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984B1 -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984B1
KR101889984B1 KR1020170022271A KR20170022271A KR101889984B1 KR 101889984 B1 KR101889984 B1 KR 101889984B1 KR 1020170022271 A KR1020170022271 A KR 1020170022271A KR 20170022271 A KR20170022271 A KR 20170022271A KR 101889984 B1 KR101889984 B1 KR 10188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weight
water
support
hydrophil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조
박효진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주식회사 한웅
김봉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주식회사 한웅, 김봉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02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지지체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도록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장봉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포장봉투에 물 또는 친수성 용액으로 되는 함침액을 투입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상기 함침액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하이드로겔 자체에 물, 다가 알콜 및 보습제 등과 피부유효성분을 충분히 함유하면서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그러한 성분을 피부에 잘 전달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그러한 화장성분에 대한 피부잔류감을 양호하게 느끼게 되어 높은 제품 만족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또한 하이드로겔에 함유된 물, 다가 알콜 및 보습제 등과 피부유효성분이 보관 및 유통 과정 중에는 하이드로겔에서 외부로 거의 이수되지 않아 화장성분의 낭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또한 피부 부착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gel Sheet Produ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에 물, 다가 알콜 및 보습제 등과 피부유효성분을 충분히 함유하고 피부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그러한 성분을 피부에 잘 전달하는 능력을 가진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 시트는 통상적으로 화장품, 의약용 패치 등에 적용되는데,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시켜 형성되는 3차원 망상구조의 고함수성 하이드로겔 타입과 천연에서 유래하는 아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등의 겔화제의 혼합물을 물에 분산시킨 후 80 ~ 90℃ 정도의 고온에서 용해하고 냉각시켜서 만들어진 천연 하이드로겔 타입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유래 고함수성 하이드로겔은 부드럽고 피부곡면에 대한 밀착성 등 기본적인 물성은 우수하지만, 함수력이 우수한 겔로써 겔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보습제 및 기타 피부유효성분들은 충분히 피부측으로 이동, 이수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러한 성분들에 대한 피부잔류감이 너무 부족하여 사용자들의 만족감이 떨어졌다.
한편, 천연 겔화제로부터 유래하는 천연 타입 하이드로겔은 이수성 및 피부잔류감은 양호하지만, 겔의 함수력이 부족하여 과량의 수분과 피부유효성분들이 포장 후 유통과정 중에 이수되어 사용자가 포장을 뜯어 사용할 때에는 이미 겔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버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천연 타입 하이드로겔 시트는 신축성, 유연성 및 접착성이 부족하여 피부곡면에 부착후 움직이면 가장자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하는 중에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많았다.
특허등록 제10-0506543호(2005. 07. 28. 등록)는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피부에 접촉시 체온에 의하여 유동상태로 변화되어 흐름성을 갖게 되며, 하이드로겔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 또는 약물이 피부에 고르게 피복되고 신속하게 침투되는 효과를 가진다.
특허등록 제10-1296754호(2013. 08. 08. 등록)는 경피 흡수 투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개시한다. 개시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갈락토만난검, 카라기난검 및 점착부여제 등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점착력 및 인장장도를 가질 수 있어 메쉬 구조의 보강시트 없이 하이드로겔층만으로도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1497040호(2015. 02. 23. 등록)는 하이드로겔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개시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폴리아크릴산, 실리콘류, 한천, 잔탄검, 카라기난 및 로커스티빈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고분자, 글리세린 등을 포함하는데, 점액질처럼 흘러나오는 제형이고 하이드로겔의 피부밀착력이 우수하여 짧은 시간에도 집중적으로 유효성분을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1474210호(2014. 12. 05. 등록)는 스티키 하이드로젤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친수성 고분자로 Na 치환도가 50% 이상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티빈검, 플루로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겔화고분자 등을 포함하는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스티키한 점액질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밀착성이 우수하여 피부로의 수분 및 성분 흡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1525403호(2015. 05. 28. 등록)는 자가 형태 복원형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회합성 고분자인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를 함유하여 자가 형태 복원 기능을 갖는다.
