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554B1 -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554B1
KR101889554B1 KR1020110105302A KR20110105302A KR101889554B1 KR 101889554 B1 KR101889554 B1 KR 101889554B1 KR 1020110105302 A KR1020110105302 A KR 1020110105302A KR 20110105302 A KR20110105302 A KR 20110105302A KR 101889554 B1 KR101889554 B1 KR 101889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uter film
sheet
attachment mean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110A (ko
Inventor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65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4235B2/ja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filed Critical 스즈키마코토
Publication of KR2012004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A23L7/1975Cooking or ro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04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시트형상 식품을 파손하는 일 없이 필름을 벗길 수 있는 포장 봉형상 밥을 명백히 하는 것이다.
포장 봉형상 밥은, 부착 수단(5)을 자유단측으로부터 떼어, 원통형상이 된 외 필름(2)으로부터 벗기고, 부착 수단(5)과, 그 부착 수단(5)에 붙여진 외필름(2)의 단부(1a, 1b)를 함께 원통형상의 외필름(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세워 올림으로써,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를 넓히고, 외필름(2)의 단부(1b)측에 형성된 절입(23, 23) 사이의 분단 가능부(21)를 당겨, 분단 가능부(21)를 따라 외필름(2)을 단부(1a)까지 분단하고, 봉형상 밥 덩어리(6)에 남아 있는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각각 외측으로 당겨,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제거함으로써 포장을 푼다.

Description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PACKED BAR-LIKE BOILED RICE AND METHOD FOR UNPACK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필름과 외필름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을 끼워 형성한 포장 시트에 의해 봉형상 밥 덩어리를 포장한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포장 봉형상 밥」의 포장용 시트로서, 외필름과 내필름 사이에 시트형상 김을 끼워 형성한, 삼중 구조의 시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외필름은, 폭방향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분단하기 위한 분단 가능부를 갖고 있으며, 내필름은 2장의 필름편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외필름의 폭방향의 각 단부에 열용착되어, 필름편의 내단끼리는 외필름의 분단 가능부 상에서 겹쳐 있다.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봉형상 밥 덩어리를 포장할 때에는, 내필름의 일단측에 봉형상 밥 덩어리를 얹어, 포장 시트를 감으면서 포장 시트의 타단측으로 굴리도록 하여 감고, 감음 종단을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상기 포장 봉형상 밥을 먹을 때에는, 분단 가능부에 의해 외필름을 2분하고, 봉형상 밥 덩어리의 일단에서, 포장 시트를 외측으로 당긴다. 외필름 절반체와 내필름의 한쪽의 필름편이 함께 끌어내어진다.
봉형상 밥 덩어리의 타단에서, 포장 시트를 외측으로 당긴다. 나머지의 외필름 절반체와 내필름의 다른쪽의 필름편이 함께 끌어내어진다.
상기 작업에 의해, 시트형상 식품이 봉형상 밥 덩어리에 바로 감긴 상태로 남아, 이것을 먹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2-101832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포장 봉형상 밥 덩어리는, 포장 시트의 감음 개시단에 감음 종단이 씌워져 부착된 상태인 채로, 포장 시트를 봉형상 밥 덩어리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당겨 포장을 풀게 된다.
