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116B1 -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116B1
KR102371116B1 KR1020170156342A KR20170156342A KR102371116B1 KR 102371116 B1 KR102371116 B1 KR 102371116B1 KR 1020170156342 A KR1020170156342 A KR 1020170156342A KR 20170156342 A KR20170156342 A KR 20170156342A KR 102371116 B1 KR102371116 B1 KR 10237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oil
moisturizing
mask
nutr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919A (ko
Inventor
임재민
최양규
김명우
이은지
정주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5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116B1/ko
Priority to PCT/KR2018/014043 priority patent/WO2019103401A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내부에 보습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별도 보습제나 영양제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피부 보습 유지력 및 영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는, 외상으로서 마스크 시트 제형의 하이드로겔; 및 내상으로서 상기 하이드로겔의 내부에 포함되는 유화제형의 크림 및 오일 담지 캡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습영양제;를 포함하며, 가압 시 상기 크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하이드로겔로부터 용출되어 피부로 전달 및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Hydrogel mask including moisturizing nutr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용 제품으로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내부에 보습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별도 보습제나 영양제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피부 보습 유지력 및 영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용 마스크 팩은 부직포 소재의 베이스 시트에 화장수를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가지 성분들을 가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피부의 긴장 완화, 피부 보습, 탄력 증진, 잔 주름 완화, 피부 표면의 노폐물 및 오염물의 흡착 제거, 오래된 각질의 제거, 여분의 피지 제거, 매끄러움 증진, 심리적 안정 효과 및 영양분 공급 등의 효능을 부여한다. 이는,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간직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에 부합하기 때문에, 마스크 팩 시장은 점진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환경 오염에 의한 피부 손상 우려가 대두되면서, 시장 규모는 최근 들어 더욱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부직포 소재의 베이스 시트를 화장수 등의 첨가제에 적셔서 지속적인 화장수의 흡수를 유도한 제형의 경우에는, 사용 후 10 내지 15 분이 경과하면 수분이 모두 증발되어, 화장수에 포함된 미용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킬 수 없거나, 시트가 얼굴에서 쉽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장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리세린 등의 증점 보습제를 상당량 첨가해야 하는데, 이는 보습 효과를 주기는 하지만, 과량 사용 시 피부로부터 오히려 수분을 빼앗아 피부 호흡을 저해하며, 또한, 피부를 거칠게 하여 모공이 커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부직포를 소재로 한 베이스 시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분 유지력이 향상된 하이드로겔(Hydrogel)을 이용한 마스크 팩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정제수를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의약, 미용 및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하이드로겔은 인체의 세포 기질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어 불활성이면서 탄성이 우수하고 산소 및 영양분 투과율이 뛰어나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의약 및 미용 산업에서 더욱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미용 분야의 경우, 하이드로겔의 탄성, 피부 밀착성, 수분 보유력 및 부드러운 촉감을 이용하여 사용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조절을 통한 여러 보습 및 영양 공급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겔 마스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는 천연유래 겔화제, 다당류 및 다양한 미용 조성물을 혼합한 후 가온 및 냉각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데,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어 쿨링감, 보습력 및 밀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촉촉한 사용감인 보습감이 떨어지고 보습 유지력이 좋지 않아, 사용 후에 에센스 및 크림을 추가로 덧발라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오일을 함유한 유화제형의 하이드로겔이 제안되었지만, 하이드로겔 내부에 위치하는 오일 성분이 피부로 전달되지 못해, 보습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에센스나 크림과 같은 보습제의 추가 사용 없이 보습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4386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보습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별도 보습제나 영양제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피부 보습 유지력 및 영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수성의 유효성분을 캡슐 내부에 안정적으로 적용하여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상으로서 마스크 시트 제형의 하이드로겔; 및 내상으로서 상기 하이드로겔의 내부에 포함되는 유화제형의 크림 및 오일 담지 캡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습영양제;를 포함하며, 가압 시 상기 크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하이드로겔로부터 용출되어 피부로 전달 및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수상(水狀) 성분을 가열 및 용해한 후 유상(油狀)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 및 냉각시켜 유화제형의 크림을 제조하는 단계; (b)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 및 용해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지지체인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몰드 트레이에 도포된 하이드로겔 용액 내에,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을 공급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피막 형성제 내에 오일을 공급하여 오일 담지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b)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제조된 오일 담지 캡슐을 혼합한 후 가열 및 용해시켜, 오일 담지 캡슐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지지체인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을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내부에 보습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별도 보습제나 영양제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피부 보습 유지력 및 영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수성의 유효성분을 캡슐 내부에 안정적으로 적용하여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유화제형의 크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실물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오일 담지 캡슐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실물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사용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상으로서 마스크 시트 제형의 하이드로겔(10) 및 내상으로서 상기 하이드로겔(10)의 내부에 포함되는 유화제형의 크림 및 오일 담지 캡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습영양제(20)를 포함하며, (외부 방향에서) 가압 시 상기 크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하이드로겔(10)로부터 용출되어 피부(30)로 전달 및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드로겔(10)은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어 쿨링감, 보습력 및 밀착력이 우수하며, 얼굴 등의 피부(30)에 부착되어 피부의 긴장 완화, 피부 보습, 탄력 증진, 잔 주름 완화, 피부 표면의 노폐물 및 오염물의 흡착 제거, 오래된 각질의 제거, 여분의 피지 제거, 매끄러움 증진, 심리적 안정 효과 및 영양분 공급 등의 효능을 부여하는 마스크 시트의 주 구성 요소이다. 