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490Y1 - 과실 선별 세척기 - Google Patents

과실 선별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490Y1
KR200371490Y1 KR20-2004-0028622U KR20040028622U KR200371490Y1 KR 200371490 Y1 KR200371490 Y1 KR 200371490Y1 KR 20040028622 U KR20040028622 U KR 20040028622U KR 200371490 Y1 KR200371490 Y1 KR 200371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fruit
rotating shaft
hole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춘
Original Assignee
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춘 filed Critical 서영춘
Priority to KR20-2004-0028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5Apparatus comprising moving article - receiving openings, the size of which varies as they m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밤, 대추, 호두 등의 수확된 과실을 그 크기 별로 분류함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과실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실을 선별하는 선별통을 회전 시키는 회전축의 내부를 중공하고 이 회전축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분사공을 형성하여 선별통이 회전되어 과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과실의 표면에 묻어 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별통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의 둘레면에 보조배출부를 더 형성하여 특히, 꼭지를 갖는 밤과 같은 과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선별구멍을 통해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 과실 선별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모터의 구동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풀리가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 크기가 다른 선별구멍이 다수개 통공된 선별원통을 갖는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110)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111)와, 이 파이프의 일측단을 막는 막음판(112)과,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1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이 나사체결되고 중공된 내부를 갖으며 일측 내주연에는 베어링(141)이 끼워진 연결소켓(140)과; 상기 일측에 회전축이 나사체결된 연결소켓의 타측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측에 호스결합부(151)를 갖는 결합구(1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선별원통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의 둘레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배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실 선별 세척기{DEVICE FOR FRUIT SORTING AND WASHING}
본 고안은 밤, 대추, 호두등의 수확된 과실을 그 크기 별로 분류함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과실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실을 선별하는 선별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내부를 중공하고 이 회전축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분사공을 형성하여 선별통이 회전되어 과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과실의 표면에 묻어 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별통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의 둘레면에 보조배출부를 더 형성하여 특히, 꼭지를 갖는 밤과 같은 과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선별구멍을 통해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 과실 선별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과실선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선별구멍(1)들이 통공된 선별통(2)과, 이 선별통(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3)과 상기 회전축(3)의 일측에 결합된 풀리(4) 및 이 풀리(4)와 벨트(5)에 의해 연결된 구동모터의 구동축(6)과, 일측에 투입구(7a)가 형성되고 전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7b)를 갖는 하우징(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7a)측으로 밤 등과 같은 과실을 넣게 되면, 투입구(7a)를 통해 투입된 밤이 상기 선별통(2)으로 인입되고 이 선별통(2)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크기에 따라, 상기 선별통(2)의 선별구멍(1)을 통해 배출구(7b)를 통해 배출되어 선별됨으로써, 다량의 밤을 간편하게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선별통(2)에 인입된 밤이 크기에 따라 선별구멍(1)들을 통해 빠져 나가는 과정에서 밤의 꼭지 부분이 상기 선별구멍(1)에 걸리기 때문에, 밤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크기에 따라 밤 선별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실선별기는 별도의 세척수단이 부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별 후에 따로 세척을 하거나, 또는 선별 전에 과실의 세척을 미리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확된 과실의 처리공정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과실선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87410호인 "과실선별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그 원주벽면에 선별구멍이 형성된 선별원통과, 상기 선별원통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을 받는 다수의 받침판이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선별원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선별원통의 투입부쪽에 위치하는 몸체프레임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투입대로 구성되는 과실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원통의 선별구멍은 길이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선별원통의 일측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권취된 체인이 부착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선별원통의 체인에 치합되는 체인스프로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체인스프로킷이 회전됨에 따라 이 체인이 권취된 선별원통이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별원통의 내측에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세척관과 상기 세척관의 하단측에 세척브러쉬를 더 구비하여 선별원통에 의해 크기에 따라 선별되어 배출구를 따라 배출되는 과실이 세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과실을 일측 투입구측에 호두나 밤 또는 대추 등과 같은 과실을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과실이 상기 선별원통내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과실은 상기 선별원통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크기에 따라 상기 선별원통의 돌레부에 통공된 선별구멍의 각각 다른 크기를 통해 배출구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선별원통내에서 과실의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동안 상기 선별원통의 내부에 구비된 세척관 및 세척브러쉬에 의해 과실의 겉표면에 잔재하고 있는 이물질이 깨끗하게 세척되어 배출되도록 하여 선별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를 갖는 실용신안등록 제287410호인 "과실선별기"는, 과실이 선별원통내에서 그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원통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에 