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228B1 -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228B1
KR101761228B1 KR1020160101026A KR20160101026A KR101761228B1 KR 101761228 B1 KR101761228 B1 KR 101761228B1 KR 1020160101026 A KR1020160101026 A KR 1020160101026A KR 20160101026 A KR20160101026 A KR 20160101026A KR 101761228 B1 KR101761228 B1 KR 10176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kin
rubber
shee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홍성훈
김민석
Original Assignee
해브앤비(주)
(주)엔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브앤비(주), (주)엔코스 filed Critical 해브앤비(주)
Priority to KR102016010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로서,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제조방법은 (a)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물을 가온,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하필름에 이송하여 소정 두께의 시트타입으로 형성한 다음 냉각하는 단계; (c) 냉각된 시트타입의 고무제품을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d) 성형된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를 진공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번거롭게 섞거나 펴 바를 필요없이 간편하게 피부에 입체적으로 밀착되게 붙일 수 있으며,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료가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고, 피부에 화장료의 유효성분과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보조할 뿐만 아니라, 피부 쿨링효과로 피부온도를 낮춰줌으로써 모공 수축에 따른 노폐물 제거와 피부 진정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Sheet-type lubber mask for cosmetics, and Method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며, 수분방지 기능이 있어 화장료가 피부에 흡습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함과 동시에 노폐물 제거와 쿨링에 의해 피부 진정 효과를 주는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에서 시트(sheet) 타입 마스크의 경우, 화장료를 손으로 얼굴에 바를 필요 없이 얼굴 형태로 제작된 시트를 붙여 보습 및 청정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일체로 된 1장으로 된 시트나 상, 하단의 2장으로 나뉜 시트, 눈밑, 눈가, 입가 등의 특정 부위에 맞춘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를 함침한 시트 마스크에는 흡수성이 좋은 코튼을 주성분으로 한 부직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코튼제 부직포는 굴곡이 많은 안면 부위에 밀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흡수력 등의 조절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한 방안으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폴리락틱에시드(PLA) 등의 다양한 합성 부직포나 이들을 혼용하여 밀착감 및 흡수력 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부드럽고 독특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제2008-095223호에는 두 외각층이 극세섬유로 된 3층구조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부드러움과 촉감이 뛰어나다는 것을 소개하고 있으나, 극세섬유의 소재인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스터(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친수성이 아니므로 액상 화장료의 흡수성이 떨어져 화장료를 함침해야 하는 시트로서의 사용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88228호와 한국공개특허 제2009-014693호에는 제조된 시트의 흡수성을 올리기 위하여, 친수성 부직포와 극세 부직포를 합지하거나, 친수성 부직포 위에 극세 섬유를 전기방사하는 2층구조를 소개하고 있으나, 이 역시 극세섬유의 흡수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화장료를 함침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함과 동시에 노폐물 제거와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주기 위하여 마스크시트 사용 이외에 미용팩을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와 같은 미용팩으로, 구비된 구성원료를 섞은 후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를 얼굴 등의 피부에 직접 펴 바르는 것이 있으나,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를 고르게 도포하여 바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하는 양의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팩을 한 후에 잔여물의 처리에도 번거로움이 있으며, 바르는 속도에 따라 빨리 굳어버리는 문제, 사용시 액상원료에 개서 사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561032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시트형태로 된 미용팩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것 역시 후면에 이형지가 부착된 부직포의 전면에 페이스트 화장료를 도포부착시키고 그 위에 이형지를 부착시킨 것으로, 사용시 부직포를 통해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화장료가 부직포내의 공극에 스며들면서 얼굴피부에 충분한 양의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붙이는 마스크 시트들은 마스크 시트 자체에서 피부미용성분이 용출되어 피부에 흡수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피부와의 밀착력이 떨어지고, 부착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스크 시트를 통해 수분이 증발되어 화장료의 영양성분이 충분하게 피부에 흡수될 수 없고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구조였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8-09522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88228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01469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6103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번거롭게 섞거나 펴 바를 필요없이 피부에 입체적으로 밀착되는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제품, 특히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를 제공하여,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가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함과 동시에 모공수축에 따른 노폐물 제거와 쿨링에 의한 피부진정 효과를 주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붙이는 시트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에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0.1-20중량%, 다가 알코올은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는 0.1-10중량%, 겔화 보조제는 0.1-10중량% 및 물 30~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에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Guar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젤란검(Gellan Gum),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타마린드씨검(Tamarindus Indica Seed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소듐카라기난(Sodium Carrageenan), 카라기난 가루(Chondrus Crispus Powder), 카라기난추출물(Chondrus Crispus Extract), 칼슘카라기난(Calcium Carrageenan), 로커스트빈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Locust Bean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아가(Agar), 글루코만난(Glucomannan), 만난(Mannan), C1-5알킬갈락토만난(C1-5 Alkyl Galactomannan), 알진(Algin),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프로필렌글라이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롤라이즈드알진(Hydrolyzed Algi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에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알란토인 (Allantoin), 트레할로스 (Trehalose),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세라마이드3 (Ceramide3), 비트루트레드 (적색 ; Beetroot Red), 천연소재 추출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에서,
