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63390A1 -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 Google Patents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63390A1
WO2024063390A1 PCT/KR2023/013251 KR2023013251W WO2024063390A1 WO 2024063390 A1 WO2024063390 A1 WO 2024063390A1 KR 2023013251 W KR2023013251 W KR 2023013251W WO 2024063390 A1 WO2024063390 A1 WO 20240633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tler
schisandra chinensis
powder
schisandra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32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혁용
조현주
김연선
김태희
정성운
김강민
송일대
표재성
서재혁
김휘진
강연호
공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82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0172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310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2139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Publication of WO20240633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633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for growth promotion with increased calcium absorption and to the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prepared thereby.
  • a person's growth is influenced by innate factors such as genetics and acquired fa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them, nutritional factors are reported to have the largest proportion.
  • balanced nutrition In order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human body, balanced nutrition, appropriate exercise, improvement of contaminated environments in food and beverages, and changes in lifestyle habits are required, and among these, balanced nutrition acts as a direct factor.
  • calcium is the mineral element most abundant in the human body.
  • the average adult has about 1,200 g, or about 2% of body weight, in the body.
  • 99% of calcium in the body forms the skeleton and teeth, and the remaining 1% is responsible for regulating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regular heartbeat, blood coagulation, activation of enzymes, and transmission of intracellular stimulation and excitement. do.
  •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in serum always remains constant. However, if the supply of calcium is deficient for a long time, it is lost from the skeleton and teeth, causing deficiency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rickets, and tetany. As a result, bones with low calcium concentration are prone to fractures.
  • Calcium ingested from food is absorbed in the intestines, but the absorption rate is relatively low and is great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form of calcium present, intake, and vitamins.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calcium in the body has emerge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calcium in the body.
  • Schisandra chinensis is a vine deciduous tree distributed from 200 to 1,600 m above sea level and growing abundantly in Jiri Mountain, Songnisan Mountain, and Taebaek Mountain.
  • the fruit has a strong sour taste, ripens to red in August-September, is 0.6-1.2 cm long, and has several hanging downwards in the shape of a cluster of grapes. It is called Schisandra chinensis because it has five flavors: sweet, sour, bitter, salty, and spicy.
  • Schisandra chinensis is rich in vitamins, calcium, and potassium,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antioxidants, so it has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and is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improving blood flow,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mproving immunity, preventing diabetes, and restoring vitality.
  • the main ingredients gomisin A and cizandrin C are known to promote muscle differentiation and growth.
  • Schisandra chinensis mainly uses the extract of the fruit, bu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viscosity depending on the sugar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so other additives such as dextrin are often required.
  • Dextrin is a polysaccharide used as a food additive. It is added to various processed foods to maintain texture or control concentration. As dextrin is added, it acts as a filler, which may cause the problem of reducing the content of the main ingredient.
  • dextrin a polysaccharide, is easily broken down in the body and turns into glucose, raising blood sugar levels in the body and producing excessive amounts of insulin to lower blood sugar levels.
  • deer antlers are those in which ossification (ossification or calcification) has progressed significantly due to the delay in collecting deer antlers.
  • Antler (antler) is a food that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to improve human health using animal resources, and in Oriental medicine, it is a representative health and tonic ingredient and is the medicine most favored by Koreans and Chinese.
  • Statistics show that the Asian region is the main consumer market and that Korea is the world's largest consumer market (80%, as of 2007).
  • Scientific research on the efficacy of deer antler has been very extensive and thorough, and based on this,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outside of Asia are eating deer antle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health.
  • the pantocrine component contained in deer antlers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growth hormones, and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artilage production and strengthening bone density.
  • the main component of deer antler is 25% colloid, and it is composed of calcium phosphate and calcium carbonate.
  • an extraction method is being developed as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7698.
  •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ed solvent extraction methods such as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ion and physical extraction methods using ultrasonic waves and high-pressure devices, which had the limitation of providing only extracted components of deer antler components.
  •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hot water extraction method or organic solvent extraction method easily destroys the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or causes safety problems, making it difficult to meet the expected effect when using deer antler.
  • the deer antler itself has very har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o it is very difficult to extract useful ingredients, and research on making it into functional materials is insufficient and is facing limitations in product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alcium abundantly contained in deer antlers and increase its absorption rate to increase its impact on body metabolism,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ow to do so.
  • the present inventors pulverized deer antler to form powder and coated it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to increase the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rate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thereby improving metabolism in the body and increasing the calcium absorption rate to promote growth.
  • a method for producing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and a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prepared accordingly were develop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for growth promotion as a technical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as a technical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ducing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by hot water extraction of Schisandra chinensis;
  • a step of mixing the sterilized and filtered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antler ultrafine powder at a weight ratio of 1:1 and spray drying to prepare an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coated with the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comprising:
  •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among the total calcium content of the composite powder is at least 60% by weight
  •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motes tissue growth by promoting skeletal growth,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enhancing protein production in the body.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is provided.
  •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which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 the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for growth pro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in the composite powder by coating the antler powder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thereby increasing the intestinal absorption rate of calcium and promoting tissue growth along with skeletal growth. It is effective in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 the growth-promoting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er antler powder is coated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intestinal absorption rate of calcium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in the composite powder,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skeleton and tissue growth. It has excellent technical features that contribute to growth.
  • Figure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inorganic and soluble calcium content of each material.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inorganic and soluble calcium content of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calcium for each calcium raw material and the water-soluble (ionized) calcium content in the calcium raw material.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atio of inorganic and water-soluble calcium by calcium raw material.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alcium absorption in the duodenum of fine or ultra-fine antler powder,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calcium absorption rate in the duodenum over time for fine antler powder, ultrafine antler powder, and antl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rate by calcium raw material.
  • Figure 9 is a graph showing cytotoxicity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deer antler powder and Schisandra chinensis.
  •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the proliferation effect of undifferentiated cel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graph showing the proliferation effect of cells after osteoblast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graph showing ALP activity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shows the results of gene expression analysis during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proces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increase in thigh length and thicknes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white blood cell level in bloo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graph showing the level of lymphocytes in bloo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graph showing the level of monocytes in bloo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is a graph showing blood protein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9 is a graph showing blood HDL-C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0 is a graph showing blood TC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 graph showing blood TG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bdominal fat ratio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preparing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by hot water extraction of Schisandra chinensis Preparing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having a Brix sugar content of 20 to 21 by vacuum depressurizing the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Sterilizing and filtering the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Grinding deer antlers to produce ultrafine antlers powder with a particle size of 1 to 15 ⁇ m; And mixing the sterilized and filtered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antler antler ultrafine powder at a weight ratio of 1:1 and spray drying to prepare an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coated with the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including, the composite powder.
  • the water-soluble calcium content of the total calcium content is at least 60% by weight, and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promotes tissue growth by promoting skeletal growth,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enhancing protein production in the body.
  • a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is provided.
  • the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is concentrated, sterilized, and filtered.
  • Concentration can be carried out 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under vacuum conditions, and it is preferable to concentrate until the Brix sugar content of the concentrate reaches 18 to 22. If the Brix of the concentrate is less than 18, the spray powder process time increases, which is undesirable. If it exceeds 22, the spray powder production yield decreases, which is undesirable. More preferably, it can be concentrated so that the Brix sugar content is 20 to 21.
  • the method of grinding deer antl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grind the deer antler powder so that the particle size is 150 ⁇ m or less. In the case of fine antler powd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particle size of Dx(90) 100 to 150 ⁇ m, and in the case of ultrafine antler powd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particle size of Dx(90) 1 to 15 ⁇ m.
  • the sterilized and filtered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antler powder are mixed and spray dried.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t 90°C or higher for more than 10 minutes, and filtr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40 mesh.
  • the sterilized and filtered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is mixed with the pulverized antler powder.
  • the solid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antler powder a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0.8 to 1.2: 1. If the solid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is less than 0.8 or more than 1.2, the absorption and growth improvement effect of Schisandra chinensis complex powder is reduced, which is not desirable. More preferably, the solid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antler powder can be mixed so that the weight ratio is 1:1.
  •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often requires other additives such as dextrin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viscosity depending on the sugar content.
  • dextrin a substance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viscosity depending on the sugar content.
  • deer antler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add additional additives, thereby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adding additives. The addition of can reduce unexpected side effects.
  • the mixed composite powder is spray dri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fterwards, the spray-dried composite powder can be commercialized by sealing, filling, and packaging each packaging unit.
  •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soluble calcium in the composite powder increases as the deer antler powder is coated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in the total calcium content is at least 60% by weight. It is characterized by Accordingly, the intestinal absorption rate of calcium can be improved. It has excellent technical features in that it improves both the amount and absorption rate of calcium in the duodenum.
  • the growth-promoting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moting tissue growth by promoting skeletal growth,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enhancing protein production in the body.
  • skeletal growth-promoting effect such as increased thigh length growth and increased thigh thickness, increased blood protein and blood HDL-C,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fat as an energy source
  •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surplus protein is linked to the body's It can contribute to protein production (growth of tissues, organs, muscles, etc.).
  • a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which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 the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ntler powder is coated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soluble calcium content is at least 60% by weight of the total calcium content.
