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515B1 -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515B1
KR101896515B1 KR1020170100224A KR20170100224A KR101896515B1 KR 101896515 B1 KR101896515 B1 KR 101896515B1 KR 1020170100224 A KR1020170100224 A KR 1020170100224A KR 20170100224 A KR20170100224 A KR 20170100224A KR 101896515 B1 KR101896515 B1 KR 101896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ment
dust
receiving elemen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우
신인수
Original Assignee
(주)티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비엠 filed Critical (주)티비엠
Priority to KR102017010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출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 및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과 일체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광센서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에 관통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 슬릿을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차단부재가 돌출판이 출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관통 슬릿을 구비함으로써,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며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먼지가 붙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는 광센서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Device for detecting thickness including the dust blocking member}
본 발명은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sensor)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먼지로 인해 센서의 감별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를 이용하여 지폐 등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계수기는 지폐의 매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로서, 특히 일부 지폐계수기에는 지폐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두께 감지 장치를 구비한 경우가 있다. 이는 지폐의 위조 여부 판별, 지폐의 겹침 판별, 또는 지폐에 붙은 테이프의 감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461470호(이하, 등록특허 1)로 등록되어 있고, 또 다른 발명인 "두께 측정 장치"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229408호(이하, 등록특허 2)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40)과,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21)와 상기 발광소자(2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출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2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0)에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20), 및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30)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30)과 일체로 상기 하우징(4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등록특허 1은 지폐 등의 매체가 지나가면 그 두께만큼 돌출판(30)이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에서 위로 상승하게 되어, 발광소자(21)에서 수광소자(22)로 들어가는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함으로써 수광소자(22)로의 입사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광소자(22)가 발광소자(21)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위의 길이에 따라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2의 매체두께 감지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 롤러(R1)와, 상기 구동 롤러(R1)와 마주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 롤러(R1)와 함께 매체를 이송하며 상기 매체의 이송 시 상기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롤러(R2)와, 상기 보조 롤러(R2)가 장착되는 지지대(60)와,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21)와 상기 발광소자(21)에서 출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2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감지된 광의 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22)를 포함하는 광센서(20), 및 상기 보조 롤러(R2)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21)에서 출사되어 상기 수광소자(22)에 감지되는 광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롤러(R2)와 함께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등록특허 2는 매체가 상기 구동 롤러(R1)와 보조 롤러(R2) 사이를 지나가면서, 매체의 두께에 해당하는 보조 롤러(R2)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돌출판(30)이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발광소자(21)에서 발산되어 수광소자(22)에 감지되는 광의 가변되는 양에 따라 매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센서를 이용하여 지폐 등 매체의 두께를 감지함에 있어서, 상기 매체가 비교적 고속으로 이동되면서 상당한 양의 먼지가 발생하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상기 먼지가 붙어 광패스를 통과하는 광량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오작동을 유발하여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는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분해, 청소 및 재조립에 시간과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진타입의 광센서를 사용할 경우 상당한 비용을 들여야 하고, 비록 방진타입 센서의 경우 광센서 슬롯이 외부에 노출되지는 않더라도 슬롯을 덮고 있는 외부케이스에 먼지가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대비책이라고 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2460호(2014.08.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9117호(2012.03.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먼지로 인해 광센서의 감별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함께 수용하여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광센서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출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 및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과 일체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광센서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에 관통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 슬릿을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마주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 롤러와 함께 매체를 이송하며 상기 매체의 이송 시 상기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롤러; 상기 보조 롤러가 장착되는 지지대;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감지된 광의 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상기 보조 롤러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감지되는 광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롤러와 함께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을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광센서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에 관통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 슬릿을 출입할 수 있다.
