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845A -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 Google Patents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845A
KR20200060845A KR1020180145913A KR20180145913A KR20200060845A KR 20200060845 A KR20200060845 A KR 20200060845A KR 1020180145913 A KR1020180145913 A KR 1020180145913A KR 20180145913 A KR20180145913 A KR 20180145913A KR 20200060845 A KR20200060845 A KR 2020006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ydrogel sheet
functional hydrogel
functional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현홍준
최원석
정수훈
Original Assignee
엠제이 주식회사
(주)영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제이 주식회사, (주)영케미칼 filed Critical 엠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0845A/ko
Publication of KR2020006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이드로겔이 갖는 제형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및 주름 개선능이 확인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용 분야에 적용 시 보다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대량으로 원료 수급이 가능하여 제품으로 제조 시 보다 제조 원가를 포함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피부 미용 분야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필요한 물성인 투습력, 점착력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 제품 적용성을 우수하다.

Description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FUNCTIONAL HYDROGEL SHEET INCLUDING AS EFFE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S OF NATURAL PRODUCTS}
본 발명은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hygdogel)이란, 수화겔이라고도 하며, 수용성 고분자가 물리적(수소결합, 반데르 발스 힘, 소수성 상호작용, 혹은 고분자의 결정) 혹은 화학적(공유결합)인 결합에 의해 3차원의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 망상구조로서, 수상환경에서 용해되지 않고 상당한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하이드로겔은 다양한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화학적 조성과 물성을 갖는다. 또한 가공이 용이하여, 응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복막 및 생체 내 여러 부분에서의 성공적인 응용에서 알 수 있듯이 하이드로겔은 높은 함수율(water content)과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과의 물리화학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높은 생체 적합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하여 하이드로겔은 의학과 약물학적, 미용적인 응용에 있어서 상당히 매력적인 물질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 미용제는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붙인 후 20 내지 30분의 단시간 이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피부 속으로 신속히 전달될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나 이를 위해서는 하이드로겔 내의 유효 성분이 피부 속으로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되는 특징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하이드로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한 겔 속의 유효한 화장 성분이 하이드로겔로부터 피부로 전달되는데 만족할 만한 양과 속도를 가지는 데에 한계를 가지게 됨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하이드로겔 내의 수분 및 유효성분이 증발되어 말라버려 효과를 누릴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이드로겔이 특유의 부착성과 습윤성이 좋다하여도 하이드로겔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함유량의 한계와 더불어 이러한 유효 화장 성분의 피부로의 전달 속도의 한계는 하이드로겔 피부미용제의 피부 침투 효율성에도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현대인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이에 따른 사람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화장품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그 중에서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의 효능이 뛰어난 기능성 화장품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간의 노화 현상 중 하나인 피부의 노화는 그 원인으로 크게 내적,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외적요인으로 태양광에 의한 UV 조사는 피부노화의 생리학적, 형태학적 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주름완화, 미백 등의 기능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functional cosmetics)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광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로겔을 시트로 하여 피부 미용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허문헌 1은, 이러한 하이드로겔 시트와 관련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가교제, 겔화속도 조절제, 다가 알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지지체에 코팅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에 코팅된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하이드로겔층에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도록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장봉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포장봉투에 물 또는 친수성 용액으로 되는 함침액을 투입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상기 함침액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폴리아크릴산 등의 친수성 고분자가 다량 함유된, 즉 화학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천연물을 사용한 하이드로겔화 화장료 조성물보다 부작용이 심할 가능성이 높아 수요자들에게 외면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추가적으로 다양한 미용 분야에 적용되기 위한 시트 자체의 물성이 확보되지 않아 제품 적용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998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것으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화학 성분으로 인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동시에 피부에 대한 주름 개선의 기능성까지 구비되었으며, 피부 미용 분야의 제품 적용성을 높이고자, 투습력, 점착력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까지 확보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베이스 시트층 및 하이드로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백수오, 하수오, 방풍, 백도라지, 백출, 석창포, 황금, 우슬, 작약, 반하, 봉의 꼬리, 넉줄고사리, 석송, 홀아비꽃대, 노루오줌, 맥문동, 오이풀, 쇠비름, 술패랭이, 바위취, 짚신나물, 창포, 쇠고비, 수국, 거북꼬리, 소리쟁이, 활나물, 천문동, 호장근, 황기, 진황정, 청미래덩굴, 수선화, 겨우살이 및 물푸레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수식 1]
