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33Y1 -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33Y1
KR200235133Y1 KR2019980012899U KR19980012899U KR200235133Y1 KR 200235133 Y1 KR200235133 Y1 KR 200235133Y1 KR 2019980012899 U KR2019980012899 U KR 2019980012899U KR 19980012899 U KR19980012899 U KR 19980012899U KR 200235133 Y1 KR200235133 Y1 KR 20023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oreign
debris
leaf
haita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009U (ko
Inventor
윤 선 장
Original Assignee
윤 선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선 장 filed Critical 윤 선 장
Priority to KR2019980012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33Y1/ko

Links

Landscapes

  • Edible Seaweed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이물질선별기의 절개홈에 이물질이 잔류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해태엽체가 해수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급구(110)와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재(100)와, 배출구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해태엽체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선별기(300)와, 이물질선별기의 단부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부재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물질선별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이물질제거기(400)를 구비한다. 또한 이물질선별기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공(311)이 그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는 제1챔버부재(310)와 제1배출공과 각각 연통되는 제2배출공(331)이 그 하단부에 복수 형성되며 해태엽체가 통과되는 가느다란 절개홈(332)이 각 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제2챔버부재(330)와 제1,2배출공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제1,2챔버부재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부재(3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는 이물질등으로 인한 배출구의 막힘 현상이 방지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이물질제거기의 칼날 손상 및 기계적 고장이 방지되어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수명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본 고안은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선별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이물질선별기에 형성된 절개홈에 이물질이 잔류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해태의 제조공정은 바다로부터 해태엽체를 채집하여 육지의 저장조에 해수와 함께 저장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는 채취공정과, 채취된 해태엽체를 세척하며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이물질제거공정과,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해태엽체를 얇은 두께의 사각종이 모양으로 형성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해태의 제조공정중 채취공정은 선박에 장치된 채취기를 바다물에 떠있는 해태그물망 밑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그물망에 매달린 해태엽체가 채취기의 회전날개에 의해 절단되어 채취된다.
이러한 해태엽체의 채취작업은 채취기가 장착된 선박이 일정한 속도로 전진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그물망에 걸려있는 이물질(예컨데; 나뭇잎, 스치로폴조각, 나무조각등)이나 해태엽체에 부착된 이물질(예컨데; 김이 아닌 바다해초, 바다생물등)등이 함께 채취기에 의해 수집되며 또한 채취기의 회전날개가 그물망 밑으로 통과될 때 그물망의 일부가 손상되면서 절단되는 로프, 나이론끈 등이 해태엽체와 섞여서 수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태엽체의 채취공정후에 이루어지는 이물질제거공정에서는 해태엽체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반되었고, 이러한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공정이 종래에는 작업자가 시각으로 판단하여 해태엽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손으로 직접 골라내는 수작업에 의존해 왔다.
특히, 해태엽체의 채취작업은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하게되므로 추운 날씨 때문에 수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인하여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태엽체에 섞여있는 이물질이 기계적인 구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섬유질로 이루어진 해태엽체의 특성과 대량의 해태엽체를 단시간내에 처리하는 작업량으로 인하여 이물질 선별수단의 회전축부에 해태엽체가 감기는 현상을 일으키고 이는 회전축부의 회전을 방해하여 이물질선별작업이 중단되는 기계적 고장을 유발시킴으로써 생산성의 저하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해테엽체의 채집과 동시에 수거되는 이물질은 해태엽체보다 자중이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들이 있는 데, 이물질의 자중에 따른 선별이 기계적 장치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물질 제거 작업후 건조공정으로 공급되는 해태엽체에 이물질이 섞여 이동됨으로써 해태의 맛이 저하되고 빛깔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여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킴은 물론이고 위생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됨으로써 해태의 품질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제98-1825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를 출원하였는 바, 이는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는 물론이고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자에 의해 해수와 해태엽체의 교반작용이 진행되어 해태엽체의 세척성이 향상됨으로써 해태의 맛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물질 제거공정을 통해 해태엽체를 연속적으로 공급가능하게 됨으로써 해태의 제조공정을 자동화시키는 데서도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채용된 이물질선별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태엽체가 통과되는 가느다란 홈(11)이 이물질선별기(10)의 상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가느다란 홈의 양단부(12)에 이물질(30)이 잔류하게 되고, 잔류된 이물질이 축적되어 가느다란 홈(11)을 밀폐시킴으로써 해태엽체의 원활한 배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점이 있다.
또한 가느다란 홈(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자운동하는 이물질제거기(20)의 제거날(21)이 홈에 축적되는 이물질(30)에 의해 진로가 방해됨으로써 파손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이 요구되어 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이물질제거기의 칼날이 결합되는 제2챔버부재를 일정 길이로 복수 분할한 다음, 배출구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제1챔버부재의 상단부에 복수의 파이프부재를 이용하여 복수로 분할된 각각의 제2챔버부재 조각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시킴으로써, 복수 조각으로 분할된 제2챔버부재 사이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에 이물질제거기의 칼날이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물질이 절개홈에 잔류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작동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도2의 정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도2의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자의 요부 결합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제거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제거기와 이물질선별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부재 200...회전자
300...이물질선별기 310,330...제1,2챔버부재
320...파이프부재 400...이물질제거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해태엽체가 해수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재와, 배출구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해태엽체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선별기와, 이물질선별기의 단부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부재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물질선별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이물질제거기를 구비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선별기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공이 그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는 제1챔버부재와,
상기 제1배출공과 각각 연통되는 제2배출공이 그 하단부에 복수 형성되며 해태엽체가 통과되는 가느다란 절개홈이 각 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제2챔버부재와,