  • the proportion of water-soluble calcium in the composite powder increases, thereby improving intestinal absorption, activating protein production and lipid metabolism (reducing fat accumulation), improving inflammation in the body, and improving growth. It has excellent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moting
  •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s or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incorporat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to provide health functional foods.
  • Functional foods can be manufactured by adding the complex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verages, fruits and their processed foods, fish, meat and their processed foods, retort foods, frozen foods, and various seasoning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unless clearly indicated to the contrary. Any feature indicated as being particularly desirable or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indicated as being desirable or advantageous.
  •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a method for producing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for growth promotion with improved water-soluble calcium content and increased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will be described.
  •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was vacuum-reduced to prepare 100 L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of 20 brix. The concentrate was sterilized at 90°C or higher for 10 minutes or more and filtered through 40 mesh.
  •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was vacuum-reduced to prepare 100 L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with 21 brix. The concentrate was sterilized at 90°C or higher for 10 minutes or more and filtered through 40 mesh.
  • the deer antler was pulverized to prepare fine antler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Dx(90) 110 to 200 ⁇ m.
  • the particle size of the fine antler powder is shown in Table 1 below.
  • Antlers were pulverized to prepare ultrafine antler powder with a particle size of Dx(90) 9 to 12 ⁇ m.
  • the particle size of the ultrafine antler powder is shown in Table 2 below.
  • Table 3 shows the particle size of the antl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ultrafine antler powder mixed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 HED Human Equivalent Dose
  •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absorbed into the body from 30 mg of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and which material had the highest water-soluble calcium content was compared.
  • Calcium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oor (1980) method, which is a general method for measuring inorganic calcium, but a method using a reagent that measures calcium content in commercially available serum by UV rate (or colorimetric method) was used. Calcium in the water-soluble state contained in the sample forms a red-violet chelate compound with OCPC (Orthocresolphthalein complexone) and measures this by colorimetric measurement at a wavelength of 570 nm. This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calibration curve (3 to 15 mg/dL) using a standard product (CaCl 2 ). A method was used to derive the content by extrapolating the measured absorbance.
  • the duodenal tissue that had been processed for material absorption was broken down into small pieces using liquid nitrogen.
  • the disintegrated tissues were collected in an e-tube and subjected to a process of homogenization by adding approximately 0.2 mL of RIPA Buffer, a lysis buffer used for tissue lysis. Afterwards, the solution is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10 to 20 minutes and the calcium in the upper solution, excluding the precipitated part, is measured. Calcium absorption rate measurement method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vious content measurement method.
  • the cell line was MC3T3-E1, murin osteoblast like cells, the medium was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without ascorbic acid, supplement with 10% FBS, 1% PS, and the culture conditions were 5% CO2, cells were cultured in a 37°C incubator. .
  • the MC3T3-E1 cell line is a mouse pre-osteoblast cell that is generated by differentiating from stromal cells in the bone marrow or mesenchymal stem cells in connective tissue under appropriate stimulation. It is critical to the bone formation process through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the formation of minerals in the extracellular matrix. It is known to play a role.
  • Cells were purchased from ATCC, and to maintain an undifferentiated state, the medium was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without ascorbic acid with FBS and penicillin streptomycin added.
  • Undifferentiated osteoblasts were treated with a mixture of deer antler, Schisandra chinensis, and antler antlers and Schisandra chinensis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for 24 hours, and then the cell proliferation efficacy was confirmed by MTT assay.
  • the mixing ratio of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was set at 0.2:0.8, 0.3:0.7, 0.5:0.5, 0.7:0.3, and 0.8:0.2 to determine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nd treated in a 96-well plate for 24 hours.
  • Tables 4 and 5 Treatmen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mixing ratio are shown in Tables 4 and 5 below. Table 4 is based on 10 ⁇ g, and Table 5 is based on 20 ⁇ g.
  • Mouse osteoblasts were treated with ascorbic acid and b-glycerophosphate for 3 days to induce differentiation, and then treated with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for 7 day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Cell proliferation efficacy was confirmed using MTT assay.
  • the following markers were used to measure the cell differentiation ability of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 ALP alkakine phosphate
  • kidneys and bones are an enzyme that exists specifically in various tissues, such as kidneys and bones, and is observed on the cell surface and matrix vesicles early in the development of tissues, bones, and calcified cartilage. It is a representative indicator related to the early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It is used.
  • ALP activity a marker that appears in the early stages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was measured to confirm the effects of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on osteoblast activity.
  •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cells treated with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at a concentration of 10 ⁇ g/ml for 7 days, and ALP activity was tested using an ELISA kit.
  • osteoblast differentiation-specific genes ALP, RUNX2, Osteocalcin, Osterix
  • Antlus powder and 1-equivalent antler/schisandra extract mixture (A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supplied by Hamsoa Pharmaceutical Co., Ltd. and were tested based on AS05 (antler 0.5g + Schisandra chinensis 0.5g) based on daily intake. The county was set up.
  • test groups were composed, including a normal control group (control group), AS05, and an antler alone (A05) group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material.
  • HED Human Equivalent Dose
  • the method of supplying the test material is to mix the amount equivalent to daily intake with drinking water according to weight gain and increase in drinking volume, prepare 15 to 25 mL daily, provide from 17:00 to 09:00 the next day, and then drink the amount.
  • the possibility of stress caused by oral administration was excluded by recording and providing regular drinking water until 17:00.
  • Drinking water supplied during the experiment was provided as standard feed for rats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bottled water, and the animal room was provided in individual cage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was 23°C and the humidity was 60-65% and the lights were adjusted every 12 hours. It was bred in .
  • Feed intake and drinking volume were measured at intervals of 2 to 3 days per week, drinking water and feed were replaced, and cage cleaning and litter replacement were also performed to maintain cleanliness and frequently monitor the visual health of the test subjects.
  • Feed supply was stopped 16 hours before the end of the experiment (animal sacrifice), an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halation anesthesia was induced/maintained using isoflurane and O 2 vaporizer, and complete anesthesia was confirmed, including loss of eye blinking and sensation in hands and feet. After laparotomy and abdominal photographs, blood collection and tissue extraction were performed.
  •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abdominal vena cava. To secure serum, about 6 mL was collected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in a gel tube for serum separation. Then, it was centrifuged at 1650G for 15 minutes in a centrifuge. A separate 3 mL of blood was collected and placed in an EDTA-treated tube. After anticoagulation and use for hematologic analysis, the remainder was centrifuged at 1650G for 15 minutes to obtain plasma. Afterwards, serum and plasma were stored at -80°C.
  • Tissue samples such as abdominal fat and femur were extracted and washed several times with ice cold saline to remove blood in the tissue. After removing moisture with filter paper, the weight was measured and stored at -80°C.
  • the length of the thigh was measured.
  • the approximate length from the abdomen to the end of the knee was measured and recorded using Caliper at weekly intervals. Femoral measurements were measured/recorded on the right thigh in all animals to maintain fairness.
  • Blood chemical analysis used serum samples, and analysis items such as triacylglycerol, total cholesterol, HDL-C, and plasma protein were measured using commercial analysis kits from Asan Pharmaceutical Co., Ltd.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inorganic and soluble calcium content of each material.
  • (a)-(c) show the inorganic and soluble calcium content of fine or ultra-fine antler powder
  • (d)-(f) show the inorganic and soluble calcium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inorganic and soluble calcium content of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inorganic calcium content and soluble calcium content are shown in Table 7 below.
  • Table 8 shows the ratio (%) of total calcium and soluble calcium to the powder.
  • Treatment deer antler minuteness deer antler ultrafine Schisandra concentrate Deer antlers - Schisandra chinensis complex powder Total calcium content % 38.6 38.5 0.2 17.0 Water soluble calcium content % 0.04 ⁇ 0.04 0.08 ⁇ 0.16 0.016 ⁇ 0.0003 10.49 ⁇ 0.15
  • the content of inorganic calcium in fine antler powder and ultrafine antler powder was almost the same, but in the case of water-soluble calcium, it was confirmed that the ultrafine powder had a higher water-soluble calcium content. Nevertheless, the absolute water-soluble calcium content was only 0.77 ⁇ 0.48 (mg/g). In the case of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the content of inorganic calcium was present in a small amount, and the content of soluble calcium was also present in a small amount compared to the antler powder.
  •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prepared by mixing ultrafine antler powder with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spray dr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increased to 104.92 ⁇ 0.46 (mg/g)
  •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increased to 104.92 ⁇ 0.46 (mg/g).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o 10.49 ⁇ 0.15%.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powder, the proportion of soluble calcium out of the total calcium content accounted for 61.90%.
  • Water-soluble (ionized) calcium was prepared by setting each raw material to a concentration of 10 mg/dL, then centrifuged at 21°C and 200xg for 5 minutes, and the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the supernatant.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calcium for each calcium raw material and the water-soluble (ionized) calcium content in the calcium raw material.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atio of inorganic and water-soluble calcium for each calcium raw material. The total calcium content, water-soluble (ionized) calcium content, and ratio of each calcium raw material are shown in Table 9 below.
  • the total calcium content was highest in seaweed calcium, but in the case of water-soluble (ionized) calcium,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to be the highest at 126.0 mg/g.
