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317Y1 -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317Y1
KR200207317Y1 KR2020000020090U KR20000020090U KR200207317Y1 KR 200207317 Y1 KR200207317 Y1 KR 200207317Y1 KR 2020000020090 U KR2020000020090 U KR 2020000020090U KR 20000020090 U KR20000020090 U KR 20000020090U KR 200207317 Y1 KR200207317 Y1 KR 200207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seawater
sorter
foreign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선
Original Assignee
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선 filed Critical 장윤선
Priority to KR202000002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Landscapes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처리 해태엽체가 포함된 해수(3)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내부공간(5)을 형성하며 상기 해수가 공급되는 해수 투입구(7) 및 처리가 끝난 해수(3)를 빼내는 해수 배출구(9)를 구비한 내부 케이싱(11), 이물질 제거기(15)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미처리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솎아내고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만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상기 이물질 선별기(13),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케이싱(11)의 해수를 상기 이물질 선별기(13)로 유입시키하는 흡인펌프(14) 및,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해수(3)에 포함된 미처리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솎아내는 상기 이물질 제거기(15)를 포함하고 있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기(13)는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기(15)는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의 선별틈새(21)에 선별칼날(35)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에는 상기 흡인펌프(14)가 중공부(17)에 일시 수용된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배출하기 위해 토출관(18)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엽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이물질 선별기(13)를 회전시켜 고정된 이물질 제거기(15)와 상대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laver}
본 고안은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기의 틈새와 이 틈새를 출입하는 선별날과의 상대운동을 통해 해태엽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 선별기를 회전시켜 상대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선별 효율을 극대화시킨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태 즉, 김과 같은 양식 조류의 제조공정은 크게 채취공정, 이물질 제거공정, 절단공정, 건조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채취공정에서는 바다에서 해태엽체를 채집하여 육지의 저장조에 해수와 함께 저장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물질 제거공정에서는 채취된 해태엽체를 세척하며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단공정에서는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건조공정에서는 절단된 해태엽체를 얇은 두께의 사각 종이 모양으로 만들어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채취공정은 특히 선박에 장치된 채취기를 바다물에 떠있는 해태 그물망 밑으로 통과시키면서 채취기의 회전날개에 의해 그물망에 매달린 해태엽체를 절단함으로써 채취하게 된다. 그런데, 해태 채취작업에 있어서 채취기가 장착된 선박이 일정한 속도로 전진하기 때문에 예컨대, 나뭇잎, 나무조각, 쓰레기 조각 등 그물망에 걸려 있는 부유이물질이나 바다 해조류, 바다생물 등과 같은 부착이물질 들이 함께 채취기에 의해 수집되며, 채취기의 회전날개가 그물망 밑으로 통과함으로 인해 그물망 일부가 손상되면서 절단되어 그물 재질로 사용되는 로프 찌꺼기나 나이론 사 등이 해태엽체와 섞여 수집될 수밖에 없다.
채취된 해태엽체는 곧바로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 공정에서 주로 작업자의 수작업을 이용하여 왔다. 즉, 작업자가 육안으로 해태엽체를 일일이 확인하여 이물질을 손으로 직접 골라내는 작업을 필요로 했다. 특히, 채취작업이 주로 겨울철에 이루어지므로 추운 날씨 때문에 수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어려움이 있어 이물질 제거작업 자체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수작업 시에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챔버 내의 해수를 담고 이물질이 붙어 있는 해태엽체를 해수에 투입하고, 챔버 내에 있는 스크류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해태엽체만을 선별해내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장치는 섬유질로 이루어진 해태엽체의 특성 상 어쩔 수 없이 스크류축 둘레에 해태엽체가 감기게 되므로 특히, 단시간 내에 대량의 해태엽체를 선별해내야 하는 과부하 작업시 스크류축의 회전이 방해를 받아 제거 효율이 떨어지거나 심한 경우 기계 고장까지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이물질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 제대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친 해태엽체에 이물질이 잔류함으로써 해태의 맛이 저하되거나 정상적인 빛깔을 유지하지 못하는 등 위생 상으로나 가격 경쟁력 면에서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해태엽체 이물질 제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원인의 1998년 7월 13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12899호(일본 실원평11-5238호)에 개시된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를 통하여 해태에서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바있다.