투습력(%) ≤ 500
상기 투습력은,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ISO 1109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후, 면 소재로 제조된 시트의 투습도 100%를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를 하이드로겔 용액에 침지시키고, 겔화 및 건조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시트는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수식 2]
점착력(gf/㎜) ≥ 180
상기 점착력은, HC필름(린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CHC-PET188N1E1", HC층을 양면(E1 면 및 N1 면으로 표시)에 갖는 HC필름, E1 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 80도), 및 유리판(엔 에스 지 프레시젼 가부시키가이샤(NSG PRECISION CO., LTD.)제, 제품명 "코닝글래스 이글 XG", 물에 대한 접촉각 30도)을 피착체로서 준비한 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x 250㎜로 재단하고,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층의 면을, 상기 피착체에 각기 부착(HC필름은 E1면에 부착)한 후, 상기 HC필름에 부착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ORIENTEC)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따라 박리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gf/㎜)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수식 3]
인장강도((kg/㎜2) ≥ 0.5
상기 인장강도는,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ASTM D88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이드로겔이 갖는 제형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및 주름 개선능이 확인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용 분야에 적용 시 보다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대량으로 원료 수급이 가능하여 제품으로 제조 시 보다 제조 원가를 포함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피부 미용 분야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필요한 물성인 투습력, 점착력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 제품 적용성을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범위가 하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으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추출물"은, 원료 물질에 대한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열수 추출 과정을 통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용매에 상기 천연물 2종 이상의 시료를 용해시킨 후, 열수 추출 방식으로 25℃ 내지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감압농축하는 추출 과정을 통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 방법으로는 상기 언급한 열수 추출법 이외에,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천연물 복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백수오, 하수오, 방풍, 백도라지, 백출, 석창포, 황금, 우슬, 작약, 반하, 봉의 꼬리, 넉줄고사리, 석송, 홀아비꽃대, 노루오줌, 맥문동, 오이풀, 쇠비름, 술패랭이, 바위취, 짚신나물, 창포, 쇠고비, 수국, 거북꼬리, 소리쟁이, 활나물, 천문동, 호장근, 황기, 진황정, 청미래덩굴, 수선화, 겨우살이 및 물푸레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의 예시된 종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물을 모두 포함할 경우, 각각의 함량비는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연물 총 함량은 전체 하이드로겔 용액 대비 약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베이스 시트층 및 하이드로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천연물 복합 추출물과 함께 사용될 경우, 화학 성분을 포함함에 따른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측면에서는 천연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섬유는 레이온, 실크, 면, 마 등의 섬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섬유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락틱에시드 등의 섬유가 이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를 압착시켜 제조된 부직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를 호퍼의 하단으로 배출하여 상기 섬유를 압착롤에 통과시켜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정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를 형성한 이후 주착 및 접지되거나, 상기 베이스 시트를 형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를 형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시트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과 후술하는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코팅층에 함침시킨 후, 이를 고온 및 고압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가열 압착시킴으로써 하이드로겔 용액이 베이스 시트 상에 겔화와 동시에 건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름 개선능을 가지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 이외에도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 고분자는, 겔의 형태와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플루로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하이드로겔의 흐름성을 부여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이 피부에 밀착되고 미용제 또는 약제 등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가 알코올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의 중량비는 1:2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 고분자의 함량이 상술한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베이스 시트에 충분한 강도(빳빳함)를 부여할 수 없으며, 또한 부직포의 수분 보유력 및 수분 지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겔화 고분자의 함량이 상술한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겔화 고분자와 다가 알코올의 분산이 어려워지며, 점도가 매우 높아져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베이스 시트에 하이드로겔 용액을 균일하게 함침 및 분산시키는 공정의 수행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의 제조 공정은 하이드로겔이 적절한 겔화(gelation)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20℃ 내지 30℃의 상온 조건에서 겔화 고분자를 다가 알코올에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투습력(%) ≤ 500