특허등록 제10-0853301호(2008. 08. 13. 등록)는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개시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천연 고분자 물질인 아이오타 카라기난과 로커스트콩검의 혼합물을 겔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셀룰로오즈 유도체 등의 겔보조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이수 현상을 우수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특허공개 제10-2010-0061402호(2010. 06. 07. 공개), 특허공개 제10-2012-0033393호(2012. 04. 09. 공개), 특허등록 제10-1507301호(2015. 03. 25. 등록), 특허등록 제10-1197677호(2012. 10. 30. 등록), 특허등록 제10-1479642호(2014. 12. 30. 등록), 특허등록 제10-1500987호(2015. 03. 04. 등록) 등에 다양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에서 하이드로겔층은 높은 함수력을 가지면서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 보습제 및 기타 피부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액상의 화장성분을 원활하게 피부에 공급하여야 하고 또한 동시에 하이드로겔층의 외부로 액상의 화장성분이 이수되지 않게 하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에 의하면, 하이드로겔층의 이러한 특성은 아직까지는 충분히 만족되지 못하였다. 하이드로겔층의 이러한 조화로운 특성은 천연 타입 하이드로겔 및 폴리아크릴산 유래 고함수성 하이드로겔의 특성 자체의 한계로 인하여 달성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겔에 물, 다가 알콜 및 보습제 등과 같은 피부유효성분을 충분히 함유하고 피부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그러한 성분을 피부에 잘 전달하는 능력을 가진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다가 알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지지체에 코팅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에 코팅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도록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장봉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포장봉투에 물 또는 친수성 용액으로 되는 함침액을 투입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상기 함침액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친수성 고분자 0.1 ~ 5 중량%, 다가 알콜 1 ~40 중량%, 가교제 0.1 ~ 5 중량%, 겔화속도 조절제 0.1 ~ 5 중량%, 피부유효성분 0.1 ~ 20 중량%, 보존제 0.01 ~ 3 중량% 및 물 50~9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10 ~ 100 중량% 및 고흡수성 수지 0 ~ 90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 대비 상기 가교제 및 상기 겔화속도 조절제를 제외하고 상기 물, 상기 다가 알콜, 및 상기 물과 상기 다가 알콜에 용해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의 중량비는 35 ~ 300일 수 있다.
상기 숙성단계는 20~30℃의 온도범위에서 3 ~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침액은 다가 알콜, 피부유효성분 및 보존제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함침액은 피부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만의 중량은 2 ~ 4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의 중량은 400 ~ 4,00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이고, 상기 지지체의 두께 중량은 10 ~ 200 g/m2이며, 단위면적에 대하여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과 부직포의 중량 간의 중량비, 즉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은 0.04 ~ 0.6이고, 단위면적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중량 / 부직포의 중량)의 비율은 1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하이드로겔 자체에 물, 다가 알콜 및 보습제 등과 피부유효성분을 충분히 함유하면서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그러한 성분을 피부에 잘 전달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그러한 화장성분에 대한 피부잔류감을 양호하게 느끼게 되어 높은 제품 만족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또한 하이드로겔에 함유된 물, 다가 알콜 및 보습제 등과 피부유효성분이 보관 및 유통 과정 중에는 하이드로겔에서 외부로 거의 이수되지 않아 화장성분의 낭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또한 피부 부착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개략적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개략적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층(20), 하이드로겔층(10) 및 이형지층(3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층(30), 지지체층(20), 하이드로겔층(10) 및 이형지층(3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이러한 구조를 가진다는 측면에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과 다르지 않지만, 지지체층(20)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10)의 특성이 기존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과는 전혀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하이드로겔층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 대비 가교제 및 겔화속도 조절제를 제외하고 물, 다가 알콜 및 물과 다가 알콜에 용해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이하, '액상 성분'이라 함)의 중량비, 즉 (액상 성분의 중량 / 친수성 고분자 성분의 중량)의 비율이 30 ~ 400, 바람직하게는 35 ~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200의 범위이다.
