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18B1 -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18B1
KR102309618B1 KR1020190138018A KR20190138018A KR102309618B1 KR 102309618 B1 KR102309618 B1 KR 102309618B1 KR 1020190138018 A KR1020190138018 A KR 1020190138018A KR 20190138018 A KR20190138018 A KR 20190138018A KR 102309618 B1 KR102309618 B1 KR 10230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rice
mask pack
rice flou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011A (ko
Inventor
김주원
박창훈
허선행
현승미
Original Assignee
(주)이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미인 filed Critical (주)이미인
Priority to KR102019013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린, 다가알콜, 쌀가루, 기능성 성분, 겔화고분자, 첨가제, 보습오일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포함되는 쌀가루의 일부는 호화되어 피부에 대한 부착력 향상 및 쫀득한 질감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호화되지 않고 입자 형태로 남아 있어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Rice hydrogel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에 존재하는 쌀가루의 일부가 호화되어, 하이드로겔의 점탄성 및 피부 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감과 하이드로겔에 의한 유효성분 흡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라이스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마스크팩은 부직포 등의 시트를 물 또는 화장수를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천연 또는 합성물질 등의 미용액에 침지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화장용 마스크팩은 얼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마스크팩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성분이 피부에 공급되어 피부에 보습, 진정, 미백, 각질제거, 노폐물 제거 등의 각종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는 미용성분이 함침 혹은 도포되는 마스크의 시트로 다양한 시트가 사용되며, 특히 얇게 제작이 가능하고 미용성분을 충분히 함침할 수 있는 부직포 타입의 시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부직포 시트를 적용한 마스크팩은 얇은 부직포를 얼굴형태로 재단하고 미용성분을 침지하여 제조되는데, 값이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부직포 마스크팩을 피부에 부착하더라도 원하는 부위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않고 굴곡이 있는 부위에서 팩의 일부가 들떠 마스크팩의 미용성분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에는 제조공정에 따라 합성고분자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아 화장액을 첨가하게 되면 뻣뻣하게 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으며 피부 친화성이 낮은 결함이 있다. 이와 더불어 부직포를 화장액 등의 첨가제에 적셔서 지속적인 화장액의 흡수를 유도한 제형의 경우에는 피부 부착성이 떨어지며, 초기에 고농도의 미용성분이 피부와 접촉하게 되어 피부자극의 발생 소지가 높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을 피부에 부착한 뒤 약 10분 정도 경과하면 수분이 모두 증발되어 마스크팩이 얼굴에서 떨어지거나 오히려 마스크팩이 피부의 수분을 뺏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부직포 마스크팩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정제수를 분산 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 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천연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다. 하이드로겔은 탄성과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미용액이 함침된 마스크팩으로 사용되는 경우, 미용효과가 향상되며, 하이드로겔의 건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이드로겔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마스크팩으로 제조하는 경우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거나 찢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마스크팩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지지체로서 합성수지나 부직포, 망등에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겔상의 하이드로겔이 합성수지의 화학성분을 용출시킬 가능성이 있어 생체적합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지체 사용에 따른 불편과 피부부착시 미용성분의 불충분감 및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개발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977889호(2019.05.07 등록)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로겔에 존재하는 쌀가루의 일부가 호화되어, 하이드로겔의 점탄성 및 피부 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감과 하이드로겔에 의한 유효성분 흡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라이스 하이드로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글리세린 5~15 중량%, 다가알콜 5~15 중량%, 쌀가루 1~8 중량%, 기능성 성분 2~3 중량%, 겔화고분자 1.0~3.5 중량%, 첨가제 0.5~2.2 중량%, 보습오일 0.01~1.0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쌀가루의 일부는 호화되지 않은 입자 형태로 상기 하이드로겔 층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쌀가루는, 10~700㎛의 입도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금속이온 봉쇄제, 유화제 및 보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는,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글리세린 5~15 중량%, 다가알콜 5~15 중량%, 쌀가루 1~8 중량%, 기능성 성분 2~3 중량%, 겔화고분자 1.0~3.5 중량%, 첨가제 0.5~2.2 중량%, 보습오일 0.01~1.0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기포가 제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항온조에서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이드로겔 시트를 냉각한 뒤 재단하여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하는 마스크팩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는, 물, 기능성 성분 및 글리세린을 60~90℃에서 혼합하여 균일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 혼합물 제조단계; 다가알콜, 겔화고분자, 쌀가루 및 보습오일을 혼합하여 균일한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고, 70~85℃로 가온하여 5~15분 동안 혼합하는 겔화 단계; 및 겔화 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에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혼합하는 