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745B1 -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745B1
KR101834745B1 KR1020160139013A KR20160139013A KR101834745B1 KR 101834745 B1 KR101834745 B1 KR 101834745B1 KR 1020160139013 A KR1020160139013 A KR 1020160139013A KR 20160139013 A KR20160139013 A KR 20160139013A KR 101834745 B1 KR101834745 B1 KR 10183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functional powder
rutin
rou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복
김선림
조유영
권해용
이광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3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으로는, 뽕잎에 에탄올 및 산을 넣고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진 액상은 버리고 남겨진 고형물에 에탄올을 넣고 다시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2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져 나온 추출액을 농축한 다음, 물을 넣고 용해하여 용해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용해물을 저온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잔사 고형물을 채취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잔사 고형물을 동결건조하여 루틴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분말을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루틴의 함량이 증진된 기능성 분말을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단순 식품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으므로 양잠농가 및 가공업체의 소득증대 및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powder comprising abundant rutin ingredient}
본 발명은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뽕잎을 이용하여 기능성 성분 중 루틴의 함량이 다량 함유되는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뽕나무(Morus alba L.)는 누에고치 생산에 필요한 식물일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약제로써 널리 사용되었으며, 뽕잎뿐만 아니라 뿌리, 어린가지, 잎의 흰 액즙 및 열매와 같은 부산물이 사용되고 뽕잎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뽕잎은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고지혈증, 항산화 및 중금속 제거 능력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고혈압, 콜레스테롤 저하 및 체지방 축적 억제에 효과가 있어 성인병 예방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고, 장관기능, 면역 및 항염증 활성 증가 등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뽕잎에는 일반적으로 수분, 탄수화물, 단백질, 스테로이드(steroids), 아미노산(amino acid) 및 비타민(vitamins) 등과 다량의 미네랄 성분이 존재하며, 그 중 주된 생리활성성분으로서 혈당강하성분인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mycin, 1-DNJ), 혈압강하성분인 GABA(γ-aminobutyric acid)와 항산화성분인 루틴(rutin)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페놀산(phenolic acids), 스틸벤(stilbene) 및 2-아릴벤조푸란(2-arylbenzofuran)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중 루틴(rutin)은 비타민 P 복합체인 동시에 퀘르세틴(quercetin)의 배당체(quercetin-3-O-rutinoside)으로 모세혈관 강화작용과 모세혈관 수축작용을 나타내어 순환계질환 치료제, 고혈압치료제 및 보조인자등의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현재에는 뽕나무의 품종별, 처리별 루틴(rutin), GABA 및 1-DNJ 함량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진행되었으나, 이러한 유용성분을 고농도로 추출하기 위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뽕잎은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어 추후 식품분야 뿐만 아니라 의약품 분야에서도 다양한 고부가성 제조방법 및 공정설계에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뽕잎 및 뽕잎 추출물의 유용성분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소재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식품소재를 위한 식물 추출방법에는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가열, 농축 등의 과정에서 파괴가 발생되거나 식품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용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식용으로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특정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5152호 (발명의 명칭 : 생리활성물질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뽕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출원인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일 : 2016년03월3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5138호(발명의 명칭 :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뽕잎의 생산방법, 출원인 : 농촌진흥청, 등록일 : 1998년07월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뽕잎을 이용하여 기능성 성분 중 루틴의 함량이 다량 함유되는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은, 뽕잎에 에탄올 및 산을 넣고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진 액상은 버리고 남겨진 고형물에 에탄올을 넣고 다시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2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져 나온 추출액을 농축한 다음, 물을 넣고 용해하여 용해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용해물을 1~10℃에서 20~30시간동안 저온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잔사 고형물을 채취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잔사 고형물을 동결건조하여 루틴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분말을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의 에탄올은 50~95%(v/v)의 에탄올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제1단계의 산은 0.1~1.0%(v/v)의 구연산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단계에 적용된 추출방법으로 환류냉각추출방식을 적용하되, 80~95℃에서 1~4시간동안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단계에 적용된 초음파추출방식을 적용하되, 60~70℃에서 1~2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의 원심분리는 4~8℃, 1000~2000g에서 10~30분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제5단계의 동결건조는 35~38℃에서 24~48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루틴의 함량은 1000~5000 mg/100g 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기능성 성분인 루틴(rutin)의 함량이 증진된 뽕잎추출물을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단순 식품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으므로 양잠농가 및 가공업체의 소득증대 및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틴성분이 자체 함유되어 있는 뽕잎을 대상으로 하되, 이 루틴 성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정 제조과정을 거침으로써, 루틴 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뽕잎을 먼저 에탄올과 산으로 이루어진 용매로 1차 추출한 뒤, 이를 식품에 적용가능하도록 에탄올로 다시 2차 추출함으로써, 단순 식품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하기, 본 발명의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1차 추출물 제조
먼저, 재료로 뽕잎을 준비한다.
