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81A -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81A
KR20210000781A KR1020190075593A KR20190075593A KR20210000781A KR 20210000781 A KR20210000781 A KR 20210000781A KR 1020190075593 A KR1020190075593 A KR 1020190075593A KR 20190075593 A KR20190075593 A KR 20190075593A KR 20210000781 A KR20210000781 A KR 20210000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weight
mask pack
acryla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832B1 (ko
Inventor
심재만
조은정
김광우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07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8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함으로써,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기능적으로 중금속의 흡착성이 향상되면서 피부에 붙였다가 떼어 낼 때에 점착성과 박리성이 향상되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Hydrogel mask pack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금속의 흡착 기능을 가지면서 피부에 붙였다가 떼어 낼 때에 사용성이 향상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팩은 일반적으로 피부의 보습, 노폐물 제거, 미백 또는 피부 건강 증진 등 피부 건강을 위하여 지지체 시트에 액체 또는 젤 성분의 기능성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켜 피부에 장시간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제품을 말하는 것이다.
마스크 팩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용 시트는 주로, 주로 코튼이나 펄프에서 나온 식물 셀룰로오스 섬유나 혹은 합성 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화장 유액의 담수체 겸 마스크 모양의 지지체로 사용한다. 이때 적용하는 부직포의 재질이나 종류, 원재료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감과 효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섬유 부직포 외에도 다양하고 독특한 재질의 지지체들이 화장 유액의 담수체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감, 착용감, 효능 등에 있어서 차별화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습윤 상태가 지속할 수 있는 재료로서 상처드레싱, 콘텍트렌즈, 약제 또는 미용제 전달매체, 보형물, 폐수처리제 등 그 적용 분야도 다양하다. 하이드로겔은 정제수를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가진다. 또한, 하이드로겔은 함유된 물질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방출특성(Controlled Release)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은 아가로스, 알지네이트, 잔탄검, 구아검, 한천 등과 같은 친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가 물리화학적 결합에 의해 3차원 매트릭스를 형성한 것으로서, 물을 용매로 팽윤한 수용성 하이드로겔을 재료로 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6776호(발명의 명칭: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부직포와 같은 다공질재로 구성되어 통기성 및 가요성을 갖는 기재층과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팩제층으로 구성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제가 기재되어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제는 보수, 유연화 및 에센스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짧은 점착시간 안에 우수한 각질제거 및 수분공급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피부로부터의 박리시에 팩제의 피부 잔존도가 거의 없어 이를 제거하는 수고와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건조, 자외선, 오염 및 스트레스에 의해 형성된 피부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하고 각질을 제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래도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기능을 더욱 향상하거나 다양화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마스크팩에 함유되는 성분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기술개발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개량하여 다양한 기능를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도포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5~15 중량%, 친수성 고분자로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3~5 중량%, 폴리아크릴산 1~3 중량%, 겔화속도 조절제로서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 0.2~1 중량%, 겔화고분자로서 알긴산나트륨 0.5~1 중량%, 겔화고분자로서 셀룰로오스검 0.1~0.5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함으로써,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기능적으로 중금속의 흡착성이 향상되면서 피부에 붙였다가 떼어 낼 때에 점착성과 박리성이 향상되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시트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도포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친수성 고분자로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겔화속도 조절제로서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 겔화고분자로서 알긴산나트륨 0.5~1 중량%, 겔화고분자로서 셀룰로오스검 0.1~0.5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보습제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습윤상태를 유지하고 수분의 휘산성을 향상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데,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함량이 5 ~ 15 중량%이며, 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마스크팩이 얼굴에 부착될 때에 딱딱한 피막을 형성하여 쉽게 떨어져 부착력이 저하하고, 함량이 많을 경우에는 피막 형성이 어렵고 마스크팩 사용 후에 얼굴에 끈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친수성 고분자로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는 자기 분자량의 약 800배까지의 수분 함유력을 갖고 있으며,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외관과 보습력을 부여하는 중요한 성분이며, Na 치환도가 50% 이상일 경우에는 점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 5 중량%로 첨가될 수 있는데, 이때 3 중량% 미만일 경우에 원하는 점착성을 나타낼 수 없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 점성이 너무 높아지거나 겔화 고분자 사이에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트랩핑되면서 겔화를 방해하여 유동하면서 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은 고분자 중합체로서, 1~3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아크릴산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폴리아크릴산이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 겔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의 방출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겔화속도 조절제는 예를 들면, 금속이온에 대하여 킬레이트(chelate)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EDTA),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EDTA-2Na), 시트르산칼슘, 시트르산나트륨, 이들의 유기산염, 이들의 유기염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EDTA-2Na가 좀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겔화속도 조절제는 하이드로겔의 안정성과 제품의 경도의 관점에서 0.2 ~ 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겔화고분자는 예를 들면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셀룰로오스검, 플루로닉, 아가, 알긴,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잔탄, 젤란 등을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검과 알긴산나트륨일 수 있다.