보조제 혼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유화제가 추가로 더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스 하이드로겔에 존재하는 쌀가루의 일부가 호화되어, 라이스 하이드로겔의 점탄성 및 피부 부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쫀득한 사용감을 부여하고, 하이드로겔에 의한 유효성분 흡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라이스 하이드로겔에 존재하는 일부 쌀가루는 호화되지 않고 남아있어, 쌀가루가 접착 코어로 기능하므로, 쌀가루 호화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쌀가루 자체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이드로겔 층에 쌀가루가 포함되되, 쌀가루의 일부는 호화되어 점성과 탄성을 높임으로써 부드럽고 쫀득한 질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쌀가루의 나머지 일부는 호화되지 않고 남아있어 하이드로겔 층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호화된 쌀의 경우에는 호화되지 않을 상태일 때보다 강도가 낮아, 쌀 혹은 쌀가루가 포함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쌀 성분이 완전 호화되는 경우에는 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보다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호화된 쌀 성분에 의해 표면 접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서로 달라붙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표면을 분리시키기 위해 외력을 가하는 경우, 접착력보다 낮은 강도에 의해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손상이 더욱 심화되므로,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하이드로겔 층 내에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분자 메쉬, 부직포 등의 시트형 지지체를 배치하여, 하이드로겔 층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식도 이용되나, 지지체 자체가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굴곡이 많은 얼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들뜨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고, 지지체를 구성하는 고분자 재료에 포함되는 성분이 하이드로겔 층으로 용출되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층에 포함되는 쌀가루의 일부는 호화되고, 일부는 호화되지 않은 입자 상태로 남아있어,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 입자에 의해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강도가 향상되어, 지지체 없이도 충분히 높은 강도가 구현되며,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에 부착되어 각종 유효 성분을 피부로 전달하는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글리세린 5~15 중량%, 다가알콜 5~15 중량%, 쌀가루 1~8 중량%, 기능성 성분 2~3 중량%, 겔화고분자 1.0~3.5 중량%, 첨가제 0.5~2.2 중량%, 보습오일 0.01~1.0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쌀가루의 일부는 호화되지 않은 입자 형태로 하이드로겔 층에 존재하여, 하이드로겔 층의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포함되는 글리세린은 부작용이나 트러블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어 안정성이 높은 보습제로, 수분을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으며, 피부 유연성 증가 및 피부 장벽 기능 유지 등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글리세린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5~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글리세린에 의한 보습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층의 표면이 끈적해지는 문제가 있다.
다가알콜은 글리세린과 함께 보습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동시에 겔화고분자와 쌀가루를 분산시키기 위한 용매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추가로 첨가되는 방부제에 의한 방부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다가알콜로 메칠프로판디올, 프로판디올,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가알콜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5~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겔화고분자의 분산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에 의한 발진, 트러블, 열감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쌀가루는 하이드로겔 층의 점탄성 향상, 미백, 진정 효과 및 강도 향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쌀가루의 일부는 호화되어 점탄성을 향상시키고 미백 효과를 제공하며, 쌀가루의 나머지 일부는 호화되지 않고 입자 상태로 남아있어 하이드로겔 층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므로, 지지체 없이도 시트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쌀가루의 입도는 10~700㎛일 수 있으며, 쌀가루의 입도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쌀가루가 서로 응집되어, 응집 영역에서의 현저한 강도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혼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하이드로겔 층 표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부착성과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입도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내에 포함되어 있는 쌀가루로, 일반 쌀가루, 팽윤된 쌀가루, 일부 혹은 완전 호화된 쌀가루의 입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입도를 형성하기 위해 원료로 사용되는 쌀가루의 입도는 1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쌀가루는, 벼의 열매인 쌀을 분쇄하여 얻어진 입자상의 물질로, 칠분도 쌀, 오분도 쌀 또는 현미와 같이 벼의 겨층이나 쌀눈이 일부 남아있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층에서 벼의 겨층과 쌀눈이 호화되지 않고 남아있기 때문에 하이드로겔 층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거나, 하이드로겔 층 표면에서 거친 느낌이 발생하여 사용감과 피부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10회 이상 도정되어 벼의 겨층과 쌀눈이 완전히 제거된 십분도 쌀인 백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쌀가루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쌀가루에 의한 점탄성 향상, 미백, 진정 효과 및 강도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쌀가루 뭉침에 의한 표면 요철 발생이 발생하고, 쌀가루의 함량이 과도하여 하이드로겔 층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쌀가루에 의한 미용적 효과뿐만 아니라 강도 향상을 최대화 하기 위해 3~8 중량%의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능성 성분은 피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으로, 미백 성분, 