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649B1 -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649B1
KR100260649B1 KR1019980018251A KR19980018251A KR100260649B1 KR 100260649 B1 KR100260649 B1 KR 100260649B1 KR 1019980018251 A KR1019980018251 A KR 1019980018251A KR 19980018251 A KR19980018251 A KR 19980018251A KR 100260649 B1 KR100260649 B1 KR 10026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oreign
chamber member
leaf
haita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022A (ko
Inventor
표종관
장윤선
Original Assignee
표종관
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종관, 장윤선 filed Critical 표종관
Priority to KR101998001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649B1/ko
Priority to JP1998003665U priority patent/JP3054753U/ja
Publication of KR1998004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해태엽체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해태엽체(200)가 해수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소정 용적의 내부공간(130)을 가지며 공급부(110)와 배출구(140)가 형성되는 챔버부재(100)와,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내부공간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420)를 가지는 회전자(400)와, 챔버부재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 상부에 설치되며 챔버부재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는 모자형상으로 되며 그 상부가 원호적으로 형성되어 배출구와 연통되는 길고 가느다란 홈(511)이 상면에 복수로 뚫린 이물질선별기(500)와, 이물질선별기의 각 홈에 일단이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물질분리기(600)와, 회전자와 이물질분리기를 회동시키는 모터부재(7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해태엽체의 세척력이 강화되고 불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맛과 빛깔이 좋은 품질이 향상된 해태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본 발명은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해태엽체의 채취과정 및 제조공정상에서 해태엽체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시킴으로써 해태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태의 제조공정은 바다로부터 해태엽체를 채집하여 육지의 저장조에 해수와 함께 저장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는 채취공정과, 채취된 해태엽체를 세척하며 해태엽체와 이물질을 분리하고 제거하는 이물질제거공정과,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엽체를 얇은 두께의 사각종이 모양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해태의 제조공정중 채취공정은 선박을 이용하여 진행하게 되는 데 선박으로부터 전달받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체의 회전날개 상부를 해태엽체가 매달린 그물망이 지나가도록 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으로 그물망에 매달린 해태엽체를 구동체의 하부에 마련된 수집통으로 채취하게 된다. 이러한 해태엽체의 채취과정에서 채취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그물망에 걸린 바다이물질(나무잎,스치로폴조각, 나무조각), 그리고 해태엽체에 부착된 이물질(김이 아닌 바다해초, 바다생물), 그물망으로부터 분리되는 로프, 나이론 끈 등이 동시에 채취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태엽체의 채취공정후에 이루어지는 이물질제거공정에서는 해태엽체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었고, 해태엽체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종래에는 작업자가 시각으로 판단하여 해태엽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손으로 직접 골라내는 수작업에 의존해 왔다.
특히, 해태엽체의 채취작업은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하게되므로 추운 날씨때문에 수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인하여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태엽체에 섞여있는 이물질이 기계적인 구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섬유질로 이루어진 해태엽체의 특성과 대량의 해태엽체를 단시간내에 처리하는 작업량으로 인하여 이물질 선별수단의 회전축부에 해태엽체가 감기는 현상을 일으키고 이는 회전축부의 회전을 방해하여 이물질선별작업이 중단되는 기계적 고장을 유발시킴으로써 생산성의 저하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해테엽체의 채집과 동시에 수거되는 이물질은 해태엽체보다 자중이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들이 있는 데, 이물질의 자중에 따른 선별이 기계적 장치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물질 제거 작업후 건조공정으로 공급되는 해태엽체에 이물질이 섞여 이동됨으로써 해태의 맛이 저하되고 빛깔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여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킴은 물론이고 위생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됨으로써 해태의 품질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채용함으로써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는 물론이고 이물질로 인한 기계적 고장을 방지하여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이물질 제거공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작업환경이 개선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킴과 동시에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해태엽체의 세척성이 향상됨으로써 위생상의 안전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넷째, 이물질 선별기 및 이물질 분리기를 채용함으로써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킴과 동시에 해태엽체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의 결합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기의 분리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선별기와 이물질제거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 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챔버(chamber)부재 200...해태엽체
