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31Y1 -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31Y1
KR200380931Y1 KR20-2005-0000546U KR20050000546U KR200380931Y1 KR 200380931 Y1 KR200380931 Y1 KR 200380931Y1 KR 20050000546 U KR20050000546 U KR 20050000546U KR 200380931 Y1 KR200380931 Y1 KR 200380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ipe
raw water
circula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00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1a)에 침전된 슬러지가 물의 분사에 의해서 상기 슬러지 배출관(8)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사수단(9)과; 상기 분사수단(9)을 통하여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브리지(5)의 바닥판(5ab)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10)로 이루어진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펌프(10)에 의해서 공급한 물을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B)의 환형분사관(9ca)의 분사용 노즐(9cb)을 통하여 강력하게 분출하여 분사되는 물에 의해서 슬러지가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에 쌓여서 굳어지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슬러지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중앙부를 비롯하여 슬러지 수용부(1b)를 포함한 바닥면(1a)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가 쌓여서 굳어지지 않고 상기 슬러지 배출관(8)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슬러지 제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of round shape sludge gather in settling pond}
본 고안은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니, 이물질 등의 각종 슬러지가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바닥면에 침전되어서 쌓이면서 굳어지지 않도록 하여 슬러지가 잔류되지 않고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산업현장에서 유출되는 폐수 등의 원수(이하. 원수라고 함)의 처리과정은 상기 원수의 방류시 수질보전을 위해 그 배수로의 최종말단부에서 원수를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일반 가정 또는 산업현장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 내에 일정한 시간동안 저장하여 약품 처리하면 상기 원수에 섞인 불순물은 바닥으로 가라않게 되며 상기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전물인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상기 슬러지 이외의 상등수는 약품으로 처리되어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다.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의 바닥면으로 침전되는 슬러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수질을 급격하게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까지 발생시키게 되므로 슬러지배출구를 통하여 슬러지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를 해줌으로써 원수의 정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농축조인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원수공급부(2)와; 상기 원수공급부(2)의 후술하는 원수공급관(2c)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터케이지(3a)와, 상기 센터케이지(3a)에 결합되어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긁어서 이동시키는 스크레퍼(3c)로 구성되어 있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3)와; 상기 센터케이지(3a)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면서 원수가 측벽의 내주면에 부딪치면서 하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해주는 원통형상의 피드월(feed wall)(4)과; 상기 센터케이지(3a)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3a)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6)과; 보행통로용 브리지(5)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턴테이블(6)이 회전될 수 있도록 피니언(7a)이 축(7ba)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7b)가 구비된 구동모터(7c)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7)와; 상기 본체(1)의 후술하는 바닥면(1a)의 중앙부에 형성된 환형요부인 후술하는 슬러지수용부(1b)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배출관(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바닥면(1a)과,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에 슬러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환형요부인 슬러지 수용부(1b)와, 상기 바닥면(1a)의 위로 원수가 유입되어 수용되면서 내주면의 상측부에 환형상의 상등수 수용부(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원수공급부(2)는 상기 바닥면(1a)으로부터 그 하측에 매립 설치되면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관(2a)과, 상기 원수유입관(2a)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1a)의 가운데에 형성된 슬러지수용부(1b)로부터 그 내측부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하부를 매립하여 설치되는 수직단관(2b)과, 상기 수직단관(2b)의 상부가 하측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수유출공(2ca)들이 형성된 원수공급관(2c)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러지제거용 회전부(3)는 상기 원수공급관(2c)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터케이지(3a)와, 상기 센터케이지(3a)의 하부의 양측에 내측 