  • Figure 5 which shows the ratio of inorganic and water-soluble calcium
  • the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d a ratio of water-soluble (ionized) calcium of 74%,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lcium raw materials.
  • the intestinal absorption rate of calcium improv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technically superior in that the effect can also be improved.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alcium absorption in the duodenum of fine or ultra-fine antler powder,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and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Additionally, Table 10 below shows the amount of calcium absorbed in the duodenum over time. Calcium absorption can be described as mg of calcium absorbed per 1 g of intestinal tissue depending on the calcium absorption processing time.
  •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calcium absorption rate in the duodenum over time for fine antler powder, ultrafine antler powder, and antl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able 11 shows the amount of calcium absorption in the duodenum of fine antler powder, ultrafine antler powder, and antl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 each of the five calcium raw materials above were quantified so that the total calcium content was 1%, dissolved in PBS, and centrifuged after 10 minutes to obtain the supernatant as a culture medium. 3 ml of the culture medium was quantified in each test tube, and about 0.2 g of the ileum of an 8-week-old SD rat was turned over and placed in each test tube. The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rate was measured for 0, 15, and 30 minutes at 37°C, and then stored at -80°C.
  •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rate by calcium raw material, and the specific values are shown in Table 12 below.
  •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the highest calcium absorption rate under both 15 and 30 minute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with a high ratio of water-soluble calcium had excellent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rate.
  • Figure 9 is a graph showing cytotoxicity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deer antler powder and Schisandra chinensis. Referring to Figure 9, as a result of treating cells with antler powder for 24 hours, no cytotoxicity was confirmed, but rather a cell proliferation effect of more than 30% was found. Additionally, as a result of treating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for 24 hours, it was confirmed that at concentrations above 100 ⁇ g/ml, the cell viability dropped to less than 80%, showing cytotoxicity.
  • the material concentration for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in osteoblasts was set at 10 to 50 ⁇ g/ml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the proliferation effect of undifferentiated cel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cell proliferation was confirmed to be up to 24% in deer antler and up to 18% in Schisandra chinensis.
  • concentration showing proliferative efficacy when treated as a single material (10 ⁇ g/ml, 20 ⁇ g/ml)
  • deer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were mixed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and the cell proliferation efficacy was confirmed after 24 hours of treatment. As a result, a maximum 51% proliferation effect was confirmed. there was.
  • Figure 11 is a graph showing the proliferation effect of cells after osteoblast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liferative efficacy was confirmed to be up to 31% at a concentration of 20 ug/ml for deer antler, and up to 20% at a concentration of 10 ug/ml for Schisandra chinensis.
  • a cell proliferation efficacy of about 30% was confirmed in the group mixed with antlers and Schisandra chinensis at a final concentration of 20 ⁇ g/m.
  • Figure 12 is a graph showing ALP activity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2, compared to the differentiation control, ALP activity was confirmed to increase by 15% when treated with antler material and by 24% in cells mixed with equal amounts of antler and Schisandra chinensis.
  • Figure 13 shows the results of gene expression analysis during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proces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ression of ALP increased 3.9-fold in deer antler, and a 4.7-fold increase in ex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mixed material.
  • OC a 2.4-fold increase in expression was confirmed in deer antler, and a 2.6-fold increase 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mixed materials.
  • OSX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expression depending on the material
  • Runx2 showed an approximately 2-fold increase in expression in deer antler, and a similar increase in expression was confirmed in mixed materials.
  • the results for the increase in thigh length and thicknes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 the 19-week-old thigh length was an arbitrary length measured in the pre-deboned stat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was expressed as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value for 7 subjects per group.
  • Bone length (cm) con 5.00 5.24 0.15 1.07 1.13 0.10 3.82 AS05 4.87 5.36 0.49 1.01 1.16 0.20 3.86 A05 5.09 5.37 0.33 1.01 1.10 0.12 3.95 con 0.37 0.05 0.10 0.11 0.10 0.00 0.10 AS05 0.40 0.13 0.34 0.15 0.08 0.10 0.07 A05 0.20 0.11 0.26 0.09 0.06 0.04 0.12
  • Figure 14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increase in thigh length and thicknes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S group had a large inter-group measurement error in the random increase in femur length (length from knee to pelvis) measured weekly for 3 months, confirm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 the arbitrary thigh leng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19 weeks of age) was 5.24 ⁇ 0.05 cm in the normal group, 5.36 ⁇ 0.13 cm in AS05, and 5.37 ⁇ 0.11 cm in the deer antler treatment group (A05), slightly but significa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increase.
  • the change in random thigh thickness was confirmed from 14 weeks of age to 19 weeks of experimentation, it was 0.10 ⁇ 0.00 cm in the normal group and 0.20 ⁇ 0.10 cm in AS05.
  • the level of white blood cells present in the blood was expressed as 'white blood cell concentration ⁇ standard deviation' for 7 subjects per group.
  • Figure 15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leukocyte level in bloo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5,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otal white blood cells in the blood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AS05 group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ratio of constituent cells (lymphocytes, granulocytes, and monocytes) in the total white blood cells, which was associated with abnormality. A decrease is not expected. In addition, a tendency for the ratio of monocytes in white blood cells to decrease in the single material treatment group was confirmed, which seems to suggest that it may have had an effect in reducing local micro-inflammation that occurs at normal levels. From this perspective, when comparing the level of monocytes present in a unit of bloo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quantitative decrease trend in the AS treatment group suggests that the material is likely to have an inflammation-inhibiting effect.
  • lymphocyte concentration As the level of lymphocytes that make up white blood cells in the blood, the results for 7 individuals per group were expressed as 'lymphocyte concentration ⁇ standard deviation' values.
  • Figure 16 is a graph showing the level of lymphocytes in bloo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lood level of lymphocyt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was 6.54 ⁇ 0.98 x10 3 cells/ ⁇ L and the AS05 group was 4.88 ⁇ 0.62 x10 3 cells/ ⁇ L, which decreased in the AS05 group when comparing the level of monocyt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showed a tendency to do so.
  • the number was 7.16 ⁇ 1.39 x10 3 cells/ ⁇ L, which was confirmed to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Figure 17 is a graph showing the level of monocytes in bloo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lood level of monocyt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was 0.28 ⁇ 0.03 x10 3 cells/uL and the AS05 group was 0.23 ⁇ 0.03 x10 3 cells/uL, which was significant in the AS05 group when comparing the monocyte level in the normal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 the number was 0.23 ⁇ 0.05 x10 3 cells/uL, which was confirmed to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the decrease in total white blood cell level in the AS05 group wa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level of lymphocytes (control group vs AS05 group, 6.54 ⁇ 0.98 vs 4.88 ⁇ 0.62 x10 3 cells/uL; about 26%) and monocyte level. This seems to be due to a decrease (about 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decrease in production of these cells due to the decrease in chronic inflammation in the body.
  • Figure 18 is a graph showing blood protein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changes in the level of protein in the blood which serves as a source of nutrients such as protein in peripheral tissues during the growth process, can be confirmed.
  • the concentration of plasma protein in the normal control group was 72.03 ⁇ 18.61 mg/mL
  • the concentration of plasma protein in the AS05 group was 99.14 ⁇ 10.92 mg/mL.
  • plasma prote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S05 group.
  • plasma prote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96.58 ⁇ 8.17 mg/mL.
  • HDL-C Bloo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HDL-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Figure 19 is a graph showing blood HDL-C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vel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in the blood was found to be 38.78 ⁇ 5.01 mg/dL i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47.21 ⁇ 6.00 mg/dL in the AS05 group.
  • HDL-C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material appears to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in particular, it is thought to activate the use of lipids as an energy source through the breakdown of stored lipids or increased lipid oxidation in peripheral tissues.
  • Figure 20 is a graph showing blood TC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TC) in the blood was confirmed to be 116.35 ⁇ 15.22 mg/dL i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99.66 ⁇ 7.68 mg/dL in the AS05 group, indicating that the TC level in the AS05 group was higher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It showed a decreasing trend,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confirmed.
  • TC total cholesterol
  •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osite material has the effect of substantially improving lipid metabolism.
  • Figure 21 is a graph showing blood TG lev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vel of triglyceride in the blood was found to be 49.26 ⁇ 9.60 mg/dL i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76.12 ⁇ 16.42 mg/dL in the AS05 group.
  • the triglyceride level was found to be 49.26 ⁇ 9.60 mg/dL in the AS05 group. Th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weight ratio of abdominal fat to live weight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for 7 individuals per group were expressed as the 'average abdominal fat ratio ⁇ standard deviation' value.
  • Figure 2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bdominal fat ratio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ormal control group was 0.91 ⁇ 0.18%, and the AS05 group was found to be 0.63 ⁇ 0.19%.
  • the AS05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ntage of abdominal fat was significantly reduced.