과실이 종종 끼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선별구멍이 막힘에 따라 과실이 선별원통의 선별구멍을 통해 배출구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과실이 선별원통의 선별구멍이 끼어짐에 따라 선별구멍이 막힐 경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선별원통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일일이 수 작업에 의해 선별구멍에 끼인 과실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그로 인해 선별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선별구멍에 끼인 과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자칫 잘못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종종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해 선별구멍에 끼인 과실을 제거하는 동안, 선별원통이 회전될 경우 2차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선별원통을 회전시키는 구성과, 선별되는 과실을 세척하는 구성이 각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과실선별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실이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선별원통의 둘레 외주면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의 둘레면에 보조배출부를 더 형성하여 과실이 끼이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선별원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작단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과실선별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과실 선별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과실 선별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개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실 선별 세척기의 구성요부인 회전축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선별 세척기의 구성요부인 회전축과 연결소켓 및 결합구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인 과실 선별 세척기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선별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회전축 111 : 파이프
112 : 막음판 113 : 분사공
120 : 선별구멍 121 : 보조배출부
130 : 선별원통 140 : 연결소켓
141 : 베어링 150 : 결합구
151 : 호스결합부 160 : 공급호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모터의 구동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풀리가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 크기가 다른 선별구멍이 다수개 통공된 선별원통을 갖는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와, 이 파이프의 일측단을 막는 막음판과,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이 나사체결되고 중공된 내부를 갖으며, 일측 내주연에는 베어링이 끼워진 연결소켓과; 상기 일측에 회전축이 나사체결된 연결소켓의 타측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측에 호스결합부를 갖는 결합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원통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의 둘레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배출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투입구를 통해 선별원통으로 투입된 밤 등과 같은 과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원통을 회전시키는 수단인 회전축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선별되는 과정을 통해 과실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세척됨이 가능하여 한번의 선별작업에 의해 선별과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선별된 과실이 배출되는 선별구멍의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배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예컨대, 밤과 같이 꼭지 부분이 있는 과실도 선별구멍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과실의 크기에 따른 선별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인 과실 선별 세척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과실 선별 세척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축(101)과 벨트(102)에 의해 연결된 풀리(103)가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 (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 크기가 다른 선별구멍(120)이 다수개 통공된 선별원통(130)을 갖는 과실선별기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111)와 이 파이프(111)의 일측단을 막는 막음판(112)과, 상기 파이프(111)의 둘레면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1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0)의 타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110)이 나사체결되고 중공된 내부를 갖으며 일측 내주연에는 베어링(141)이 끼워진 연결소켓(140)이 더 구비되고, 이 연결소켓(140)의 타측에는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측에 호스결합부(151)를 갖는 결합구(150)가 더 장착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원통(130)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120)의 둘레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배출부(121)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선별원통(130)이 회전되도록 한 다음, 상기 선별원통(130)의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 (104)를 통해 밤 등과 같은 과실을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과실은 선별원통(130)을 타고 회전되어 투입구(104)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선별원통(130)의 둘레면에 각각 크기가 다르게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120)을 통해 과실의 크기에 따라 선별원통(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과실이 회전되는 선별원통(130)의 내부에 투입되어 회전되어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원통(130)을 회전시키는 수단인 회전축(110)의 분사공(113)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어 선별원통(130)의 내부에 투입된 과실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세척되는 바, 상기 회전축(110)의 분사공(113)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됨이 가능한 이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110)이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111)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이 막음판(112)에 의해 막혀진 상기 회전축(110)의 타측에 나사체결된 연결소켓(140)과 이 연결소켓(140)의 일측에 일단이 내삽된 결합구(150)에 물이 공급되는 공급호스(160)가 끼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공급호스(16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회전축(110)을 구성하는 파이프(1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 파이프(111)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113)을 통해 밖으로 분사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회전되는 선별원통에 의해 과실이 크기에 따라 선별되는 과정에서 회전축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과실에 묻어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세척됨으로써, 선별과 세척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제작단가의 절감을 가져온다.
