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991B1 -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991B1
KR101894991B1 KR1020160157976A KR20160157976A KR101894991B1 KR 101894991 B1 KR101894991 B1 KR 101894991B1 KR 1020160157976 A KR1020160157976 A KR 1020160157976A KR 20160157976 A KR20160157976 A KR 20160157976A KR 101894991 B1 KR101894991 B1 KR 10189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extract
mixing
audi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970A (ko
Inventor
송윤석
이승제
이양수
채수완
강성선
Original Assignee
부안군(관리부서: 부안군 농업기술센터)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안군(관리부서: 부안군 농업기술센터),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부안군(관리부서: 부안군 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6015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9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은 오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혈당 조절 및 혈행 개선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소재화 공정을 제공하며, 오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혈당 조절, 혈행 개선, 동맥 경화 등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Mulberry Extracts}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혈당 조절 및 혈행 개선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소재화 공정을 제공하는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는 오래전부터 식품으로서 섭취되었고, 한방에서는 오디를 상심자라 하며, 백발을 검게 하고, 소갈(消渴)을 덜어주며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탈모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디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는 안토시아닌 색소의(Anthocyanin) 한 형태인 Cyanidin-3-Glucoside(C3G) 단일물질로 존재한다. 이러한 C3G는 노화억제 및 항산화 기능을 하며, 고혈압 억제물질인 루틴(Rutin)을 포함하고 있다.
오디에는 혈당 저하 작용을 하는 1-Deoxynojirimycin(DNJ) 함량이 높아 혈당 강하 및 간염 바이러스의 억제 효과가 보고 되었다.
오디 씨에는 지방산 중 불포화 지방산이 87% 차지하고 리놀렌산의 함량이 높아 고지혈증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능의 식품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제품은 오디로부터 추출물을 단순히 오디즙 형태로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오디즙에 단순히 알코올을 첨가하여 숙성시키거나 단순히 오디즘에 물과 기타 감미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다른 음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풍미감과 감칠맛이 떨어져 그 수요가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혈당 조절 및 혈행 개선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소재화 공정을 제공하는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은,
추출기에 70% 주정을 35 리터를 넣고 50℃로 가열하는 단계;
일정량의 오디를 추출포에 넣고 추출기에 투입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1㎛ 여과막에서 여과시키는 단계;
감압농축기에서 60℃의 온도로 5배 부피가 감소하게 감압 농축하는 단계;
살균기에서 상기 농축된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80℃에서 30분간 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한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일정 조건의 진공 하에서 동결 건조하거나 일정 온도에서 분무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하에서 동결 건조하거나 일정 온도에서 분무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동결 건조 단계에 있어서는,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40℃, 60mTorr 이하의 진공 하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고,
상기 분무 건조 단계에 있어서는, 오디 추출물농축액 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오디 추출물농축액 내 고형분 함량 대비 말토덱스트린 함량을 1:9로 배합하여 240℃에서 분무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결 건조된 분말시료의 지표 성분 함량은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이 17.53 mg/g이고, Cyanidin-3-rutinoside(C3R) 함량이 14.78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무 건조된 분말시료의 지표 성분 함량은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이 2.77 mg/g이고, Cyanidin-3-rutinoside(C3R) 함량이 2.36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은,
냉동된 오디를 으깬 후, 오디 총 중량에 대하여 아황산염을 0.01 내지 0.02 중량 % 첨가하여 용해하는 오디 전처리 단계;
냉동된 인삼을 해동하여 분쇄하는 단계;
상기 인삼 분쇄물과 용해된 오디의 혼합물을 1 : 1 내지 3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추출기에 투입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와, 1㎛ 여과막에서 여과시키는 단계;
감압농축기에서 60℃의 온도로 5배 부피가 감소하게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살균기에서 추출물농축액을 80℃에서 30분간 살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살균한 추출물농축액을 -40℃, 60mTorr 이하의 진공 하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약리분말을 얻는 단계;
오미자를 건조 및 분쇄하여 오미자 분말의 증량제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약리분말과 오미자 분말의 혼합물을 환으로 뭉치거나, 약용캡슐 내에 캡슐레이션하거나 환으로 뭉친 후 그 외면에 약용피막을 입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압 농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감압 농축된 추출물농축액과 오미자 분말을 1: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설탕을 1: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산을 추출하고 일정 시간 1 내지 10회 섞어준 후 여과하는 단계; 및
살균기에서 상기 추출물농축액을 60 내지 70℃에서 30분간 중탕하여 살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오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혈당 조절, 혈행 개선, 동맥 경화 등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기능성 식품의 제품화를 구현하여 건강한 먹거리와 건강 지향적인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은 일정량의 오디를 추출 후 감압 농축하여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S100) 및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살균하고 일정 조건의 진공 하에서 동결 건조하거나 일정 온도에서 분무 건조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S100)는 추출기에 70% 주정을 35 리터를 넣고 50℃로 가열하는 단계(S102)와, 오디 3.5kg을 추출포에 넣고 추출기에 투입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S104)와, 1㎛ 여과막에서 여과시키는 단계(S104)와, 감압농축기에서 60℃의 온도로 5배 부피가 감소하게 감압 농축하는 단계(S106)와, 살균기에서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80℃에서 30분간 살균하는 단계(S10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진공 하에서 동결 건조하거나 일정 온도에서 분무 건조하는 단계(S110)는, 상기 동결 건조 단계에 있어서는, 오디 추출물농축액을 -40℃, 60mTorr 이하의 진공 하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고, 상기 분무 건조 단계에 있어서는, 오디 추출물농축액 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오디 추출물농축액 내 고형분을 함량 대비 말토덱스트린 함량을 1:9로 배합하여 240℃에서 분무 건조한다.