하이드로겔층에서 친수성 고분자 성분과 액상 성분 간의 이러한 비율은 친수성 고분자 성분의 중량에 비하여 액상 성분의 중량이 과도하게 크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지지체상에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이것을 가교제 및 겔화속도 조절제에 의하여 가교시킴으로써 3차원 망상구조를 가지는 통상적인 폴리아크릴산 유래 고함수성 하이드로겔은 상기와 같은 높은 비율로 액상 성분을 함유할 수 없다. 즉, 그러한 비율이 되도록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다가 알콜, 피부유효성분, 보존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더라도 그러한 조성물을 부직포와 같은 지지체 상에 코팅하여도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지체층(20) 상에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10)이 상기한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다가 알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지지체에 코팅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에 코팅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도록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장봉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포장봉투에 물 또는 친수성 용액으로 되는 함침액을 투입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상기 함침액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지지체(20) 상에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10)은 친수성 고분자 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 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3 중량%, 다가 알콜 1 ~40 중량%, 가교제 0.1 ~ 5 중량%, 겔화속도 조절제 0.1 ~ 5 중량%, 피부유효성분 0.1 ~ 20 중량%, 보존제 0.01 ~ 3 중량% 및 물 50~9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친수성 고분자는 기본적으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은 폴리아크릴산 유래 고함수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 2,000,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은 다가 금속이온 또는 다가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에 의하여 가교되어 3차원 망상구조의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주재료가 된다.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에 더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 고흡수성 수지의 비율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및 고흡수성 수지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0:0 ~ 10:9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는 폴리아크릴산 및 가교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3차원 망상구조 내에 무작위적으로 내포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보조적 재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는 젤라틴, 한천(아가), 셀룰로스검, 잔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플루란,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가 알콜은 통상적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톨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통상적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가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다가 금속이온 화합물은 알루미늄 화합물, 칼슘 화합물 및 마그네슘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함수규산알루미늄,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산마그네슘, 아세트산알루미늄 및 규산알루미늄산마그네슘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겔화속도 조절제는 통상적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EDTA, 락트산, 타르타르산, EDTA-2나트륨, 시트르산칼슘, 및 시트르산나트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유효성분은 마스크팩과 같은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주름개선, 피부미백, 자외선 차단, 수분 공급, 영양 공급, 피부탄력회복 등과 같은 피부미용기능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추출물, 비타민제 및 그의 유도체, 알부틴, 아데노신, 코엠자임큐텐, 콜라겐,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키토산, 엘라스틴, 니아신아미드 및 보습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 파라옥시향산에스테르류,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페노닙, 알칸디올류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지체는 종이, 한지, 부직포, 직포 및 필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지지체가 종이, 한지, 부직포 또는 직포인 경우 그것의 두께 중량은 10 ~ 20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15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 12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지지체가 필름인 경우 그것의 두께는 10 ~ 200 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가 필름인 경우, 그러한 필름은 예를 들어 PET, PP, PE, 나일론, PVC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체 상에 코팅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은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데, 그러한 성분들에 더하여 다가 알콜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은 또한 피부유효성분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그 외의 다른 성분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코팅단계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이 고점도이기 때문에 롤(roll) 코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이드로겔층의 숙성단계는 20~30℃의 온도범위에서 3 ~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온(25℃)에서 일주일 정도가 적당하다. 