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460A -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 Google Patents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460A
KR20140102460A KR1020130015782A KR20130015782A KR20140102460A KR 20140102460 A KR20140102460 A KR 20140102460A KR 1020130015782 A KR1020130015782 A KR 1020130015782A KR 20130015782 A KR20130015782 A KR 20130015782A KR 20140102460 A KR20140102460 A KR 2014010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medium
protrusion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470B1 (ko
Inventor
백승길
신종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7472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0246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엠
Priority to KR102013001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4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지폐, 수표, 종이 등의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돌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 하우징과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 매체 이동경로 상에서 그 위로 매체가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고정롤러,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 내에 수용되어 고정롤러의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지롤러,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며, 돌출판이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포토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사이를 지나가는 매체의 두께에 따른 롤러의 이동량을 선회부재 또는 회전축 등의 변환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포토센서로 검지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Document thickness detector and bill cou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 수표, 종이 등의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지폐계수기, 지폐정사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과 같이 지폐, 수표, 종이 등의 매체를 처리하는 장치에서는, 매체의 위조 여부 판별, 매체의 겹침 판별, 또는 매체에 테이프 등이 붙여있는 테이프권 판별을 위하여 매체의 두께를 검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부터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6-0060758호에는 유동롤러와 구동롤러로 구성된 지폐인입부로 지폐가 투입되면 유동롤러가 지폐의 두께에 의해 위로 들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을 기준으로 작동판이 상승하고 회전축을 따라 광차단판이 움직여서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빛이 수광센서에 도달하는 광량에서 차이가 생기도록 하여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6-0119387호에는 투입된 지폐류와 접촉하여 그의 두께 변화에 의해 선회하는 선회부재의 선회각도에 따라 움직이는 선회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를 각 카운트마다 계수하여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 제1181434호에서는 지폐의 한쪽 면에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고 지폐의 반대쪽 면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기 위하여 지폐에 접촉되는 롤러의 수직 이동량을 검지하는 장치에서는 선회부재 또는 회전축 등을 사용하여 롤러의 수직 이동운동을 전기적인 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는 장치는 초음파 투과율이 다른 물질에 의해 오염된 지폐 등과 같이 지폐의 상태에 따라 초음파 투과율이 달라서 검지 오류가 발생하거나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 검지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두께 검지의 정확도를 담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순한 구성과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구성으로 정확한 매체 두께 검지가 가능한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돌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 하우징과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 매체 이동경로 상에서 그 위로 매체가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고정롤러,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 내에 수용되어 고정롤러의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지롤러,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며, 돌출판이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포토센서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브라켓의 돌출판은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고, 포토센서는 돌출판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우징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하우징의 측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검지롤러는 하우징의 가이드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이동축에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은 이동축에 얹어지도록 설치된다. 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이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하측이 개방된 반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는 검지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는 상기 먼지제거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먼지제거수단은 상기 돌기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의 하측에 탄성력을 갖도록 검지롤러쪽으로 꺾여져 형성된 이물질제거판을 포함한다. 브라켓의 먼지제거수단이 설치된 측면의 길이는 그 반대쪽 측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수단은 용수철로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의 상면 하측 또는 브라켓의 상면 상측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용수철을 끼우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에는 하나의 용수철이 끼워진다.
브라켓의 돌출판은 통과하는 매체가 한 장일 때와 두 장일 때의 포토센서의 수광소자에서 감지하는 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설치된다. 또한, 매체가 지나가지 않을 때와, 매체 한 장이 지나갈 때와, 매체 두 장이 지나갈 때의 포토센서의 수광소자에서 감지하는 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돌출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지폐계수기에서 지폐의 두께를 검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지폐이동경로 상에서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사이를 지나가는 매체의 두께에 따른 롤러의 이동량을 선회부재 또는 회전축 등의 변환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포토센서로 검지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도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변환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품 간의 편차에 따른 검지 오류 발생의 우려도 적다. 또한, 초음파 검지와는 달리 지폐에 묻은 잉크 등에 의한 검지 오류 발생의 우려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두께 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가 지폐계수기 등의 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고정롤러와 검지롤러 사이에 어떤 매체가 지나가는지에 따른 포토센서와 돌출판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매체가 롤러 사이를 지나가지 않을 때, (b)는 한 장의 매체가 롤러 사이를 지나갈 때, (c)는 두 장의 매체가 롤러 사이를 지나갈 때의 모습이다.