뽕잎은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주요 생리활성물질로는 루틴(rutin), GABA 및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mycin)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이에, 단순히 뽕잎을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상기 여러 생리활성물질들이 함께 추출되어 루틴함량을 최대치로 분리해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먼저 뽕잎에 에탄올 및 산을 넣고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써, 사용된 상기 에탄올은 50~95%(v/v)의 에탄올이며, 상기 산은 0.1~1.0%(v/v)의 구연산인 것이 특징이다.
이 때, 상기 에탄올의 종류로는 50~95%(v/v)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이는 50%(v/v) 미만이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에탄올의 농도가 너무 낮아 루틴함량이 충분이 추출되지 않게 되며, 95%(v/v) 초과의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식품으로 이용하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70%(v/v) 농도에서 추출한 것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는 바,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적용된 추출방법으로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무관하나, 산이 함께 이용하는 것인 바, 성분파괴를 최소화 하기위해 진탕기(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4~10℃에서 20~24시간동안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방식을 거쳐 얻은 추출물은 여과과정을 거쳐 액상은 버리고 걸러져 나온 고형물만을 획득하여 다음 단계를 시행한다.
2단계) 2차 추출물 제조
상기 고형물 형태의 1차 추출물에 에탄올을 넣고 다시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적용된 추출방법으로 환류냉각추출방식을 적용하되, 80~95℃에서 1~4시간동안 이루어지거나, 상기 초음파추출방식을 적용하되, 60~70℃에서 1~2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온도 및 시간을 벗어날 경우에는 루틴함량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거나, 오히려 추출효율이 떨어져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어렵게 된다.
특히, 상기 에탄올의 종류로는 50~95%(v/v)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이는 50%(v/v) 미만이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에탄올의 농도가 너무 낮아 루틴함량이 충분이 추출되지 않게 되며, 95%(v/v) 초과의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식품으로 이용하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70%(v/v) 농도에서 추출한 것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는 바,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3단계) 용해물 제조
본 단계에서는 증진된 루틴함량을 분리해 내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2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져 나온 추출액을 농축한 다음, 물을 넣고 용해하여 용해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 상기 2차 에탄올 추출물은 식용가능한 식품의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농축과정을 통해 에탄올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고형물을 물에 용해시킴으로 인해 식품의 소재로의 이용가치를 높여주게 되는 것인 바,
상기 2차 추출액 농축물 중량대비 물 5~10배를 넣고 용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
4단계) 잔사 고형물 채취
본 단계에서는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용해물을 1~10℃에서 20~30시간동안 저온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잔사 고형물을 채취한다.
이때, 상기 원심분리는 4~8℃, 1000~2000g에서 10~30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조건을 벗어날 경우 고형물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거나 원심분리과정으로 인해 오히려 성분파괴 될 우려가 있는 바, 상기 원심분리 조건은 기능성 분말 제조에 있어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는 필수 조건이다.
5단계) 루틴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분말 제조
본 단계에서는 상기 잔사 고형물을 동결건조하여 루틴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동결건조는 35~38℃에서 24~48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이 또한,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는 필수 조건인 것으로써, 상기 건조조건을 벗어날 경우 완전히 분말형태로 이루지 않게 되어 보관시 부패가 진행될 우려가 있게 되거나, 과건조로 인해 루틴 성분의 함량이 손실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기능성 분말은 뽕잎 유래로 제조할 경우 루틴의 함량은 1000~5000 mg/100g인 것이 특징으로, 이는 기존 뽕잎 에탄올 추출물 대비 월등히 높은 루틴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인 바, 이를 통해 단순 식품소재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써의 이용가치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1 제조>
뽕잎분말 1kg에 70%(v/v)의 에탄올 2,000 ㎖와 0.1(v/v)의 구연산 2g을 넣고 진탕기(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4℃에서 24시간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1차 추출물은 여과과정을 거쳐 추출액은 제거하고 남은 고형물을 획득하였다.