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면서 와이어(3b)에 의해서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본체(1)의 바닥면(1a)에 가라앉은 슬러지를 회전하면서 긁어서 내측 중앙부의 슬러지수용부(1b)로 이동시키는 양측의 스크레퍼(3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드월(4)은 상기 센터케이지(3a)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상기 센터케이지(3a)의 대략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원수유입관(2a)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원수공급관(2c)의 상부의 원수유출공(2ca)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측벽의 내면에 부딪쳐서 안내되어 하측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내려가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측 및 하측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6)은 상기 센터케이지(3a)의 상측부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센터케이지(3a)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륜인 내치기어(6a) 및 외륜(6b)과, 상기 원수공급관(2c)의 상면부가 저부에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c)은 저부가 개방되어 있으면서 내부가 중공부인 중공 원통형상의 고정부(6ca)가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6ca)의 상면부가 상기 브리지(5)의 바닥부(5a)의 내측 바닥판(5aa)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6ca)의 하부의 외측에 상기 외륜(6b)을 안치시켜서 고정시키기 위한 외륜 고정편(6c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 공급관(2c)의 상면부가 상기 고정부(6ca)의 저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7)는 상기 슬러지제거용 회전부(3)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6)의 내치기어(6a)에 치합되는 피니언(7a)과, 상기 본체(1)의 중앙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브리지(5)의 내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피니언(7a)이 설치된 축(7ba)이 구비되어 있는 감속장치(7b)와; 상기 감속장치(7b)가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7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러지 배출관(8)은 상기 바닥면(1a)에 침전된 슬러지가 경사진 바닥부를 따라 가운데로 이동되어 수용되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환형요부인 슬러지수용부(1b)에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6)의 내치기어(6a)의 상면의 전, 후, 좌, 우측에 "ㄱ" 형상의 체결편(6e)이 체결볼트(11)로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 체결편(6e)과 상기 각 체결편(6e)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센터케이지(3a)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편(3a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1)로 각각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 스크레퍼(3c)는 센터케이지(3a)의 하부의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고, 와이어(3b)에 의해서 상기 스크레퍼(3c)가 센터케이지(3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 수용부(1b)내에서 회전하여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슬러지배출관(8)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배출용 돌부(3ca)가 상기 양측의 스크레퍼(3c)의 내측 단부의 저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5)는 내측 바닥판(5aa)이 외측 바닥판(5ab)에 얹혀진 상태에서 서로 H빔(5ac)과 함께 체결볼트(11)로 체결된 상태이며 필요시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C)의 양측 스크레퍼(3c)의 사이인 바닥면(1a)의 중앙부는 스크레퍼(3c)의 하단부가 접촉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서는 슬러지수용부(1b)로의 슬러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에 슬러지가 쌓여 굳어지면서 점차로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는 물론, 그 외측으로 계속해서 슬러지가 굳어지는 영역이 커지면서 슬러지 수용부(1b)와 슬러지 배출관(8)을 통하여 슬러지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슬러지가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바닥면에 침전되어서 쌓이면서 굳어지지 않도록 하여 슬러지가 잔류되지 않고 원활하게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도면중 종래의 도면인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편의상 종래의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함.)
본 고안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원수공급부(2)와; 상기 원수공급부(2)의 원수공급관(2c)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터케이지(3a)와, 상기 센터케이지(3a)에 결합되어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긁어서 이동시키는 스크레퍼(3c)로 구성되어 있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3)와; 상기 센터케이지(3a)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4)과; 상기 센터케이지(3a)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3a)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6)과; 브리지(5)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6)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7a)이 축(7ba)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7b)가 구비된 구동모터(7c)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7)와; 상기 본체(1)의 