숙성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숙성시간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숙성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숙성시간이 단축될 수는 있으나 하이드로겔 성분들의 변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숙성시간이 부족하게 되면 경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이후에 함침액에 함침시켰을 때 하이드로겔층의 형태유지성이 나빠지고 하이드로겔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숙성시간이 과도한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점은 별로 없지만,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좋지 않게 되므로 숙성시간은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숙성단계를 거치면 하이드로겔층은 경화되어 안정화된다. 숙성단계는 코팅된 하이드로겔층이 건조되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을 완료한 후에는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가 수행된다. 성형단계는 다이 롤(Die Roll) 및 톰슨기 방식의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제품 모양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통상적으로는 1차 포장봉투에 적당히 접혀서 삽입된다. 1차 포장봉투는 알루미늄 필름과 합성수지 필름이 합지된 파우치 형상의 봉투이다. 알루미늄 파우치에서 알루미늄 필름은 내부에 배치되고 합성수지 필름은 외부에 배치된다.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형지에 의하여 하이드로겔층이 보호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어서, 형성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수용한 1차 포장봉투에는 물 또는 친수성 용액으로 되는 함침액이 투입되어 하이드로겔층에 함침액이 함침된다. 하이드로겔의 함침단계에서 사용되는 함침액은 물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물에 다른 성분이 용해되어 형성되는 친수성 용액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함침액은 피부유효성분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경우 그 외의 다른 성분도 포함할 수 있다. 함침액은 또한 다가 알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가 물 또는 다가 알콜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는 특성을 가진 것이라면, 그러한 보존제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그러한 보존제는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만약 그러한 보존제가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지 않고, 나중에 사용되는 함침액에 포함된다면 그러한 보존제는 하이드로겔의 함침단계에서 하이드로겔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층의 표면에만 존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그 외의 다른 성분(예를 들어, 향, 염료 또는 안료) 중에서 물 또는 다가 알콜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는 특성을 가진 것이 있다면, 그러한 성분도 동일한 이유로 인하여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어야 한다.
하이드로겔의 함침단계에서, 지지체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은 함침액에 담기거나 함침액을 흡수함으로써 함침되고 함침액이 하이드로겔의 내부에 침투함으로써 팽윤된다.
함침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1차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히트 실러(Heat Sealer)를 이용하여 밀봉이 이루어진다. 그런 후 1차 포장봉투는 필요에 따라 2차 포장에 담겨 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지지체층(20)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10)에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만의 중량은 2 ~ 40 g/m2인 특성, 특히 4 ~ 30 g/m2인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고분자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의 매트릭스를 충분히 형성할 수 없어 하이드로겔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고, 친수성 고분자의 양이 너무 많으면 하이드로겔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피부부착시 너무 무거운 느낌을 주게 되고 피부 곡면부착성 및 하이드로겔의 형태유지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지지체층(20)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10)에서 하이드로겔층의 중량은 400 ~ 4,000 g/m2인 특성, 특히 500 ~ 3,000 g/m2인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에서 하이드로겔층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볼륨감이 떨어져서 피부 곡면부착성 및 피부잔류감 등의 사용감이 부족하게 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지고, 하이드로겔층의 두께가 너무 큰 경우, 피부부착시 너무 무거운 느낌을 주게 되고 피부 곡면부착성 및 하이드로겔의 형태유지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하이드로겔층(10)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 대비 가교제 및 겔화속도 조절제를 제외하고 물, 다가 알콜, 및 물과 다가 알콜에 용해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30 ~ 400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300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200의 