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60B1 -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60B1
KR101894560B1 KR1020160024423A KR20160024423A KR101894560B1 KR 101894560 B1 KR101894560 B1 KR 101894560B1 KR 1020160024423 A KR1020160024423 A KR 1020160024423A KR 20160024423 A KR20160024423 A KR 20160024423A KR 101894560 B1 KR101894560 B1 KR 10189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shock absorbing
light emitting
airbag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115A (ko
Inventor
신세철
최한순
최영순
Original Assignee
(주)보람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람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보람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2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6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에 단계별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체 및 에어백이 구비되어 차량 및 운전자는 물론, 지지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 비상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사고처리가 용이한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는 도로의 중앙선에 다수 연결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외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 및 하부가 상기 충격흡수수단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지지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파손에 의해 발광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Impact relief apparatus of a road median strip}
본 발명은 토목 기술 분야 중 도로 중앙분리대에서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에 단계별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체와 에어백이 구비되어 차량과 운전자는 물론 지지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 비상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사고처리가 용이한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흡수장치는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구조물 등과 충돌하기 전에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차량의 방향을 교정하여 차량이 본래의 주행차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입구, 교각, 교명주 보호는 물론, 고속도로 분기점 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정면 혹은 측면 충돌시 그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차량을 원래의 주행차로로 복귀시켜야 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하지만, 충격에너지의 흡수력이 약한 단점으로 인해 오히려 충돌하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차량과 함께 밀리면서 원래의 설치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 등 충격흡수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서 차량 내의 운전자와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사고가 발생시에 그 발생위치를 원거리의 다른 운전자가 식별하기 어려워 사고처리가 신속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03511호(2006.07.13.)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2247호(2006.03.17.)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대"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외부충격이 발생시에 그 흡수력을 최대화하고,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전까지도 확보함은 물론, 사고가 발생시에 신속히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알려 사고처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는 도로의 중앙선 위치에 다수 연결설치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 외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100)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200); 및 하부가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지지부(10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의 파손에 의해 발광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발광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0)는 돌(石) 재질로 이루어지되 소정길이를 갖도록 중앙선에 설치되는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110) 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이 삽입설치되는 제1삽입홈(120), 상기 제1삽입홈(120)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체(110) 상부에 천공형성되되 상기 발광부(30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1), 상기 제1삽입홈(120) 입구 측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0)에 삽입설치된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의 파손에 의해 상기 발광부(300)가 상기 관통공(111)에 안내되어 하강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턱부(121), 상기 제1삽입홈(120)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체(11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이 삽입설치되는 제2삽입홈(130)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지지체(1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설치되는 기둥형상의 연결봉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고, 바닥면에 앙카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은 EPP 스치로폼(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0)과 상기 제2삽입홈(130)에 각각 삽입되어 외부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도록 상기 지지체(110) 외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체(210), 상기 제1삽입홈(120)과 상기 충격흡수체(210) 사이 또는 상기 제2삽입홈(130)과 상기 충격흡수체(210) 사이에 구비되되 내부에 충진된 공기(air)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체(210) 외면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에어백(220)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백(220)은 내부에 다수의 구분된 공기층이 겹겹이 형성되어 쿠션효과를 얻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300)는 하부가 상기 에어백(220) 상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관통공(111)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에어백(220)이 터지면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 상부에 구비되되 하부에 스위치(321)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310)가 하강시에 상기 스위치(321)가 지지체(110) 상면에 가압되어 내부에 발광가능하게 구비된 램프가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체(320); 발광체(320)의 동작과 동시에 기록된 고유번호가 CDMA 방식의 무선으로 출력되어 원격지의 도로시설 관리자로 사고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지지부에 단계별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체 및 에어백이 구비되어 차량 및 운전자는 물론, 지지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 비상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사고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의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의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이하, 간략하게 '충격흡수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도로 중앙분리대에서 사용되는 충격흡수장치(1)는 크게 지지부(100), 충격흡수수단(200) 및 발광부(30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다수가 연결설치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에 의한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자체 하중에 의해 반대차선으로 차량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후술하는 충격흡수수단(200) 및 발광부(30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체(110), 제1삽입홈(120) 및 제2삽입홈(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체(110)는 콘크리트 등과 같은 돌(石) 재질을 경화시켜 형성되며, 그 두께가 적어도 1미터 이상이되 하중은 1.5톤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충돌에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지지체(1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이어지게 다수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에 대비하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지지체(1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설치되는 기둥형상의 연결봉과 해당 홀(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비교적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에 앙카볼트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시킬 수 있도록 앙카고정홈과 앙카볼트(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나아가 지지체(110)는 하부가 제1삽입홈(120)과 연통되되 지지체(110) 상면까지 천공형성되어 후술하는 몸체(31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제1삽입홈(120)은 지지체(110)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측면 상부에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된다.