오디는 뽕나무 또는 산뽕나무의 열매이다. 오디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 시력 개선에 효과가 있고,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다. 오디는 포도당과 과당, 시트르산, 사과산, 타닌, 펙틴을 비롯하여 비타민(A, B1, B2, D), 칼슘, 철 등이 들어 있다. 특히, 오디는 강장제로 알려져 있으며 내장,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한다. 오디는 갈증을 해소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다. 오디는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불면증과 건망증에도 효과가 있다. 오디는 조혈작용이 있어서 류머티즘 치료에도 사용되며, 혈당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다.
오디는 항당뇨, 항산화, 항염증 및 항고지혈증 등의 여러 생리적 작용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스틸벤(Stilbenes), 프레닐플라보노이드(Prenylflavonoids), 쿠마린(Coumarin) 및 디옥시노이지리마이신(Deoxynoijirimycine), Cyanidin-3-glucoside(C3G), Cyanidin-3-rutinoside(C3R) 등의 등의 약리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항산화, 항간독성 및 항당뇨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 중 Cyanidin-3-glucoside(C3G), Cyanidin-3-rutinoside(C3R)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표준용액 조제
1)표준품(C3G, C3R)을 정밀히 취하여 증류수 10mL에 녹인다(Stock solution).
2) Stock solution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한다(Working solution).
(2) 시험용액 조제
1) 50mL 정용플라스크에 시료를 정밀히 취한 후 증류수로 용해 후 30분간 초음파추출을 한다.
2) 정용 후 0.45um PTFE Syringe fiter를 이용하여 여과 한 후 기기분석 한다.
(3) 분석조건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6115467117-pat00001
오디 추출액의 특성 분석은 pH 5.64이고, 색도 L value - 50.25 ± 0.01, a value - 51.76 ± 0.01, b value - 5.27 ± 0.02이다.
오디 추출물 농축액의 특성 분석은 농축액 수율이 추출액 대비 20%이고 pH 4.44, 당도 2.5° Brix이며, 색도 L value - 0.09 ± 0.01, a value - 0.05 ± 0.03, b value - 0.16 ± 0.01이다.
동결 건조 분말시료의 지표 성분 함량은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이 17.53 mg/g이고, Cyanidin-3-rutinoside(C3R) 함량이 14.78 mg/g이다.
또한 분무 건조 분말시료의 지표 성분 함량은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이 2.77 mg/g이고, Cyanidin-3-rutinoside(C3R) 함량이 2.36 mg/g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은 냉동된 오디를 으깬 후, 오디 총 중량에 대하여 아황산염을 0.01 내지 0.02 중량 % 첨가하여 용해하는 오디 전처리 단계(S200)와, 냉동된 인삼을 해동하여 분쇄물을 얻는 단계(S202)와, 인삼 분쇄물과 용해된 오디의 혼합물을 1 : 1 내지 3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S204)와, 추출기에 투입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S206)와, 1㎛ 여과막에서 여과시키는 단계(S206)와, 감압농축기에서 60℃의 온도로 5배 부피가 감소하게 감압 농축하는 단계(S208)와, 살균기에서 농축액을 80℃에서 30분간 살균시키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살균하는 단계(S210) 이후에, 농축액을 -40℃, 60mTorr 이하의 진공 하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약리분말을 얻는 단계와, 오미자를 건조 및 분쇄하여 오미자 분말의 증량제를 얻는 단계와, 상기 약리분말과 오미자 분말의 혼합물을 환으로 뭉치거나, 약용캡슐 내에 캡슐레이션하거나 환으로 뭉친 후 그 외면에 약용피막을 입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e Fructus)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잎은 어긋나고 난형(卵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끝은 급히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상에 다소 털이 있다. 꽃은 홍백색으로 6~7월에 피며 자웅이주이다. 과실은 식용으로 쓰이고 가지 끝에 이삭모양으로 늘어지며 8~9월에 붉게 익는다.
과실을 오미자(오매자), 북오미자(SchizandraeFructus)라고 한다. 표고 200~1,600m 지리산, 전북, 강원도가 주산지이며 충남, 충북을 제외한 전국에 야생하고, 지리적으로 일본, 사할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과실에는 시잔드롤(Schizandrol), 시잔드린(Schizandrin) A, B, C, 안질로일고미신(angeloylgomisin) O, P, 에피고미신 (epigomisin), 프레고모이신(pregomoisin), 데옥시시잔드린(Deoxyschizandrin) 등을 함유한다.