상기 겔화 보조제는,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칼슘설페이트 (Calcium Sulf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색채를 표현하는 천연소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수방지능과 밀착력 및 보습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은,
(a)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물을 가온,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하필름에 이송하여 소정 두께의 시트타입으로 형성한 다음 냉각하는 단계;
(c) 냉각된 고무제품을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d) 성형된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를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는,
(a-1) 기능성 첨가제 0.1-10중량%에 물 30-99중량%를 첨가한 다음 40~80℃로 가온하며 교반 혼합하는 단계; 및
(a-2)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 물의 교반 혼합액에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겔화 보조제 0.1-10중량%를 투입하고, 40~80℃로 가온하며 교반 혼합시켜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는,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40~80℃로 유지하면서 탈착이 용이한 하필름으로 이송하고 상기 하필름위에 0.1mm ~ 5mm 두께로 판상의 시트를 형성한 다음, 10~25℃의 온도로 냉각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에서,
상기 성형된 시트타입 고무마스크는 일체형 마스크 또는 양분형 마스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이수가 방지되고 밀착력과 보습능을 구비한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피부에 붙이는 시트타입이며, 팩제형, 고무팩제형, 마스크제형, 고무시트제형, 마스크팩제형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팩은 붙이는 시트타입 또는 마스크형 시트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는 번거롭게 섞거나 펴 바를 필요없이 간편하게 피부에 입체적으로 밀착되게 붙일 수 있으며,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료가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고, 피부에 화장료의 유효성분과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보조할 뿐만 아니라, 피부 쿨링효과로 피부온도를 낮춰줌으로써 모공 수축에 따른 노폐물 제거와 피부 진정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와 종래의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마스크 자체를 피부에 부착시 느껴지는 쿨링감 비교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와 종래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자체 및 화장료(1제)를 개제했을때 수분 증발율을 비교한 결과 그래프,
도 3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의 일 실시예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와 종래의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마스크 자체를 피부에 부착시 느껴지는 쿨링감 비교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와 종래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자체 및 화장료(1제)를 개제했을때 수분 증발율을 비교한 결과 그래프, 도 3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의 일 실시예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도 3에서 양분형 마스크 형상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고무마스크 제품은 붙여질 피부 위치에 따라 그에 맞게 성형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일체로 된 마스크 형태나 상하로 양분된 마스크 형태, 얼굴의 각 부분(예:눈가, 입주변, 코주변, 뺨 부분, 얼굴 외곽라인 등)에만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4가지 색으로 구현된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채로 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별도의 지지역할을 하는 부직포나 면섬유 등과 같은 지지체 또는 메쉬구조체 없이 시트형상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고무마스크는 통상의 마스크시트와 같이 얼굴피부에 밀착되게 붙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품은 화장용 고무팩에 사용되는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 또는 '시트타입의 고무팩' 또는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팩' 또는 '고무팩시트' 또는 '고무마스크시트' 또는 '고무시트'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얼굴 피부에 붙이는 시트타입 팩제형이거나, 시트타입 고무팩제형, 시트타입 고무마스크팩제형, 시트타입 마스크제형, 시트타입 고무시트제형, 시트타입 마스크팩제형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고무팩은 붙이는 시트타입 또는 마스크형 시트타입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형의 시트타입 화장용 고무마스크나 고무팩, 고무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고무팩, 고무시트는,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 0.1-10중량%, 겔화 보조제 0.1-10중량% 및 잔류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Guar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젤란검(Gellan Gum),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타마린드씨검(Tamarindus Indica Seed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소듐카라기난(Sodium Carrageenan), 카라기난 가루(Chondrus Crispus Powder), 카라기난추출물(Chondrus Crispus Extract), 칼슘카라기난(Calcium Carrageenan), 로커스트빈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Locust Bean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아가(Agar), 글루코만난(Glucomannan), 만난(Mannan), C1-5알킬갈락토만난(C1-5 Alkyl Galactomannan), 알진(Algin),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프로필렌글라이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롤라이즈드알진(Hydrolyzed Algi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겔화 고분자가 총 중량 대비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점성을 얻을 수 없어 형태 유지가 어렵고 탄력성이 없어 붙이는 시트형 고무마스크로써 제조상 어려움이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의 강도가 높은 반면 유연성이 낮아지므로 피부에 밀착력이 떨어져 고무마스크로써의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된다.