주름개선 성분, 영양 성분, 진정 성분 및 트러블 개선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2~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2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기능성이 부여되지 않고,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성분으로 미백 성분과 주름개선 성분이 사용될 수 있는데, 미백 성분으로 알부틴이나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적어도 2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개선 성분으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과 산소에 강하고, 피부 자극이 적은 아데노신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아데노신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적어도 0.04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고분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겔화시켜 시트 형태의 하이드로겔 층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카라기난,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구아검, 타라검, 겔란검, 캐롭콩검, 로카스트빈검, 셀룰로오스검, 타마린드시드검, 아가, 알긴, 잔탄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겔화고분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1.0~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제형 형성이 곤란하고, 3.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층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금속이온 봉쇄제, 유화제 및 보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보조제로는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0.5~2.2 중량%의 중량범위로 포함될 수 있는데, 첨가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로 인한 기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2.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첨가제 함량에 의해 하이드로겔 층의 강도나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 및 첨가제의 과도한 함량에 의한 피부 자극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로 사용되는 성분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성분 중에서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이온 봉쇄제로 디소듐이디티에이가, 유화제로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트리데세스 6, 트리데세스 9, 트리데세스 10, 트리데세스 12 등이, 방부제로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등이, pH 조절제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습오일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난 뒤 그 위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저하시킴으로써 보습력을 제공하는 보습성분으로,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0.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일막 형성에 의한 장기적인 보습력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상 성분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제형이 분리될 수 있고, 피부에 느껴지는 오일막으로 인해 답답한 느낌을 주며, 끈적함이 남아 있어 사용감이 좋지 않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오일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트리프로필아민, 1,7-옥타디엔, 시클로도데칸, 디부틸에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밀배아유,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오일, 녹차씨오일, 야자유, 로즈힙오일, 아르간오일, 라벤더오일,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를 통해 제조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은, 글리세린, 다가알콜, 쌀가루, 기능성 성분, 겔화고분자, 첨가제, 보습오일 및 물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기포가 제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항온조에서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이드로겔 시트를 냉각한 뒤 재단하여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하는 마스크팩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는, 증류수와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 혼합물과 겔화고분자 및 쌀가루를 포함하는 고분자 혼합물을 별도로 제조한 뒤,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추가적인 보조제를 첨가하는 단계로 수행되어, 각 성분들의 응집 발생을 최소화하고 분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는, 물, 기능성 성분 및 글리세린을 60~90℃에서 혼합하여 균일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 혼합물 제조단계; 다가알콜, 겔화고분자, 쌀가루 및 보습오일을 혼합하여 균일한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고, 70~85℃로 가온하여 5~15분 동안 혼합하는 겔화 단계; 및 겔화 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에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혼합하는 보조제 혼합 단계;의 순서로 수행된다.
먼저, 수상 혼합물 제조단계는, 물, 기능성 성분 및 글리세린을 60~90℃에서 혼합하여 균일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첨가제로 금속이온 봉쇄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 단계에서 함께 혼합되어 수상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혼합은 패들 믹싱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각 성분의 균일한 분산성을 형성하기 위해 60~90℃의 온도범위에서 20~50rpm의 속도로 1~10분간 교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히 분산될 때까지 걸리는 교반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고,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후 혼합될 고분자 혼합물과의 온도차로 인해 각 성분들이 응집되어 분산성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 교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분자 혼합물 제조 단계는, 다가알콜, 겔화고분자, 쌀가루 및 보습오일을 혼합하여 균일한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다가알콜에 제1 겔화고분자와 쌀가루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제1 분산 단계; 및 제1 분산 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에 제2 겔화고분자와 보습오일을 혼합하고 분산시키는 제2 분산 단계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분산 단계에서 유화제가 함께 혼합되어 분산될 수 있다.