상기 하이드로겔(10)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하이드로겔 기반 마스크 시트의) 하이드로겔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동식물 추출계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보습제, 피부 컨디셔닝제, 천연 추출물 및 기능성(주름 개선, 미백 등) 화장품 성분 등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어느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식물 추출계 수용성 천연 고분자로는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다당류), 글루코만난(glucomannan, 다당류), 구아검(guar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다당류), 플루로닉(pluronic), 아가(agar; 한천), 알긴(algin), 카라기난(carrageenan, 다당류), 잔탄검(xanthan gum) 및 젤란검(gellan gum)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테르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10)의 두께는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m로서, 상기 하이드로겔의 두께가 0.1 mm 미만일 경우, 하기할 유화제형의 크림 또는 오일 담지 캡슐의 공급이 어려울 수 있고, 5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마스크 시트를 피부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거나, 부착되더라도 단 시간 내에 피부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겔(10)의 내부에 크림이나 오일 담지 캡슐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경우에도, 그 두께는 상기 하이드로겔(10)의 두께와 유사할 수 있으나, 목적으로 하는 크림이나 캡슐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등,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보습영양제(20)는 상기 하이드로겔(10)의 내부에 포함(또는, 함침)되어, 도 1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시 크림 또는 오일이 피부 표면으로 도포됨으로써, 보습 유지력, 영양감 및 탄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가압은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키기 직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마스크 시트를 벗겨낸 후 곧바로 보습 유지 등이 가능하여, 에센스 및 크림을 추가로 덧발라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습영양제(20)는 마스크 사용 후 2차적으로 보습을 유지할 수 있는 제형으로서 보습제 및 영양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항산화제 등 그 제형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품 성분이면 제한 없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영양제(20) 중 먼저 유화제형의 크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유화제형의 크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실물도로서,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겔(10)의 일부분에 포함되거나, 전면(全面)에 걸쳐 고르게 분산시킨 형상(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는 등,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외부에서 가압할 시 크림이 피부 표면으로 용출 및 도포만 될 수 있다면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사용자가 느끼는 심미감을 고려하여, 가급적 심미성이 고려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밖에, 상기 유화 크림의 하이드로겔(10) 면적당 도포 중량 또한 제한이 없다.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의 종류 또한 피부에 보습감을 부여하거나, 영양감 및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는 수상(水狀) 성분과 유상(油狀) 성분을 포함하는 유화 크림이다. 여기서, 상기 수상 성분으로는 정제수, 천연식물 추출물 및 수용성 효능성분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유상 성분으로는 오일, 계면활성제, 유화제 및 소수성 효능성분(비타민E아세테이트, 코엔자임Q10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의 배합비는 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성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 담지 캡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오일 담지 캡슐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실물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담지 캡슐은 하이드로겔(10) 전면에 다수 개로 분포시킬 수 있는 등,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외부에서 가압할 시 캡슐 내 오일이 피부 표면으로 용출 및 도포만 될 수 있다면, 캡슐의 개수나 분포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캡슐에 담지되는 오일은, 피부 보습력 및 영양분을 가지는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폴리데센의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카프릴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헤사노에이트, 에스터형 오일 및 천연 유래 오일 등 1 종 이상을 예시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오일에는, 필요에 따라, 보습제(폴리올 등), 보존제 및 소수성 유효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오일과 함께 캡슐에 담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의 재질은, 손가락에 의한 가압 정도로 캡슐이 원활하게 파괴되는 동시에, 고온 내열성을 가지도록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및 전분 등일 수 있고, 상기 캡슐의 크기는 0.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밖에, 상기 캡슐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사용자가 느끼는 심미감을 고려하여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및 별(star)형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의 색상 또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사용자가 느끼는 심미감을 고려하여, 최대한 심미성이 고려된 색상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하이드로겔(10) 내부에 소수성의 오일을 바로 포함시키지 않고, 캡슐 내부에 담지시킨 후 하이드로겔(10) 내부에 포함시킴으로서,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가 접히거나 찢기는 등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마스크의 피부 접촉면을 보호하고, 크림 또는 오일 담지 캡슐의 오염 및 소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하부면은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수용될 수 있고, 상부면에는 이형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품 사용 시에는 상기 몰드 트레이 및 이형 필름을 박리 제거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몰드 트레이에는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도록, 마스크의 크기 및 형태로 음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몰드 트레이 및 이형 필름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S), 알루미늄,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몰드 트레이 및 이형 필름은, 심미감 부여 및 제품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이상 전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중 유화제형의 크림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사용 순서도로서,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표면에 크림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부착한다. 