또한,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이 총 중량 대비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화 고분자의 분산이 어려워 마스크 시트의 형태를 갖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쿨링감을 주지 못하게 되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물의 함량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알코올의 휘발성질로 인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수분이 증발되고 그로 인하여 겔의 강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마스크가 건조해지며 피부에 밀착력도 떨어지고 보습유지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첨가제로는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는 살균보존제, 결합제, 보습제, 피막형성제, 피부보호제, 피부컨디셔닝제, 천연색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알란토인 (Allantoin), 트레할로스 (Trehalose),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세라마이드3 (Ceramide3), 비트루트레드 (적색 ; Beetroot Red), 각종 천연소재 추출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첨가제가 총 중량 대비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기능성 성분이 갖는 보습, 살균, 피부보호 등의 효과가 거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량 대비 증진효과가 없고 더욱이 피부자극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도 3의 (a),(b),(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효과와 대응되는 색채를 다양하게 연출하도록 기능성 첨가제에 녹조류 추출물, 강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 추출물 등 다양한 천연 소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겔화 보조제는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칼슘설페이트 (Calcium Sulf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겔화 보조제로써 칼슘락테이트나 칼슘설페이트는 겔화 고분자를 응고시키고 구성원료의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최종 제품에서의 이수현상을 방지하고 구성원료 성분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외에 칼슘락테이트와 칼슘설페이트는 표피 위에 축적된 각질을 박리효과에 의해 부드럽게 제거함으로써 매끄러운 피부결 관리에 도움을 주고, 피부에 긴장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모공 수렴작용에 관여함으로써 탄력 있는 피부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수렴제 및 각질제거제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겔화 보조제가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각질제거나 응고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고 이수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겔의 응고로 인하여 부드럽게 각질제거하는 기능을 갖지 못하게 된다.
물은 총 중량인 100중량%를 맞추도록 첨가되어 각 구성성분의 분산을 위해 적절히 조절되는 것으로, 30~99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피부와의 사이에 개제되는 화장료(1제)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화장료로는 보습제, 피부 컨디셔닝제, pH제, 유연제, 영양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각종 천연 소재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화장료가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물을 가온,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상온에서 기능성 첨가제 0.1-10중량%에 물 30-99중량%를 첨가한 다음 대략 40~80℃로 가온하며 교반 혼합한다.
다음,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 물의 교반 혼합액에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겔화 보조제 0.1-10중량%를 투입하고, 대략 40~80℃로 가온하며 교반 혼합시켜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성분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가온온도로 대략 40~80℃ 범위에서 교반 과정을 거쳐 혼합되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b)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하필름에 이송하여 소정 두께의 시트타입으로 형성한 다음 냉각하는 단계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40~80℃로 유지하면서 탈착이 용이한 하필름으로 이송하고, 하필름위에 0.1mm ~ 5mm, 바람직하게는 0.5mm ~ 1mm 두께로 판상의 시트를 형성한 다음, 대략 10~25℃의 온도로 냉각처리한다.
시트타입 고무제품의 시트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사용시 쉽게 찢어져 얼굴부착시 불편함이 있으며, 시트의 두께가 5mm 를 초과하면 두께에 따라 유연성 및 변형율이 작아져 얼굴피부에 대한 밀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얼굴의 굴곡부분에서 고무마스크 시트가 밀착되지 않고 뜨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냉각온도 범위도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저온에 의한 냉각이 사용시 상온에서 풀리면서 이수현상이 발생되고 고온에 의한 유동성에 의해 균일한 두께, 평탄한 마스크시트 표면 형성이 어렵게 된다.
여기서, 하필름과 상필름은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단지 고무마스크의 성형시 지지대로써 필요, 보관상 필요 및 사용시 편의에 의해 구비되는 것이며,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제품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c) 고무제품을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판상의 시트타입 고무제품을 얼굴부착이 용이한 마스크와 같은 적합한 형상(예: 눈과 입 부분이 뚫려있고, 코 부분이 절개선으로 된 일체형 마스크, 또는 상부와 하부로 양분된 양분형 마스크)으로 성형한다.