상기 제1,2배출공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2챔버부재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부재를 포함하여 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는 절개홈이 제2챔버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홈에 이물질제거기의 칼날이 관통되게 결합되어 진자운동 가능하도록 됨으로써 이물질이 절개홈에 잔류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본 고안에 따른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교반장치(미도시)로부터 해태엽체(海苔葉體)가 공급되는 공급구(110)가 마련되며 소정 양의 해태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30)을 가지는 하우징부재(100)가 구비되어 있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에는 상면을 개폐시키는 덮개(140)가 마련되어 있으며 덮개의 일단에는 하우징부재의 내부공간(130)을 진공시키는 진공밸브(14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의 저면에는 해태분쇄 공정으로 해태엽체를 공급시키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에 근접되는 위치에는 하우징부재의 내부공간에 축적된 이물질과 잔류 해수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밸브(15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일시 저장되는 해태엽체(160)를 유동시킴으로써 이물질(170)과 해태엽체(160)를 상호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자(2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있으며, 각 회전자(200)는 회전축(210)과 회전날개(220)로 구성되어 있고, 하우징부재(100)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10)의 양단부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커버(211)가 마련되어 이물질이나 해태엽체가 회전축(210)의 단부에 감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전자(2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도3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의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제1배출공(311)이 그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는 제1챔버부재(310)와, 제1배출공(311)과 각각 연통되는 제2배출공(331)이 그 하단부에 복수 형성되며 해태엽체가 통과되는 가느다란 절개홈(332)이 각 배출공(331) 사이에 형성되는 제2챔버부재(330)와, 제1,2배출공(311,331)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제1,2챔버부재(310,330)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부재(320)로 구성되는 이물질선별기(300)가 하우징부재(100)의 저면 배출구(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선별기(300)는 파이프부재(320)와 제1챔버부재(310)에 의해 제2챔버부재(330)가 하우징부재(1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절개홈(332)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이물질(170) 즉, 하우징부재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이물질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므로 소정 이상의 하중을 갖는 이물질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물질선별기(300)의 상측 하우징부재의 내부공간에는 회전축(410)이 하우징부재(10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물질제거기(40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이물질제거기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과 회전축에 결합되는 몸체(420)와 몸체의 결합홈(421)에 결합되는 복수의 칼날(430)과, 칼날을 몸체에 체결하는 커버부재(4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물질제거기(400)의 칼날(430)의 일단은 도4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선별기(300)가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가느다랗게 형성된 복수의 각 절개홈(332)에 각각 진자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데, 이 칼날(430)의 진자운동에 의해 이물질선별기(300)의 가느다란 절개홈(332)을 밀폐시키는 이물질(170)이나 해태엽체(160)를 제거시킴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은 바닥에 침전되거나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고 해태엽체는 배출구(12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200)와 이물질제거기(400)의 각 회축(210,410)의 일단은 하우징부재(100)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자(200)의 회전축(210) 단부에는 풀리(212)가 결합되어 있고 이물질제거기(400)의 회전축(410)상에는 왕복로드(411)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왕복로드(411)의 타단은 모터부재(500)의 풀리(510)상에 연결되고 회전자(200)의 풀리(212)는 밸트부재(213)에 의해 모터부재(500)의 풀리(510)와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모터부재(500)의 구동에 따라 각 회전자(200)는 회전운동을 하고 이물질제거기(400)는 왕복로드(411)에 의해 진자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는 공급구(110)로부터 공급되는 해태엽체 및 해수가 하우징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소정량 공급되면 진공밸브(141)를 통해 하우징부재의 내부공간에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무수압 상태에 근접하게 되어 해수 및 해태엽체의 유동이 활발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부재(100)의 내부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면 측벽의 변형 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부재(180)를 하우징부재(100)의 측벽에 마련하여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자(200)의 회동에 의해 해수 및 해태엽체의 유동이 촉진됨으로써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의 분리가 촉진됨과 동시에 세척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작동되어 해태엽체의 세척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물질이 분리된 해태엽체는 이물질선별기(300)의 가느다란 절개홈(322)을 통과하여 배출구(120)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이물질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332)의 양단부에 걸려서 잔류되고, 잔류된 이물질은 이물질제거기의 칼날(430)에 의해 제거되어 하우징부재(100)의 바닥에 침전되거나 수면위로 떠오르게 된다.
한편,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수면위에 떠있는 이물질등은 작업종료 후 하우징부재(100)의 내부공간 청소시에 배출밸브(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하우징부재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된 해태엽체는 해태엽체의 분쇄공정을 거쳐서 건조기(미도시)에 공급됨으로써 소정의 제품이 완성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복수의 제2배출공(331)이 형성되며 각 제2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322)에 이물질제거기의 칼날(430)이 관통되게 결합되어 진자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절개홈에 이물질의 잔류가 방지되고 해태엽체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되어 해태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잔류 이물질의 원활한 제거로 인하여 이물질제거기(400)의 칼날(430)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킴은 물론이고 기계적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해태엽체가 해수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재와, 배출구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해태엽체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선별기와, 이물질선별기의 단부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부재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물질선별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이물질제거기를 구비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선별기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공이 그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는 제1챔버부재와,
    상기 제1배출공과 각각 연통되는 제2배출공이 그 하단부에 복수 형성되며 해태엽체가 통과되는 가느다란 절개홈이 각 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제2챔버부재와,
    상기 제1,2배출공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2챔버부재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19980012899U 1998-07-13 1998-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235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899U KR200235133Y1 (ko) 1998-07-13 1998-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899U KR200235133Y1 (ko) 1998-07-13 1998-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009U KR19990033009U (ko) 1999-08-05
KR200235133Y1 true KR200235133Y1 (ko) 2001-11-16