알긴산은 주로 다시마, 미역 등 갈조류 해초에 30-35% 이상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서 주로 Alginate가 주성분이다. 특히 희석 알카리로서 정제 탄수화물인 알긴에이트는 D-mannuronic acid와 L-guluronic acid의 천연 고분자이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도 없으며, 미세한 노란빛이 도는 흰색 분말로서, 용해시 콜로이드성 점성액을 형성한다. 알긴산은 주로 alginic acid의 Na로 구성되어 있다. 알긴산은 (1,4)-결합된 β-D-mannuronopyranosyl 그리고 α-Lgluronopyranosyl 단위로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즉, O-(α-L-gulopyranosyluronic acid)-(1->4)-O-(α-L-gulopyranuronic acid-(1->4)-O-(α-L-gulopyranosyluronic acid)-(1->4)-O-(α-L-gulopyranuronic acid-(1->4)-O-(α-L-gulopyranosyluronic acid)와 O-(β-D-mannopyranosyluronic acid)-(1->4)-O-(β-D-maaopyranuronic acid-(1->4)-O-(β-D-mannopyranosyluronic acid). 이러한 화학적 구조는 균일, 불균일 고분자성 절차로 되어 있다. 또한, 알긴산은 각 카르복실릭 에시드기가 유리되도록 1-D-Mannuronic acid 잔기로 건조형을 계산하면 평균 당량중량 22.00, sodium alginate을 90.8-106.0% 함유한다.
천연고분자인 알긴산(alginic acid)은 미역, 다시마에 분포되어 있으며, 지구상에서 셀룰로오스 다음으로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 물질로 D-mannuronic acid와 L-guluronic acid로 형성된 고분자이다. 잔기가 직쇄상으로 2,000-3,000 잔기 이상이 β-1,4 결합한 화합물이다. 알긴산 용도로는 고분자 응집제, 화장품 첨가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식품첨가제, 의약품,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다양한 용도로 실용화되고 있는 항균활성을 갖는 천연제제다.
알긴산나트륨은 백색 내지 엷은 노란색을 띤 섬유상, 알갱이, 과립 또는 분말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물에 녹으면 점성이 있으며, 증점제 및 안정제로서 기능을 한다. 알긴산나트륨의 수용액은 고온에서는 점도가 저하되나 80℃ 이하에서는 점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알긴산나트륨 0.5~1 중량%, 셀룰로오스검 0.1~0.5 중량%인 것이 하이드로겔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금속 흡착성의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로부터 박리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 금속 흡착제를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흡착제는 폴리아크릴아민을 2황화탄소로 가교시켜 제조되는데, 티오우레아(-NHCSNH-) 골격을 가지도록 가교된 하이드로겔 폴리아크릴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흡착제는, 폴리아크릴아민의 수분산액(함량 40 ~ 60 중량%)에 원하는 가교도가 이루어지도록 2황화탄소를 가하고, 수산화칼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서 상온 ~ 50℃에서 교반을 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크릴아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금속 흡착에 사용되도록 10,000 ~ 100,000이 바람직하다.