  • the group treated with deer antler alone it was 0.65 ⁇ 0.21%, whi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 the deer antler-schisandra complex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of direct use of the antler powder, and the supply of calcium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the antler extract, but the particle size of the antler powder is ultrafine to 1 to 15 ⁇ m and the antler antler powder is used as a Schisandra chinensis concentrate. It is characterized by coating to increase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lcium and thereby improving the absorption rate of calcium in the intestine. Accordingly, the absorbed calcium has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that it promotes the growth of tissues 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skeleton,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enhancing protein production in the bod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를 열수 추출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 감압하여 브릭스(brix) 당도가 20~21인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농축액을 살균 및 여과하는 단계; 녹각을 분쇄하여 1~15 μm의 입도를 가지는 초미세 녹각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및 여과된 오미자 농축액과 상기 녹각 초미세 분말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여 상기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분말의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적어도 60 중량%이고, 상기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며 체내 단백질 생산을 증진시킴에 따라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은 녹각 분말을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하여 복합 분말의 수용성 칼슘의 함량을 높이고, 이에 따라 칼슘의 장내 흡수율을 높여 골격의 성장과 함께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공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본 발명은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성장은 유전에 의한 선천적 요인과 환경이나 영양 상태 등의 후천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영양에 의한 요인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영양의 균형화, 적절한 운동, 음식품에서의 오염환경 개선 및 생활 습관의 변화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 중 영양의 균형화가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현대사회는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식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 영양 공급이 풍족한 시대이지만 인체의 성장 발육은 청소년기 등 성장기에 활발하게 이루어지므로 이 때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성장기에 골격이 튼튼하게 성장되되, 비만하지 않고 체내 대사를 개선하며 신장이 정상적으로 자라는 것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성장과 관련한 영양소 중 칼슘은 인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무기질 원소로 일반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2 %인 1,200 g 정도를 체내에 보유하고 있다. 체내의 칼슘 중 99 %는 골격 및 치아를 형성하고 있으며, 나머지 1 %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 규칙적 심장박동 혈액응고, 효소의 활성화, 세포 내 자극 및 흥분의 전달과 같은 생리활성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혈청 내 칼슘의 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칼슘의 공급이 장기간 결핍되면 골격 및 치아로부터 빠져나와 골다공증, 구루병, 테타니 등의 결핍증이 유발되며, 이에 따라 칼슘 농도가 낮아진 뼈는 골절되기 쉽다.
음식 등으로부터 섭취된 칼슘은 장에서 흡수되나 그 흡수율이 비교적 낮으며, 칼슘의 존재 형태, 섭취량 및 비타민 등의 요소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최근 체내 칼슘의 중요성이 대두됨으로써, 칼슘의 체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0902호와 같이 천연 소재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건강식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섭취를 통해 성장기 영유아, 청소년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성장 중 체내 대사를 개선하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오미자는 해발이 200~1,600 m에 걸쳐 분포하며 지리산, 속리산, 태백산에서 많이 자라는 덩굴성 낙엽 활엽수이다. 그 열매는 신맛이 강하고 8~9 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길이는 0.6~1.2 ㎝이고 여러 개가 포도송이 모양으로 밑으로 처져 달린다.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서 오미자라고 불린다. 오미자는 비타민, 칼슘, 칼륨이 풍부하고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혈류 개선, 심혈관 질환 예방, 면역력 개선, 당뇨병 예방, 원기 회복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특히 주성분인 고미신A, 시잔드린C는 근육의 분화와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오미자를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원료들과 함께 활용하는 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오미자는 주로 열매의 추출액을 이용하는데 오미자의 당 성분에 따라 점도 조절이 어려워 덱스트린과 같은 기타 첨가물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덱스트린은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다당류로, 다양한 가공식품에 첨가되어 질감을 유지하거나 농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덱스트린을 첨가하는 만큼 필러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원료의 함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당류인 덱스트린이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며 포도당으로 변해 체내 혈당 농도를 올리고, 높은 혈당을 내리기 위해 과량의 인슐린을 생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편, 녹각은 녹용의 채취 시기가 늦어져서 골화(骨化,Ossification 또는 Calcification)가 현저하게 진행된 것을 말한다. 녹용(녹각)은 동물자원을 활용한 인체의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이 가능한 식품이며 한의학(韓醫學)에서는 대표적인 보양, 강장 소재로서 한국인과 중국인들이 가장 애용하고 있는 약제이다. 아시아 지역이 주소비국이고 한국이 세계 최대 소비시장(80 %, 2007년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되고 있다. 녹용(녹각)의 효능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는 매우 광범위하고 철저하게 진행되어 있어서 이에 근거하여 아시아 이외의 외국인들도 녹용(녹각)을 건강증진의 목적으로 먹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녹각에 들어있는 판토크린(pantocrine) 성분은 성장호르몬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연골의 생성촉진과 골밀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녹각의 주성분은 교질 25 %이고, 인산칼슘과 탄산칼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녹각의 칼슘을 활용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7698호와 같이 추출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 등의 용매 추출법과 초음파 및 고압장치를 이용하는 물리적 추출법을 사용함에 따라 녹각 성분 중 추출된 성분만 제공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열수 추출법이나 유기용매 추출법의 적용이 생리 활성성분을 쉽게 파괴시키거나 안전성에서 문제가 야기되면서 녹각 이용 시 기대되는 효과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녹각 그 자체는 매우 단단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어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화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고 제품 개발에 있어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녹각에 풍부하게 포함된 칼슘을 활용하되, 흡수율을 증진하여 체내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나 그 방법에 대한 것은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녹각을 분쇄하여 분말을 형성하고,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하여 수용성 칼슘의 함량을 높임에 따라 장내 칼슘 흡수율을 높이고, 이를 통해 체내 대사를 개선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미자를 열수 추출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 감압하여 브릭스(brix) 당도가 20~21인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농축액을 살균 및 여과하는 단계;
녹각을 분쇄하여 1~15 μm의 입도를 가지는 초미세 녹각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및 여과된 오미자 농축액과 상기 녹각 초미세 분말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여 상기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분말의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적어도 60 중량%이며,
상기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며 체내 단백질 생산을 증진시킴에 따라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은 녹각 분말을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하여 복합 분말의 수용성 칼슘의 함량을 높이고, 이에 따라 칼슘의 장내 흡수율을 높여 골격의 성장과 함께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조성물은 녹각 분말이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된 구조를 가지고, 복합 분말의 수용성 칼슘의 함량을 높여 칼슘의 장내 흡수율이 개선됨에 따라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조직의 성장에 기여하는 점에서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각 소재의 무기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의 무기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칼슘 원료별 총 칼슘 및 칼슘 원료 내 수용성(이온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칼슘 원료별 무기, 수용성 칼슘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미세 또는 초미세 녹각 분말, 오미자 농축액,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의 십이지장 내 칼슘 흡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 녹각 분말, 초미세 녹각 분말,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시간에 따른 십이지장 내 칼슘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칼슘 원료별 장내 칼슘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녹각 분말과 오미자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미분화 상태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골아세포 분화 후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ALP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과정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대퇴부 길이 및 두께 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총 백혈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림프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단핵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단백질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HDL-C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TC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TG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복부지방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반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반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미자를 열수 추출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 감압하여 브릭스(brix) 당도가 20~21인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농축액을 살균 및 여과하는 단계; 녹각을 분쇄하여 1~15 μm의 입도를 가지는 초미세 녹각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및 여과된 오미자 농축액과 상기 녹각 초미세 분말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여 상기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분말의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적어도 60 중량%이며, 상기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며 체내 단백질 생산을 증진시킴에 따라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오미자를 추출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한다.
준비된 오미자에 8~10 배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80~120 ℃에서 4~5 시간동안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무게의 8 배수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90 ℃에서 5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미자 추출액을 농축하고 살균 및 여과한다.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 조건에서 감압하여 농축을 진행할 수 있고, 농축액의 브릭스(brix) 당도가 18~22가 될 때까지 농축함이 바람직하다. 농축액의 브릭스가 18 미만인 경우 분무분말 공정 시간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22를 초과할 경우 분무 분말 생산수율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브릭스 당도가 20~21이 되도록 농축할 수 있다.
한편 녹각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한다.
녹각의 분쇄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경우 녹각 분말의 입도가 150 μ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함이 바람직하다. 미세 녹각 분말의 경우 Dx(90) 100~150 μm의 입도를 가지고, 초미세 녹각 분말의 경우 Dx(90) 1~15 μm의 입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 및 여과된 오미자 농축액과 상기 녹각 분말을 혼합하여 분무 건조한다. 살균은 상기 오미자 농축액을 90 ℃이상에서 10분 이상 진행할 수 있고, 여과는 40 mesh로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살균 및 여과된 오미자 농축액을 상기 분쇄된 녹각 분말과 혼합한다. 혼합 시 오미자 농축액의 고형분과 상기 녹각 분말은 0.8~1.2 : 1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오미자 농축액의 고형분이 0.8 미만이거나 1.2를 초과하는 경우 오미자 녹각 복합분말의 흡수 및 성장 개선 효과가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농축액의 고형분과 녹각 분말의 중량비가 1 : 1이 되도록 혼합할 수 있다.