상기 관통 슬릿은 상기 돌출판이 상기 제1 위치를 바라보는 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일측면에 발광소자 스톱월과 타측면에 수광소자 스톱월을 구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광소자 스톱월은, 상기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부재가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과 접촉되고, 상기 수광소자 스톱월은, 상기 수광소자가 설치되는 부재가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면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한쌍의 마주보는 면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구되는 발광소자 개구부와, 상기 수광소자가 설치되는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구되는 수광소자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판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어느 일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관통 슬릿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차단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은 탄성과 마찰력 있는 재질일 수 있고, 상기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지차단부재가 돌출판이 출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관통 슬릿을 구비함으로써,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며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먼지가 붙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는 광센서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먼지차단부재는 커버부, 발광소자 스톱월, 수광소자 스톱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먼지차단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과 마찰력 있는 재질로써, 광센서에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돌출판이 관통 슬릿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먼지차단부재가 장착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용 재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먼지차단부재는 발광소자 개구부와 수광소자 개구부를 포함함으로써, 먼지차단부재가 장착된 광센서가 고정 설치되기 위해 타 부품의 개방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타 부품의 내측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차단부재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먼지차단부재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관통 슬릿을 출입하는 돌출판이 기울지 않고 직선 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돌출판이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정도의 일관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정밀하게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먼지차단부재는 소형이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므로, 기존에 제작된 장치의 원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광센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검지장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등록특허 2의 두께 측정 장치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가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의 광센서에 장착되는 모습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가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의 광센서에 장착되는 모습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여러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여러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여러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가 장착되는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등록특허 2의 매체두께 감지장치(1)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가 장착되는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1)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상술된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와 등록특허 2의 "두께 측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광센서(20)를 포함한 매체두께 감지장치(1)에 적용될 수 있다.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 40)과, 광센서(20)와, 브라켓(bracket, 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하우징(40)의 하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매체의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된다.
광센서(20)는 하우징(40)에 고정 설치되고, 광을 출사(出射)하는 발광소자(21)와, 발광소자(2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출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22)를 포함한다.
브라켓(50)은 돌출판(30)을 포함하되, 돌출판(30)과 일체로 하우징(40)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돌출판(30)은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등록특허 1은 지폐 등의 매체가 지나가면 그 두께만큼 돌출판(30)이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에서 제1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발광소자(21)에서 수광소자(22)로 들어가는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함으로써 수광소자(22)로의 입사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광소자(22)가 발광소자(21)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위의 길이에 따라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등록특허 2의 매체두께 감지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R1)와, 보조 롤러(R2)와, 광센서(20)와, 지지대(60)와, 돌출판(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동 롤러(R1)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조 롤러(R2)는 구동 롤러(R1)와 마주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동 롤러(R1)와 함께 매체를 이송하며 매체의 이송 시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광센서(20)는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를 포함하고, 발광소자(21)는 광을 출사하고, 수광소자(22)는 발광소자(21)에서 출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발광소자(2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감지된 광의 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지지대(60)는 일단에 보조 롤러(R2)가 장착되고 타단에 돌출판(30)을 포함한다.
돌출판(30)은 보조 롤러(R2)의 이동 정도에 따라 발광소자(21)에서 출사되어 수광소자(22)에 감지되는 광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보조 롤러(R2)와 함께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등록특허 2는 매체가 상기 구동 롤러(R1)와 보조 롤러(R2) 사이를 지나가면서, 매체의 두께에 해당하는 보조 롤러(R2)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돌출판(30)이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발광소자(21)에서 발산되어 수광소자(22)에 감지되는 광의 가변되는 양에 따라 매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매체두께 감지장치(1)에 있어서,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를 함께 수용하여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광센서(20)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포함하는 여러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5 및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를 하부에서 관찰한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를 상부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는 커버부(200)와, 덮개부(100)와, 발광소자 개구부(400)와, 수광소자 개구부(500)와, 관통 슬릿(130)과, 가이드부(14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커버부(200)는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 사이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면을 형성하고,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 사이 개방된 공간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200)는 먼지차단부재(10)의 뼈대를 형성하며, 커버부(200)의 두께는 먼지차단부재(10)를 구성하는 면들 중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형상은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와 수광소재가 설치되는 부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커버부(200)는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와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를 감싸며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링(ring) 형상을 가진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커버부(200)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상의 사각링 형상을 가지고,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와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가 접촉되는 면에 후술하는 발광소자 개구부(400)와 수광소자 개구부(500)를 형성한다.