상기 투습력은,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ISO 1109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후, 면 소재로 제조된 시트의 투습도 100%를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식 2]
점착력(gf/㎜ ) ≥ 180
상기 점착력은, HC필름(린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CHC-PET188N1E1", HC층을 양면(E1 면 및 N1 면으로 표시)에 갖는 HC필름, E1 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 80도), 및 유리판(엔 에스 지 프레시젼 가부시키가이샤(NSG PRECISION CO., LTD.)제, 제품명 "코닝글래스 이글 XG", 물에 대한 접촉각 30도)을 피착체로서 준비한 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x 250㎜로 재단하고,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층의 면을, 상기 피착체에 각기 부착(HC필름은 E1면에 부착)한 후, 상기 HC필름에 부착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ORIENTEC)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따라 박리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gf/㎜)을 말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3]
인장강도((kg/㎜2 ) ≥ 0.5
상기 인장강도는,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ASTM D88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주름 개선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으로의 적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오일이나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칸올, 폴리올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시클로도데칸, 이소옥탄,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시클로옥탄, 시클로펜탄, 스쿠알렌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마이크로리스탈린왁스, 비즈왁즈, 라놀린왁스, 오조케라이트왁스,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합성왁스 등의 왁스;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참기름, 밀배아유, 사플라워오일,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오일, 녹차씨오일, 마카다미아넛츠오일, 야자유, 로즈힙오일, 경화유, 아르간오일, 산자나무오일,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등의 천연오일; 및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오일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올리브오일,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리퀴드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슈가 에스텔·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다가알콜; 지방산의 에스텔계 피이지-8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9 메틸에테르디메치콘, 피이지-3 디메치콘 및 피이지-11 메틸에테르디메티콘을 포함하는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공중합체; 피이지/피피지-20/20 부틸에테르디메치콘 및 피이지/피피지-20/20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제; 및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및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알킬 사슬·실리콘 사슬 분기형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제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존제는, 예를 들면,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펜탄디올,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하이드로초산 또는 그 염류,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천연물 복합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백수오, 하수오, 방풍, 백도라지, 백출, 석창포, 황금, 우슬, 작약, 반하, 봉의 꼬리, 넉줄고사리, 석송, 홀아비꽃대, 노루오줌, 맥문동, 오이풀, 쇠비름, 술패랭이, 바위취, 짚신나물, 창포, 쇠고비, 수국, 거북꼬리, 소리쟁이, 활나물, 천문동, 호장근, 황기, 진황정, 청미래덩굴, 수선화, 겨우살이 및 물푸레나무 각각을 시료로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열수 추출 방식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온도는 약 5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을 하였다.
[제조예] 하이드로겔 시트 제작
상온 조건에서 3L 가열 용기에 천연물 복합 추출물 10g, 다가 알코올로 글리세린 170g, 겔화 고분자로 카라기난 10g 및 로카스트 빈검 20g을 교반하며 하이드로겔 용액 200g을 제조하였으며, 이후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을 함침조에 충진시키고, 함침롤을 이용하여 부직포(Tencel, 45g/m2를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이 담긴 함침조로 이동시켜 1분 내지 2분 동안 함침시켰다.
이후,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가열 압착롤로 이동시켜 겔화 및 건조시켰다. 이때, 상기 가열 압착롤은 온도 120℃, 압력 40kgf/cm2 및 회전속도 7m/분의 조건으로 운전되었으며, 상기 가열 압착롤을 통과한 부직포를 가열 압착시켜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하이드로겔 시트의 투습력 평가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에 대하여, 투습력은,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ISO 1109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후, 면 소재로 제조된 시트의 투습도 100%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의 투습력은 5회 측정으로 각각 551%, 558%, 532%, 554% 및 565%로 산출되었다.
[실시예 2] 하이드로겔 시트의 점착력 평가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에 대하여, 점착력 평가는 아래와 같이 수행되었다.