오미자 농축액은 당도에 따라 점도 조절이 어려워 덱스트린과 같은 기타 첨가물을 요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에 따라 녹각 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첨가물을 투입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첨가물의 추가에 따른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 혼합된 복합 분말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분무 건조한다. 이후 분무 건조된 복합 분말을 밀봉 충전하고 포장 단위별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녹각 분말을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함에 따라 복합 분말의 수용성 칼슘의 비중이 증가하며,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함량은 적어도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칼슘의 장내 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십이지장 내 칼슘의 흡수량 및 흡수율이 모두 향상되는 점에서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며 체내 단백질 생산을 증진시킴에 따라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퇴부 길이 성장 증가 대퇴부 두께 증가 등의 골격성장 촉진 경향 효과와 함께 혈중 단백질 증가와 혈중 HDL-C을 증가시키며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지방 소모 증가를 통해(에너지 생산원료로서의) 잉여 단백질량의 증가가 연계되며 체내 단백질 생산(조직, 장기, 근육 등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녹각 분말이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된 구조를 가지고,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적어도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녹각 분말을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함에 따라 복합 분말의 수용성 칼슘의 비중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장내 흡수율이 증진되며, 단백질 생산, 지질대사(지방축적 감소)의 활성화, 체내 염증 상태를 개선하며 성장을 개선하고 촉진하는 점에서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그대로 이용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 등에 본 발명의 복합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이하 수용성 칼슘 함량이 개선되어 장내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오미자 농축액 제조
1-1. 수세한 오미자 70 kg에 물 560 L를 투입하고 90 ℃에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감압하여 20 브릭스(brix)의 오미자 농축액 100 L를 제조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90 ℃ 이상, 10분 이상 살균하고 40 mesh로 여과하였다.
1-2. 수세한 오미자 70 kg에 물 560 L를 투입하고 90 ℃에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감압하여 21 브릭스의 오미자 농축액 100 L를 제조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90 ℃ 이상, 10분 이상 살균하고 40 mesh로 여과하였다.
(2) 녹각 분말 제조
2-1. 녹각을 분쇄하여 Dx(90) 110 ~ 200 μm의 입도를 가지는 미세 녹각 분말을 제조하였다. 미세 녹각 분말의 입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Dx(10) ㎛ Dx(50) ㎛ Dx(90) ㎛
1 1.17 12.3 199
2 1.18 12.3 175
3 1.17 12.1 151
4 1.16 11.2 142
5 1.16 11.1 132
6 1.16 11.2 125
7 1.15 10.7 113
Mean 1.16 11.5 148
1xStd Dev 0.0113 0.678 30.1
1xRSD(%) 0.970 5.87 20.3
2-2. 녹각을 분쇄하여 Dx(90) 9 ~ 12 μm의 입도를 가지는 초미세 녹각 분말을 제조하였다. 초미세 녹각 분말의 입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Dx(10) ㎛ Dx(50) ㎛ Dx(90) ㎛
1 1.17 3.05 11.3
2 1.14 2.56 9.25
3 1.16 2.71 10.1
4 1.14 2.94 10.2
5 1.14 2.62 9.42
6 1.15 2.61 9.04
7 1.14 2.59 9.18
Mean 1.15 2.73 9.78
1xStd Dev 0.00915 0.192 0.799
1xRSD(%) 0.797 7.06 8.17
(3) 복합 분말 제조
3-1. 상기 1-1의 오미자 농축액 100 L와 상기 2-2의 초미세 녹각 분말 20 kg을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였다. 이 때 오미자 농축액의 고형분 중량과 초미세 녹각분말의 중량비를 1:1로 하여 혼합하였다. 최종 건조 분말량은 37.13 kg 이었다.
3-2. 상기 1-2의 오미자 농축액 100 L와 상기 2-2의 초미세 녹각 분말 21 kg을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였다. 이 때 오미자 농축액의 고형분 중량과 초미세 녹각분말의 중량비를 1:1로 하여 혼합하였다. 최종 건조 분말량은 40.38 kg 이었다.
하기 표 3에 오미자 농축액과 혼합한 초미세 녹각 분말에 따른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입도를 나타내었다.
Dx(10) ㎛ Dx(50) ㎛ Dx(90) ㎛
1 9.59 34.6 75.6
2 9.36 35.5 82.0
3 9.24 35.5 80.0
4 8.81 34.6 71.9
5 8.68 34.4 71.3
6 8.38 34.0 70.5
7 9.85 35.8 83.1
8 9.78 36.1 78.1
9 9.28 34.4 74.7
Mean 9.22 35.0 76.4
1xStd Dev 0.504 0.728 4.70
1xRSD(%) 5.47 2.08 6.16
<실험예>
(1) 칼슘 함량 및 흡수율 측정
칼슘 함량 측정
60 kg의 인간이 하루에 섭취하는 녹각의 양을 0.5 g이라 설정했을 때, 500-600 g의 SD Rat이 하루에 섭취할 녹각을 인간 등가 용량 Human Equivalent Dose (HED)으로 환산하면 약 30.8 mg에 해당한다. 여기서 HED (mg/kg) 란 Animal dose (mg/kg) multiplied by Animal Km /Human Km 공식을 기준으로 값을 도출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복합 분말 30 mg 으로부터 체내로 흡수되는 수용성 칼슘의 함량을 측정하고, 어느 소재 속의 수용성 칼슘 함량이 높은지 비교하였다.
수용성 칼슘은 상온 조건에서 녹각 분말 또는 오미자 추출물에 1~5 배 중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충분히 교반(3~5 분)한 후 3000 rpm에서 10~20 분간 원심 분리한 후 침전 부분을 제외한 상층 부분 용액에서 측정된 칼슘을 의미한다.
칼슘 측정은 일반적인 무기칼슘 측정법인 Moor(1980) 방법에 따라 측정해도 무관하나 시판 중인 혈청에서 칼슘함량을 UV rate (또는 비색법)으로 측정하는 시약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시료 중 함유된 수용 상태의 칼슘은 OCPC(Orthocresolphthalein complexone)와 적자색의 킬레이트화합물을 형성하고 이것을 570nm 파장으로 비색측정 하여 측정하는 원리로 표준품(CaCl2)을 이용한 검량선 (3~15 mg/dL)에 측정된 흡광도를 외삽하여 함량을 도출해 내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장 흡수율 측정
미세 녹각 분말, 초미세 녹각 분말,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 768 mg 을 PBS 5 mL 에 녹인 후 충분히 교반(3~5분) 과정을 거쳤다. 이를 3000 rpm에서 10 ~ 2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얻었다.
각각의 소재별로 약 4 mL 정도의 상층액을 conical tube에 넣고, rat으로부터 적출한 십이지장을 담궈 칼슘을 흡수시킨다. 이때, 동일한 조건 하에서 흡수율을 비교할 수 있도록 십이지장 조직을 0.2 g 에 해당하는 만큼 잘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칼슘 흡수가 이루어지는 십이지장에서 수용성 칼슘 함량을 기준으로 측정하고자 10분 이상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37 ℃에서 15분, 30분 설정하여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소재 흡수 처리를 마친 십이지장 조직은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잘게 분해했다. 분해된 조직들을 e-tube에 모아 조직 용해에 사용되는 용해완충액 Lysis buffer인 RIPA Buffer 약 0.2 mL 씩 첨가하여 균질화 Homogenization 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13000 rpm 에서 10 ~ 2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침전 부분을 제외한 상층 부분 용액의 칼슘을 측정한다. 칼슘 흡수율 측정 방식은 앞서 진행한 함량 측정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2) in vitro
1) 세포배양
세포주는 MC3T3-E1, murin osteoblast like cells, 배지(media)는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without ascorbic acid, supplement with 10% FBS, 1% PS, 배양조건은 5% CO2, 37℃ incubator로 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MC3T3-E1세포주는 마우스 pre-osteoblat 세포로 적절한 자극하에 골수의 stromal cell이나 결합조직의 mesenchymal stem cell로부터 분화되어 생성되며, 세포의 증식과 분화 및 세포외기질에 무기질을 형성하여 골 형성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는 ATCC에서 구입하였고 미분화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지는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without ascorbic acid에 FBS와 penicillin streptomyci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분화유도를 위해 10mM b-glycerol phosphate와 50ug/ml ascorbic acid를 첨가하여 3일마다 배지를 교환하였다.
2) 세포독성(cell cytotoxicity) 확인
미분화 상태의 골아세포에서 녹각, 오미자의 성장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우선 세포 내 독성 확인을 하였다.
96well plate에 MC3T3-E1을 1X105/ml로 seeding후 24시간 후 해당 소재를 10ng/ml~1mg/ml까지 설정하여 24시간 처리 후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3) 세포증식(cell proliferation) 확인
3-1. 미분화 상태 세포의 세포증식
미분화 상태의 골아세포에서 녹각, 오미자, 녹각과 오미자를 배합 비율에 따라 혼합한 혼합물을 24시간 처리 후 MTT assay로 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하였다.
녹각과 오미자 배합 비율은 0.2:0.8, 0.3:0.7, 0.5:0.5, 0.7:0.3, 0.8:0.2 비율로 설정하여 처리 농도를 결정하였고 96well plate에 24시간 처리하였다.
배합 비율에 따른 처리 농도는 하기 표 4, 5와 같다. 표 4는 10μg 기준, 표 5는 20μg 기준이다.