이 장치(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 부재(103), 이물질 선별기(105), 이물질 제거기(107)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시 하우징 부재(103)에는 해태엽체가 부유하고 있는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109)과 이 내부공간(109)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투입관(111) 그리고 해수에서 선별된 해태를 빼내기 위한 배출구(113)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 부재(103)의 상면에 설치된 덮개(114)에는 내부공간(109)의 진공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진공밸브(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면 한쪽에는 잔류 해수와 이물질을 빼내기 위한 배출밸브(1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질이 섞여 있는 해태엽체에서 해태엽체만을 솎아내는 이물질 선별기(105)는 배출구(113)와 연통된 제1 챔버부재(119)와 해태엽체를 선별하기 위해 이물질 제거기(107)의 칼날(125)이 통과하도록 상단에 복수개의 절개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챔버부재(121) 그리고 제1 챔버부재(119)와 제2 챔버부재(121)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파이프부재(1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물질 선별기(105)의 절개홈(120)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회동하는 구조를 가진 이물질 제거기(107)는 하우징부재(103)의 벽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27)과 이 회전축(127)에 부착된 몸체(129)와 진자추 형태로 몸체(129) 하단에 장착된 칼날(125) 그리고 칼날(125)을 몸체(129)에 체결되도록 하는 커버(131)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하우징부재(103)의 좌우에는 복수개의 회전날개(133)와 이 회전날개(13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35)으로 형성된 회전자(132)가 이물질 선별기(105) 및 이물질 제거기(107)와 같은 방향으로 배열돼 설치되어 내부공간(109)에 담겨져 있는 해수의 유동을 촉진시킴으로써 해태엽체의 선별 효율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해태엽체 이물질 제거장치(101)에 의하면 회전자(132)를 이용해 공간(109) 내의 해수에 회전유동을 일으키면서, 이물질 선별기(105)의 제2 챔버부재(121)와 챔버부재(121)의 절개홈(120)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동하는 이물질 제거기(107) 칼날(125)의 상호작용에 의해 해수 내에 부유하는 해태엽체를 선별해냄과 동시에, 나머지 이물질 들은 하우징부재(103)의 바닥에 잔류시킴으로써 해태엽체에서의 이물질 제거 효율을 증대시켜 해태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고 또한 단시간 내에 대용량을 처리하는 과부하 상태에서도 원활한 작동이 유지되어 기계적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하고 경제적인 해태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해태엽체 이물질 제거장치(1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에서 해태엽체를 선별해내고, 선별된 해태엽체를 일차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이물질 선별기(105)의 제1 챔버부재(119)와 제2 챔버부재(121)가 연결되는 병목 형태의 파이프부재(123)들 사이의 공간(124)에 칼날(125)과 절개홈(120) 사이를 빠져나온 해태엽체나 이물질이 적체되어 칼날(125)에 엉겨붙음으로써 칼날(125)의 회동을 방해하거나 제2 챔버부재(121) 내에서의 유동 발생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이물질 제거효율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 챔버(121)가 고정되어 있고 가느다란 절개홈(120)만을 통해 내부공간(109)과 유통되므로 자체 내에서는 별다른 유동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챔버(121) 내에 축적되는 해태엽체가 고르게 섞이지 못 하게 되며, 선별된 해태엽체가 절개홈(120) 바로 안쪽에서 칼날(125)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기만 할 뿐 챔버(121) 전체로 분산되지 않고 정체되어 선별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 제거기(107)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잡한 벨트전동 및 링크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는 바, 동력원인 모터(137)에서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벨트 풀리(139)와 벨트(141)를 통해 각각의 회전자(132)로 전달하여 회전자(132)를 회전 구동시킴과 동시에, 풀리(139)의 아암부에 연결된 왕복로드(143)와 회전링크(145)를 통해 모터(137)의 회전력으로 이물질 제거기(107)의 진자운동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복잡한 전동 구조로 인해 고장 발생의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작동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한 만큼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므로 장치의 제작 과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등 경제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수로부터 해태엽체를 선별해냄과 동시에 선별되어진 해태엽체를 일차적으로 저장하게 되는 고정된 형태의 이물질 선별기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선별기 내부에서 회전에 의한 추가적인 유동을 발생시켜 해태엽체가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되며, 선별된 해태엽체의 입자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태엽체 선별을 위해 이물질 선별기와 이물질 제거기의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구동 매카니즘을 이물질 선별기가 회전 