커버부(200)는 플랜지(flange)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부(300)는 커버부(200)의 적어도 어느 한쌍의 마주보는 면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차단부재(10)가 광센서(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돌출판(30)이 관통 슬릿(130)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먼지차단부재(10)가 장착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플랜지부(300)는 사각링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200)의 사면 중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 사이 개방된 공간과 접촉되고 마주보는 면들로부터 돌출판(3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광센서(20)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려 먼지차단부재(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플랜지부(300)는 사각링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200)의 사면 중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와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가 접촉되는 면들로부터 돌출판(3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플랜지부(300)에 접착, 결합 등 기타 타 부재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덮개부(100)는 커버부(200)와 연결되고,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와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가 돌출판(30)을 바라보는 면을 감싸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 사이 개방된 공간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덮개부(100)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삼면으로 구성되고, 커버부(200)의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 사이 개방된 공간을 감싸는 면들로부터 돌출판(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덮개부(100)는 커버부(200)가 돌출판(30)을 바라보는 면을 차단하는 평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덮개부(100)는 관통 슬릿(130)과, 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
관통 슬릿(130)은 돌출판(30)을 바라보는 면에 구비되고, 돌출판(30)이 제1 위치를 바라보는 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판(3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관통 슬릿(130)을 출입할 수 있고, 발광소자(21)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며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관통 슬릿(130)은, 덮개부(100)의 발광소자 스톱월(stop wall, 110)과 수광소자 스톱월(120)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판(30)이 관통 슬릿(130)에 간섭되지 않고 출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며, 돌출판(30)이 제1 위치를 바라보는 면의 형상인 사각형의 관통공을 형성한다.
가이드부(140)는 돌출판(3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어느 일방향을 바라보며 관통 슬릿(130)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 슬릿(130)을 출입하는 돌출판(30)이 기울지 않고 직선 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돌출판(30)이 발광소자(21)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정도의 일관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정밀하게 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의 가이드부(140)는 제1 위치를 바라보며 관통 슬릿(130)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100)는 일측면에 발광소자 스톱월(110)과 타측면에 수광소자 스톱월(120)을 구비할 수 있고, 발광소자 스톱월(110)은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가 돌출판(30)을 바라보는 면과 접촉되고, 수광소자 스톱월(120)은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가 돌출판(30)을 바라보는 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먼지차단부재(10)가 광센서(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발광소자 개구부(400)는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구되고, 수광소자 개구부(500)는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차단부재(10)가 장착된 광센서(20)가 고정 설치되기 위해 타 부품의 개방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타 부품의 내측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차단부재(1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가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의 광센서에 장착되는 모습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가 등록특허 1의 매체두께 감지장치의 광센서(20)에 장착되는 모습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먼지차단부재(10)는, 발광소자(21)가 설치되는 부재와 수광소자(22)가 설치되는 부재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발광소자 개구부(400)와 수광소자 개구부(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1의 광센서(20)에 먼지차단부재(10)를 장착한 후 하우징(4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40) 상부의 일부 개방된 공간으로 삽입하는 경우 먼지차단부재(10)가 하우징(40)의 내측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차단부재(10)의 재질은 탄성과 마찰력 있는 재질로써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따라서, 먼지차단부재(10)가 광센서(20)에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별도의 고정용 재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여러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매체두께 감지장치 10: 먼지차단부재
20: 광센서 21: 발광소자
22: 수광소자 30: 돌출판
40: 하우징 50: 브라켓
60: 지지대 R1: 구동 롤러
R2: 보조 롤러 100: 덮개부
110: 발광소자 스톱월 120: 수광소자 스톱월
130: 관통 슬릿 140: 가이드부
200: 커버부 300: 플랜지부
400: 발광소자 개구부 500: 수광소자 개구부

Claims (7)

  1.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출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 및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과 일체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광센서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에 관통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 슬릿을 출입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판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어느 일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관통 슬릿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차단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은 탄성과 마찰력 있는 재질인 매체두께 감지장치.