도 4는 지나가는 매체에 따라 수광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지폐계수기에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두께 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가 지폐계수기 등의 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100)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10),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하우징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20),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20) 내에 수용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지롤러(30), 검지롤러(3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이동축(40), 검지롤러(3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50), 하우징(10)과 브라켓(20)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10)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브라켓(2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60),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되는 포토센서(70), 그리고 매체 이동경로 상에서 검지롤러(30)와 함께 한 쌍의 롤러를 형성하여 그 사이로 매체가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고정롤러(8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된다. 하우징(10)은 하우징 고정홀(12, 13)에 나사 체결을 하여 기기 본체에 조립된다. 하우징(1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축(40)은 가이드홀(1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브라켓(20)의 양 측면에는 이동축(40)을 수용하기 위한 하측이 개방된 반원형 홀(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원형 홀(22)이 이동축(40)에 얹혀지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0)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포토센서(70)는 이 개방된 하우징(10)의 상부를 통해 발광소자(71)와 수광소자(72)가 위치한 교각부(73, 74)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된다. 포토센서(70)에는 고정홀(75, 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10)의 포토센서 고정홀(14, 15)에 나사 체결하여 포토센서(70)가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브라켓(20)의 상부에는 돌출판(21)이 구비되어 있어서, 돌출판(21)이 발광소자(71)와 수광소자(72)의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검지롤러(30)와 고정롤러(80) 사이로 매체(M)가 지나가면 그 두께만큼 검지롤러(30)가 위로 들어올려지며, 검지롤러(30)의 회전축인 이동축(40)도 함께 위로 상승한다. 이동축(40)이 상승하면 그 위에 얹혀져 있는 브라켓(20)도 그 두께만큼 위로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돌출판(21)도 발광소자(71)와 수광소자(72)의 사이에서 위로 상승하게 되어, 발광소자(71)에서 수광소자(72)로 들어가는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함으로써 수광소자(72)로의 입사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하우징(10)의 상면 하측 또는 브라켓(20)의 상면 상측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수단으로서의 용수철(60)을 끼우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돌기(23, 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 돌기에는 각각 용수철이 끼워져있다. 따라서, 매체(M)가 검지롤러(30)와 고정롤러(80)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용수철(6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20)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축(40)과 검지롤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브라켓(20)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는 검지롤러(3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먼지제거수단(50)은 삽입공(53)이 형성된 고정판(51)과, 고정판(51)의 하측에 검지롤러(30)쪽으로 꺾여져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이물질제거판(52)을 포함하며, 브라켓(20)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25)에 삽입공(53)이 삽입되어 먼지제거수단(50)이 브라켓(20)에 고정 설치된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브라켓(20)의 먼지제거수단(50)이 설치된 측면(26)의 길이는 그 반대쪽 측면(27)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지제거수단(50)을 브라켓(20)에 확실하게 고정하고 안정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판(51)의 상측에는 걸림홀(55)이 형성된 걸림판(5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홀(55) 안으로 돌기(23)가 삽입되도록 걸림판(54)을 브라켓(20)에 조립하면, 걸림판(54)과 돌기(23)에 의해 먼지제거수단(50)이 브라켓(20)에 탄성력 있게 고정된다. 먼지제거수단(50)은 금속 등과 같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20)의 돌출판(21)은, 통과하는 매체가 한 장일 때 수광소자(72)에서 감지하는 광량과, 통과하는 매체가 두 장일 때 수광소자(72)에서 감지하는 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설치된다. 또한, 매체가 지나가지 않을 때에 수광소자(72)에서 감지하는 광량도 통과하는 매체가 한 장일 때 수광소자(72)에서 감지하는 광량과 다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a)는 매체가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가지 않을 때의 포토센서(70)와 돌출판(21)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모습으로서, 수광소자(72)가 발광소자(71)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위의 길이가 X0이다. 도 3의 (b)는 한 장의 매체가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갈 때의 포토센서(70)와 돌출판(21)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모습으로서, 수광소자(72)가 발광소자(71)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위의 길이가 X1이며, 도 3의 (c)는 두 장의 매체가 겹쳐서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갈 때의 포토센서(70)와 돌출판(21)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모습으로서, 수광소자(72)가 발광소자(71)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위의 길이가 X2이다. 한 장의 매체에 의해서 검지롤러(30)가 들려지는 변이량은 두 장의 매체에 의해서 검지롤러(30)가 들려지는 변이량보다 작으므로, X0 > X1 > X2 가 된다. 따라서, 수광소자(72)가 발광소자(71)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위가 한 장의 매체가 지나갈 때가 두 장의 매체가 겹쳐서 지나갈 때보다 더 넓다.