제1 분산 단계와 제2 분산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겔화고분자의 분산이 약 40℃ 이상의 고온에서 수행되는 경우, 분말상의 겔화고분자가 분산매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전에 응집되고, 응집체의 표면이 빠르게 겔화되어 일종의 쉘(shell)을 형성하며, 쉘 내부에 존재하는 분말상의 겔화고분자는 분산 및 겔화되지 못하고 분말상으로 남아있어, 분산성 저하에 의한 하이드로겔 층의 물성 저하, 나아가서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분산 단계에서 분산되는 제1 겔화고분자는, 카라기난,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구아검, 타라검, 겔란검, 캐롭콩검, 로카스트빈검, 셀룰로오스검, 타마린드시드검, 아가, 알긴 및 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제2 분산 단계에서 분산되는 제2 겔화고분자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제조된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고 겔화시키는 겔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일부 쌀가루만을 호화시키면서 균일한 분산도를 형성하기 위해 수상 혼합물에 고분자 혼합물을 천천히 투입한 뒤 70~85℃로 가온하여 5~15분 동안 교반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20~40rpm의 교반 속도로 유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200~4000rpm의 속도로 5~10분간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교반시의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에는 호화되는 쌀가루의 양이 미미하여 쌀가루 호화에 의한 피부 부착력, 점탄성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입자상으로 존재하는 쌀가루의 양이 증가하여 하이드로겔 층 표면이 평탄하지 않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고, 8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교반이 수행되는 시간 동안 쌀가루가 모두 호화되어,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 입자의 존재로 인한 강도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므로, 상술한 온도 조건에서 교반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모 믹서를 이용한 교반 단계에서 교반 속도가 3200rpm 미만인 경우에는 겔화고분자의 균일한 분산 및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의 안정한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4000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기포 형성으로 인해 기포 제거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기포로 인해 하이드로겔 층의 강도 및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교반 속도 범위 내에서 교반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겔화 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에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혼합하는 보조제 혼합 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겔화 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의 온도를 70~85℃로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제를 투입하고,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20~40rpm의 교반 속도로 유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200~4000rpm의 교반 속도로 2~5분간 교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온도가 70℃ 미만으로 저하되는 경우에는 겔화 고분자의 응집이 발생하여 균일한 분산이 곤란하고, 8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쌀가루가 완전히 호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 보조제 혼합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글리세린 5~15 중량%, 다가알콜 5~15 중량%, 쌀가루 1~8 중량%, 기능성 성분 2~3 중량%, 겔화고분자 1.0~3.5 중량%, 첨가제 0.5~2.2 중량%, 보습오일 0.01~1.0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기포가 제거된 뒤 마스크팩 시트 형태로 성형된다.
마스크팩 시트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먼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가 수행된다. 기포는 진공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저속으로 교반하는 진공 탈포 방식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진공탈포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응집 방지 및 쌀가루의 완전 호화를 방지하기 위해 70~85℃의 온도를 유지하며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기포가 제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항온조에서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는, 기포가 제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70~85℃의 온도가 유지되는 항온조에 배출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항온조에 배출한 뒤 2~10분간 정치시켜 추가적인 쌀가루의 호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항온조에서 소정 시간 정치시켜 추가 호화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 호화되지 않고 입자 상태로 남아있는 쌀가루의 양이 많아 호화된 쌀가루에 의한 피부 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호화 정도에 따라 적절한 시간 동안 추가적인 호화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치 시간이 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 입자가 바닥면쪽으로 침강하여,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일면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일면에서의 피부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타면에는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강도가 저하되고, 냉각 후 일면과 타면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간의 응집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정치 시간을 10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성형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이드로겔 시트를 냉각하고 재단하여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하는 마스크팩 제조단계가 수행된다.