범위인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하이드로겔에 대한 친수성 고분자 성분의 중량 대비 액상 성분의 중량비가 매우 높은 고함수성 하이드로겔을 지지체 상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높은 중량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결코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높은 함수력, 피부에의 양호한 부착성, 우수한 피부에의 약물 전달성 및 보관 및 유통 중에 우수한 이수방지성을 가지며,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품을 사용할 때 우수한 피부 잔류감과 사용감을 갖게 되고, 사용하지 않고 버려지는 액상 성분이 많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지지체로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부직포의 두께 중량은 10 ~ 200 g/m2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150 g/m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120 g/m2이다. 또한, 단위면적에 대하여,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과 부직포의 중량 간의 중량비, 즉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4 ~ 0.6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 0.4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 0.3이며, 단위면적에 대하여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중량 / 부직포의 중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 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부직포 중량 대비 적은 양의 친수성 고분자 중량을 사용하면서도 부직포의 배면으로 액상 성분이 침투되는 일이 없게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통상적인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부직포 중량 대비 너무 적은 양의 친수성 고분자 중량을 사용하게 되면 하이드로겔에 액상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고, 그러면 하이드로겔의 액상 성분은 부직포의 배면으로 침투하여 바깥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그것은 사용감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통상적인 폴리아크릴산 유래 고함수성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에 적용하는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보다 낮은 비율을 적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액상 성분이 부직포의 배면으로 침투되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일이 없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액상 성분을 친수성 고분자에 함유시키는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눔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부직포 상에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코팅할 때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이 부직포 중량 대비 적음에도 불구하고 단위면적에 대하여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중량 / 부직포의 중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1 ~ 1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 1 ~ 10의 범위로 유지한다면, 그 과정에서 액상 성분이 부직포의 배면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친수성 고분자의 가교단계 후에 함침단계에서 액상 성분을 더욱 추가적으로 하이드로겔층에 함유시켜서 최종적으로 하이드로겔층에 액상 성분이 매우 많은 양으로 함유되더라도 부직포 배면으로 액상 성분이 침투되어 흘러나오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한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피부미용을 위한 마스크팩, 피부질환치료를 위한 패치, 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패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부직포 지지체 상에 코팅한 후에 상온에서 1주일간 숙성시켜서 폴리아크릴산이 가교제 및 겔화속도 조절제에 의하여 가교되게 하였다. 그런 후 알루미늄 파우치 형상의 1차 포장봉투에 하이드로겔 시트를 삽입하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가지는 함침액을 1차 포장봉투에 투입하여 하이드로겔 시트의 하이드로겔층에 함침액이 함침되도록 하여 지지체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팽윤시켰다. 실시예 1에서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에서 친수성 고분자만의 중량은 2 g/m2이었고, 단위면적에 대한 하이드로겔층의 총 중량, (액상 성분의 중량 / 친수성 고분자 성분의 중량)의 비율,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 (하이드로겔층의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 및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코팅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및 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러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부직포 지지체 상에 코팅한 후 가교되도록 숙성하여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였다. 마찬가지로, 단위면적에 대한 하이드로겔층의 총 중량, (액상 성분의 중량 / 친수성 고분자 성분의 중량)의 비율,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 (하이드로겔층의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 및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코팅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1차 코팅 2차 함침 비교예 1 비교예 2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0.13 0.13 9.33 2.00
잔탄검 0.12 0.12 1.00
카보머
CMC 1.67
수지계(중량%) 0.25 11.00 3.00
글리세린 10.00 0.54 9.46 20.00 20.00
페녹시에탄올 0.40 0.03 0.37 0.40 0.40
메타규산알루미늄산마그네슘 0.30 0.30 0.30 0.30