구동하는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회전 구동력 전동구조를 단순화하여 장치의 유지보수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켜 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것 뿐 아니라 장치의 제작공정 및 소요부품 등을 감소시켜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작동소음을 감소시키는 등 작업 편의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태엽체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거장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제거장치 측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부 케이싱의 정단면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이물질 선별기와 이물질 제거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물질 선별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대 장착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대 장착구조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물질 제거장치 3 : 해수
10 : 외부 케이스 11 : 내부 케이싱
13 : 이물질 선별기 14 : 흡인펌프
15 : 이물질 제거기 16 : 회전축
19 : 하우징부 21 : 선별틈새
31 : 링체 33 : 하우징 커버
35 : 선별칼날 37 : 칼대
39 : 슬릿 43 : 급수관
55 : 배출관 63 : 스프로킷 휠
65 : 체인 67 : 구동모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미처리 해태엽체가 포함된 해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해수가 공급되는 해수 투입구 및 처리가 끝난 해수를 빼내는 해수 배출구를 구비한 내부 케이싱, 이물질 제거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미처리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솎아내고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만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이물질 선별기, 이 이물질 선별기에 연결되어 내부 케이싱의 해수를 이물질 선별기로 유입시키하는 흡인펌프 및, 이물질 선별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해수에 포함된 미처리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솎아내는 이물질 제거기를 포함하고 있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이물질 선별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물질 제거기는 이물질 선별기의 선별틈새에 선별칼날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이물질 선별기에는 흡인펌프가 중공부에 일시 수용된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배출하기 위해 토출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해태엽체 이물질 제거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크게 외장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0)와 미처리된 해태엽체가 포함된 해수(3)를 내부공간(5)에 담아 처리하는 내부 케이싱(11), 제거 처리가 완료된 해태엽체를 수용하는 용기(20) 그리고 내부 케이싱(11)과 용기(20)를 외부와 연결하는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부 케이스(10)는 상면에 함입부(45)가 형성되어 함입부(45) 일측면에 연결된 급수관(43)을 통하여 내부 케이싱(11) 안에 미처리된 해태엽체를 포함하고 있는 해수(3)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함입부(45) 일측에는 개방부(47)가 형성되어 내부 케이싱(11) 내부에의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케이싱(11) 내부의 구조물에 대한 청소나 수리등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개방부(47)에는 또한 내부 투시창(49)이 설치된 덮개(51)가 개폐식으로 장착되어 장치(1) 작동 중에도 내부 케이싱(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방부(47) 아래쪽에 인접하여 부착 설치된 내부 케이싱(11)은 해수 투입구(7)를 통해 급수관(43)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닥면 한쪽에 형성된 함입부(53)의 중심에 형성된 해수 배출구(9)와 이 배출구(9)에 결합되는 배출관(55)을 통해 해태엽체 선별 처리가 완료된 해수(3)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 케이싱(11) 안쪽에 설치된 이물질 선별기(13)와 인접한 위치에서 선별기(13)에 결합된 해태엽체 토출관(18)이 뻗어 나와 흡인펌프(14)를 거쳐 용기(20)와 연결되어 펌프(14)의 흡인력에 의해 이물질 선별기(13) 내의 해태엽체를 해수(3)와 함께 용기(20)로 빼내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배관(18,43,55)들은 기밀성 및 설치 편리성 등을 감안하여 주름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배관 들의 입출구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밸브(57)가 채용될 수도 있다.
내부 케이싱(1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해내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즉 상호 작용에 의해 내부공간(5)에 담겨져 있는 해수(3)의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선별기(13)와 이물질 제거기(15) 그리고 해수(3)에 유동을 발생시켜 해수(3)에 포함된 해태엽체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해주는 회전자(12)가 동일 축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자(12)는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축(59)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세워진 복수개의 회전날개(61)에 의해 해수(3)에 유동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다.