아울러 제1삽입홈(120) 내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에어백(220)이 수납되며, 충격흡수체(210)가 형상맞춤으로 삽입설치된다. 이때, 제1삽입홈(120) 상단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턱부(121)가 형성되어 팽창된 에어백(220)이 터짐과 동시에 몸체(310)가 하강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턱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삽입홈(130)은 상술한 제1삽입홈(12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체(110)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20)과 동일하게 충격흡수체(210) 및 에어백(220)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삽입홈(130)에 삽입설치되는 충격흡수체(210)는 제1삽입홈(120)에 삽입설치된 충격흡수체(210)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이 충돌시에 제2삽입홈(130)에 설치된 충격흡수체(210)에서 제1삽입홈(120)에 설치된 충격흡수체(210)에 순차적으로 외부충격이 가해져 충돌되는 힘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00)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충격을 단계별로 흡수하여 지지부(100)의 파손은 물론, 운전자의 안전사고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충격흡수체(210) 및 에어백(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충격흡수체(210)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삽입홈(120,130)과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120,13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설치되며, 내구성과 형상복원력이 우수하고, 방수성이 탁월한 EPP 스치로폼(expanded polypropylene) 재질과 같은 쿠션효과가 있는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차량의 충돌 세기에 따라 지지체(110)의 외부형상은 물론, 차량의 손상 역시 최소한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돌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차량의 속도와 상관없이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중앙분리대는 물론, 차량의 외관에 큰 손상이 가해지는데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가 미미한 상태에서 지지체(110)와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110)의 외면보다 스티로폼 재질의 충격흡수체(210)의 외면이 더 돌출형성되어 차량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차량이나 지지체(110)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에어백(220)은 내부에 공기(air)가 충진되되 충격흡수체(210)보다 먼저 제1 및 제2삽입홈(13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충격흡수체(210)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이 발생시에 그 압축되어 작은 부피로 충진된 공기가 자동 팽창되어 에어백이 부풀어 확장되면서 쿠션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에어백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잘 알려져 있다. 이때, 에어백(220)은 쿠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제1 및 제2삽입홈(120,130) 내부에 복수 개로 삽입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에어백(220) 내부에 다수의 구분된 공기층이 겹겹이 형성되도록 하여 쿠션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삽입홈(120) 내부에 삽입설치된 에어백(220) 상부는 후술하는 발광부(300)의 몸체(310) 하부가 그 팽창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에어백(220)이 터짐과 동시에 몸체(310)가 턱부(121)의 길이만큼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도 2 참조)
하여, 충격흡수수단(200)은 차량의 미미한 속도에 따른 외부충돌이 가해지는 경우, 돌출된 충격흡수체(210)에 의해 차량이 파손되지 않도록 그 충격을 흡수하여 더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 즉, 압축되어 충진된 공기의 압축 상태가 해제되면서 팽창되어 에어백(220)에 공급되므로 에어백(220)이 부풀어 부피가 확장될 정도의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먼저, 충격흡수체(210)가 1차적으로 그 충격을 흡수하고, 아울러 공기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220)이 2차적으로 그 충격을 흡수하는 단계별 흡수충격에 의해 지지체(110)의 파손은 물론, 차량의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 역시, 완만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220)이 터질 정도의 차량에 의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다른 운전자는 물론,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사고관리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310) 및 발광체(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310)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관통공(111)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며, 하부는 에어백(220) 상부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가능한 발광체(320)가 구비된다. 발광체(320)는 와트급 이상의 엘이디(LED)가 하나 이상 다수로 구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310) 하부에는 에어백(220) 상부에 지지가 용이하도록 판 형상의 지지판이 형성되며, 에어백(220)이 터짐과 동시에 몸체(310)가 하강하여 발광체(320) 하면이 지지체(110) 상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체(320)는 내부에 발광가능한 램프 및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도록 몸체(310)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스위치(321)가 설치되어 에어백(220)의 터짐에 의해 몸체(310)가 하강시 상기 스위치(321)가 지지체(110) 상면에 가압되어 램프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온(ON) 상태로 한다.