Total 10 μg 기준 배합비율에 따른 처리 농도 설정
녹각분말 비율 0 0.2 0.3 0.5 0.7 0.8 1
농도
(μg/ml)
- 2 3 5 7 8 10
오미자
농축액
비율 1 0.8 0.7 0.5 0.3 0.2 0
농도
(μg/ml)
10 8 7 5 3 2 -
Total 20 μg 기준 배합비율에 따른 처리 농도 설정
녹각분말 비율 0 0.2 0.3 0.5 0.7 0.8 1
농도
(μg/ml)
- 4 6 10 14 16 20
오미자
농축액
비율 1 0.8 0.7 0.5 0.3 0.2 0
농도
(μg/ml)
20 16 14 10 6 4 -
3-2. 골아세포 분화 후 세포증식
마우스 골아세포에 ascorbic acid와 b-glycerophosphate를 3일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한 후 녹각과 오미자를 농도별로 7일간 처리하고 MTT assay로 세포 증식 효능 확인하였다.
4) 세포분화(cell differentiation) 능력 확인
녹각과 오미자의 세포분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의 마커를 사용하였다.
4-1. ALP activity
ALP(alkakine phosphate)는 신장, 뼈 등의 여러 조직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며 조직, 뼈 및 석회질화 연골의 발달 초기에 세포 표면과 기질 소포에서 관찰되는 효소로 조골세포의 초기 분화에 관련한 대표적 지표로 사용된다.
조골세포의 분화 초기에 나타나는 표지인자인 ALP활성을 측정하여 녹각과 오미자가 조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ascorbic acid와 β-glycerophosphate를 처리하여 3일간 분화를 유도한 후 녹각과 오미자를 10 μg/ml농도로 7일간 처리한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ALP 활성은 ELISA kit를 사용하였다.
4-2. 유전자 발현 분석
골아세포 분화 특이 유전자 (ALP, RUNX2, Osteocalcin, Osterix) 발현을 분화 유도 후 소재를 3일간 처리한 세포에서 추출한 RNA에서 real-time PCR로 확인하였다.
조골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분화 특이유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녹각과 오미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분화마커 유전자인 ALP, Osteocalcin, Osterix, Runx2의 mRNA발현을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와 b-glycerophosphate를 처리하여 3일간 분화를 유도한 후 녹각과 오미자를 10 μg/ml 농도로 3일간 처리한 세포에서 RNA를 추출 및 cDNA합성을 진행하였고 분화 특이 유전자 발현 변화는 real-time pcr로 측정하였다. 결과값들은 정량을 위한 내부 대조군(internal control)으로 b-actin을 사용하여 Ct값에 따른 mRNA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deltadelta Ct).
(3) in vivo
1) 시험 소재 및 시험군 설정
실험에 사용된 녹각(Antlus)분말, 녹각/오미자출물1동량 혼합물(AS)은 (주)함소아제약으로부터 공급 받아 사용하였으며 1일 섭취량 기준 AS05(녹각 0.5g + 오미자 0.5g)를 기준으로 하여 시험군을 설정하였다.
정상대조군(control group), AS05, 소재의 효과 확인을 위해 녹각 단독(A05)그룹을 포함하여 총 3개 시험군으로 구성하였다.
실험동물에게 제공된 소재의 1일 투여량은 Human equivalent Dose(HED)를 적용하여 (FASEB J. 2008 Mar;22(3):659-61) 이에 해당하는 양으로 조정하였다.
처리군 처리 소재
Control 비처리 대조군
AS05 HED에 해당하는 녹각+오미자 (0.5g:0.5g) 복합물 (=1g/d)
A05 0.5HED에 해당하는 녹각 단독 추출물 (=0.5g/d)
시험 소재의 공급 방법은 체중 증가 및 음용량의 증가에 따라 일일 섭취량에 해당되는 양을 음용수와 혼합하여 15~25 mL 로 매일 제조하여 17:00시부터 익일 09:00시까지 제공 후 음용량을 기록하고 17:00 까지 일반 음용수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경구투여 방식에 의한 스트레스 유발 가능성을 제외시켰다.
2) 동물관리 및 실험 방법
4주령 웅성 SD rat 21개체를 입고하여 개별 케이지에서 약 1~2주간 안정화시키고 6주령 시점에서 총 3개의 시험 군에 대해 군 당 7 개체 씩을 체중 기준으로(체중에 대한 오차가 비슷하도록 각 군 내에 고체중과 저체중 개체들을 골고루 섞음) 배치하고 군간 평균 체중차가 확인되지 않는 상태에서 12주 간의 실험을 시작하였다.
실험 중 공급된 음용수는 시판 생수를 사료는 rat 전용 표준사료를 사용하여 자유 급식을 원칙으로 제공하였으며 동물실은 온도는 23℃, 습도는 60~65% 상태에서 12시간 주기로 점등 조정되는 환경에서 개별 케이지에서 사육하였다.
주당 2~3일 간격으로 사료섭취량과 음용량을 측정하면서 음용수와 사료 교체를 하였고, 케이지 세척과 깔짚 교환도 함께 수행하여 청결 상태를 관리하면서 수시로 실험개체에 대한 육안적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체중, 대략적인 대퇴부의 길이와 굵기(복부에서부터 무릎 끝단의 길이와 대퇴부 중간 부위 두께), 전장(머리부터 꼬리까지의 전체의 길이)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실험 종료(동물희생) 16시간 전부터 사료 공급을 중단하였고 실험 종료시점에서 isoflurane과 O2 vaporizer을 사용한 흡입 마취 유도/유지를 실시하고 눈 깜빡임, 손/발 등의 감각 소실 등 완전 마취 상태를 확인 후 개복하고 복부사진을 확보 한 후 채혈과 조직 적출을 실시하였다.
3) 생체시료의 확보 및 전처리
채혈은 복 대정맥에서 실시하였는데 혈청 확보를 위해 약 6 mL를 확보하여 혈청분리용 gel 튜브에서 20분간 상온 정치시킨 후 원심분리기에서 1650G 15분간 원심분리하였고 별개의 3 mL 혈액을 확보하여 EDTA 처리 튜브에서 항응고 처리하고 hematologic analysis에 사용한 후 나머지는 1650G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확보하였으며 이 후 혈청과 혈장은 -80℃에 보관하였다.
복부지방, 대퇴골 등의 조직 시료는 적출 후 ice cold saline으로 수회 세척하여 조직 내 혈액을 제거시키고 filter paper로 물기 제거 후 중량을 측정한 뒤 -80℃에 보관하였다.
4) 성장지표 측정
성장 지표로서 대퇴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대퇴부를 대상으로 하여 복부에서부터 무릎 끝단의 길이까지 대략적인 길이를 일주일 간격으로 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대퇴 측정은 모든 동물에서 오른쪽 대퇴에서 측정/기록하여 형평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5) 혈액학적 분석
혈액학적 분석(hematologic analysis)은 EDTA로 항응고 처리한 전혈을 사용하였다. Mindray 사의 BC-2800Vet CBC analyzer를 사용하여 백혈구, 단핵구 등에 대한 수치를 3회 반복 측정하여 도출된 평균값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6) 혈액화학 분석
혈액화학적 분석(chemical analysis)은 혈청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항목으로 triacylglycerol, total cholesterol, HDL-C, plasma protein 등을 (주)아산제약의 상용 분석 kit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및 평가>
(1) 칼슘 함량 및 흡수율 측정
수용화 칼슘 함량 측정
도 2는 각 소재의 무기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a)-(c)는 미세 또는 초미세 녹각 분말의 무기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d)-(f)는 오미자 농축액의 무기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의 무기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하기 표 7에 무기 칼슘 함량 및 수용화 칼슘 함량을 나타내었다.
Treatment 녹각
미세
녹각
초미세
오미자
농축액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소재 1 g당 무기 칼슘 mg
(Ca mg/g)
385.98 385.24 0.29 170.26
Ca (mg/g) Mean ± SEM 0.40
± 0.12
0.77
± 0.48
0.14
± 0.02
104.92
± 0.46
또한 하기 표 8에 분말에 대한 전체 칼슘 및 수용성 칼슘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Treatment 녹각
미세
녹각
초미세
오미자
농축액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전체 칼슘 함량 % 38.6 38.5 0.2 17.0
수용성 칼슘 함량 % 0.04 ± 0.04 0.08 ± 0.16 0.016 ± 0.0003 10.49 ±0.15
상기 표 7 및 표 8을 참고하면, 미세 녹각 분말과 초미세 녹각 분말의 무기 칼슘의 함량은 거의 동일하였으나 수용성 칼슘의 경우 초미세 분말이 더 높은 수용성 칼슘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절대적인 수용성 칼슘 함량은 0.77±0.48(mg/g)에 불과하였다. 오미자 농축액의 경우에는 무기 칼슘의 함량은 소량 존재하였고 수용성 칼슘 함량 또한 녹각 분말에 비해 소량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미세 녹각 분말을 오미자 농축액과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여 제조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경우,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104.92±0.46(mg/g)로 증가하고, 수용성 칼슘의 비율도 10.49±0.15 %로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의 경우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비율은 61.90 %를 차지하였다.