300...이물질 400...회전자
500...이물질선별기 600...이물질제거기
700...모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해태엽체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해태엽체가 해수(海水)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소정 용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급부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챔버(chamber)부재와,
상기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내부공간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를 가지는 회전자와,
상기 챔버부재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 상부에 설치되며 챔버부재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는 모자형상으로 되며 그 상부가 원호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길고 가느다란 홈이 상면에 복수로 뚫린 이물질선별기와,
상기 이물질선별기의 각 홈에 일단이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물질분리기와,
상기 회전자와 상기 이물질 분리기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분리기는 상기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결합홈에 일단이 삽입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물질선별기의 홈에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거날과,
상기 제거날을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챔버부재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가 마련되어 챔버의 내부공간에 진공상태가 지속될 때 챔버부재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나타낸 도1 내지 도6를 참조하면, 소정의 교반장치(미도시)로부터 해태엽체(海苔葉體)가 공급되는 공급부(110)가 마련되며 소정 양의 해태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30)을 가지는 챔버부재(100)가 구비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부재는 상면을 개폐시키는 덮개(120)가 마련되어 있으며 덮개의 일단에는 챔버부재의 내부공간(130)을 진공시키는 진공밸브(12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챔버부재의 저면에는 절단기로 해태엽체를 공급시키는 배출구(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140)에 근접되는 위치에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밸브(15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챔버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일시 저장되는 해태엽체(200)를 유동시킴으로써 이물질(300)과 해태엽체(200)를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자(4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있으며, 각 회전자(400)는 회전축(410)과 회전날개(420)로 구성되어 있고, 챔버부재(100)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의 양단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커버(430)가 마련되어 이물질이나 해태엽체가 회전축의 단부에 감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을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도2a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모자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볼록면(510)에 복수의 가느다랗고 긴홈 (511)이 형성되는 이물질선별기(500)가 배출구(140)의 상방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배출구로 이물질등이 곧바로 흡입되는 것을 제지시키도록 작동된다.
즉,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선별기(500)에 복수로 형성된 가늘고 긴홈(511)이 챔버부재(1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챔버부재의 바닥에 가라앉는 이물질이 곧바로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이물질선별기(500)의 상측 챔버부재의 내부공간에는 회전축(610)이 챔버부재(10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물질제거기(60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이물질제거기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10)과 회전축에 결합되는 몸체(620)와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거날(630)과, 제거날을 몸체에 체결하는 커버부재(6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물질제거기(600)의 제거날(630)의 일단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선별기(500)의 가늘고 긴홈(511)에 각각 진자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데, 이 제거날(630)의 진자운동에 의해 이물질선별기(500)의 가늘고 긴홈(511)을 밀폐시키는 이물질(300)이나 해태엽체(200)를 제거시킴으로써 해태엽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400)와 이물질제거기(600)의 각 회전축(410,610)의 일단은 챔버부재(100)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자(400)의 회전축(410) 단부에는 풀리(411)가 결합되어 있고 이물질제거기(600)의 회전축(610)상에는 왕복로드(65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왕복로드(650)의 타단은 모터부재(700)의 풀리(710)상에 연결되고 회전자(400)의 풀리(411)는 밸트부재(720)에 의해 모터부재(700)의 풀리(710)와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모터부재(700)의 구동에 따라 모터부재의 풀리(710)가 회전됨으로써 각 회전자(400)는 회전운동을 하고 이물질제거기(600)는 왕복로드(650)에 의해 진자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해태엽체 및 해수가 챔버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소정량 공급되면 진공밸브(121)를 통해 챔버부재의 내부공간에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무수압 상태에 근접하게 되어 해수 및 해태엽체의 유동이 활발하게 된다.
한편, 챔버부재(100)의 측벽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160)를 더 마련하여서 챔버부재 내부의 진공 발생시 측벽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터부재(700)의 구동에 따라 회전자(400)의 회동에 의해 해수 및 해태엽체의 유동을 촉진시킴으로써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의 분리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세척작용이 진행되도록 작동된다.