도 4는 각각의 경우에 포토센서(7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로서, X0는 매체가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가지 않을 때, X1은 한 장의 매체가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갈 때, X2는 두 장의 매체가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갈 때의 검지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X는 매체에 테이프 등이 붙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매체 전체에 걸쳐서 두께가 일정한 것이 아니라 특정 부위(테이프가 붙어있는 곳)에서만 두께가 두꺼워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의 포토센서(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매체가 롤러(30, 80) 사이를 지나가지 않을 때의 신호값(X0)과 매체가 지나갈 때의 신호값과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매체가 2장 이상이 겹쳐서 지나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매체가 2장 이상이 겹쳐서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지폐계수기의 경우에는 지폐가 2장 이상이 겹쳐서 지나간다고 판단되면, 해당 지폐들을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지폐계수기, 지폐정사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과 같이 지폐, 수표, 종이 등의 매체를 처리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지폐계수기는 지폐를 투입하는 지폐 투입부와,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이송시키는 지폐 이송부와, 이송되는 다수의 지폐를 적어도 하나의 포켓으로 배출시키는 지폐 배출부, 이송되는 지폐의 두께를 감지하는 지폐두께 검지부 및 이송되는 지폐를 인식하기 위한 지폐인식부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를 포함하며, 지폐두께 검지부에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매체의 일부에 테이프 등이 붙어 있어서 검지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지폐이동경로 상에서 옆으로 나란히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지폐계수기에 본 발명의 매체두께 검지장치(100a, 100b) 두개가 나란히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돌출판(21)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2매 이상의 매체가 겹쳐서 지나갈 때에 이 구멍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2매 이상의 매체가 지나갈 때 가장 많은 광량이 수광소자에 입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포토센서를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하되 교각부가 맞은편 측면으로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가이드홀, 20 브라켓,
30 검지롤러, 40 이동축, 50 먼지제거수단,
60 탄성수단, 70 포토센서, 80 고정롤러.

Claims (15)

  1.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돌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
    상기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
    매체 이동경로 상에서 그 위로 매체가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고정롤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 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롤러의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지롤러,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판이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포토센서
    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돌출판은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토센서는 상기 돌출판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이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축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하측이 개방된 반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는 검지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는 상기 먼지제거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먼지제거수단은 상기 돌기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측에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검지롤러쪽으로 꺾여져 형성된 이물질제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먼지제거수단이 설치된 측면의 길이는 그 반대쪽 측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용수철이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측 또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 상측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용수철을 끼우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에는 하나의 용수철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돌출판은 통과하는 매체가 한 장일 때와 두 장일 때의 상기 포토센서의 수광소자에서 감지하는 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돌출판은 매체가 지나가지 않을 때와, 매체 한 장이 지나갈 때와, 매체 두 장이 지나갈 때의 상기 포토센서의 수광소자에서 감지하는 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두께 검지장치.
