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162B1 -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162B1
KR100626162B1 KR1020060042745A KR20060042745A KR100626162B1 KR 100626162 B1 KR100626162 B1 KR 100626162B1 KR 1020060042745 A KR1020060042745 A KR 1020060042745A KR 20060042745 A KR20060042745 A KR 20060042745A KR 100626162 B1 KR100626162 B1 KR 10062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aw water
center
scrap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102006004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진 바닥면이 형성되고 슬러지가 수용되도록 환형요부인 슬러지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관과 원수를 배출하는 원수배출관이 형성된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의 원수공급관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센터케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스크레퍼가 구성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와;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과; 상기 센터케이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과; 브리지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슬러지수용부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중심에서 내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슬러지수용부가 형성되고, 최외측에서 슬러지수용부 측으로는 내저외고의 내향결사면이 형성되고, 슬러지수용부에서 회전중심부 측으로는 내고외저의 외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의 스크레퍼는 내외측스크레퍼로 형성되어 내외향경사면의 슬러지를 중심측의 슬러지수용부로 긁어내려 바닥면 상에서 슬러지가 체류하는 시간이나 체류하는 거리를 보다 단축시킴으로써 바닥면 상에 슬러지가 잔류하여 굳는 것을 방지하는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경사진 바닥면의 중심측에 인접되게 형성된 슬러지수용부를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퍼에 의해 긁혀 모인 슬러지가 경사진 바닥면에서의 체류시간을 보다 단축시켜 슬러지배출관을 통한 슬러지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슬러지가 바닥면에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관리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바닥면, 내향경사면, 외향경사면, 내측스크레퍼, 외측스크레퍼

Description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of round shapesludge gather in settling pond}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의 요부확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인 슬러지배출용돌부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러지제거용 회전부 10 : 본체
11 : 바닥면 12 : 슬러지수용부
13 : 내향경사면 14 : 외향경사면
20 : 스크레퍼 21 : 내측스크레퍼
22 : 외측스크레퍼 23 : 센터케이지
24 : 슬러지배출용돌부 30 : 원수공급부
31 : 원수유입관 32 : 원수배출관
40 : 피드월 50 : 턴테이블
60 : 구동모터 70 : 브리지
80 : 슬러지배출관
본 발명은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경사진 바닥면의 중심측에 인접되게 형성된 슬러지수용부를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퍼에 의해 긁혀 모인 슬러지가 경사진 바닥면에서의 체류시간을 보다 단축시켜 슬러지배출관을 통한 슬러지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슬러지가 바닥면에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관리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산업현장에서 유출되는 폐수 등의 원수(이하. 원수라고 함)의 처리과정은 상기 원수의 방류시 수질보전을 위해 그 배수로의 최종말단부에서 원수를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일반 가정 또는 산업현장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 내에 일정한 시간동안 저장하여 약품 처리하면 상기 원수에 섞인 불순물은 바닥으로 가라않게 되며 상기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전물인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상기 슬러지 이외의 상등수는 약품으로 처리되어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다.
상기 원형슬러지수집기의 바닥면으로 침전되는 슬러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수질을 급격하게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까지 발생시키게 되므로 슬러지배출구를 통하여 슬러지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를 해줌으로써 원수의 정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농축조인 침전지의 원형슬러지수집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의 원수공급관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터케이지와,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되어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긁어서 이동시키는 스크레퍼로 구성되어 있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와;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면서 원수가 측벽의 내주면에 부딪치면서 하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해주는 원통형상의 피드월(feed wall)과; 상기 센터케이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과; 보행통로용 브리지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도록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후술하는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환형요부인 후술하는 슬러지수용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양측 스크레퍼의 사이인 바닥면의 중앙부는 스크레퍼의 하단부가 접촉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서는 슬러지수용부로의 슬러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 슬러지가 쌓여 굳어지면서 점차로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는 물론, 그 외측으로 계속해서 슬러지가 굳어지는 