물론,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광체(320) 내부에는 스피커에 의한 음향신호가 주변으로 출력되고, 기록된 고유번호가 CDMA 방식 무선으로 출력되어 원격지로 전송하는 무선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에어백(220)이 터질 정도의 사고가 발생시에 다른 운전자는 그 발광신호를 통해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여 사고신고를 할 수 있으며, 사고처리자는 신고접수가 된 사고지점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광체(320)는 각각의 고유번호가 입력되어 스위치(321)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그 고유신호를 가까운 도로시설 관리자 또는 지정된 도로시설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송출하여 별도의 사고신호가 없이도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자동 통보하여 인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지지부(100)에 단계별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체(210) 및 에어백(220)이 구비되어 차량은 물론, 지지체(11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 비상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사고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100: 지지부 110: 지지체
111: 관통공 120: 제1삽입홈
121: 턱부 130: 제2삽입홈
200: 충격흡수수단 210: 충격흡수체
220: 에어백 300: 발광부
310: 몸체 320:발광체
321: 스위치

Claims (1)

  1. 도로의 중앙선 위치에 다수 연결설치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 외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100)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200); 및 하부가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지지부(10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의 파손에 의해 발광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발광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0)는 돌(石) 재질로 이루어지되 소정길이를 갖도록 중앙선에 설치되는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110) 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이 삽입설치되는 제1삽입홈(120), 상기 제1삽입홈(120)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체(110) 상부에 천공형성되되 상기 발광부(30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1), 상기 제1삽입홈(120) 입구 측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0)에 삽입설치된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의 파손에 의해 상기 발광부(300)가 상기 관통공(111)에 안내되어 하강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턱부(121), 상기 제1삽입홈(120)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체(11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이 삽입설치되는 제2삽입홈(130)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지지체(1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설치되는 기둥형상의 연결봉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고, 바닥면에 앙카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200)은 EPP 스치로폼(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0)과 상기 제2삽입홈(130)에 각각 삽입되어 외부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도록 상기 지지체(110) 외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체(210), 상기 제1삽입홈(120)과 상기 충격흡수체(210) 사이 또는 상기 제2삽입홈(130)과 상기 충격흡수체(210) 사이에 구비되되 내부에 충진된 공기(air)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체(210) 외면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에어백(220)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백(220)은 내부에 다수의 구분된 공기층이 겹겹이 형성되어 쿠션효과를 얻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300)는 하부가 상기 에어백(220) 상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관통공(111)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에어백(220)이 터지면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 상부에 구비되되 하부에 스위치(321)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310)가 하강시에 상기 스위치(321)가 지지체(110) 상면에 가압되어 내부에 발광가능하게 구비된 램프가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체(320); 발광체(320)의 동작과 동시에 기록된 고유번호가 CDMA 방식의 무선으로 출력되어 원격지의 도로시설 관리자로 사고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KR1020160024423A 2016-02-29 2016-02-29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KR10189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23A KR101894560B1 (ko) 2016-02-29 2016-02-29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23A KR101894560B1 (ko) 2016-02-29 2016-02-29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115A KR20170102115A (ko) 2017-09-07
KR101894560B1 true KR101894560B1 (ko) 2018-09-04

Family

ID=599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23A KR101894560B1 (ko) 2016-02-29 2016-02-29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4824B (zh) * 2023-10-30 2023-12-26 苏州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改扩建边坡用防护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458B1 (ko) 2005-10-25 2006-02-22 (주)미래기술단 충격흡수용 도로 중앙분리대
KR100610571B1 (ko) * 2006-02-16 2006-08-09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KR100630789B1 (ko) 2006-03-15 2006-10-09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101429083B1 (ko) 2013-02-04 2014-08-14 장기석 Abs강화플라스틱틀, 태양전지모듈, led전구 해충퇴치기, led전구 전조등, 모래를 이용한 충돌충격완화 전기생산 해충퇴치 도로 전조등 중앙분리대
KR101436335B1 (ko) * 2013-11-07 2014-09-0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에어 홀딩부를 구비한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용 고속도로 중앙 분리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47Y1 (ko) 2005-12-30 2006-03-23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대
KR100603511B1 (ko) 2006-02-22 2006-07-20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458B1 (ko) 2005-10-25 2006-02-22 (주)미래기술단 충격흡수용 도로 중앙분리대
KR100610571B1 (ko) * 2006-02-16 2006-08-09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KR100630789B1 (ko) 2006-03-15 2006-10-09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101429083B1 (ko) 2013-02-04 2014-08-14 장기석 Abs강화플라스틱틀, 태양전지모듈, led전구 해충퇴치기, led전구 전조등, 모래를 이용한 충돌충격완화 전기생산 해충퇴치 도로 전조등 중앙분리대
KR101436335B1 (ko) * 2013-11-07 2014-09-0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에어 홀딩부를 구비한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용 고속도로 중앙 분리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115A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4101T3 (es) Dispositivo de deteccion de impacto para automoviles.
US6450556B1 (en) Under-ride protection airbag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AU2014295833B2 (en) Crash Cushion
WO2005019680A3 (en) Crash attenuator with cable and cylinder arrangement for decelerating vehicles
KR101428243B1 (ko) 외장 에어백장치
KR20180066446A (ko) 방호울타리 단부 충격흡수장치
KR101894560B1 (ko)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KR101566382B1 (ko) 충돌 충격 흡수장치
CN103088771B (zh) 一种移动式应急示警缓冲装置
JP2006132172A (ja) 車両強制停止装置と該装置を使用した車両強制停止方法
US7588267B2 (en) Active vehicle impact dampening system
KR101709839B1 (ko) 충돌 방벽
KR20180026065A (ko)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가드레일용 에어백형 완충부재
KR101300611B1 (ko) 갈라진 도로 또는 터널입구의 차량 충돌 회피 구조
KR100565849B1 (ko)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CN109629479A (zh) 旋转开关式防止超高车辆撞击桥梁的阻拦系统
KR101250532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가이드레일 장치
KR101146746B1 (ko) 도로의 충격흡수장치
RU25471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ешеходов и водителей автомобилей
KR200412247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대
KR200348778Y1 (ko) 지하도로 중앙부의 기둥보호용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200305611Y1 (ko) 다종류의 완충재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335017Y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200305612Y1 (ko) 콘크리트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