슬러지수용부(1b)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 배출관(8)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2c)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닥면(1a)에 침전된 슬러지가 물의 분사에 의해서 상기 슬러지 배출관(8)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사수단(9)과; 상기 분사수단(9)의 일측에 연결된 물 유출관(10a)과 물이 유입되도록 물 유입관(10b)이 각각 소정부위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수단(9)을 통하여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브리지(5)의 바닥판(5ab)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10)로 이루어진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러지응고방지겸 제거부(B)의 분사수단(9)은 상기 펌프(10)의 물 유출관(10a)의 일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9a)과, 상기 수직관(9a)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수평관(9b)과, 상기 수평관(9b)의 타단부가 내주면의 소정의 부위에 연결되어 있는 환형분사부(9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관(9a)은 상기 펌프(10)의 물 유출관(10a)의 일단부에 상단부인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내측 바닥판(5aa)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통공(5aa'), 상기 하우징(6c)의 고정부(6ca)의 상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6ca') 및 원수공급관(2c)의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2cb)을 삽입 관통한 후,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관(9b)은 원수공급관(2c)의 소정의 하측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수직관(9a)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단관(2b) 및 원수공급관(2c)의 하측 측벽부에 형성된 각 통공(2ba)(2cb)을 관통하여서 외부로 나온 후, 상기 환형분사부(9c)의 후술하는 환형분사관(9ca)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관(9b)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환형분사부(9c)는 저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용 통공(9ca')이 형성된 환형분사관(9ca)과; 상기 환형분사관(9ca)의 각 고정용 통공(9ca')에 상측부가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 설치되어 있는 노즐(9c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케이지(3a)와 원수공급관(2c) 사이의 공간부의 하단부에 상기 환형분사관(9ca)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9cb)은 통상적인 것으로서, 저부가 개방되고 상면의 중심부에 분사공(9cb''')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상협하광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분사관(9ca)의 각 고정용 통공(9ca')은 수직의 물 분사방향, 외측으로 30°의 물 분사방향, 수직의 물 분사방향, 내측으로 30°의 물 분사방향, 수직의 물 분사방향, 외측으로 30°의 물 분사방향과 같은 순서로 반복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저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각 고정용 통공(9ca')에 상기 각 노즐(9cb)의 설치 각도가 수직,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30°의 경사, 수직,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30°의 경사, 수직,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30°의 경사와 같은 순서로 반복되도록 상기 노즐(9cb)이 각각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노즐(9cb)의 물 분사방향을 반복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펌프(1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환형분사관(9ca)으로 들어온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노즐(9cb)을 통하여 분사되어야만 본체(1)의 중앙부 및 그 주위의 바닥면(1a)에 물이 골고루 분사되면서 슬러지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에 침전되고 있는 슬러지가 상기 환형분사관(9ca)의 저면부로부터 내측방향, 수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상기 각 노즐(9cb)을 통하여 물이 분사됨으로써 슬러지가 잔류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제거 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크레퍼(3c)의 저면 및 센터케이지(3a)의 저면은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바닥면(1a)에 닿지 않을 정도로 약간 떠 있는 상태로 상기 턴테이블(6)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턴테이블(6)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센터케이지(3a) 및 스크레퍼(3c)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10)의 물유입관(10b)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본체(1) 내에 있는 원수의 상등수층인 상층부내에 하단부가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물이 상기 물 유입관(10b)을 통하여 유입된 후, 상기 펌프(10)의 물 유출관(10a), 상기 분사수단(9)의 수직관(9a) 및 수평관(9b)과 상기 환형분사부(9c)의 각 노즐(9cb)의 분사공(9cb''')을 통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 유입관(10b)은 상기 브리지(5)의 측면에 접하여 있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물 유입관(10b)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체결편(10ba)의 체결공과 상기 브리지(5)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시켜서 체결볼트(11)을 각각 체결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끝단부가 상기 상등수 수용부(1c)의 부근의 하측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서 상기 상등수층 내에 잠겨져 있다.