하이드로겔 시트의 냉각은 하이드로겔 시트의 온도가 5~15℃의 범위를 갖도록 5~60초 동안 급속 냉각하는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급속 냉각을 통해 쌀가루 입자의 침강을 방지할 수 있고, 하이드로겔 시트의 시트 형태 원형 유지가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냉각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마스크팩 형태로 재단되어,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이드로겔 층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성형 단계와 마스크팩 제조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하이드로겔 시트의 일면에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이드로겔 시트를 마스크팩 형태로 제단하기 전 혹은 재단한 후에 하이드로겔 시트의 이면에 이형필름을 합지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부직포 등과 같은 고분자 재질의 필름일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 시트 양면에 이형필름이 형성되는 경우, 두 이형필름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먼저, 정제수를 준비하고 여기에 디소듐이디티에이, 기능성 성분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80℃의 온도와 30rpm의 교반속도에서 5분간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다가알콜인 부틸렌글라이콜을 준비하고, 여기에 제1 겔화고분자와 입도가 20~150㎛인 백미 가루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상온(23℃)에서 1차 분산을 수행하고, 동일 온도에서 제2 겔화고분자, 보습오일 및 유화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2차 분산을 수행함으로써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고, 80℃의 온도하에서 30rpm의 속도로 패들믹싱을 유지하고, 동일 온도하에서 3600rpm의 속도로 10분간 호모 믹싱하여 분산 및 용해시켰다. 여기에 방부제를 투입하고 80℃의 온도하에서 30rpm의 속도로 패들믹싱, 동일 온도에서 3600rpm의 속도로 5분간 호모 믹싱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다.
다음으로, 진공 탈포 공정을 통해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고, 80℃의 항온조에 얇게 배출하여 5분간 정치시킴으로써 쌀가루의 추가 호화를 진행하였다.
이후, 얇게 배출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급속 냉각하여 시트 형태로 굳히고, 얼굴 형태로 재단하여 실시예 1의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표면을 촬영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69.709
금속이온 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50
기능성 성분 아데노신 0.04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0
글리세린 11.200
다가알콜 부틸렌글라이콜 8.500
제1 겔화고분자 카라기난 1.000
캐롭콩검 1.000
셀룰로오스검 0.200
쌀가루 5.000
제2 겔화고분자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00
보습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0.100
유화제 트리데세스-6 0.001
방부제 1,2-헥산디올 1.000
페녹시에탄올 0.100
합계 100.000
[ 실험예 1]
사용되는 쌀가루의 입도를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표면 형태를 관찰하고,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함께 기재하였다.
표면 형태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표면의 요철이나 뭉침 영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육안과 손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요철이나 뭉침이 없는 경우 양호한 것으로, 요철 또는 뭉침이 존재하는 경우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인장 강도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20×20×1mm 크기의 절편으로 제작하고, Universal Tester Machine(Vitrodyne V-1000®)를 이용하여 샘플 거리 10mm, 인장 속도 6mm/min로 설정하여, 절편이 파단된 시점에서의 최대하중을 절편의 최초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판단하였으며, 3회 측정한 평균값을 표 2에 기재하였다.
쌀가루 입도 표면 형태 인장강도(kg/cm2)
실시예 1 20~150㎛ 양호 0.22(±0.03)
실시예 2 80~180㎛ 양호 0.24(±0.02)
비교예 1 10㎛ 미만 불량 0.09(±0.06)
비교예 2 120~230㎛ 불량 0.13(±0.07)
비교예 3 210~310㎛ 불량 0.14(±0.11)
표 2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표면 형태가 양호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3회 측정에서의 인장강도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표면 형태가 불량하고, 인장강도도 낮을 뿐만 아니라 측정 회차별 인장강도의 오차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쌀가루의 입도가 너무 작기 때문에 쌀가루들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서로 뭉치거나, 반대로 쌀가루의 입도가 너무 커서 해당 쌀가루가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두께가 하나의 쌀가루 입자에 의해 채워지기 때문에 쌀가루가 일종의 이물질과 같은 역할을 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쌀가루에 의한 표면 형태 불량과 강도 저하 및 전체 영역에서의 불균일한 강도 발현과 같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쌀가루의 입도는 10~200㎛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여 유화시킬 때 교반 조건을 표 3과 같이 변경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이스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마스크팩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각 라이스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겔화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고,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인장 강도를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PE 필름에 대한 부착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기재하였다.
PE 필름에 대한 부착력은, PE 필름에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부착하고, 180° 방향으로 박리시킬 때의 강도를 측정하여 판단하였다.