이물질이 분리된 해태엽체는 이물질선별기(500)의 가늘고 긴홈(511)을 통과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은 이물질선별기(500)의 구멍 가장자리에 걸리고, 이물질 제거기의 진자운동에 의해 가늘고 긴홈(511)의 가장자리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시킴으로써 해태엽체만의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챔버부재의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된 해태엽체는 절단기(미도시)를 통과하여 건조기(미도시)에 공급됨으로써 소정 형태의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이물질 제거공정이 자동화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둘째, 이물질 제거율이 향상되어 위생상 안정성이 보장됨과 동시에 해태의 품질이 향상된다.
셋째, 원료분쇄기 및 건조기등으로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되어 기계적 고장유발 요인이 제거됨으로써 경제적 손실등으로인한 경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기계의 가동율이 증가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넷째, 이물질 선별기 및 이물질 분리기에 의해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킴과 동시에 해태엽체의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엽체가 해수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소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공급부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챔버부재와; 상기 해태엽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가느다란 홀을 뚫어 공급부와 배출구사이에 설치한 이물질 선별기와; 상기 이물질 선별기의 홀로 해태엽체만 유입되게 구동하는 제거날을 가진 이물질 분리기와, 상기 이물질 분리기를 구동시키는 모터 부재로 이루어진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기를 챔버부재의 바닥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챔버부재의 공간 상부에는 이물질 분리기를 설치하여 제거날의 선단이 이물질 선별기의 가느다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진자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이물질 분리기를 중심으로 챔버부재의 공간 양측으로 해수와 해태엽체를 유동시키는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자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분리기는 상기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결합홈에 일단이 삽입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물질선별기의 홈에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거날과,
    상기 제거날을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980018251A 1998-05-20 1998-05-20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KR10026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251A KR100260649B1 (ko) 1998-05-20 1998-05-20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JP1998003665U JP3054753U (ja) 1998-05-20 1998-05-27 海苔葉体の異物質除去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251A KR100260649B1 (ko) 1998-05-20 1998-05-20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22A KR19980043022A (ko) 1998-08-17
KR100260649B1 true KR100260649B1 (ko) 2000-07-01

Family

ID=1953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251A KR100260649B1 (ko) 1998-05-20 1998-05-20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54753U (ko)
KR (1) KR100260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47B1 (ko) * 2007-08-08 2009-04-17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84B1 (ko) * 2007-03-26 2009-04-01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797A (ko) * 1994-12-28 1996-07-18 김광석 해태원초의 이물질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797A (ko) * 1994-12-28 1996-07-18 김광석 해태원초의 이물질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47B1 (ko) * 2007-08-08 2009-04-17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54753U (ja) 1998-12-18
KR19980043022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5037A (zh) 一种土豆去皮清洗切丝装置
KR100807782B1 (ko) 탈피부재 및 이를 구비한 밤 외피 탈피장치
JP2002034538A (ja) 大蒜用皮剥き装置、およびそれを使った大蒜の皮剥き方法
KR101524814B1 (ko) 수하식 양식굴 껍질 절삭세척기
KR100260649B1 (ko)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KR200235133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CN210226851U (zh) 一种双孢菇快速除水装置
CN213307318U (zh) 一种节能碧根果去青皮机械
JP3065756U (ja) 海苔葉体の異物質除去装置
RU2542770C1 (ru) Выделитель семян из плодов арбузов
KR200249779Y1 (ko) 해태엽체의탈수장치
KR200213721Y1 (ko) 해태 원초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0198814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SU125452A1 (ru) Машина дл мыть и измельчени корнеплодов с ботвой
CN215837011U (zh) 一种拐枣脱梗机
KR200198815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207317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3907533U (zh) 一种芡实打捞用收集装置
CN207784159U (zh) 一种罗非鱼加工工作台
KR100522828B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0929539U (zh) 一种用于大棚蔬菜加工用清洗装置
CN214767373U (zh) 一种面粉加工用小麦清洗装置
CN216170600U (zh) 基于转动式的植物浆液分离设备
JPH10276730A (ja) 生海苔洗浄装置
KR100414940B1 (ko) 벌꿀 채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