이렇게 얻은 고형물에 다시 70%(v/v)의 에탄올 10,000 ㎖을 넣고 환류냉각추출방식을 적용하여 90℃에서 3시간동안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생성된 2차 추출물을 여과처리하여 고형물은 제거하고 걸러져 나온 액상상태의 추출액만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농축물 380g에 물 3800㎖을 넣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섞어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해물을 4℃에서 25시간동안 저온 정치한 후, 4℃, 2000g조건하에 2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잔사 고형물을 채취하였다.
이렇게 채취된 상기 잔사 고형물은 85℃에서 5mTorr의 압력으로 48시간동안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인 루틴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1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70%(v/v)의 에탄올 대신 9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본 발명인 루틴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1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1차 추출물 제조시 상기 에탄올 대신 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분말1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1차 추출물 제조시 상기 70%(v/v)의 에탄올 대신 40%(v/v)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기능성 분말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1차 추출물 제조시 상기 70%(v/v)의 에탄올 대신100%(v/v)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기능성 분말3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4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구연산은 넣지 않고 기능성 분말4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5 제조-통상의 추출방식-에탄올 3회 추출>
상기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에탄올 추출과정을 1회 더 하여 총 3회의 에탄올 추출과정을 거쳐 기능성 분말5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6.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6 제조-에탄올 1회 추출: 4℃>
뽕잎분말 1kg에 70%(v/v)의 에탄올 2,000㎖을 넣고 진탕기(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4℃에서 30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여기서 생성된 추출물을 여과처리하여 고형물은 제거하고 걸러져 나온 액상상태의 추출액만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농축물 53g에 물 530㎖을 넣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섞어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해물을 4℃에서 25시간동안 저온 정치한 후, 4℃, 2000g조건하에 2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잔사 고형물을 채취하였다.
이렇게 채취된 상기 잔사 고형물은 85℃에서 5mTorr의 압력으로 48시간동안 동결건조하여 기능성 분말6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7. 뽕잎 유래 기능성 분말7 제조-에탄올 1회 추출: 90℃>
상기 비교예 6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4℃의 진탕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90℃의 환류냉각추출방식을 적용하여 1회 추출하여 기능성 분말7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루틴 성분 확인>
1. 실험방법
처리별 rutin 함량 분석은 Waters Nova-Pak C18 column(300×3.9 ㎜)을 사용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Waters 486 Tunable Absorbance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파장은 355 ㎚에서 실시하였다. 이동상으로는 2.5% acetic acid : methanol : acetonitrile = 70 : 10 : 20 (V:V:V)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으며, flow rate는 0.6 ㎖/min이 되도록 하였다. HPLC 분석용 시료의 주입량은 20 ㎕이 되도록 하였으며, 표준품은 Sigma 社의 것을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루틴성분(mg/100g)
실시예 1 1,988.1
실시예 2 4,001.5
비교예 1(물 추출) 331.4
비교예 2(40%의 에탄올 추출) 492.3
비교예 3(100%의 에탄올 추출) 2,050.4
비교예 4(구연산 제외) 776.7
비교예 5(에탄올 3회추출) 893.6
비교예 6(4℃에서 에탄올 1회추출) 180.6
비교예 7(90℃에서 에탄올 1회추출) 537.5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인 뽕잎 유래 물 추출물에서는 루틴 성분이 331.4 mg/100g 인 반면, 같은 조건에서 에탄올로 추출한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그 성분이 약 6배 정도 증가되며 실시예 2의 경우에는 4,000mg/100g 이상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인 40%의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492.3 mg/100g으로 나타나며, 비교예 3인 100%의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에는 2,050.4 mg/100g로, 본 발명의 70%의 에탄올을 사용한 실시예 1의 수준과 같게 나타나 루틴 추출을 위한 에탄올의 농도는 50~95%가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에는 구연산을 적용하지 않은 것인 바, 루틴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의 경우에는 통상의 에탄올 추출방식으로써 수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3회 추출 방식을 많이 적용하는 데, 이 또한, 루틴 성분이 893.6 mg/100g으로 그 함량이 본 발명보다 낮게 나타나 추출횟수를 증가한다고 무조건 루틴성분이 많이 추출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7의 경우에는 에탄올 추출 시 적용 온도가 맞지 않아 이 또한 루틴 성분이 실시예 1보다는 적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뽕잎에서부터 루틴함량을 최대치로 추출해내기 위한 필수과정이며,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분말의 경우 루틴의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바, 이 기능성 분말을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단순 식품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으므로 양잠농가 및 가공업체의 소득증대 및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뽕잎에 50~95%(v/v)의 에탄올 및 