영역이 커지면서 슬러지 수용부와 슬러지 배출관을 통하여 슬러지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의 원수공급관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터케이지와,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되어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스크레퍼로 구성되어 있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와;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과; 상기 센터케이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과; 브리지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슬러지수용부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가 물의 분사에 의해서 상기 슬러지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수단의 일측에 연결된 물 유출관과 물이 유입되도록 물 유입관이 각각 소정부위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수단을 통하여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브리지의 바닥판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로 이루어진 슬러지 응고방지겸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가 2005년 4월 7일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931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스크레퍼가 회동되면서 중심측으로 경사진 바닥면의 슬러지를 회전중심측에 위치한 슬러지수용부 측으로 긁어 내려서 모인 슬러지를 슬러지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인바, 바닥면에서 중심측으로 올수록 더 많은 양의 슬러지가 모이게 집중되고, 중심측과 최외측에 물이 분사되더라도 결국은 슬러지수용부 인근의 바닥면에는 슬러지가 잔류되면서 슬러지가 점차적으로 쌓여 굳어지게 됨에 따라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슬러지수용부 근처의 바닥면에 발생된 굳은 슬러지를 제거해 주어야 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상승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경사진 바닥면의 중심측에 인접되게 형성된 슬러지수용부를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퍼에 의해 긁혀 모인 슬러지가 경사진 바닥면에서의 체류시간을 보다 단축시켜 슬러지배출관을 통한 슬러지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슬러지가 바닥면에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관리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진 바닥면이 형성되고 슬러지가 수용되도록 환형요부인 슬러지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관과 원수를 배출하는 원수배출관이 형성된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의 원수공급관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센터케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스크레퍼가 구성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와;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과; 상기 센터케이지가 회 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과; 브리지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슬러지수용부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중심에서 내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슬러지수용부가 형성되고, 최외측에서 슬러지수용부 측으로는 내저외고의 내향경사면이 형성되고, 슬러지수용부에서 회전중심부 측으로는 내고외저의 외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의 스크레퍼는 내외측스크레퍼로 형성되어 내외향경사면의 슬러지를 중심측의 슬러지수용부로 긁어내려 바닥면 상에서 슬러지가 체류하는 시간이나 체류하는 거리를 보다 단축시킴으로써 바닥면 상에 슬러지가 잔류하여 굳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의 요부확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슬러지 제거장치인 슬러지배출용돌부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바닥면(11) 상에서 슬러지가 체류하는 시간이나 체류하는 거리를 보다 단축시켜 바닥면(11) 상에 슬러지가 잔류하여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진 바닥면(11)이 형성되고 슬러지가 수용되도록 환형요부인 슬러지수용부(12)가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10)와, 본체(10) 내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관(31)과 원수를 배출하는 원수배출관(32)이 형성된 원수공급부와, 센터케이지(23)를 설치하고 센터케이지(23)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슬러지수용부(12)로 이동시키는 스크레퍼(20)로 구성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1)와, 센터케이지(23)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40)과, 센터케이지(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센터케이지(23)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턴테이블(50)과, 브리지(70)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설치되면서 턴테이블(5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60)와, 본체(10)의 슬러지수용부(12)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배출관(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바닥면(11)은 중심에서 내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슬러지수용부(12)가 형성되고, 최외측에서 슬러지수용부(12) 측으로는 내저외고의 내향경사면(13)이 형성되며, 슬러지수용부(12)에서 회전중심부 측으로는 내고외저의 외향경 사면(14)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1)의 스크레퍼(20)는 내향경사면(13)의 슬러지를 슬러지수용부(12)로 긁어 내리는 내측스크래퍼(21)가 형성되고, 외향경사면(14)의 슬러지를 슬러지수용부(12)로 긁어 내리는 외측스크래퍼(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같이, 내향경사면(13)의 내측스크래퍼(21)와 외향경사면(14)의 외측스크래퍼(22)는 그 방향이 반대로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내부에 원수공급부(30)의 원수유입관(31)과 원수배출관(32)을 통해 전처리과정을 거친 원수가 유입되면, 피드월(40)의 내면에 부딪히면서 아래쪽으로 흐름방향을 바꾸어서 바닥면(11)에 떨어지고, 이에 일정높이로 원수가 공급된 후, 적정시간이 경과되면, 슬러지가 바닥면(11)에 침전되게 된다.