상기 물 유입관(10b)의 끝단부를 상기 상등수 수용부(1c)의 부근에 위치시켜 놓는 이유는 상기 상등수 수용부(1c)의 부근의 물은 상기 상층부인 상등수층의 물 중에서도 가장 맑은 물이기 때문이다.
상기 노즐(9cb)은 통상적인 구조로서, 중심부에 분사공(9cb''')이 형성된 상면(9cb')과, 상협하광형상의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면(9c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공간부가 상협 하광형상이면서 하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측으로부터 분사공(9cb''')을 통하여 물이 개방된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리지(5)의 바닥부(5a)는 좌측부의 H빔(5ac) 및 우측부의 H빔(5ac)이 채널과 같은 연결대(5ad)로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좌, 우측부의 H빔(5ac)의 상면에 바닥판(5ab)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리지(5)의 바닥부(5a)의 상기 턴테이블(6)이 위치하고 있는 부위에는 상기 턴테이블(6)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좌, 우측부의 H빔(5ac)의 사이의 공간부가 넓게 형성되도록 소정의 짧은 길이의 H빔(5ac)들을 좌, 우측부에 대략 팔각형상이 되도록 서로 연결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c)의 고정부(6ca)의 상면과 상기 브리지(5)의 내측 바닥판(5aa), 상기 원수공급관(2c)의 상면부와 상기 고정부(6ca)의 저부에 형성된 플랜지, 상기 좌, 우측부의 H빔(5ac)의 상면과 상기 바닥판(5ab)은 서로 체결볼트(11)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노즐(9cb)과 상기 환형분사관(9ca)의 각 고정용 통공(9ca'), 상기 브리지(5)의 내측부에 형성된 짧은 길이의 좌, 우측 H빔(5ac)들은 서로 용접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a는 지지대, 5b는 난간, 6d는 내치기어(6a)와 외륜(6b)의 사이에 유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는 볼, 10'는 펌프(1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모터, 12는 엘보, 13은 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제거장치에 의해서 슬러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원수가 원수유입관(2a), 원수공급관(2c) 및 상기 원수공급관(2c)의 원수유출공(2ca)을 통하여 외부인 피드월(4)내로 유출되어 상기 피드월(4)의 내면에 부딪치면서 아래쪽으로 흐름방향을 바꾸어서 상기 본체(1)의 바닥면(1a)으로 떨어지게 되고 점점 원수의 수면이 상기 본체(1) 내의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소정의 위치에 도달되도록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내로 원수가 공급된 후, 상기 원수가 공급되어 있는 원형슬러지수집기(A)에서 적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슬러지가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바닥면(1a)에 침전되게 된다.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바닥면(1a)에 슬러지가 침전되기 시작할 때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상부의 브리지(5)의 내측부에 설치된 구동모터(7c)와 상기 구동모터(7c)에 구비된 감속장치(7b)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7)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센터케이지(3a) 및 스크레퍼(3c)를 회전시키게 되는 데, 각 연관부분들의 작동과정은 상기 구동모터(7c)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7c)에 연결 설치된 감속장치(7b)에서 감속되어 축(7ba)에 설치된 피니언(7a)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7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피니언(7a)이 내접되면서 턴테이블(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내치기어(6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6)의 내치기어(6a)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턴테이블(6)에 고정 설치된 센터케이지(3a)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센터케이지(3a)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상기 스크레퍼(3c)가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바닥면(1a)에 닿지 않을 정도의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바닥면(1a)을 긁어서 침전된 슬러지를 경사진 바닥면(1a)을 따라 중앙부로 이동되게 하여 수집함과 동시에 작동시킨 펌프(10)에 의해서 상기 펌프(10)의 물 유입관(10b)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펌프(10)의 물 유출관(10a)과 상기 분사수단(9)인 수직관(9a) 및 수평관(9b)을 통하여 상기 환형분사부(9c)의 환형분사관(9ca)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환형분사관(9ca)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각 노즐(9cb)의 분사공(9cb''')을 통하여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되는 수압에 의하여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에 있는 슬러지가 쌓여서 굳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레퍼(3c)가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바닥면에 근접되어서 닿지 않을 정도의 상태에서 슬러지가 부상되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긁어서 중앙부의 환형상의 슬러지 수용부(1b)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앙부의 환형상의 슬러지수용부(1b)에 수집된 슬러지가 회전하고 있는 상기 스크레퍼(3c)의 슬러지배출용 돌부(3ca)에 의해서 상기 슬러지 배출관(8)을 통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상기 스크레퍼(3c)가 회전되도록 센터케이지(3a)를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원형슬러지 수집기(A)에 원수를 유입시킴과 동시이건 동시가 아니건 간에 상관없이 임의대로 필요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6)을 작동시켜서 센터케이지(3a)를 회전시키면 된다.