TTA 0.25 0.25 0.25 0.25
EDTA-2Na 0.20 0.20 0.20 0.20
글리세레스-26 3.00 3.00 3.00 3.00
BG 5.00 5.00 5.00 5.00
소르비톨액 5.00 5.00 5.00 5.00
피마자유 3.00 0.50 2.50 3.00 3.00
정제수1 4.17 4.17 51.85 59.85
정제수2 68.43 68.43
액상계(중량%) 99.00 88.25 96.25
총계(중량%) 100 6.24 93.76 100 100
총코팅량(g/m2) 800 750 750
액상/수지 비율(단위면적당 무게비) 396 8 32
부직포 두께중량(g/m2) 50 85 50
코팅량/부직포 중량비 16 8.8 15
수지/부직포 중량비 0.04 0.97 0.45
1차 코팅/부직포 중량비 1 8.8 15
상기 표 1에서 TTA는 타르타르산(tartaric acid)를 의미하고, EDTA-2Na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의 나트륨염(2개의 나트륨이온으로 치환)에 해당한다. BG는 부틸렌글리콜을 나타낸다. 수지계(중량%)는 수지성분, 즉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기타 고분자의 합계 중량비를 나타내고, 액상계(중량%)는 수지 성분과 가교제 및 겔화속도 조절제를 제외하고 물, 다가 알콜 및 물과 다가 알콜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분의 합계 중량비를 나타낸다. 총 코팅량(g/m2)은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에 대한 단위면적당 중량을 나타낸다. 코팅량/부직포 중량비는 단위면적에 대하여 최종적인 하이드로겔층의 중량과 부직포의 중량의 비율을 나타내고, 수지/부직포 중량비는 단위면적에 대하여 수지성분, 즉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기타 고분자의 합계 중량과 부직포 중량의 비율을 나타내며, 1차 코팅/부직포 중량비는 2차로 함침시킨 액상 성분의 중량을 제외하고 1차로 코팅한 성분들만의 중량과 부직포 중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표 1에서 '1차 코팅'이라고 표시한 열은 실시예 1에서 부직포 지지체에 1차로 코팅한 성분들의 조성비를 나타낸 것이고, '2차 함침'이라고 표시한 열은 실시예 1에서 부직포 지지체에 1차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코팅하고 숙성한 후에 2차로 함침시킨 함침액의 조성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 내지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부직포 지지체 상에 코팅한 후 숙성시켜서 부직포 지지체 상에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그것을 함침액에 함침시켜서 하이드로겔을 팽윤시켰다. 실시예 2에서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층에서 친수성 고분자만의 중량은 4 g/m2이었다. 이 값은 실시예 3에서 8 g/m2였고, 실시예 4에서 12 g/m2, 실시예 5에서 16 g/m2, 실시예 6에서 20 g/m2, 실시예 7에서 25 g/m2, 그리고 실시예 8에서 30 g/m2였다.
이 실시예들에 대하여, 단위면적에 대한 하이드로겔층의 총 중량, (액상 성분의 중량 / 친수성 고분자 성분의 중량)의 비율,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 (하이드로겔층의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 및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코팅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은 아래 표들에 기재하였다. 다만, 1차 코팅 조성물(즉,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과 2차 함침 조성물(즉, 함침액)에 대한 구체적인 조성비는 표들에 표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0.40 0.40 0.34 0.40 0.63
잔탄검 0.40 0.40 0.33 0.40 0.62
카보머
CMC
수지계(중량%) 0.80 0.80 0.67 0.80 1.25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페녹시에탄올 0.40 0.40 0.40 0.40 0.40
메타규산알루미늄산마그네슘 0.30 0.30 0.30 0.30 0.30
TTA 0.25 0.25 0.25 0.25 0.25
EDTA-2Na 0.20 0.20 0.20 0.20 0.20
글리세레스-26 3.00 3.00 3.00 3.00 3.00
BG 5.00 5.00 5.00 5.00 5.00
소르비톨액 5.00 5.00 5.00 5.00 5.00
피마자유 3.00 3.00 3.00 3.00 3.00
정제수1 13.33 13.33 11.11 13.33 20.83
정제수2 58.72 58.72 61.08 58.72 50.77
액상계(중량%) 98.45 98.45 98.58 98.45 98.00
총계(중량%) 100 100 100 100 100
총코팅량(g/m2) 500 1000 1800 2000 1600
액상/수지 비율(단위면적당 무게비) 123 123 148 123 78
부직포 두께중량(g/m2) 50 50 50 50 50
코팅량/부직포 중량비 10 20 36 40 32
수지/부직포 중량비 0.08 0.16 0.24 0.32 0.4
1차 코팅/부직포 중량비 2 4 6 8 10
실시예 7 실시예 8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0.63 0.50
잔탄검 0.62 0.50
카보머
CMC
수지계(중량%) 1.25 1.00
글리세린 10.00 10.00
페녹시에탄올 0.40 0.40
메타규산알루미늄산마그네슘 0.30 0.30
TTA 0.25 0.25
EDTA-2Na 0.20 0.20
글리세레스-26 3.00 3.00
BG 5.00 5.00
소르비톨액 5.00 5.00
피마자유 3.00 3.00
정제수1 20.83 16.66
정제수2 50.77 55.19
액상계(중량%) 98.00 98.25
총계(중량%) 100 100
총코팅량(g/m2) 2000 3000
액상/수지 비율(단위면적당 무게비) 78 98
부직포 두께중량(g/m2) 50 50
코팅량/부직포 중량비 40 60
수지/부직포 중량비 0.5 0.6
1차 코팅/부직포 중량비 13 15
상기 표들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예 1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에서는 수지의 양이 충분히 많기 때문에 부직포 상에 하이드로겔이 잘 형성되지만, 형성된 하이드로겔은 탄력은 좋으나 이수성이 부족하여 피부부착시에 액상 성분을 피부에 전달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잔류감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2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많은 양의 수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부직포 지지체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의 액상 성분이 부직포의 배면으로 침투하여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표 1에서 보면, 비교예 2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높은 수지 성분 비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지/부직포 중량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직포 