이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마스크를 탈착할 즈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이 위치하는 부위를 가압한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에 의해 용출된 크림이 피부 표면에 도포된다. 그밖에, 오일 담지 캡슐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사용 방법 또한, 상기 크림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사용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a) 수상(水狀) 성분을 가열 및 용해한 후 유상(油狀)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 및 냉각시켜 유화제형의 크림을 제조하는 단계, (b)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 및 용해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지지체인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몰드 트레이에 도포된 하이드로겔 용액 내에,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을 공급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마스크의 상품화를 위하여, (e) 단계에서 겔화되어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포장 용기나 포장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마스크 시트의 그것을 준용한다. 그밖에, 상기 수상 성분, 유상 성분, 유화제형 크림, 오일 담지 캡슐, 수용성 천연 고분자, 수용성 합성 고분자, 하이드로겔, 몰드 트레이 및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사용 방법에 관한 설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 항목에 기재된 바를 준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a) 피막 형성제 내에 오일을 공급하여 오일 담지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b)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제조된 오일 담지 캡슐을 혼합한 후 가열 및 용해시켜, 오일 담지 캡슐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지지체인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을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캡슐의 제조 원료인(또는, 캡슐을 형성하는) 피막 형성제는, 고온 내열성을 가지는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및 전분 등일 수 있고,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폴리데센의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카프릴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헤사노에이트, 에스터형 오일 및 천연 유래 오일 등 1 종 이상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유화제형의 크림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먼저, 하기 표 1의 원료 5 내지 7(수상 성분)을 약 80 ℃까지 가온하고 용해시킨 후, 여기에 원료 2 내지 4(유상 성분)를 첨가하여 2분 간 호모 믹싱하고 30 ℃까지 냉각시켜 유화제형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원료 8 내지 17을 약 80 ℃까지 가온하면서 아지믹서(agi-mixer)를 이용하여 교반, 용해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몰드 트레이에 2 mm의 두께로 분사하였다. 계속해서, 하이드로겔 용액 내에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을 0.5 g 분사시킨 후 약 0 ℃까지 냉각시켜, 유화제형의 크림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순번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상
1 젤라틴 0 60 0
2 올리브유 13 40 0
3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4 0 0
4 쉐어버터 0.5 0 0
5 글리세린 10 0 0
6 잔탄검 0.3 0 0
7 정제수 To 100 0 0




외상
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9 카라기난 1.5 1.5 1.5
10 로커스트빈검 0.7 0.7 0.7
11 아가 0.2 0.2 0.2
12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2 0.02 0.02
13 방부제 0.2 0.2 0.2
14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15 글리세린 15 15 15
16 부틸렌글라이콜 5 5 5
17 향료 0.05 0.05 0.05
※ 단위: 중량%
[실시예 2] 오일 담지 캡슐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먼저, 상기 표 1의 원료 8 내지 17을 약 80 ℃까지 가온하면서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교반 및 용해한 후, 여기에 원료 1 및 2로 이루어진 오일 담지 캡슐을 3 중량%로 첨가하고 서서히 패들 믹싱하였으며, 계속해서 이를 몰드 트레이에 2 mm의 두께로 분사한 후 약 0 ℃까지 냉각시켜, 오일 담지 캡슐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먼저, 상기 표 1의 원료 8 내지 17을 약 80 ℃까지 가온하면서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교반 및 용해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몰드 트레이에 2 mm의 두께로 분사한 후 약 0 ℃까지 냉각시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피부 보습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피부 표면의 가로 2 ㎝ × 세로 2 ㎝의 면적에 각각 부착하였고, 10 분이 경과하였을 때와, 약 20 분이 경과한 후 마스크를 제거한 시점에 각각 스킨 터치기를 이용하여 보습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스크 부착 전
(수분/유분)
마스크 부착 후 10분 경과
(수분/유분)
마스크 제거 직후
(수분/유분)
실시예 1 37/0 85/0 85/91
실시예 2 37/0 85/0 85/93
비교예 1 37/0 85/0 66/0
보습영양제(유화제형의 크림/오일 담지 캡슐)를 함유한 실시예 1 및 2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마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마스크 내부에 위치하는 유화제형의 크림 또는 오일 담지 캡슐을 터뜨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를 제거한 직후에도 보습력이 유지되었다. 반면, 내부에 어떠한 것도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사용한 경우에는, 마스크 제거 직후 자연스럽게 보습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마스크를 떼어낸 이후 별도의 보습 크림이나 에센스 등을 발라주게 되면, 그 이후부터는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한 보습력을 나타낼 수는 있을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추가적인 과정을 거치게 되면, 미용 단계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시간 소모의 단점도 있으며, 무엇보다 마스크 제거 직후부터 별도 보습제를 바르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피부 보습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수분이 증발될 시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는 것은 다양한 연구로부터 밝혀진 자명한 사실이므로, 짧은 시간이라도 수분 증발을 차단하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는, 피부 건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1)