2황화탄소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금속 흡착에 사용되도록 폴리아크릴아민의 반복 단위당 10 ~ 2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교도가 10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흡착제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0~1 중량% 함유될 수 있는데, 1 중량%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너무 강해져 피부로부터 박리가 용이하지 않고 마스크팩 사용 후에 얼굴에 끈적임이 발생할 수 있고, 수분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고유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점착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성분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점착부여제 및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관능성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관능성 모노머와 제3 성분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데실, 아크릴산이소데실,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이소데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및 메타크릴산스테아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관능성 모노머는, 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일 수 있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등이 있고,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피롤리돈이고,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아크릴 아미드, 디메틸 아크릴 아미드, 디에틸 아크릴 아미드 등이 있고,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서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 할 수 있는 관능성 모노머의 함유율은 5 ~ 2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함유율이 5 몰% 미만이면 가교점으로서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기 어려우므로 가교제를 첨가하여 반응시켜도 점착제에서 충분한 가교를 얻을 수 없으며, 20 몰%를 초과하면 조성물을 배합하거나 도포할 때에 가교제를 첨가한 점착제가 쉽게 겔화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로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일 예로는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아디핀산디옥틸, 디옥탄산헥사데실, 올레인산에틸, 올레인산디글리세리드, 올레인산트리글리세리드, 올레인산데실, 옥탄산세실, 카프릴산디글리세리드, 카프릴산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릭산디글리세리드, 카프릭산트리글리세리드, 호박산디옥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부틸, 스테아린산옥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옥틸, 세바신산디에틸, 트리아세틴, 팔미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옥틸, 모노팔미틴산소르비탄,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라우릴산헥실, 리놀디글리세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성분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가 60~80 중량%, 상기 공중합체가 유연한 점착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점착부여제가 15~30 중량% 및 공중합체의 응집력을 향상하는 가교제 1~10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수분을 흡수하지만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베이스 폴리머가 조성물에서 수분을 함유하여 응집력을 잃고 점착성이 높아져 피부에서 박리시 잔존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가 60 중량% 미만이면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피부에서 박리시 잔존감이 발생할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점착 성분의 응집력과 점착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점착부여제가 15 중량% 미만이면 베이스 폴리머에 유연한 점착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강해지고 유동성이 높아져 형태가 유지되기 어렵고 이행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에폭시, 다가 금속염,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에틸렌이민 및 에틸렌티오우레아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다가 금속염은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칼륨설포네이트, 칼슘클로라이드, 마그네슘클로라이드 등에서 선택된다.
가교제에 의해 폴리머를 고체화하여 일정한 응집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형태가 유지되면사도 유연성을 가지고 점착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가교제 1 중량% 미만이면 폴리머를 충분히 가교하는 것이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점착력이나 응집력이 너무 저하하고 경시적 물성 변화가 크게 된다.
상기 점착 성분은 점착부여제에 의해 부드럽고 유연한 점착성을 나타내면서도 가교제에 의해 이러한 점착성이 유지되면서도 점착 성분이 응집력을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와 접촉해도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피부로부터의 박리시에 자극이 없고 박리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베이스 폴리머로서 저자극성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와 수용성 고분자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사용되어, 화학적 자극이 적으므로 피부에 오랫동안 붙여도 짖무름 등 피부를 자극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조성물이 너무 끈적이지 않으면서도 유연한 점착성을 발휘하여 굴곡진 피부에 부드럽고 용이하게 부착되는 추종성으로 인해 우수한 착용성과 피착체의 움직임에도 하이드로겔 층이 밀리지 않고 피부에서 자연 박리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0~2 중량% 함유될 수 있는데, 2 중량%를 초과하면 수분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고유의 특성이 저하되고 피부와의 접착력이 저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상기 조성물을 시트에 도포하는 것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시트는, 필름, 직포, 편포, 부직포, 종이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는 소정의 통기성 및 유연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다공성 재료를 사용한다. 다공성 재료는 비섬유성 또는 섬유성 다공성 재료로 나뉘는데, 비섬유성 다공성 재료로는 발포체, 각종 다공성 필름 또는 메시(mesh)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섬유성 다공성 재료로는 직편물, 부직포, 종이류 및 단섬유의 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정의 접착력으로써 접합(접착)되는데,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물질이 시트에 함침 또는 매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와 조성물 층 사이에 높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피부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조성물의 일부가 피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점증제, 보존제, 부형제, 자극완화제, 방부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 등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제조예 1]
폴리아크릴아민 수분산액(Polyment NK-100PM, 일본촉매(주), 일본)에 2황화탄소를 폴리아크릴아민의 반복 단위당 15 mol%가 되도록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을 했다. 이어서 수산화칼륨을 가하여 40℃에서 2시간 교반을 했다. 얻어진 반응물을 디에틸에테르에 3일간 침지하여 미반응 2황화탄소를 제거했다.