중량에 비해서도 상당히 높은 수지 성분 비율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것은 안정적인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기에는 수지 성분의 양이 부족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액상 성분이 부직포의 배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그것의 가교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에서 하이드로겔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수지 성분의 양이 상당히 많아야 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하이드로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력은 좋으나 이수성이 부족하여 피부부착시 액상 성분을 피부에 전달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잔류감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1 및 2에서 액상/수지 비율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비교예 1 및 2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이 액상 성분을 많이 함유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은 매우 적은 양의 수지 성분이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부직포 지지체 상에 하이드로겔이 안정적으로 형성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제품은 매우 높은 액상/수지 비율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하이드로겔의 액상 성분이 부직포 지지체의 배면으로 침투하여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것은 수지/부직포 중량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의 절대적인 양 및 부직포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양 모두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1차 코팅, 즉 부직포 지지체 상에 코팅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양도 작게 함으로써 부직포 지지체 상에 1차로 코팅된 하이드로겔로부터 액상 성분이 부직포의 배면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1차 코팅된 하이드로겔을 가교시킨 후 함침액으로 팽윤시킴으로써 최종적인 하이드로겔이 많은 액상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부직포 지지체의 배면으로 액상 성분이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실시예 1의 제품은 매우 높은 액상/수지 비율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실시예 1의 제품은 수지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의 피부 부착 느낌을 주지 못하고, 부직포에 액상 성분이 함침된 제품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실시예 2 내지 7과 같이, 수지의 함량을 조금 증가시키고 또한 액상/수지 비율을 다소 낮춤으로써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2 내지 7의 제품은 하이드로겔의 불륨감, 이수성 등이 양호하고 피부잔류감도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단점은 실시예 8에 의해서도 극복되지만, 실시예 8의 제품은 총 코팅량이 다소 많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이 너무 두껍게 되고 그래서 곡면 밀착성이 다소 나빠지고 피부 부착시 다소 무거운 느낌을 주게 되어 사용만족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8의 제품은 이수성 및 피부잔류감은 양호한 편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지 성분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또한 총 코팅량을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하며, 액상/수지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하이드로겔의 볼륨감, 이수성, 피부잔류감, 피부부착성 등의 물성이 조화롭게 구현된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 1 내지 8을 통하여 수지/부직포 중량비를 적절한 범위로 선택하고 또한 1차 코팅/부직포 중량비를 적절한 범위로 선택한다면, 1차 코팅되어 형성되는 그리고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로부터 액상 성분이 부직포 지지체의 배면으로 흘러나오는 일이 없어 상품가치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 하이드로겔층 20: 지지체층
30: 이형지층

Claims (8)

  1.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다가 알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지지체에 코팅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에 코팅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도록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장봉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포장봉투에 물 또는 친수성 용액으로 되는 함침액을 투입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상기 함침액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친수성 고분자 0.3 ~ 2.8 중량%, 다가 알콜 1 ~40 중량%, 가교제 0.1 ~ 5 중량%, 겔화속도 조절제 0.1 ~ 5 중량%, 피부유효성분 0.1 ~ 20 중량%, 보존제 0.01 ~ 3 중량% 및 물 50~9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10 ~ 100 중량% 및 고흡수성 수지 0 ~ 90 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 대비 상기 가교제 및 상기 겔화속도 조절제를 제외하고 상기 물, 상기 다가 알콜, 및 상기 물과 상기 다가 알콜에 용해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의 중량비는 35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20~30℃의 온도범위에서 3 ~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은 다가 알콜, 피부유효성분 및 보존제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은 피부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만의 중량은 2 ~ 