  2.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마주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 롤러와 함께 매체를 이송하며 상기 매체의 이송 시 상기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롤러;
    상기 보조 롤러가 장착되는 지지대;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감지된 광의 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상기 보조 롤러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사되어 상기 수광소자에 감지되는 광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롤러와 함께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출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판;을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광센서에 장착되는 먼지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에 관통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 슬릿을 출입하며,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판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어느 일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관통 슬릿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차단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은 탄성과 마찰력 있는 재질인 매체두께 감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릿은 상기 돌출판이 상기 제1 위치를 바라보는 면의 형상을 가지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일측면에 발광소자 스톱월과 타측면에 수광소자 스톱월을 구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광소자 스톱월은, 상기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부재가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과 접촉되고,
    상기 수광소자 스톱월은, 상기 수광소자가 설치되는 부재가 상기 돌출판을 바라보는 면과 접촉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차단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면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70100224A 2017-08-08 2017-08-08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KR101896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24A KR101896515B1 (ko) 2017-08-08 2017-08-08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24A KR101896515B1 (ko) 2017-08-08 2017-08-08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515B1 true KR101896515B1 (ko) 2018-09-10

Family

ID=6359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24A KR101896515B1 (ko) 2017-08-08 2017-08-08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0176A (zh) * 2022-08-18 2022-09-16 沧州市交通运输局 一种高速公路护栏高度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0429A (ja) * 1997-04-23 1998-11-13 Anritsu Corp 光学式寸法測定機
JP2008000165A (ja) * 2006-06-20 2008-01-10 Sensatec Co Ltd 照光式光インタラプタ
KR20120019117A (ko)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씨텍 두께 측정 장치
KR20140102460A (ko)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에스비엠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0429A (ja) * 1997-04-23 1998-11-13 Anritsu Corp 光学式寸法測定機
JP2008000165A (ja) * 2006-06-20 2008-01-10 Sensatec Co Ltd 照光式光インタラプタ
KR20120019117A (ko)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씨텍 두께 측정 장치
KR20140102460A (ko)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에스비엠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0176A (zh) * 2022-08-18 2022-09-16 沧州市交通运输局 一种高速公路护栏高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32880C2 (nl) Coriolis massa debietmeter.
CA2839001C (en) Checking unit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checking unit
TWI664398B (zh) Optical rotary encoder
KR101896515B1 (ko)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US20200209511A1 (en)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EP3114657B1 (en) Door and window sensors using ambient infrared radiation
WO2002099401A1 (fr) Detecteur de trou d'epingle
WO2016092947A1 (ja) 紙葉類鑑別装置
JP2010181267A (ja) エンコーダ
JP6096393B2 (ja) レンズ装置
JP2001183172A (ja) 位置又は角度検出装置
JP5792253B2 (ja) 導光路を有する透過型光学式エンコーダ
JP4572728B2 (ja) 放射線撮像装置
NL2012883B1 (nl) Samenstel van een verbruiksmeter en een sensorsamenstel.
JP2011134463A (ja) 検出センサ、および検出システム
CN110886044B (zh) 织造纬纱供给器中的纬纱反射型光学传感器
JP2006064673A (ja) 光学センサ装置
JPS63238419A (ja) 反射型光電センサ
JP2003323588A (ja) カード挿入検知機構
JP2776647B2 (ja) 物品有無検出装置
JP2001153606A (ja) フォトセンサ、移動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器、カメラ
JP2841612B2 (ja) 変位検出センサ
CN115225821A (zh) 摄像装置和电子设备
JP2012124424A (ja) フォトインタラプタおよび電子機器
JPH02249913A (ja) 光学式エンコ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