한편, 미반응 폴리아크릴아민과 칼륨염은 물에 의한 Soxhlet 추출로 제거했다. 반응물은 60℃에서 진공 건조하여 티오우레아 골격을 가지도록 가교된 폴리아크릴아민의 건조 겔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반응기에 아크릴산 2-에틸 헥실 45g, 아크릴산 부틸 50g 및 아크릴산 5g을 투입하고, 이렇게 투입된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80℃로 가열하고, 반응계가 70℃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중합 개시제 용액(0. 2%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용액)을 5시간 걸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고형분 6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이 점착제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스테아린산부틸 30g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g을 가하여 혼합하고 건조하여 점착 성분을 얻었다.
[실시예 1]
믹서에 글리세린 120g,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40g, 폴리아크릴산 20g, 알긴산나트륨 9g 및 정제수 804g을 투입하고 상온에서부터 교반하여 80℃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교반하면서 충분히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분산액에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EDTA-2Na) 5g과 셀룰로오스 검 2g을 투입하여 서서히 교반하면서 충분히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50℃에서 레이온 부직포 시트에 도포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4]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성분과 투입순서를 하기 표 1과 같이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3]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성분을 하기 표 1과 같이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분산액 제조 단계 글리세린 120 120 120 120 120 120 12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40 40 40 40 40 40 40
폴리아크릴산 20 20 20 20 20 20 20
알긴산나트륨 9 9 9 9 0 9 9
정제수 804 795 794 785 813 789 779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 셀룰로오스검 2 2 2 2 2 2 2
EDTA-2Na 5 5 5 5 5 5 5
금속 흡착제(제조예 1의 성분) 0 9 0 9 0 15 0
점착 성분
(제조예 2의 성분)
0 0 10 10 0 0 25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수치의 단위는 g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해 하기와 같은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1. 중금속 흡착성능
100㎎/㎏ 농도의 구리, 납, 철 용액 100mL에 하이드로겔 조성물 2g을 넣고 25℃, 100rpm의 shaker에 넣고 경과 시간마다 용액을 채취하여 ICP-MS로 중금속 함량을 측정한다.
2. 밀착감, 자극감 및 피부로부터 박리감은 관능평가에 의해 5점 척도법(5: 매우 만족, 4: 만족, 3: 보통, 2: 불만족, 1: 매우불만족)으로 평가한다.
3.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피부 잔존성
세안을 한 후에 사람의 얼굴에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점착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유지한다. 그 후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피부로부터 박리하고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물질이 피부에 잔존하는 정도(피부에 대한 잔존 면적)를 조사한다.
잔존율(%) = (피부에 잔존한 면적 / 점착한 면적) X 100
평가기준 = X: 6% 초과, △: 3% 초과 ~ 6%, ○: 1% 초과 ~ 3%, ◎: 1% 이하
4. 하이드로겔 강도
강도는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폭 50mm, 길이 50mm인 원통형의 시료로 준비한다. 압축강도 측정 조건은, 아답타는 직경 10mm이고, 진입(입장)거리는 15mm, 로드셀 최대응력은 10kg(최대 20kg)로 한다.
시간 변화에 따른 중금속 함량(㎎/㎏)
구분 0분 15분 30분 60분
구리 실시예 1 100 99.741 99.352 98.975
실시예 2 100 96.655 92.423 88.098
실시예 4 100 96.577 92.529 87.082
비교예 1 100 99.991 99.986 99.956
실시예 1 100 96.676 92.021 86.724
실시예 2 100 94.213 86.324 78.020
실시예 4 100 94.097 85.907 76.135
비교예 1 100 99.238 98.722 97.003
실시예 1 100 78.769 51.321 18.716
실시예 2 100 79.012 50.701 16.448
실시예 4 100 79.081 49.288 16.740
비교예 1 100 98.672 97.015 95.126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밀착감 4.0 4.1 4.4 4.3 3.5 4.1 3.5
자극감 4.3 4.2 4.4 4.5 3.9 3.6 4.3
박리감 4.1 4.0 4.5 4.3 3.4 3.2 4.1
잔존성
겔 강도
(㎏/㎠)
5.5 6.4 8.2 8.7 4.8 7.2 8.9
상기 표 2 및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중금속의 흡착성능이 향상되면서 동시에 피부에 붙였다가 떼어 낼 때에 사용감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된다.