4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드로겔층의 중량은 400 ~ 4,0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이고, 상기 지지체의 두께 중량은 10 ~ 200 g/m2이며, 단위면적에 대하여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과 부직포의 중량 간의 중량비, 즉 (친수성 고분자 중량 / 부직포 중량)의 비율은 0.04 ~ 0.6이고, 단위면적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중량 / 부직포의 중량)의 비율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70022271A 2017-02-20 2017-02-20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889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271A KR101889984B1 (ko) 2017-02-20 2017-02-20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271A KR101889984B1 (ko) 2017-02-20 2017-02-20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984B1 true KR101889984B1 (ko) 2018-08-20

Family

ID=6344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271A KR101889984B1 (ko) 2017-02-20 2017-02-20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9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45A (ko) 2018-11-23 2020-06-02 엠제이 주식회사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KR102119625B1 (ko) * 2019-11-29 2020-06-05 주식회사 한국비노프 에리스리톨을 이용하는 해열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방법
KR20210000781A (ko) * 2019-06-25 2021-01-06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4912A (ko) * 2019-07-31 2021-02-10 최무순 수성겔 팩 제조방법
KR20210052717A (ko) 2019-10-30 2021-05-11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004A (ko) * 2014-11-11 2016-05-19 (주)뷰티화장품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004A (ko) * 2014-11-11 2016-05-19 (주)뷰티화장품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45A (ko) 2018-11-23 2020-06-02 엠제이 주식회사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KR20210000781A (ko) * 2019-06-25 2021-01-06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5832B1 (ko) * 2019-06-25 2021-02-16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4912A (ko) * 2019-07-31 2021-02-10 최무순 수성겔 팩 제조방법
KR102238576B1 (ko) * 2019-07-31 2021-04-08 최무순 수성겔 팩 제조방법
KR20210052717A (ko) 2019-10-30 2021-05-11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KR102119625B1 (ko) * 2019-11-29 2020-06-05 주식회사 한국비노프 에리스리톨을 이용하는 해열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984B1 (ko)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507301B1 (ko)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US6375963B1 (en) Bioadhesive hot-melt extruded film for topical and mucosal adhesion applications and drug delivery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10430859B (zh) 凝胶片
KR102078334B1 (ko)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필름 및 그 이의 제조 방법
KR101500987B1 (ko)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CN113827500A (zh) 化妆用凝胶薄膜及其制备方法
JP2019518001A (ja) ゲル充填美容マスク
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885086B1 (ko) 유효성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호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US9144670B2 (en) External preparation kit
KR20190067020A (ko)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50005972A (ko)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들을 포함하는 겔형 부정형체 및 상기 겔형 부정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761228B1 (ko)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00119128A (ja)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2272B1 (ko)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JP5361372B2 (ja) 身体貼付用シート剤
KR20160127551A (ko)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2276127B1 (ko) 엠보 하이드로겔 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3460969B2 (ja)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
JP2000212074A (ja) 多層ゲル構造生体用粘着シ―ト、これを用いた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KR102434543B1 (ko) 탄성력 및 밀착력이 향상된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70148219A1 (en) Liposomal Nanowater-Containing Patch-Type Nanodermal Gel for Transdermal Deli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309618B1 (ko)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61895A1 (ja) 冷却シート製造用粘着剤層組成物の製造方法、冷却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冷却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