상기 회전축(11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결합구(150)에 끼워져 물이 공급되는 공급호스(160)는, 이 공급호스(160)가 끼워진 결합구(150)의 일단측이 결합된 상기 연결소켓(140)의 내측에 베어링(141)이 내삽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공급호스는,상기 회전축(110)의 회전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이 공급호스를 통해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됨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선별원통으로부터 선별된 과실이 배출되는 상기 선별구멍(120)의 둘레부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출부(121)들이 방사상으로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밤 등과 같이 꼭지가 있는 과실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크기에 따른 선별작업이 확실하게 이루어 진다.
상기 선별구멍(120)의 둘레부에 형성된 보조배출부(121)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과실 선별세척기에 의하면, 투입구를 통해 선별원통으로 투입된 밤 등과 같은 과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원통을 회전시키는 수단인 회전축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선별되는 과정을 통해 과실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세척됨이 가능하여 한번의 선별작업에 의해 선별과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선별된 과실이 배출되는 선별구멍의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배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예컨대, 밤과 같이 꼭지 부분이 있는 과실도 선별구멍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과실의 크기에 따른 선별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모터의 구동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풀리가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 크기가 다른 선별구멍이 다수개 통공된 선별원통을 갖는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0)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111)와, 이 파이프의 일측단을 막는 막음판(112)과,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통공된 분사공 (1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이 나사체결되고 중공된 내부를 갖으며 일측 내주연에는 베어링(141)이 끼워진 연결소켓(140)과;
    상기 일측에 회전축이 나사체결된 연결소켓의 타측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측에 호스결합부(151)를 갖는 결합구(1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선별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원통의 둘레면에 다수개 통공된 선별구멍의 둘레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배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선별세척기.
KR20-2004-0028622U 2004-10-08 2004-10-08 과실 선별 세척기 KR200371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22U KR200371490Y1 (ko) 2004-10-08 2004-10-08 과실 선별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22U KR200371490Y1 (ko) 2004-10-08 2004-10-08 과실 선별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490Y1 true KR200371490Y1 (ko) 2004-12-30

Family

ID=4944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22U KR200371490Y1 (ko) 2004-10-08 2004-10-08 과실 선별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4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60Y1 (ko) 2009-06-08 2011-05-30 서영춘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KR200453905Y1 (ko) 2009-06-08 2011-06-01 서영춘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KR101080701B1 (ko) 2008-11-21 2011-11-07 정명규 고속 채소류세척기
KR20220100400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701B1 (ko) 2008-11-21 2011-11-07 정명규 고속 채소류세척기
KR200453860Y1 (ko) 2009-06-08 2011-05-30 서영춘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KR200453905Y1 (ko) 2009-06-08 2011-06-01 서영춘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KR20220100400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450214B1 (ko) 2021-01-08 2022-10-0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860Y1 (ko)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CA1219709A (en) Cleaner assembly for air filters
EP2557382B1 (en) Self-cleaning centrifugal pellet dryer and method thereof
KR100928559B1 (ko) 분뇨와 축산폐수 및 하수 처리용 다단 스크린장치
KR101524170B1 (ko)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CN108407146B (zh) 一种塑料回收利用预处理系统
CN207505885U (zh) 一种萝卜去皮设备
KR200371490Y1 (ko) 과실 선별 세척기
KR20160088642A (ko) 고액 분리장치
CN214441253U (zh) 一种机械零部件无损伤清洗装置
KR200453905Y1 (ko)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KR200446633Y1 (ko) 스크린장치용 롤러브러쉬
CN211386039U (zh) 一种农产品初加工用清洗装置
KR20000016020U (ko) 은행 껍질 자동 탈피기
CN108720051B (zh) 多功能蔬菜清洗设备
CN217369218U (zh) 一种小米清洗烘干设备
KR20100006384U (ko) 과실 선별 세척장치
KR200394201Y1 (ko) 고추세척기
CN112871820B (zh) 滚筒式洗药机
CN210207532U (zh) 大豆分离蛋白预处理用除杂清洗装置
KR200446111Y1 (ko) 미세씨앗 및 가축털 제거용 스크린장치
KR100747730B1 (ko)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8807586U (zh) 一种农产品生产加工用薯类清洗装置
CN112120245A (zh) 蔬菜清洗机
KR20010037217A (ko) 세탁기의 실밥채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