Claims (7)

  1. 시트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도포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5~15 중량%, 친수성 고분자로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3~5 중량%, 폴리아크릴산 1~3 중량%, 겔화속도 조절제로서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 0.2~1 중량%, 겔화고분자로서 알긴산나트륨 0.5~1 중량%, 겔화고분자로서 셀룰로오스검 0.1~0.5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금속 흡착제로서, 가교된 하이드로겔 폴리아크릴아민을 0~1 중량% 더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흡착제는 폴리아크릴아민을 2황화탄소로 가교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가 60~80 중량%,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점착부여제가 15~30 중량%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칼륨설포네이트, 칼슘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클로라이드 등에서 선택된 가교제 1~10 중량%를 함유한 점착 성분을 0~2 중량% 더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관능성 모노머의 공중합체로서,
    상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디실, 아크릴산이소디실,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이소디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및 메타크릴산스테아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관능성 모노머는,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타콘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필름, 직포, 편포, 부직포, 종이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7. 상기 제 1항 내지 6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사용하되,
    상기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 셀룰로오스검, 금속 흡착제 및 점착 성분을 제외한 성분을 혼합하고 상온에서부터 교반하여 80℃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교반하면서 충분히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 용액에 상기 디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씨드, 셀룰로오스검, 금속 흡착제 또는 점착 성분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50℃에서 시트에 도포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190075593A 2019-06-25 2019-06-25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93A KR102215832B1 (ko) 2019-06-25 2019-06-25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93A KR102215832B1 (ko) 2019-06-25 2019-06-25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81A true KR20210000781A (ko) 2021-01-06
KR102215832B1 KR102215832B1 (ko) 2021-02-16

Family

ID=7412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93A KR102215832B1 (ko) 2019-06-25 2019-06-25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799B1 (ko) 2021-03-26 2021-11-02 한석영 다회분 케이스 타입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842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KR20150108771A (ko) * 2014-03-18 2015-09-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1889984B1 (ko) * 2017-02-20 2018-08-20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842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KR20150108771A (ko) * 2014-03-18 2015-09-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1889984B1 (ko) * 2017-02-20 2018-08-20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832B1 (ko)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331B2 (en) Composition for cushions, wounds dressings and other skin-contacting products
US8124675B2 (en) Adhesive composition
CN1182878C (zh) 超吸水性聚合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5064653A (en) Hydrophilic foam compositions
JP3537900B2 (ja) ポリビニルピロリドンとキトサンとの相互作用で形成されるゲル
CA1305069C (en) Wound dressings in sheet or gelled paste form
EP1830897B1 (en) Multi-purpose adhesive composition
US6444199B1 (en) Solid borate-diol interaction products for use in wounds
WO2000027358A2 (en)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two acid-functional vinyl polymers
EP1791575A2 (en) Adhesive composition
TW201534348A (zh) 水溶性玻尿酸凝膠及其製造方法
JPS60212162A (ja) 吸収剤
JP2648760B2 (ja) 生分解性及び高吸水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不織布及びその用途
US20060068014A1 (en) Ionic hydrogels with controlled aqueous fluid absorption
KR102215832B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3097727A1 (en) Hydrophilic foam composition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JPWO2007083672A1 (ja) 繊維処理剤、繊維処理方法、この繊維処理剤により処理された繊維および布帛
JP5688578B2 (ja) 粘着性ゲル
JP3668587B2 (ja) 医療用粘着製剤
CA2936020A1 (en) Hydrogel matrix having a non-uniform distribution of oxygen containing cells
KR102281358B1 (ko) 의료용 실리콘 겔 조성물 및 제조방법
Hassan Methods of Polysaccharides Crosslinking: Future-Promising Crosslinking Techniques of Alginate Hydrogels for 3D Printing in Biomedical Applications
JP3781469B2 (ja) 可塑化された架橋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3539572B2 (ja) 医療用導電性媒体
JP2003265629A (ja) 磁気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