Family

ID=695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899U KR200235133Y1 (ko) 1998-07-13 1998-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896A (ko) * 2001-02-14 2002-08-21 우석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009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80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a fibrous material with a disc filter
US9238188B2 (en) Disc filter
EP0549092A1 (en) Rotary drum filter
CN209531046U (zh) 一种水葫芦破碎船
JPH11207091A (ja) 洗濯機
US4223688A (en) Bean sprout harvester
KR200235133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US4196019A (en) Washing apparatus for buoyant material
KR100260649B1 (ko)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US4225427A (en) Sorting apparatus for a stock suspension obtained from waste paper
JP3065756U (ja) 海苔葉体の異物質除去装置
CN210226851U (zh) 一种双孢菇快速除水装置
KR101110381B1 (ko) 벼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6937Y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N109832641B (zh) 一种滚筒式海带清洗机
KR200198814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CN207109777U (zh) 一种浅水湖泊蓝藻清理装置
KR200239493Y1 (ko) 해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98815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SU114468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ойки корнеплодов и отделени от них т желых примесей
KR101611551B1 (ko) 배추 시레기 선별장치
JPH10276730A (ja) 生海苔洗浄装置
KR200207317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DE2201143A1 (de) Vorrichtung zum Einsammeln schwimmender Fremdkoerper
CN114081196B (zh) 一种花生清洗分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