호모믹싱시간
(분)
믹싱 온도
(℃)
겔화 상태 인장강도
(kg/cm2)
부착력
(N)
실시예 1 10 80 양호 0.22(±0.03) 0.18
실시예 3 14 71 양호 0.23(±0.01) 0.19
실시예 4 6 84 양호 0.22(±0.02) 0.18
비교예 4 16 80 양호 0.17(±0.06) 0.20
비교예 5 4 80 불량 0.11(±0.05) 0.12
비교예 6 8 68 양호 0.23(±0.01) 0.09
비교예 7 8 86 양호 0.16(±0.04) 0.18
표 3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에는 겔화 상태도 양호하고, 인장강도도 우수하며, 측정 회차별 오차가 낮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부착력 또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4와 비교예 7의 경우에는, 겔화상태와 부착력은 양호하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믹싱시간이 과도하게 길거나, 믹싱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서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쌀가루가 모두 호화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즉, 호화된 쌀가루 자체에 의해 강도가 저하됐을 뿐만 아니라,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 입자에 의한 겔화고분자의 응집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5의 경우에는 호모믹싱 시간이 부족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분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겔화 상태가 불량하게 나타나고, 이에 따른 인장강도 및 부착력의 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비교예 6의 경우에는 믹싱시 온도가 너무 낮아 쌀가루의 호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호화된 쌀가루에 의한 부착력 증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일부 호화된 쌀가루에 의한 부착력 증진 효과와 나머비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에 의한 인장강도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 라이스 하이드로겔 내부에 포함되는 쌀가루의 일부만을 호화시키는 방법으로,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여 겔화시킬 때 70~85℃에서 교반을 진행하고, 교반시 호모믹싱은 5~15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20명의 20~40대 남녀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예 2에서 제조된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게 한 뒤, 피부 부착력, 시트의 강도 및 마스크팩 제거 후 보습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10점을 만점으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피험자가 평가한 결과의 평균값을 표 4에 기재하였다.
피부 부착력 시트강도 보습감
실시예 1 9.9 9.6 9.3
실시예 3 9.9 9.9 9.6
실시예 4 9.7 9.7 9.5
비교예 4 9.9 6.3 9.9
비교예 5 8.5 4.3 8.2
비교예 6 7.0 9.9 7.7
비교예 7 9.7 5.8 9.4
표 4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전체 항목에서 9점 이상의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시 시트의 강도가 적절하여 쉽게 찢어지지 않았으며 피부에 밀착되어 사용감이 우수하였고, 마스크팩 제거 후 보습감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교예 4, 비교예 5 및 비교예 7의 경우에는 피부 부착력 및 보습감은 양호하거나 우수하였으나, 시트강도가 낮아 사용시 서로 달라붙은 영역에 의해 시트가 쉽게 찢어져 사용이 불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교예 6의 경우에는 시트강도는 우수하나 부착력과 보습감이 떨어져 마스크팩 제품으로써의 성능이 다소 저하된다는 평가를 받았다.
[ 실험예 4]
진공 탈포 단계 이후,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항온조에 얇게 배출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에서, 항온조에서 정치되는 시간을 표 5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표면 형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으며, 양 면의 PE 필름에 대한 부착력을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정치시간(분) 표면 형태 일면의 부착력(N) 타면의 부착력(N)
실시예 1 5 양호 0.18 0.18
실시예 5 2 양호 0.17 0.17
실시예 6 9 양호 0.20 0.19
비교예 8 - 양호 0.10 0.10
비교예 9 11 불량 0.20 0.12
상기 표 5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경우에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표면 형태가 양호하고, 부착력이 우수하며, 일면 및 타면의 부착력이 유사 또는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8의 경우에는 표면의 형태는 양호하나,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자체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정치 단계에서 쌀가루의 추가적인 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호화된 쌀가루에 의한 부착력 향상 효과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비교예 9의 경우에는 일면에서의 부착력은 우수하나 타면에서의 부착력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가장자리가 말려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정치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가 아래쪽으로 침강하여, 최종 제품인 마스크팩의 일면에는 호화된 쌀가루만, 타면에는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만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난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서의 쌀가루 침강을 방지하고,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표면 형태 및 양면에서의 우수한 부착력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치 단계에서의 정치 시간은 2~10분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5]
20명의 20~40대 남녀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예 4에서 제조된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게 한 뒤, 피부 부착력과 마스크팩 제거 후 보습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10점을 만점으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피험자가 평가한 결과의 평균값을 표 6에 기재하였다.