나아가 유청칼슘, 어골칼슘, 해조칼슘, 해조분말 칼슘을 대상으로 칼슘 함량과 흡수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수용성(이온화) 칼슘은 각 원료를 10 mg/dL 농도로 설정하여 제조한 후 21℃, 200xg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칼슘 원료별 총 칼슘 및 칼슘 원료 내 수용성(이온화) 칼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나아가 도 5는 칼슘 원료별 무기, 수용성 칼슘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 칼슘 원료의 총 칼슘 함량, 수용성(이온화) 칼슘 함량, 비율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sample Total Ca
(mg/g)
이온화 Ca
(mg/g)
무기, 수용성 칼슘 비율(중량%)
무기칼슘 수용성칼슘
녹각+오미자분말 170.3 126.0 26.0 74.0
유청칼슘 278.4 81.4 70.8 29.2
어골칼슘 275.3 64.4 76.6 23.4
해조칼슘 352.6 85.2 75.8 24.2
해조분말 칼슘 294.5 64.7 78.0 22.0
도 4와 표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총 칼슘 함량은 해조칼슘이 가장 높았으나 수용성(이온화) 칼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이 126.0 mg/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무기, 수용성 칼슘의 비율을 나타낸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수용성(이온화) 칼슘의 비율이 74%로 다른 칼슘 원료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칼슘의 장내 흡수율이 향상되며, 이에 따른 효과도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장 흡수율
도 6은 미세 또는 초미세 녹각 분말, 오미자 농축액,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의 십이지장 내 칼슘 흡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하기 표 10에 시간에 따른 십이지장 내 칼슘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칼슘 흡수량은 칼슘 흡수 처리 시간에 따른 장 조직 1 g 당 흡수된 칼슘 mg 으로 설명할 수 있다.
Treatment Min Comtrol 미세
녹각 분말
초미세
녹각 분말
오미자
농축액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Ca mg/g ± SEM 15 - 0.12
± 0.001
0.20
± 0.031
0.14
± 0.02
4.72
± 0.303
30 0.08 ± 0.001 0.30
± 0.034
0.28
± 0.026
0.38
± 0.12
4.73
± 0.098
도 6 및 표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15분간 처리하였을 때 녹각 미세 분말보다 초미세 분말이 장 내부로의 흡수가 더 많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30분간 처리한 경우, 녹각 초미세 분말보다 미세 분말 흡수량이 더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미자 농축액은 15분간 처리하였을 때, 녹각 분말과 장 내부로의 흡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30분간 처리하였을 때에는 미세 분말에 비해 많은 양 장 내부로의 흡수가 이루어졌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경우 녹각 초미세 분말을 단독으로 확인한 경우보다 약 20배나 더 많은 칼슘이 흡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 녹각 분말, 초미세 녹각 분말,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시간에 따른 십이지장 내 칼슘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관련하여 표 11에 미세 녹각 분말, 초미세 녹각 분말,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십이지장 내 칼슘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Treatment Min Ca mg / g ± SEM Ca mg / min ± SEM
미세 녹각 분말 15 0.12 ± 0.001 0.0027 ± 0.00004
30 0.30 ± 0.034 0.0075 ± 0.001
초미세 녹각 분말 15 0.20 ± 0.031 0.0081 ± 0.002
30 0.28 ± 0.026 0.0065 ± 0.001
오미자 농축액 15 0.14 ± 0.02 0.009 ± 0.002
30 0.38 ± 0.12 0.013 ± 0.001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15 4.72 ± 0.303 0.3096 ± 0.017
30 4.73 ± 0.098 0.1549 ± 0.003
도 7 및 표 11을 참고하여 십이지장 내 분당 흡수율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15분간 처리한 경우가 30분간 처리한 경우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장 표면적과 장 흡수 후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15분에 흡수되는 칼슘 함량을 기준으로 비교할 때 미세 및 초미세 녹각 분말의 경우 초미세 분말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나 그 값이 미미하여 장내 흡수율은 두 소재 모두 상당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미자 추출물의 경우 30분간 처리하였을 때, 십이지장 내 분당 흡수율이 녹각 분말에 비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미세 녹각 분말을 오미자 농축액과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여 제조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의 경우, 15분내 칼슘의 흡수량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녹각 분말에 오미자 농축액을 코팅하는 경우 장내 칼슘의 흡수율이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칼슘 원료별 장내 흡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칼슘 함량 기준이 1%가 되도록 상기 5종 칼슘 원료를 각각 정량하여 PBS에 녹이고 10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배양액으로 얻었다. 상기 배양액을 시험관에 3ml씩 정량하고 8주령 SD rat의 회장 약 0.2 g을 뒤집은 후 각 시험관에 넣어 37℃에서 0, 15, 30분 동안 장내 칼슘 흡수율을 측정한 후 -80℃에서 보관하였다. 동결 장기를 막자사발에 넣고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분쇄 후 0.1N HCl in 0.1% LaCl3를 넣어 4℃, 10000xg 20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사용하여 칼슘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8은 칼슘 원료별 장내 칼슘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구체적인 값은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sample 원료별 Ca 농도/장 무게(mg/g)
15 min 30 min
control 1.32 1.58
녹각/오미자 분말 26.06 29.65
유청칼슘 5.43 5.15
어골칼슘 3.85 3.21
해조칼슘 1.78 2.15
해조분말 칼슘 2.72 2.34
도 8과 표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15분, 30분 조건 모두 가장 높은 칼슘 흡수율을 보였다. 수용성 칼슘의 비율이 높은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장내 칼슘 흡수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in vitro
1) 세포독성
도 9는 녹각 분말과 오미자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녹각 분말을 세포에 24시간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오히려 30% 이상 세포 증식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미자 농축액을 24시간 처리한 결과 100μg/ml 농도 이상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80% 이하로 떨어져 세포 독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이하 골아세포에서 녹각과 오미자 농축액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소재 농도는 10~50μg/ml 농도로 설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세포증식 효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미분화 상태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각각의 소재 단독 처리시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은 녹각에서 최대 24%, 오미자에서 최대 18% 정도의 증식 효능 확인하였다. 한편 단독 소재 처리 시 증식 효능을 보이는 농도(10μg/ml, 20μg/ml)를 기준으로 녹각과 오미자를 배합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24시간 처리 후 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한 결과 최대 51% 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골아세포 분화 후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각각의 소재 단독 처리시 녹각은 20ug/ml 농도에서 최대 31%, 오미자는 10μg/ml 농도에서 최대 20% 정도의 증식 효능을 확인하였다. 한편 녹각과 오미자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최종 농도 20μg/m로 녹각과 오미자를 혼합한 군에서 약 30% 정도의 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세포분화 능력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ALP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분화 control 대비 ALP activity는 녹각 소재를 처리한 경우 15%, 녹각과 오미자를 동량 혼합한 세포에서 24%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과정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소재를 3일간 처리한 세포에서 ALP의 발현이 녹각에서 3.9배 증가하였고, 혼합소재에서 4.7배의 발현증가가 확인되었다. OC의 경우에는 녹각에서 2.4배의 발현증가가 확인되었고 혼합소재에서는 2.6배의 발현증가를 보였다. OSX는 소재별 발현 변화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Runx2는 녹각에서 약 2배의 발현증가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혼합소재에서도 비슷한 정도의 발현증가를 확인하였다.
(3) in vivo
one-way ANOVA, post-hoc test로서 Tukey test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도출하였다. '*'는 정상대조군과 비교 시 P<0.0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였고 0.1>P≥0.05 수준은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1) 성장지표 : 대퇴부(골) 길이 및 두께 증가량
대퇴부 길이 및 두께 증가량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19주령 대퇴부 길이는 실험 종료 시점에 발골 전 상태에서 측정된 임의의 길이이며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평균 ± 표준 편차' 값으로 표현하였다.
14주령
대퇴부길이
(cm)
19주령
대퇴부길이
(cm)
대퇴부길이
증가량
(cm)
14주령
대퇴부두께
(cm)
19주령
대퇴부두께
(cm)
대퇴부두께
증가량
(cm)
적출 후
대퇴부
뼈길이(cm)
con 5.00 5.24 0.15 1.07 1.13 0.10 3.82
AS05 4.87 5.36 0.49 1.01 1.16 0.20 3.86
A05 5.09 5.37 0.33 1.01 1.10 0.12 3.95
con 0.37 0.05 0.10 0.11 0.10 0.00 0.10
AS05 0.40 0.13 0.34 0.15 0.08 0.10 0.07
A05 0.20 0.11 0.26 0.09 0.06 0.04 0.12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대퇴부 길이 및 두께 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와 표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3개월간 주 단위로 측정된 임의의 대퇴골 길이(무릎부터 골반까지의 길이) 증가량에 있어서 AS 군은 군간 측정오차가 큰 관계로 정상 대조군과의 유의차 확인이 어려웠으나 실험 종료시점(19주령)에서의 임의 대퇴부 길이는 정상군에서 5.24±0.05 cm일 때 AS05는 5.36±0.13 Cm, 녹각 단독 처리군(A05)은 5.37±0.11 cm로 소폭이지만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4주령부터 실험 19주령까지의 임의 대퇴부 두께의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정상군에서 0.10±0.00 cm이었고 AS05에서 0.20±0.10 cm로 확인하였다.