회전자(12)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9)이 내부 케이싱(11) 외부로 돌출되어 스프로킷 휠(63)과 체인(65) 등을 이용한 전동수단에 의해 구동모터(67)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모터(67)는 체인(65)으로 연결된 스프로킷 휠(67)을 통해 이물질 선별기(13)의 회전축(16)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전원 측에 연결된 인버터(66)에 의해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부 케이싱(11) 하부에 설치된 이물질 선별기(13)와 이물질 제거기(15)는 도 6 및 도 7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선별기(13)의 선별 틈새(21)와 이 틈새(21)에 삽입되는 선별칼날(35)의 상대운동에 의해 내부공간(5)에 수용된 해수의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이물질 선별기(13)는 회전축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하우징부(19), 하우징부(19)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선별틈새(21) 그리고 하우징부(19)와 흡인펌프(14)를 연결시키는 토출관(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하우징부(19)는 내부에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중공부(17)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도 5에 평단면으로, 도 7에 입단면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링체(31)가 도 6와 같이 회전축(16) 둘레에 여러 개 중복되어 밀착 설치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링체(3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6) 둘레에 끼워지는 보스(25)와 보스(25)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만큼 간격이 유지되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리브(27) 그리고 이 리브(27)의 끝부분에 보스(25)와 동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링(29)으로 이루어진 바퀴 형태의 부재이다.
따라서, 링체(31)는 인접한 링체(31)와 서로 밀착됨으로써 중공부(17)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보스(25)의 축방향 폭이 링(29) 부위의 폭보다 약간 두껍게 설정됨으로써 링체(31)를 상호간에 밀착시켰을 때 선별칼날(35)이 삽입될 수 있는 선별틈새(2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밀착 상태로 중공부(17)를 형성하고 있는 링체(31) 조립체를 이용해 하우징부(19)를 구성하기 위해 조립체 양단에 위치하는 링체(31)에는 회전축(16)에 동축상으로 끼워지는 하우징 커버(33)가 결합되며, 한쪽 커버(33)의 축경부 하부면에는 토출관(18)이 결합되는 토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 커버(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지지 구조에 의해 내부 케이싱(11)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면서도 회전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16)은 레이디얼 베어링(69)에 의해 케이싱(11)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둘레 부분에 복수개의 링체(31)가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동하도록 끼워져 있다. 회전축(16)이 삽입되는 하우징 커버(33)의 축공(71)에는 축방향으로 안착턱(73)이 돌출되어 있으며, 안착턱(73)에는 회전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75)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부싱(75)의 끝면과 최외측 링체(31)의 보스(25) 사이에는 링체(31)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77)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물질 선별기(13)에 대해 상대운동을 일으켜 해태엽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기(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13)의 선별틈새(21) 안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선별칼날(35)과 이들 선별칼날(35)을 고정시키는 칼대(3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칼대(37)는 선별기(13)의 하우징부(19) 둘레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 커버(33)의 전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대(41)에 의해 하우징부(19) 위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41)는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결홈(79,81)과 가압 로드(83) 및 걸림 돌기(85)와 같은 착탈 가능한 장착수단에 의해 이물질 제거기(15)를 이물질 선별기(13) 둘레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 형태의 칼대(37)에는 선별틈새(21)와 일치하는 위치에 동일한 갯수로 복수개의 장착 슬릿(39)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장착 슬릿(39)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선별칼날(35)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슬릿(39)에 삽입된 상태에서 칼대(37)에 볼트 체결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에서 가압 로드(83)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와 같이 헤드를 가진 원통형 봉(87)과, 이 원통봉(87) 둘레에 끼워지는 압축 스프링(89), 이 스프링(89)을 앞뒤에서 안착시켜 주는 와셔(91,93)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스프링 와셔(91)는 지지대(41) 장착시 삽입되는 지지대(41)를 안내하도록 접시와셔 형태로 외주부분이 벌어져 있다. 