상기 환형분사관(9ca)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서, 상기 스크레퍼(3c)를 회전 작동시키는 것과는 상관없이 필요시 임의의 시간에 물을 분사시키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펌프(10)에 의해서 공급한 물을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B)의 환형분사관(9ca)의 분사용 노즐(9cb)을 통하여 강력하게 분출하여 분사되는 물에 의해서 슬러지가 상기 바닥면(1a)의 중앙부에 쌓여서 굳어지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슬러지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A)의 중앙부를 비롯하여 슬러지 수용부(1b)를 포함한 바닥면(1a)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가 쌓여서 굳어지지 않고 상기 슬러지 배출관(8)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슬러지 제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개략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가 설치된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개략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가 설치된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2의 c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g부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슬러지응고방지겸 제거부가 설치된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구동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에서 발췌하여 나타낸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의 전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d부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의 일부를 저부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부 확대도,
도 13은 도 9의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의 일부 저면도,
도 14는 도 13의 f부의 확대도,
도 15는 본 고안의 환형분사부의 노즐의 사시도,
도 16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원수공급부
3 : 슬러지 제거용 회전부 4 : 피드월
5 : 브리지 6 : 턴테이블
7 : 구동부 7a : 피니언
7b : 감속장치 7c : 구동모터
8 : 슬러지 배출관 9 : 분사수단
9a : 수직부 9b : 수평부
9c : 환형분사부 10 : 펌프
A : 원형슬러지 수집기 B :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
C : 종래의 원형슬러지 수집기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의 원수공급관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터케이지와,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되어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스크레퍼로 구성되어 있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와;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과; 상기 센터케이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과; 브리지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슬러지수용부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가 물의 분사에 의해서 상기 슬러지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수단의 일측에 연결된 물 유출관과 물이 유입되도록 물 유입관이 각각 소정부위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수단을 통하여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브리지의 바닥판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로 이루어진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응고방지겸 제거부의 분사수단은 상기 펌프의 물 유출관의 일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타단부가 내주면의 소정의 부위에 연결되어 있는 환형분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은 상기 펌프의 물 유출관의 일단부에 상단부인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내측 바닥판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통공, 상기 하우징의 고정부의 상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 및 원수공급관의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을 삽입 관통한 후,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은 원수공급관의 소정의 하측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수직관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단관 및 원수공급관의 하측 측벽부에 형성된 각 통공을 관통하여서 외부로 나온 후, 상기 환형분사부의 환형분사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환형분사부는 저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용 통공이 형성된 환형분사관(9ca)과; 상기 환형분사관(9ca)의 각 고정용 통공에 상측부가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 설치되어 있는 노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케이지와 원수공급관 사이의 공간부의 하단부에 상기 환형분사관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분사관의 고정용 통공은 수직의 물 분사방향, 외측으로 30°의 물 분사방향, 수직의 물 분사방향, 내측으로 30°의 물 분사방향, 수직의 물분사방향, 외측으로 30°의 물 분사방향과 같은 순서로 반복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저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각 고정용 통공에 상기 각 노즐의 설치각도가 수직,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30°의 경사, 수직,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30°의 경사, 수직,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30°의 경사와 같은 순서로 반복되도록 각각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2005-0000546U 2005-01-07 2005-01-07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0380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46U KR200380931Y1 (ko) 2005-01-07 2005-01-07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46U KR200380931Y1 (ko) 2005-01-07 2005-01-07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31Y1 true KR200380931Y1 (ko) 2005-04-07

Family

ID=4368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46U KR200380931Y1 (ko) 2005-01-07 2005-01-07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62B1 (ko) 2006-05-12 2006-09-20 주식회사 건화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43944B1 (ko) * 2008-06-17 2010-02-26 비피씨 주식회사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KR101048649B1 (ko) * 2010-10-15 2011-07-19 (주)에스에스에코텍 슬러지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62B1 (ko) 2006-05-12 2006-09-20 주식회사 건화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43944B1 (ko) * 2008-06-17 2010-02-26 비피씨 주식회사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KR101048649B1 (ko) * 2010-10-15 2011-07-19 (주)에스에스에코텍 슬러지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5535B2 (ja) 水処理装置の上層洗浄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KR100729388B1 (ko) 나선형 침전가이드바를 갖는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JP2008126145A (ja) 沈砂池の集砂装置
KR100860290B1 (ko)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US4876010A (en) Waste treatment cleaner apparatus
KR200380931Y1 (ko)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CN111201073B (zh) 沉淀槽
JP2003284906A (ja) 濾過機及び濾過装置
KR200440204Y1 (ko) 침전지의 슬러지 고착방지용 분사장치
JP4724953B2 (ja) 凝集沈殿装置
JP6718034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
CN116726633A (zh) 一种化工设备的废气处理过滤装置
KR20220165696A (ko) 침전조의 지주 회전식 슬러지 배출장치
KR100626162B1 (ko)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CN1849171A (zh) 生垃圾处理装置及排水管洗涤装置
US20070012605A1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KR100927122B1 (ko)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747813B1 (ko) 세척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모래놀이터
KR100806543B1 (ko)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JP2004305902A (ja) 濾過機
KR200410472Y1 (ko)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JP2004202493A (ja) スカム除去装置
JP2007152287A (ja) スカムスキマー及び沈殿槽
CN201065343Y (zh) 化学除油器的清洗清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