(d) 성형된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를 형상이 유지되도록 트레이에 수용하여 진공포장한다.
이때, 고무제품의 양면에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사용시 탈착시킬 수 있는 상필름과 하필름과 같은 필름지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붙이는 고무마스크 시트 5Kg을 제조하기 위해, 상온에서 10L 스테인리스 용기에 기능성 첨가제로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25g,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10g, 알란토인 (Allantoin) 5g, 트레할로스 (Trehalose) 5g,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150g, 세라마이드3 (Ceramide3) 50g, 비트루트레드 (적색 ; Beetroot Red) 25g과 정제수 3,825g을 투입하고 70℃로 가온하면서 교반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교반 혼합물에 겔화 고분자로서 캐럽콩검 (Ceratonia Siliqua Gum) 5g, 카라기난 (Carrageenan) 50g, 알진 (Algin) 50g,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 (Glycerin) 250g,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 Glycol) 500g, 겔화 보조제로서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50g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입하여 70℃가 되도록 가온, 교반, 혼합하면서 고무마스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무마스크 혼합액을 필름위에 도포하여 1mm 두께의 시트타입 고무마스크를 형성한 후, 20℃ 온도에서 냉각시키고, 얼굴형상에 맞추어 상부 및 하부로 양분하였다.
상부에 눈부분, 코부분을 형성하고, 하부에 입부분을 형성한 후, 상부 및 하부의 테두리를 따라 적정 개수의 절개선을 형성하여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와 종래의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마스크 자체를 피부에 부착시 느껴지는 쿨링감, 마스크 자체 및 화장료(1제)를 개제했을때 수분 증발율을 비교한 결과를 [표1], [표2], [표3] 및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최초 제품온도
(℃)
착용후 시간경과에 따른 감촉온도(℃)
0분 3분 5분 10분
고무마스크 33.2 29.9 30.7 31.6 32
하이드로겔 마스크 32.4 30.3 31.5 31.9 32.25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는 비교제품인 하이드로겔 마스크에 비하여 착용시 감촉온도가 낮아 즉각적인 쿨링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래 표2 및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고무마스크는 비교제품인 하이드로겔 마스크에 비하여 착용후 시간경과에 따라 마스크 자체 및 개제된 화장료의 수분증발율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마스크는 겔마스크처럼 마스크 자체에서 미용성분이 빠져나오는 구성이 아닐뿐만 아니라, 마스크 자체가 고무물성을 갖고 수분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고무마스크의 낮은 열전도율로 인하여 피부 쿨링효과를 가져오며, 고무마스크 상부로 수분증발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착용후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 증발율(%)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고무마스크 2 4 5.5 7 9.1 10.5
하이드로겔 마스크 3 7 8.9 11 13.8 15

착용후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 증발율(%)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1제+
고무마스크
2 3.5 6 6.8 8.5 10
1제+
하이드로겔 마스크
2.8 4.5 7.5 8.5 10.4 13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겔화 고분자는 0.1-20중량%, 다가 알코올은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는 0.1-10중량%, 겔화 보조제는 0.1-10중량% 및 물 30~99중량%이며,
    붙이는 시트타입이고, 피부와의 사이에 게재된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의 유효성분과 영양이 피부에 공급되는 것을 보조하며, 피부 쿨링효과와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Guar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젤란검(Gellan Gum),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타마린드씨검(Tamarindus Indica Seed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소듐카라기난(Sodium Carrageenan), 카라기난 가루(Chondrus Crispus Powder), 카라기난추출물(Chondrus Crispus Extract), 칼슘카라기난(Calcium Carrageenan), 로커스트빈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Locust Bean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아가(Agar), 글루코만난(Glucomannan), 만난(Mannan), C1-5알킬갈락토만난(C1-5 Alkyl Galactomannan), 알진(Algin),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프로필렌글라이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롤라이즈드알진(Hydrolyzed Algi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알란토인 (Allantoin), 트레할로스 (Trehalose),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세라마이드3 (Ceramide3), 비트루트레드 (적색 ; Beetroot Red), 천연소재 추출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보조제는,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칼슘설페이트 (Calcium Sulf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제품은 색채를 표현하는 천연소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8.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겔화 고분자는 0.1-20중량%, 다가 알코올은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는 0.1-10중량%, 겔화 보조제는 0.1-10중량% 및 물 30~99중량%이며,
    이수방지능과 밀착력 및 보습능을 구비하여, 피부와의 사이에 게재된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의 유효성분과 영양이 피부에 공급되는 것을 보조하며, 피부 쿨링효과와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9. (a)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물을 가온,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하필름에 이송하여 소정 두께의 시트타입으로 형성한 다음 냉각하는 단계;
    (c) 냉각된 시트타입의 고무제품을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d) 성형된 시트타입의 고무마스크를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a)단계는,
    (a-1) 기능성 첨가제 0.1-10중량%에 물 30-99중량%를 첨가한 다음 40~80℃로 가온하며 교반 혼합하는 단계; 및
    (a-2)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 물의 교반 혼합액에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겔화 보조제 0.1-10중량%를 투입하고, 40~80℃로 가온하며 교반 혼합시켜 액상의 고무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피부와의 사이에 게재된 화장료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의 유효성분과 영양이 피부에 공급되는 것을 보조하며, 피부 쿨링효과와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제조된 액상의 고무제품을 40~80℃로 유지하면서 탈착이 용이한 하필름으로 이송하고 상기 하필름위에 0.1mm ~ 5mm 두께로 판상의 시트를 형성한 다음, 10~25℃의 온도로 냉각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시트타입 고무마스크는 일체형 마스크 또는 양분형 마스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제조방법.