그리고 걸림 돌기(85)는 지지대(41) 삽입 시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선단부분이 반구형으로 되어 있다. 가압 로드(83)의 원통봉(87) 둘레 부분에 끼워지는 절결홈(79)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ㄱ'자 형태로 굽어져 있으며, 걸림 돌기(85) 둘레 부분에 끼워지는 절결홈(81)은 절결홈(79)과 높이가 같은 '1'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절결홈(81)은 걸림돌기(85)보다 안쪽으로 좀 더 좁혀진 위치에 형성되어 최소 지지대(41) 삽입 시에는 걸림돌기(85)와 어긋나도록 되어 있으나 가압 로드(83)가 절결홈(79)의 옆으로 꺽인 부분에 삽입되는 순간 도 9에 도시된 정위치에 끼워맞춤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지대(41)는 일단 장착되고 나면 가압 로드(83)의 압착력과 걸림돌기(85)의 끼워맞춤 구조에 의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떨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1)에 의해 해태엽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 먼저 해태엽체를 담고 있는 해수를 외부 케이스(10)의 함입부(45)를 통해 내부 케이싱(11)에 공급한다. 해수 투입구(7)를 통해 내부 케이싱(11)에 해수(3)가 공급되면 구동모터(67)가 구동됨에 따라 체인(65)과 스프로킷 휠(63,67) 등의 전동기구를 통해 회전자(12)와 이물질 선별기(13)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12)는 케이싱(11)에 수용된 해수(3)에 유동을 일으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이물질 선별기(13)도 해태엽체에서 이물질 제거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9) 및 부싱(75)에 의해 케이싱(11)과 하우징 커버(33)에 축지지되어 있는 회전축(16)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6)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링체(31) 조립체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이때 흡입 펌프(14)의 동작에 의해 내부 케이싱(11)으로부터 하우징부(19)로 미처리된 해태엽체를 포함한 해수(3)가 유입되어 들어온다. 따라서 선별틈새(21)에 삽입된 채로 칼대(37)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기(15)의 선별 칼날(35)이 선별틈새(21) 사이를 상대운동하게 되므로 해수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만을 선별하여 하우징부(19) 중공부(17) 안으로 빼내 들인다. 이렇게 해서 중공부(17) 안으로 빨려 들어온 순수 해태엽체는 흡인펌프(14)의 흡인력에 의하여 토출관(18)을 통해 해수와 함께 용기(20)로 수용되며, 이를 최종적으로 건져냄으로써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이물질 선별기(13)의 회전력은 모터(67)에 연결된 인버터(66)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모터에 성능에 따라 고속회전이 가능한 한도내에서 대용량의 해태엽체를 단시간 내에 처리해낼 수 있으며, 예컨대 청(淸)김과 같이 거친 김은 고속으로, 참김이나 채취 작업시 첫번째 또는 두번째로 채취되는 초벌김과 같은 부드러운 김은 저속으로 처리하는 등, 해태의 종류에 따라 모터(67)를 무단변속시켜 회전속도를 적절히 설정해줄 수도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선별기(13) 내부의 해태엽체가 항상 회전을 하게 되므로 바닥에 적체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속도 감소로 인한 처리효율 저하를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되며,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의 입자들이 고르게 분산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균질의 해태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따르면, 선별 칼날을 구비한 이물질 제거기를 고정시키고 이 선별칼날이 삽입되는 선별 틈새를 갖는 이물질 선별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별 처리 중 선별기 내부를 항상 유동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처리 지연의 주 원인이었던 해태엽체의 적체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선별기를 회전통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선별 칼날이 끼워지는 선별 틈새가 걸림턱을 갖지 않도록 하여 처리 시 해태엽체가 구조물에 걸려 정체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 만큼 처리속도 및 처리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해태엽체에서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구동 모터로부터 체인과 스프로킷 휠 같은 간단한 전동기구에 의해 이물질 선별기 및 회전자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선별기와 제거기의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동력전달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작공정이나 소요부품 수 감소에 따라 제작 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유지보수가 편리해 수명 연장을 통한 경제성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미처리 해태엽체가 포함된 해수(3)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내부공간(5)을 형성하며 상기 해수가 공급되는 해수 투입구(7) 및 처리가 끝난 해수(3)를 빼내는 해수 배출구(9)를 구비한 내부 케이싱(11), 이물질 제거기(15)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미처리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솎아내고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만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상기 이물질 선별기(13),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케이싱(11)의 해수를 상기 이물질 선별기(13)로 유입시키하는 흡인펌프(14) 