  11. 다수의 지폐를 투입하는 지폐 투입부와,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이송시키는 지폐 이송부와, 이송되는 다수의 지폐를 적어도 하나의 포켓으로 배출시키는 지폐 배출부, 이송되는 지폐의 두께를 감지하는 지폐두께 검지부 및 이송되는 지폐를 인식하기 위한 지폐인식부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두께 검지부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매체 이동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돌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브라켓,
    상기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
    매체 이동경로 상에서 그 위로 매체가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고정롤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 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롤러의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지롤러,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판이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포토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돌출판은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토센서는 상기 돌출판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이동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축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하측이 개방된 반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매체 이동방향의 일 측면에는 검지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돌출판은 통과하는 매체가 한 장일 때와 두 장일 때의 상기 포토센서의 수광소자에서 감지하는 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두께 검지장치는 지폐이동경로 상에서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KR1020130015782A 2013-02-14 2013-02-14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KR10146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782A KR101461470B1 (ko) 2013-02-14 2013-02-14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782A KR101461470B1 (ko) 2013-02-14 2013-02-14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60A true KR20140102460A (ko) 2014-08-22
KR101461470B1 KR101461470B1 (ko) 2014-11-13

Family

ID=517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782A KR101461470B1 (ko) 2013-02-14 2013-02-14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4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95A (ko) * 2014-10-22 2016-05-02 이종구 판상체의 두께 또는 폭 정밀연속측정장치
KR101896515B1 (ko) 2017-08-08 2018-09-10 (주)티비엠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KR101983301B1 (ko) 2018-07-25 2019-05-28 주식회사 메카트로 지폐 두께 검지 장치
CN114944032A (zh) * 2022-05-30 2022-08-26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现钞清点方法和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040B1 (ko) * 2014-12-08 2016-07-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엽류의 두께 검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849A (ja) * 2001-04-27 2002-11-08 Hitachi Ltd 紙葉類厚さ検知装置及び現金自動取扱装置
KR200399249Y1 (ko) * 2005-07-21 2005-10-20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위폐 감식 기능을 가진 지폐 계수 장치
KR101229408B1 (ko) * 2010-08-25 2013-02-15 주식회사 씨텍 두께 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95A (ko) * 2014-10-22 2016-05-02 이종구 판상체의 두께 또는 폭 정밀연속측정장치
KR101896515B1 (ko) 2017-08-08 2018-09-10 (주)티비엠 먼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두께 감지장치
KR101983301B1 (ko) 2018-07-25 2019-05-28 주식회사 메카트로 지폐 두께 검지 장치
CN114944032A (zh) * 2022-05-30 2022-08-26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现钞清点方法和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470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4242B1 (en) Paper-sheet- thickness detecting device
US8496246B2 (en) Thickness detector of paper
KR101461470B1 (ko) 매체두께 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US9592981B2 (en)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for sheet-type medium
WO2014044032A1 (zh) 一种薄片类介质厚度检测装置
JP5879287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紙幣判定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4585882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
EP3255618B1 (en) Thickness detection device for sheet medium
US863613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N101178307A (zh) 一种测厚机构
KR1009591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매검지장치
KR101229408B1 (ko) 두께 측정 장치
WO2014114057A1 (zh) 便于清除卡堵的厚度检测装置
CN106898080B (zh) 厚度检测装置及金融设备
KR101781202B1 (ko) 용지 두께 검지장치
KR100716068B1 (ko) 지폐인식모듈의 자성검출기구
KR101983301B1 (ko) 지폐 두께 검지 장치
KR101282561B1 (ko) 정전기 차단 구조의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지폐의 이매검지장치
KR20130044003A (ko) 매체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30014A (ko) 광학 지폐 계수 장치
KR20010077105A (ko) 화폐나 이들의 처리자료 자동인식 처리장치
JPH0743257B2 (ja) 紙葉類の判定装置
KR20100074709A (ko) 이매검지레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96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415

Effective date: 201710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