2) 혈액학적 변화
2-1. 혈액 내 총 백혈구 수준
혈액 내 존재하는 백혈구 수준으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백혈구농도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총 백혈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05 군에서 혈액 내 총 백혈구 수준이 소폭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총 백혈구 내 구성 세포들(림프구, 과립구, 단핵구)의 비율에는 변화가 없어 이상증과 연계된 감소로는 사료되지 않는다. 또한, 단독 소재 처리군에서 백혈구 내 단핵구의 비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정상 수준에서 일어나는 국소 미세 염증 감소 효과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위 혈액 내 존재하는 단핵구 수준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 처리 군에서의 양적 감소 경향은 해당 소재가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2. 혈액 내 림프구 수준
혈액 내 백혈구를 구성하고 있는 림프구 수준으로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림프구농도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림프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림프구의 혈액 내 수준에 있어서 정상 대조군은 6.54±0.98 x103 cells/μL이었고 AS05군은 4.88±0.62 x103 cells/μL로서 정상 대조군의 단핵구 수준을 비교했을 때 AS05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녹각 단독 처리 군의 경우 7.16±1.39 x103 cells/μL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혈액 내 단핵구 수준
혈액 내 백혈구를 구성하고 있는 단핵구 수준으로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단핵구농도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단핵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단핵구의 혈액 내 수준에 있어서 정상 대조군은 0.28±0.03 x103 cells/uL이었고 AS05군은 0.23±0.03 x103 cells/uL로서 정상 대조군의 단핵구 수준을 비교했을 때 AS05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녹각 단독 처리 군의 경우 0.23±0.05 x103 cells/uL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이 AS05 군에서의 총 백혈구 수준의 감소(대조군 대비 약 20%)는 림프구 수준의 감소(대조군 vs AS05군, 6.54±0.98 vs 4.88±0.62 x103 cells/uL; 약 26%)와 단핵구의 감소(대조군 대비 약 18%)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는 체내 만성적 염증의 감소로 인한 이들 세포의 생산 감소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3) 생화학적 대사 지표
3-1. 혈중 단백질 수준
혈청 내 단백질 농도로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평균 혈청단백질농도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단백질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성장 과정에서의 말초조직으로 단백질 등 영양성분 공급원으로서의 혈중 단백질 수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정상 대조군에서 혈장단백질의 농도가 72.03±18.61 mg/mL이었고 AS05군은 99.14±10.92 mg/mL로 확인되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05 군에서는 혈장단백질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녹각 단독 처리 군에서는 96.58±8.17 mg/mL로 모두 혈장 단백질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2.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 수준
혈청 내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 수준치로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평균 HDL-C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HDL-C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의 수준에 있어서는 정상 대조군에서 38.78±5.01 mg/dL, AS05 군은 47.21±6.00mg/dL로 확인되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05 군에서 HDL-C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A05 군에서는 37.13±10.76 mg/dL로 HDL-C 수준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녹각-오미자 복합 소재는 지질대사를 개선시키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말초조직에서의 저장 지질 분해 또는 지질 산화 증가를 통한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지질 사용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3-3. 혈중 콜레스테롤(TC) 수준
혈청 내 총콜레스테롤(TC) 수준치로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평균 TC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TC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TC)의 수준은 정상 대조군에서 116.35±15.22 mg/dL, AS05 군은 99.66±7.68mg/dL로 확인되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05 군에서 TC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녹각 단독 처리 군에서는 94.79±10.29 mg/dL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HDL-C 수준 변화와 연관지을 때 HDL-C를 구성하고 있는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하는 경우 콜레스테롤 수준이 더욱 낮아져 실질적으로 혈액 내 VLDL 종과 chylomicron의 수준이 낮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녹각-오미자 복합 소재는 실질적으로 지질 대사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4. 혈중 중성지질(Triglyceride) 수준
혈청 내 중성지질(TG) 수치로서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평균 TG 농도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중 TG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혈중 중성지질(Triglyceride)의 수준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서 49.26±9.60 mg/dL, AS05 군에서는 76.12±16.42mg/dL로 확인되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05 군에서 중성지질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는 체외 배출을 위한 HDL-C의 증가와 연계하여 HDL-C에 포함된 중성지질에 의한 증가로 보여지며 그만큼 말초조직에서 지질의 이화작용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녹각 단독 처리 군에서는 47.42±15.62 mg/dL로 확인되어 중성지질 수준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3-5. 복부지방 비율
생체중에 대한 복부지방의 중량비를 계산하여 그룹 당 7 개체에 대한 결과를 '평균 복부지방 비 ± 표준 편차' 값으로 나타내었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복부지방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종료시점에서의 생체중 대비 적출된 복부지방의 중량비를 산출하였을 때 정상 대조군은 0.91±0.18 %이었고, AS05 군은 0.63±0.19 %로 확인되었는데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S05 군에서 복부지방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각 단독 처리군인 A05 에서 0.65±0.21 %로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녹각 분말을 직접 이용하는 형태로, 녹각의 추출물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칼슘의 공급을 높이되, 녹각 분말의 입도를 1~15μm인 초미세화하고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하여 수용성 칼슘의 함량을 높여 장내 칼슘의 흡수율을 증진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흡수된 칼슘은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며 체내 단백질 생산을 증진시킴에 따라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오미자를 열수 추출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추출액을 진공 감압하여 브릭스(brix) 당도가 20~21인 오미자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미자 농축액을 살균 및 여과하는 단계;
    녹각을 분쇄하여 1~15 μm의 입도를 가지는 초미세 녹각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및 여과된 오미자 농축액과 상기 녹각 초미세 분말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분무 건조하여 상기 오미자 농축액으로 코팅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분말의 전체 칼슘 함량 중 수용성 칼슘의 함량이 적어도 60 중량%이며,
    상기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은 골격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며 체내 단백질 생산을 증진시킴에 따라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녹각-오미자의 복합 분말은 상기 수용성 칼슘에 의해 장내 흡수율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PCT/KR2023/013251 2022-09-20 2023-09-05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WO20240633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96A KR102501725B1 (ko) 2022-09-20 2022-09-20 칼슘 흡수율을 높인 녹각 및 오미자 유래 칼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18296 2022-09-20
KR10-2022-0164128 2022-11-30
KR20220164128 2022-11-30
KR10-2023-0031058 2023-03-09
KR1020230031058A KR102621399B1 (ko) 2022-11-30 2023-03-09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390A1 true WO2024063390A1 (ko) 2024-03-28

Family

ID=9045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3251 WO2024063390A1 (ko) 2022-09-20 2023-09-05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6339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698A (ko) * 2010-08-16 2012-06-07 주식회사 제이비티 녹각으로 수용성 물질의 제조를 위한 추출방법의 개발과 추출물의 생리 활성
KR101588378B1 (ko) * 2015-08-12 2016-01-25 (주)포원텍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CN106072626A (zh) * 2016-06-06 2016-11-09 延吉朝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朝医复方鹿茸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80058970A (ko) * 2016-11-25 2018-06-04 부안군(관리부서: 부안군 농업기술센터)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88587B1 (ko) * 2017-01-04 2018-08-1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침향을 포함하는 공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210098222A (ko) * 2020-01-31 2021-08-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쌍화차용 분말이 첨가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698A (ko) * 2010-08-16 2012-06-07 주식회사 제이비티 녹각으로 수용성 물질의 제조를 위한 추출방법의 개발과 추출물의 생리 활성
KR101588378B1 (ko) * 2015-08-12 2016-01-25 (주)포원텍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CN106072626A (zh) * 2016-06-06 2016-11-09 延吉朝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朝医复方鹿茸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80058970A (ko) * 2016-11-25 2018-06-04 부안군(관리부서: 부안군 농업기술센터) 오디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88587B1 (ko) * 2017-01-04 2018-08-1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침향을 포함하는 공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210098222A (ko) * 2020-01-31 2021-08-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쌍화차용 분말이 첨가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5637A1 (ko)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대되고 벤조피렌은 저감된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EP3451859A1 (en) Functionally reinforced desalted nutritional compositions from halophyt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1261975A1 (ko) 식물성 콜라겐 및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25212A1 (ko) 식물성 고기
WO2015111832A1 (ko)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72525A1 (ko) 어류 안구의 파쇄물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약학 및 식품 조성물
WO2024063390A1 (ko) 칼슘 흡수율을 높인 성장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WO2012043949A1 (ko) 화학식 1 내지 8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WO2015030336A1 (ko)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6497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viola herba extract, or an extract of viola herba, persicae semen, cinnamomi ramulus, and glycyrrhiza spp.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pid-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obesity
WO2013024950A1 (ko) 누에탈지번데기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2134172A2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1253A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WO2018128479A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63318A1 (ko)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WO2019045467A9 (ko) 항산화 및 항고혈압 효과를 가지는 광어 연육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93787A2 (ko) 플로로글루시놀, 플로로탄닌 또는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WO2009088264A2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Choi et al.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WO2010143825A2 (en) Anti-arthritic agent using cyathula officinalis
WO2017030419A1 (ko) 애기땅빈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222302A1 (ko) 비환원성 말단의 불포화형 만뉴론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운동 수행 능력 개선 및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
WO2016048085A1 (ko) 유효성분의 함량이 향상된 콩 유래 추출물
WO2013111924A1 (ko) 넓패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84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