어부(86)의 센서수신부(862)에서 수신되어 분무컨트롤러(861)로 전송된다.
이에 분무컨트롤러(861)에서는 분사펌프(83) 작동이 정되도록 하는 펌프작동정시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펌프(83)의 작동 정지로 분사노즐(82)에서 물이 더 이상 분무되지 않게 되어, 브러쉬부(40)의 이물질 제거 작동이 정지된다.
이 후 로터샤프트(30)를 중심으로 하여 계속해서 회전되는 브러쉬부(40)는 다시 브러쉬청소영역(81)으로 근접되면 다시 브러쉬부 청소 과정이 반복되는 것으로, 이물질에 의하여 브러쉬부(40)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측면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브러쉬부에 대한 결합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브러쉬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물분무청소장치에 대한 개략적인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물분무청소장치에 대한 브러쉬청소영역의 사시도.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수위턱 11 : 침전조
20 : 침전조수로 21 : 단턱부
30 : 로터샤프트 31 : 스크랩퍼
40 : 브러쉬부 41 : 1단브러쉬
42 : 2단브러쉬 43 : 지지축
50 : 슬러지수집기 70 : 체결수단
71 : 스크류 72 : 볼트
73 : 가이드공 74 : 체결프렌지
75 : 스톱퍼돌기 76 : 체결너트
77 : 대응너트 80 : 물분무청소장치
82 : 분사노즐 83 : 분사펌프
84 : 근접센서 85 : 통과감지센서
86 : 물분무청소제어부

Claims (2)

  1. 원형의 침전조(11) 내부의 외곽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웨어(12)가 형성된 수위턱(10);
    상기 수위턱(10)의 외부로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가 형성되고,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의 외곽으로 정수·하수의 드레인을 위해 형성된 침전조수로(20);
    원형의 침전조(11) 중심부에 형성된 로터샤프트(30)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 장형의 스크랩퍼(31)의 끝단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브러쉬부(40)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부(40)는 상기 웨어(12)와 라운드진 "ㄱ"자 단턱부(21)에 걸쳐 포개어 덮는 1단브러쉬(41)와, 상기 1단브러쉬(41)의 외부로 1단브러쉬(41)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침전조수로(20)에 수용되는 2단브러쉬(42), 및 상기 1단브러쉬(41)와 2단브러쉬(42)의 중심에 결합되는 지지축(43)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샤프트(30)의 하단에 고정된 슬러지수집기(50)가 회전되고, 로터샤프트(30)의 회전으로 스크랩퍼(31)의 끝단에 고정된 브러쉬부(40)가 침전조(11) 내에서 회전되면서 웨어(12), 단턱부(21), 침전조수로(20)가 청소되도록 구비되는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퍼(31)의 끝단에는 브러쉬부(4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7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43)은 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브러쉬부(40)를 지지하고 외주면에 스크류(7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70)에는 스크랩퍼(31) 끝단에 결합되는 체결프렌지(74)가 구비되어지되, 체결프렌지(74)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크랩퍼(31)의 끝단에 볼트(72)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중심부에 장형의 가이드공(7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43)의 스크류(71)에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너트(76)가 형성되고, 체결너트(76)의 일측면으로 상기 가이드공(73)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스톱퍼돌기(75)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76)에 대응하는 대응너트(77)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너트(76)가 체결된 지지축(43)이 체결너트(76)의 스톱퍼돌기(75)와 함께 상기 체결프렌지(74)의 가이드공(7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공(73)이 형성된 체결프렌지(74)를 중심으로 하여 체결너트(76)와 타측방향의 대응너트(77)의 체결력에 의하여 브러쉬부(40)가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1) 내에서 회전되는 브러쉬부(40)에 묻은 이물질이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하는 브러쉬청소장치(80)가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청소장치(80)는,
    상기 침전조(11) 내벽면에 형성된 브러쉬청소영역(81)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82);
    상기 분사노즐(82) 측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분사펌프(83);
    상기 브러쉬청소영역(81)에 브러쉬부(40)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84);
    상기 브러쉬부(40)가 브러쉬청소영역(81)으로부터 벗어남을 감지하기 위한 통과감지센서(85);
    상기 근접센서(84), 통과감지센서(85)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분사펌프(83)가 작동되도록 하는 물분무청소제어부(8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090073232A 2009-08-10 2009-08-10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2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32A KR100927122B1 (ko) 2009-08-10 2009-08-10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32A KR100927122B1 (ko) 2009-08-10 2009-08-10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122B1 true KR100927122B1 (ko) 2009-11-18

Family

ID=4160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32A KR100927122B1 (ko) 2009-08-10 2009-08-10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572B1 (ko) 2016-09-06 2017-03-09 이에스피 주식회사 침전조 세척장치
GB2560918A (en) * 2017-03-27 2018-10-03 Cde Global Ltd Portable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522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620102B1 (ko) 2005-04-25 2006-09-06 (주)송림워터테크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522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620102B1 (ko) 2005-04-25 2006-09-06 (주)송림워터테크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572B1 (ko) 2016-09-06 2017-03-09 이에스피 주식회사 침전조 세척장치
GB2560918A (en) * 2017-03-27 2018-10-03 Cde Global Ltd Portable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2956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729388B1 (ko) 나선형 침전가이드바를 갖는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20200031792A (ko) 하·폐수용 침전 탱크 부착형 여과기
KR100564250B1 (ko)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KR100927122B1 (ko)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0440204Y1 (ko) 침전지의 슬러지 고착방지용 분사장치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JP4724953B2 (ja) 凝集沈殿装置
JP2000153297A (ja) 汚泥濃縮処理装置
JP5372717B2 (ja) 凝集撹拌槽、汚泥処理システム及び汚泥処理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1532275B1 (ko) 슬러지 배출 저류조
KR101747813B1 (ko) 세척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모래놀이터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0626162B1 (ko)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KR101006745B1 (ko)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및 방법
KR200380931Y1 (ko)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CN205412422U (zh) 一种自动除渣清洗机
US20070012605A1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JP2007275860A (ja) フィルター清掃と浄水を同時に行う浄水方法と装置
CN210711192U (zh) 塑料清洗用水的循环处理装置
KR200179368Y1 (ko) 양어장용 수조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