및,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해수(3)에 포함된 미처리 해태엽체로부터 이물질을 솎아내는 상기 이물질 제거기(15)를 포함하고 있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기(13)는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기(15)는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의 선별틈새(21)에 선별칼날(35)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13)에는 상기 흡인펌프(14)가 중공부(17)에 일시 수용된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배출하기 위해 토출관(18)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기(13)는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엽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중공부(17)를 형성하도록 상기 회전축(16) 둘레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9), 상기 이물질 제거기(15)의 상기 선별칼날(35)이 상기 중공부(17)까지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9)의 벽면 둘레에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선별틈새(21), 상기 하우징부(19)의 외벽에 관통되어 상기 토출관(18)을 통해 상기 중공부(17)와 상기 흡인펌프(14)를 연통시키는 토출구(2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 또는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9)는 상기 회전축(16)에 끼워지는 보스(25), 상기 보스(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리브(27), 상기 리브(27)의 끝단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틈새(21)만큼 상기 보스(25)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링(29)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링체(31)를 상기 회전축(16) 둘레에 밀착 배열하고, 상기 회전축(16)의 상기 링체(31) 조립체 양단에 상기 링체(31)와 동축상으로 하우징 커버(33)를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33)를 상기 케이싱(11) 내벽면에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기(15)는 상기 중공부(17)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선별틈새(21)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상기 선별칼날(35) 및 상기 복수의 선별칼날(35)을 장착슬릿(39)에 의해 일정한 위치로 유지 고정시키는 칼대(3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대(37)는 상기 커버(33) 전후방 면에 부착된 지지대(41)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9)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유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00020090U 2000-07-13 2000-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07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90U KR200207317Y1 (ko) 2000-07-13 2000-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90U KR200207317Y1 (ko) 2000-07-13 2000-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317Y1 true KR200207317Y1 (ko) 2000-12-15

Family

ID=1966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90U KR200207317Y1 (ko) 2000-07-13 2000-07-13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3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0514B1 (fr) Egrappoir linéaire à mouvements oscillants alternatifs
EP1002467B1 (fr) Machine destinee notamment a egrener les grains de raisin avant sa vinification
CN107485037A (zh) 一种土豆去皮清洗切丝装置
US5435917A (en) Rotary filter comprising a screen drum and internal screw member
FR2945913A1 (fr) Dispositif pour decortiquer des fruits a coques ou a enveloppes a double tambour
KR200207317Y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94292B1 (ko) 고압수를 이용한 구근류(감자/고구마/당근 등) 세척 및탈피장치
CN110946002A (zh) 联合收割机的脱粒方法及脱粒装置和应用
FR2530998A1 (fr) Procede et appareil d'ecorcage de copeaux de bois
CN108887703A (zh) 香菇清洗设备
KR20210136621A (ko)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CN210869808U (zh) 一种蔬菜脱水机
CN209749485U (zh) 一种鱼水分离装置
CN207589998U (zh) 一种螺狮去尾清洗装置
KR200200085Y1 (ko) 생콩 껍질 탈피장치
KR20110000427U (ko) 회전날개가 구비된 과실 선별 세척장치
CN112167653A (zh) 一种精清洗式的核桃青皮去皮设备
KR102675624B1 (ko) 매생이 건조블럭 제조장치
KR200371490Y1 (ko) 과실 선별 세척기
KR100694736B1 (ko) 탈곡 장치
KR200239493Y1 (ko) 해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22828B1 (ko)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5362831B (zh) 一种育种用辣椒籽无损取籽设备
FR2576187A1 (fr) Dispositif pour separer la vendange des corps etrangers qu'elle comporte
CN213466941U (zh) 一种葛粉的浆渣分离提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