오미자는 오래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진해약, 해주독, 목마름, 수렴고삽, 익기생진, 보신염심 등의 약효를 가져 생약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이며, 오미자주의 원료로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감압 농축하는 단계(S208) 이후에, 감압 농축된 농축액과 오미자 분말을 1: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과 설탕을 1: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산을 추출하고 일정 시간 1 내지 10회 섞어준 후 여과하는 단계와, 60 내지 70℃에서 30분간 중탕하여 살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삼은 식품 분류학상 오가피의 인삼 속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금까지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 강하, 혈류 증가, 항산화 작용, 항노화 작용, 항암제 등의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디와 인삼의 혼합 비율에 따라 대략 일 대 일 비율로 혼합할 때 Cyanidin-3-glucoside(C3G), Cyanidin-3-rutinoside(C3R) 함량이 최대치를 나타낼 수 있어 혈당 강하용 기능성 식품이 될 수 있다.
오디는 온도 조건에 따라 높은 온도를 사용할 경우 C3G 성분의 파괴 및 변질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C3G 성분 특유의 붉은 색이 탁해질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C3G 소재 특유의 향도 사라져 품질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반면에 오디는 낮은 온도를 사용할 경우 C3G 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는 있으나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해 제품화하면 쉽게 부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은 건조 분쇄한 오디 분말과 오미자 분말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50 내지 60℃의 열수에 일정 시간 담궈 열수추출액인 오디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인삼 추출분말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인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인삼 용액을 100℃ 이상으로 일정 시간 끊이는 단계와, 끊인 인삼 용액의 온도를 80 내지 90℃로 낮추고, 온도를 낮춘 인삼 용액에 오디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혼합하여 8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와, 감압농축기에서 60℃의 온도로 5배 부피가 감소하게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감압 농축한 후, 일정 조건의 진공 하에서 동결 건조하거나 일정 온도에서 분무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 시간과 온도로 끊인 인삼 용액에 C3G 소재(오디, 오미자)를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충분한 살균과 C3G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감압 농축하기 전까지 80 내지 90℃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냉동된 오디를 으깬 후, 오디 총 중량에 대하여 아황산염을 0.01 내지 0.02 중량 % 첨가하여 용해하는 오디 전처리 단계;
    냉동된 인삼을 해동하여 분쇄하는 단계;
    상기 인삼 분쇄물과 용해된 오디의 혼합물을 1 : 2 내지 3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추출기에 투입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와, 1㎛ 여과막에서 여과시키는 단계;
    감압농축기에서 60℃의 온도로 5배 부피가 감소하게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살균기에서 추출물농축액을 80℃에서 30분간 살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농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감압 농축된 추출물농축액과 오미자 분말을 1: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설탕을 1: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산을 추출하고 일정 시간 1 내지 10회 섞어준 후 여과하는 단계; 및
    살균기에서 상기 추출물농축액을 60 내지 70℃에서 30분간 중탕하여 살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7976A 2016-11-25 2016-11-25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9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76A KR101894991B1 (ko) 2016-11-25 2016-11-25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76A KR101894991B1 (ko) 2016-11-25 2016-11-25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70A KR20180058970A (ko) 2018-06-04
KR101894991B1 true KR101894991B1 (ko) 2018-09-05

Family

ID=6262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76A KR101894991B1 (ko) 2016-11-25 2016-11-25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90A1 (ko) *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98A (ko) * 1995-06-21 1997-01-21 백운화 즉석 분말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5032B1 (ko) * 2002-04-09 2005-04-22 김선호 천연안토시아닌 염료의 제조방법
KR20130064850A (ko) * 2011-12-09 2013-06-19 한명진 오디홍삼음료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471922B1 (ko) * 2012-07-04 2014-12-16 최민창 한약재를 주재로 한 환의 제조방법
KR101549140B1 (ko) * 2013-11-18 2015-09-01 대한민국 오디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70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787B1 (ko) 가용성 한약재가 부합된 증자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5395B1 (ko) 한방녹육의 제조방법
KR100730647B1 (ko)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301339A (zh) 一种用于降脂降压的中草药复方
KR101834745B1 (ko)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20100116936A (ko)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KR101404286B1 (ko)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101060309B1 (ko) 대추 경옥고
KR101894991B1 (ko)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94994B1 (ko) 상엽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78413B1 (ko) 양파껍질과 한방재료를 이용한 건강혼합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1266B1 (ko)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376794B1 (ko) 백하수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517471A (ja) 抗ウイルス性の、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l.ベースの製剤および投与方法
CN105494814A (zh) 一种金银花青钱柳代用茶及其制备方法
CN108686012A (zh) 一种鸡内金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647074A (zh) 一种养胃、健胃、食积不消山楂山药猴头菌压片糖果的制备方法
KR101648211B1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RU2710261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свежих плодов боярышника мягковатого
KR101342240B1 (ko) 꾸지뽕 분말차 조성물
KR100775639B1 (ko) 국화 추출물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및 그 된장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