  1. 외상으로서 마스크 시트 제형의 하이드로겔; 및
    내상으로서 상기 하이드로겔의 내부에 포함되는 유화제형의 크림 및 오일 담지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의 재질은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압 시 상기 크림 및 오일이 상기 하이드로겔로부터 용출되어 피부로 전달 및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 담지되는 오일은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폴리데센의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카프릴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헤사노에이트, 에스터형 오일 및 천연 유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크기는 0.1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은 상기 하이드로겔의 일부분에 포함되거나, 전면(全面)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의 두께는 0.1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8. 청구항 1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수상(水狀) 성분을 가열 및 용해한 후 유상(油狀)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 및 냉각시켜 유화제형의 크림을 제조하는 단계;
    (b)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 및 용해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지지체인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몰드 트레이에 도포된 하이드로겔 용액 내에,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을 공급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화제형의 크림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피막 형성제 내에 오일을 공급하여 오일 담지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b)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제조된 오일 담지 캡슐을 혼합한 후 가열 및 용해시켜, 오일 담지 캡슐이 포함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지지체인 몰드 트레이(mold tray)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을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제는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폴리데센의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카프릴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헤사노에이트, 에스터형 오일 및 천연 유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1020170156342A 2017-11-22 2017-11-22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42A KR102371116B1 (ko) 2017-11-22 2017-11-22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8/014043 WO2019103401A1 (ko) 2017-11-22 2018-11-22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42A KR102371116B1 (ko) 2017-11-22 2017-11-22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19A KR20190058919A (ko) 2019-05-30
KR102371116B1 true KR102371116B1 (ko) 2022-03-07

Family

ID=6663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42A KR102371116B1 (ko) 2017-11-22 2017-11-22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1116B1 (ko)
WO (1) WO2019103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97A (ko) 2019-10-31 2021-05-11 (주)아모레퍼시픽 알지네이트 알갱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54B1 (ko) * 2012-09-17 2013-03-07 (주)코바스 하이드로겔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4855B1 (ko) 2013-08-14 2014-09-02 김주원 크림 코팅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71B1 (ko) * 2013-02-27 2014-11-04 (주)코바스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8210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돌출부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1782470B1 (ko) 2015-10-14 2017-09-28 주식회사 제닉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미용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7755A (ko) * 2016-04-14 2017-10-24 (주)엔코스 비흡수성 보호층을 구비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미용팩
KR20180088313A (ko) * 2017-01-26 2018-08-03 손주연 겔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54B1 (ko) * 2012-09-17 2013-03-07 (주)코바스 하이드로겔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4855B1 (ko) 2013-08-14 2014-09-02 김주원 크림 코팅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01A1 (ko) 2019-05-31
KR20190058919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9519B (zh) 能够同时递送强化护理和总体护理的护理制品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102323105B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JP2009108007A (ja)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US7198780B2 (en) Self-tanning composition in sheeted substrate
KR101645440B1 (ko)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70051344A (ko) 메이크업 효과를 갖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2728B1 (ko) 저점도의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16B1 (ko)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CN114667129A (zh) 用于护理角蛋白材料的套装
TWI819161B (zh) 水凝膠面膜組成物、利用此組成物製成的水凝膠面膜以及製備水凝膠面膜的方法
JP7470111B2 (ja) ハイドロゲルマスク組成物、こ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ハイドロゲル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8006A (ja)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KR20160127551A (ko)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JP2009108008A (ja) ゲル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10154898A (ja) 身体貼付用シート剤
KR20170031474A (ko) 식물 입자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 입자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70117755A (ko) 비흡수성 보호층을 구비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미용팩
US20070148219A1 (en) Liposomal Nanowater-Containing Patch-Type Nanodermal Gel for Transdermal Deli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9108005A (ja) 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KR102309618B1 (ko)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609B1 (ko) 마스크 겔 조성물, 이를 포함한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4753A (ko) 다공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