피부 부착력 보습감
일면 타면 일면
실시예 1 9.8 9.9 9.3
실시예 5 9.2 9.2 9.1
실시예 6 9.9 9.9 9.4
비교예 8 5.4 6.1 6.7
비교예 9 8.8 6.1 7.2
표 6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은 양면의 부착력 및 보습감에 있어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8의 경우에는 양면의 부착력이 모두 낮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보습감 또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비교예 9의 경우에는 양면의 부착력이 현저히 차이날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가 들떠 부착력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이에 따라 보습감 또한 저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내에 포함되어 있는 쌀가루를 일부 호화시켜 피부 밀착력 및 보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호화를 위한 추가 정치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치 시간은 2~10분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글리세린 5~15 중량%, 다가알콜 5~15 중량%, 쌀가루 1~8 중량%, 기능성 성분 2~3 중량%, 겔화고분자 1.0~3.5 중량%, 첨가제 0.5~2.2 중량%, 보습오일 0.01~1.0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쌀가루는 10~200㎛의 입도범위를 가지고,
    추가 호화를 거침으로써, 상기 쌀가루의 일부만 호화되고,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의 일부가 입자 형태로 상기 하이드로겔 층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호화는, 70~85℃의 항온조에서 2~10분간 정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금속이온 봉쇄제, 유화제 및 보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는,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4. 글리세린 5~15 중량%, 다가알콜 5~15 중량%, 쌀가루 1~8 중량%, 기능성 성분 2~3 중량%, 겔화고분자 1.0~3.5 중량%, 첨가제 0.5~2.2 중량%, 보습오일 0.01~1.0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기포가 제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항온조에서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이드로겔 시트를 냉각한 뒤 재단하여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하는 마스크팩 제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쌀가루는, 10~200㎛의 입도범위를 가지며,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 단계는,
    물, 기능성 성분 및 글리세린을 60~90℃에서 혼합하여 균일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 혼합물 제조단계;
    다가알콜, 겔화고분자, 쌀가루 및 보습오일을 혼합하여 균일한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수상 혼합물과 고분자 혼합물을 혼합하고, 70~85℃로 가온하여 5~15분 동안 혼합하는 겔화 단계; 및
    겔화 단계를 통해 얻어진 혼합물에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혼합하는 보조제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단계는, 추가 호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쌀가루의 일부만 호화되고, 호화되지 않은 쌀가루의 일부가 입자 형태로 상기 하이드로겔 층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호화 단계는, 70~85℃의 항온조에서 2~10분간 정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유화제가 추가로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90138018A 2019-10-31 2019-10-31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18A KR102309618B1 (ko) 2019-10-31 2019-10-31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18A KR102309618B1 (ko) 2019-10-31 2019-10-31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11A KR20210052011A (ko) 2021-05-10
KR102309618B1 true KR102309618B1 (ko) 2021-10-07

Family

ID=7591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18A KR102309618B1 (ko) 2019-10-31 2019-10-31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132B1 (ko) * 2021-08-18 2022-07-04 (주)진코스텍 수율 향상을 위한 다중색상 하이드로겔 팩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889B1 (ko) * 2017-11-15 2019-05-13 (주)이미인 하이드로 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752A (ko) * 2016-09-22 2018-04-02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하이드로겔 시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19404A (ko) * 2018-04-12 2019-10-22 정선호 피부용 쌀눈시트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889B1 (ko) * 2017-11-15 2019-05-13 (주)이미인 하이드로 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11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137B1 (ko)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KR101645440B1 (ko)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KR102323105B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02821756B (zh) 水包油型纳米乳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77889B1 (ko) 하이드로 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9618B1 (ko)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5086B1 (ko) 유효성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호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TWI819161B (zh) 水凝膠面膜組成物、利用此組成物製成的水凝膠面膜以及製備水凝膠面膜的方法
JP5531177B1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KR102298396B1 (ko) 바이오폴리머에 분산된 칼라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KR20160127551A (ko)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JP2009108006A (ja)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KR101112716B1 (ko) 황토분말 및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필-오프 황토영양 팩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6108363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KR102644609B1 (ko) 마스크 겔 조성물, 이를 포함한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434566B (zh) 包含丙烯酸(酯)类/丙烯酰氮共聚物钠的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JP2010215553A (ja) ハイドロゲル外用剤
KR102371116B1 (ko)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JP2014237628A (ja) 化粧料
CN113967175A (zh) 片型面膜凝胶组合物、包含其的面膜片及面膜片制备方法
JP3600779B2 (ja) パウダー状化粧品
KR20180107589A (ko) 고강도, 고탄성의 한천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