0.1~1.0%(v/v)의 구연산을 넣고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진 액상은 버리고 남겨진 고형물에 50~95%(v/v)의 에탄올을 넣고 다시 추출하되, 80~95℃에서 1~4시간동안 환류냉각추출 하거나 또는 60~70℃에서 1~2시간동안 초음파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2차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걸러져 나온 추출액을 농축한 다음, 물을 넣고 용해하여 용해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용해물을 1~10℃에서 20~30시간동안 저온 정치한 후, 4~8℃, 1000~2000g에서 10~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잔사 고형물을 채취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잔사 고형물을 35~38℃에서 24~48시간동안 동결건조하여 루틴의 함량이 1000~5000 mg/100g으로 함유하여 기존 뽕잎 에탄올 추출물 대비 높은 루틴함량을 함유하는 기능성 분말을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뽕잎 유래 루틴의 함량이 1000~5000 mg/100g인 것을 특징으로 기존 뽕잎 에탄올 추출물 대비 높은 루틴함량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

KR1020160139013A 2016-10-25 2016-10-25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3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13A KR101834745B1 (ko) 2016-10-25 2016-10-25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13A KR101834745B1 (ko) 2016-10-25 2016-10-25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745B1 true KR101834745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13A KR101834745B1 (ko) 2016-10-25 2016-10-25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7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32A (ko) 2020-06-11 2021-12-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10154426A (ko) * 2020-06-12 202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30112034A (ko) * 2022-01-19 2023-07-26 강영채 식물추출효소 혼합물을 이용한 농산물 재배 방법
CN117264002A (zh) * 2023-11-22 2023-12-22 成都欧康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高纯度、高含量芦丁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299A (ja) * 2012-10-22 2015-12-21 アルプス薬品工業株式会社 ルチン富化抽出物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299A (ja) * 2012-10-22 2015-12-21 アルプス薬品工業株式会社 ルチン富化抽出物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32A (ko) 2020-06-11 2021-12-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504383B1 (ko) * 2020-06-11 2023-03-03 대한민국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10154426A (ko) * 2020-06-12 202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504384B1 (ko) * 2020-06-12 2023-03-02 대한민국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30112034A (ko) * 2022-01-19 2023-07-26 강영채 식물추출효소 혼합물을 이용한 농산물 재배 방법
KR102565012B1 (ko) * 2022-01-19 2023-08-08 강영채 식물추출효소 혼합물을 이용한 농산물 재배 방법
CN117264002A (zh) * 2023-11-22 2023-12-22 成都欧康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高纯度、高含量芦丁的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94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KR101834745B1 (ko)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102559310B1 (ko) 식물 추출 방법
KR100775741B1 (ko) 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RU234393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дных экстрактов чаги
US8574642B2 (en) Antiviral Morinda citrifolia L. based formulations and methods of administration
US20210290720A1 (en) Extracts of citrus aurantium var. bergamia, combinations thereof and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CN108042661B (zh) 富含二氢杨梅素的白茶提取物和制备医药健康产品的用途
CN113164541A (zh) 含有西洋接骨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男性更年期综合症的预防用、治疗用或改善用组合物
CN113855746B (zh) 一种平卧菊三七组合物及其应用
KR101894994B1 (ko) 상엽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067153B1 (ko)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20150116196A (ko)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
KR101384410B1 (ko) 매실나무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에서의 응용
JP2008503542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を含有する植物由来の製品及びその製法
KR101859688B1 (ko)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94991B1 (ko)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JP5560445B2 (ja) 飲食用組成物及び薬用組成物
KR100646126B1 (ko) 메밀허브로부터 루틴 추출물 및 루틴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US20220168378A1 (en) Bioavailable turmer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RU2223110C1 (ru) Противоишемический растительный препарат мелилоти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BR102016029177A2 (pt) processo de extração de óleo de semente de graviola ( annona muricata l.) e produto obtido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Daddala et al. SECOISOLARICIRESINOL DIGLUCOSIDE-A POTENTIAL BIOMEDICINE OF LINUM USITATISSIM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