바닥면(11)에 슬러지가 침전되기 시작할 때, 브리지(70) 내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0)를 구동시켜 그 구동력에 의해 센터케이지(23) 및 스크레퍼(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60)를 작동시키면 감속장치에서 감속되어 축에 설치된 피니언(도시않음)이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이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이 내접되면서 턴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치기어(도시않음)가 회전하며, 이에 의해 턴테이블(50)에 고정된 센터케이지(23)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센터케이지(23) 하단부에 고정설치된 스크레퍼(20)가 바닥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바닥면(11)을 긁어 침전된 슬러지를 경사진 내향경사면(13)과 외향경사면(14)을 따라 내측스크레퍼(21)와 외측스크레퍼(22)로 중앙에서 내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슬러지수용부(12)로 밀어 수집하게 된다. 스크레퍼(20) 하부에는 슬러지배출용돌부(24)가 슬러지수용부(12) 내측에 형성되어 슬러지수용부(12) 내측의 슬러지를 슬러지배출관(80)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경사진 바닥면의 중심측에 인접되게 형성된 슬러지수용부를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퍼에 의해 긁혀 모인 슬러지가 경사진 바닥면에서의 체류시간을 보다 단축시켜 슬러지배출관을 통한 슬러지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슬러지가 바닥면에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관리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진 바닥면이 형성되고 슬러지가 수용되도록 환형요부인 슬러지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관과 원수를 배출하는 원수배출관이 형성된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의 원수공급관으로부터 그 외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센터케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스크레퍼가 구성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와;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피드월과; 상기 센터케이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지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턴테이블과; 브리지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이 축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슬러지수용부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중심에서 내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슬러지수용부가 형성되고, 최외측에서 슬러지수용부 측으로는 내저외고의 내향경사면이 형성되고, 슬러지수용부에서 회전중심부 측으로는 내고외저의 외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슬러지제거용 회전부의 스크레퍼는 내외측스크레퍼로 형성되어 내외향경사면의 슬러지를 중심측의 슬러지수용부로 긁어내려 바닥면 상에서 슬러지가 체류하는 시간이나 체류하는 거리를 보다 단축시킴으로써 바닥면 상에 슬러지가 잔류하여 굳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060042745A 2006-05-12 2006-05-12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62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745A KR100626162B1 (ko) 2006-05-12 2006-05-12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745A KR100626162B1 (ko) 2006-05-12 2006-05-12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162B1 true KR100626162B1 (ko) 2006-09-20

Family

ID=3763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745A KR100626162B1 (ko) 2006-05-12 2006-05-12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80B1 (ko) 2007-07-03 2008-01-24 주식회사 청호엔텍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원형 침전지
KR101869474B1 (ko) 2018-03-22 2018-07-19 (주)가온텍 원형 침전조의 슬러지 침전을 위한 텔레스코픽 센터 월을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4893U (ko) 1979-09-14 1981-04-22
JPS63294932A (ja) 1987-05-27 1988-12-01 Niigata Eng Co Ltd スラリーの貯蔵装置
WO1999042409A1 (de) 1998-02-19 1999-08-26 Emschergenossenschaft Lippeverband Sedimentationsbecken mit runder form zum abscheiden von schlamm aus abwasser
KR19990081039A (ko) * 1998-04-24 1999-11-15 윤종용 이중 스크레이퍼 구조
KR200380931Y1 (ko) 2005-01-07 2005-04-07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4893U (ko) 1979-09-14 1981-04-22
JPS63294932A (ja) 1987-05-27 1988-12-01 Niigata Eng Co Ltd スラリーの貯蔵装置
WO1999042409A1 (de) 1998-02-19 1999-08-26 Emschergenossenschaft Lippeverband Sedimentationsbecken mit runder form zum abscheiden von schlamm aus abwasser
KR19990081039A (ko) * 1998-04-24 1999-11-15 윤종용 이중 스크레이퍼 구조
KR200380931Y1 (ko) 2005-01-07 2005-04-07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80B1 (ko) 2007-07-03 2008-01-24 주식회사 청호엔텍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원형 침전지
KR101869474B1 (ko) 2018-03-22 2018-07-19 (주)가온텍 원형 침전조의 슬러지 침전을 위한 텔레스코픽 센터 월을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023B1 (ko) 스컴 제거장치
KR100860290B1 (ko)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JP5192183B2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
KR100729388B1 (ko) 나선형 침전가이드바를 갖는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CN1128649C (zh) 凝聚沉淀装置
JP2008238025A (ja) 残コン処理装置及び残コン処理方法
CN105923971A (zh) 可调出水流量和污泥浓度的固液分离机构及其使用方法
KR20200031792A (ko) 하·폐수용 침전 탱크 부착형 여과기
KR100626162B1 (ko) 침전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CN117342744A (zh) 一种矿井水污染多级处理装置及使用方法
CN209393686U (zh) 一种降固含污水处理系统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1545538B1 (ko) 하이브리드형 상향류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시스템
KR200440204Y1 (ko) 침전지의 슬러지 고착방지용 분사장치
KR101229275B1 (ko)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CN107823923A (zh) 一种能够有效防止沉降物在池底堆积的辐流式沉淀池
JP6718034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
JP4724953B2 (ja) 凝集沈殿装置
KR102480107B1 (ko) 고효율 폐수처리 장치
KR20220165696A (ko) 침전조의 지주 회전식 슬러지 배출장치
KR200380931Y1 (ko) 침전지의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811013B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JP2012228634A (ja) 再生水製造装置
KR100927122B1 (ko) 침전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55615B1 (ko) 원형 침전지의 래빗홀 방지 및 슬러지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