상기 점착력은, HC필름(린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CHC-PET188N1E1", HC층을 양면(E1 면 및 N1 면으로 표시)에 갖는 HC필름, E1 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 80도), 및 유리판(엔 에스 지 프레시젼 가부시키가이샤(NSG PRECISION CO., LTD.)제, 제품명 "코닝글래스 이글 XG", 물에 대한 접촉각 30도)을 피착체로서 준비한 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x 250㎜로 재단하고,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층의 면을, 상기 피착체에 각기 부착(HC필름은 E1면에 부착)한 후, 상기 HC필름에 부착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ORIENTEC)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따라 박리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점착력(gf/㎜)은, 5회 측정 186, 199, 184, 182 및 20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하이드로겔 시트의 인장강도 평가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에 대하여, 인장강도는,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ASTM D88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인장강도(kg/㎜2)은, 5회 측정 0.8, 1.1, 1.5, 1.4 및 1.1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이드로겔이 갖는 제형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및 주름 개선능이 확인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용 분야에 적용 시 보다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대량으로 원료 수급이 가능하여 제품으로 제조 시 보다 제조 원가를 포함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피부 미용 분야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필요한 물성인 투습력, 점착력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 제품 적용성을 우수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베이스 시트층 및 하이드로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은 백수오, 하수오, 방풍, 백도라지, 백출, 석창포, 황금, 우슬, 작약, 반하, 봉의 꼬리, 넉줄고사리, 석송, 홀아비꽃대, 노루오줌, 맥문동, 오이풀, 쇠비름, 술패랭이, 바위취, 짚신나물, 창포, 쇠고비, 수국, 거북꼬리, 소리쟁이, 활나물, 천문동, 호장근, 황기, 진황정, 청미래덩굴, 수선화, 겨우살이 및 물푸레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수식 1]
    투습력(%) ≤ 500
    상기 투습력은,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ISO 1109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후, 면 소재로 제조된 시트의 투습도 100%를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를 하이드로겔 용액에 침지시키고, 겔화 및 건조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코팅층은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수식 2]
    점착력(gf/㎜) ≥ 180
    상기 점착력은, HC필름(린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CHC-PET188N1E1", HC층을 양면(E1 면 및 N1 면으로 표시)에 갖는 HC필름, E1 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 80도), 및 유리판(엔 에스 지 프레시젼 가부시키가이샤(NSG PRECISION CO., LTD.)제, 제품명 "코닝글래스 이글 XG", 물에 대한 접촉각 30도)을 피착체로서 준비한 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x 250㎜로 재단하고,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층의 면을, 상기 피착체에 각기 부착(HC필름은 E1면에 부착)한 후, 상기 HC필름에 부착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ORIENTEC)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따라 박리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gf/㎜)을 말한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하기 [수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수식 3]
    인장강도((kg/㎜2) ≥ 0.5
    상기 인장강도는,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ASTM D882 과정을 통하여 측정한 값이다.
KR1020180145913A 2018-11-23 2018-11-23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KR20200060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13A KR20200060845A (ko) 2018-11-23 2018-11-23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13A KR20200060845A (ko) 2018-11-23 2018-11-23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45A true KR20200060845A (ko) 2020-06-02

Family

ID=7109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913A KR20200060845A (ko) 2018-11-23 2018-11-23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8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84B1 (ko) 2017-02-20 2018-08-20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84B1 (ko) 2017-02-20 2018-08-20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checo et al. Bacterial cellulose skin masks—Properties and sensory tests
KR10095584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가지는 미용 조성물
US9849089B2 (en) Hydrogel particle coated with lip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55150B1 (ko)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70077215A (ko) 피부 표면으로 활성 작용제의 전달을 위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KR102555803B1 (ko)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1995017175A1 (en) Antimicrobial wipe compositions
KR101240254B1 (ko) 하이드로겔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8451B1 (ko)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용 조성물 및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US9693934B2 (en) Cosmetic tissue comprising microemulsion particles,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CN105456057A (zh) 一种具有慕斯质地的锁水保湿组合物
KR20200011322A (ko)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CN109998947A (zh) 不含防腐剂的银耳护肤冻干面膜及其制备方法
CN115006265A (zh) 一种分离式凝胶面膜
CN105310893A (zh) 一种凝水面膜及其生产方法
Suksaeree et al. Use of isolated pectin from a Cissampelos pareira-based polymer blend matrix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nicotine
KR101070819B1 (ko)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CN105686971A (zh) 一种聚氨基酸凝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60837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TW201244742A (en) External agent kit
EP3777825A1 (en) Composition of freeze-dried formulation, cosmetic kit for external use on skin including the same, and its use
KR20200060845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하이드로겔 시트
KR101133816B1 (ko) 필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839826B1 (ko) 천연보습인자를 담지한 각질세포 모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