  13. 제 9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이수가 방지되고 밀착력과 보습능을 구비한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14. 제 9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이수가 방지되고 밀착력과 보습능을 구비한 피부에 붙이는 시트타입이며, 팩제형, 고무팩제형, 마스크제형, 고무시트제형, 마스크팩제형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마스크.
  15. 제 9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이수가 방지되고 밀착력과 보습능을 구비한 붙이는 시트타입 또는 마스크형 시트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고무팩.
KR1020160101026A 2016-08-09 2016-08-09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76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26A KR101761228B1 (ko) 2016-08-09 2016-08-09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26A KR101761228B1 (ko) 2016-08-09 2016-08-09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228B1 true KR101761228B1 (ko) 2017-07-25

Family

ID=5942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26A KR101761228B1 (ko) 2016-08-09 2016-08-09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2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323A (ko) * 2017-12-21 2019-07-01 추봉세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WO2019156444A1 (ko) * 2018-02-07 2019-08-15 전경아 유효성분의 피부내 흡수 촉진용 마스크시트
KR102600346B1 (ko) * 2023-07-14 2023-11-09 한국콜마주식회사 타마린드씨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75B1 (ko) * 2009-01-28 2011-09-19 신명선 황산바륨으로 조성된 피부 배리어 재생 팩
KR101206263B1 (ko) * 2011-06-22 2012-11-29 (주)진코스텍 강도와 탄력성이 향상된 수분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75B1 (ko) * 2009-01-28 2011-09-19 신명선 황산바륨으로 조성된 피부 배리어 재생 팩
KR101206263B1 (ko) * 2011-06-22 2012-11-29 (주)진코스텍 강도와 탄력성이 향상된 수분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323A (ko) * 2017-12-21 2019-07-01 추봉세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KR102001513B1 (ko) 2017-12-21 2019-07-18 추봉세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WO2019156444A1 (ko) * 2018-02-07 2019-08-15 전경아 유효성분의 피부내 흡수 촉진용 마스크시트
KR102600346B1 (ko) * 2023-07-14 2023-11-09 한국콜마주식회사 타마린드씨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263B1 (ko) 강도와 탄력성이 향상된 수분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US4308303A (en) Flocked, foam-coated, fibrous-reinforc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KR101761228B1 (ko) 붙이는 시트타입의 화장용 고무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US4353945A (en) Flocked, foam-coat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JP6975776B2 (ja) ゲルシート
KR101889984B1 (ko)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977889B1 (ko) 하이드로 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074217B (zh) 体温自塑成型皮肤护理材料及皮肤护理膜及制备方法
KR101782470B1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미용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60028A (ko) 발열체
JP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KR20010096776A (ko)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1117B1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다중층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64501A (ja) 身体ケア用成型体
JP2000119128A (ja)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27551A (ko)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20170117755A (ko) 비흡수성 보호층을 구비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미용팩
JP6193846B2 (ja) パック
KR100839898B1 (ko) 직물코팅용 항균투습형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JP3877106B2 (ja) 化粧用ゲルシート
KR101712023B1 (ko) 한지에 홍삼을 적층시킨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618B1 (ko)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7303B1 (ko) 이미지가 인쇄된 겔 타입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000260A (ja) 発熱体
KR20180107589A (ko) 고강도, 고탄성의 한천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