따라서, 포장 시트를 외측으로 당길 때의 저항이 커, 시트형상 식품이 외필름 절반체와 내필름의 한쪽의 필름편과 함께 끌어내어져, 찢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시트형상 식품을 파손하는 일 없이 필름을 벗길 수 있는 포장 봉형상 밥을 명백히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 봉형상 밥은,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로 싼 포장 봉형상 밥으로서,
포장 시트(1)는, 전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외필름(2)과 그 외필름(2)의 이면측에 배치된 내필름(3)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4)을 끼우고, 외필름(2)과 내필름(3)은, 시트형상 식품(4)의 폭방향 양단 근방을 용착하여 일체화된 것이며, 외필름(2)의 이면에는, 폭방향 중앙에 분단 가능부(21)를 갖고, 내필름(3)은 2장의 필름편(31)(31)의 서로의 내측 가장자리를 외필름(2)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서 겹쳐 형성되고,
외필름(2)의 길이 방향 일단(1a)의 표면측에는, 이면측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외필름(2)으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으며,
상기 외필름(2)의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지 않은 타단(1b)에는, 분단 가능부(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절입(切入)(23)(23)이 형성된 포장 시트(1)를 이용하여,
시트형상 식품(4)의 폭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의 내필름(3) 상에, 상기 외필름(2)의 분단 가능부(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눕혀서 얹고,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지 않은 타단(1b)을 부착 수단(5)이 붙여진 일단(1a)측으로 접어, 상기 타단(1b)이 상기 일단(1a)보다 돌출하도록 겹쳐, 부착 수단(5)의 자유단이 남도록 타단을 부착 수단(5)에 붙이고,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1)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를 좁혀, 포장 시트(1)의 타단(1b)측을 접도록 하여 포장 시트(1)를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면에 감아, 부착 수단(5)의 자유단을 원통형상이 된 외필름(2)에 붙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의 포장 봉형상 밥은, 부착 수단(5)을 자유단측으로부터 떼어, 원통형상이 된 외필름(2)으로부터 벗기고, 부착 수단(5)과, 그 부착 수단(5)에 붙여진 외필름(2)의 단부(1a)(1b)를 함께 원통형상의 외필름(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세워 올림으로써,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를 넓히고, 외필름(2)의 단부(1b)측에 형성된 절입(23)(23) 사이의 분단 가능부(21)를 당겨, 분단 가능부(21)를 따라 외필름(2)을 단부(1a)까지 분단하고, 봉형상 밥 덩어리(6)에 남아 있는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각각 외측으로 당겨,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제거함으로써 포장을 풀 수 있다.
포장 시트(1)를 제거한 상태에서, 시트형상 식품(4)은, 봉형상 밥 덩어리(6)에 감겨진 상태로 남기 때문에, 그대로 먹을 수 있다.
도 1은 포장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외필름측에서 본 포장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봉형상 밥 덩어리를 포장 시트에 얹고, 내필름측에서 본 포장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부착 수단의 접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부착 수단에 포장 시트의 양단을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분단 가능부를 좌우 한 쌍 형성한 포장 시트의 양단을 부착 수단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분단 가능부를 좌우 한 쌍 형성한 포장 시트의 양단을 부착 수단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분단 가능부 간의 폭을 도 7에 비해 좁게 하고 있다.
도 9는 분단 가능부를 좌우 한 쌍 형성한 포장 시트의 양단을 부착 수단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분단 가능부 간의 폭을 도 7에 비해 좁고, 도 8에 비해 넓게 하고 있다.
도 10은 단부 포장부를 생략한 포장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포장 봉형상 밥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포장 시트를 이용하여 포장한 포장 봉형상 밥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단부 포장부를 생략한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부착 수단을 원통형상이 된 외필름으로부터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외필름을 분단하는 도중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외필름을 분단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포장이 풀려 바로 시트형상 식품이 봉형상 밥 덩어리에 씌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필름편에 단부 포장부를 일체로 형성한 내필름을 이용한 포장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봉형상 밥 덩어리(6)에 포장 시트(1)를 감고, 감음단(1a)(1b)을 부착 수단(5)인 라벨(50)로 부착한 포장 봉형상 밥을 나타내고, 도 17은 포장이 풀려 시트형상 식품(4)이 바로 씌워진 봉형상 밥 덩어리(6)를 나타낸다.
봉형상 밥 덩어리(6)는 직경 약 4cm, 길이 약 10cm이다.
봉형상 밥 덩어리(6)는 백미나 별미밥 등 원기둥형상의 덩어리이며, 부분적 혹은 전체에 참깨 등의 복합 조미 식품을 뿌려 두어도 된다.
시트형상 식품(4)은, 시트형상 김(41)을 예시할 수 있지만, 말린 다시마를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 말린 오징어를 얇게 편 것 등, 포장 시트(1)를 감는데 지장이 되지 않는 얇은 식품이면 된다.
[포장 시트]
도 1 내지 도 4는, 포장 시트(1)를 나타내고 있다.
포장 시트(1)는, 직사각형으로 투명한 외필름(2)과, 좌우 한 쌍의 필름 절반체(31)(31)로 이루어지는 내필름(3) 사이에, 직사각형의 시트형상 식품(4)을 끼워 형성된다.
외필름(2)은, 길이 약 20cm, 폭길이 약 12cm이다.
외필름(2)의 길이는,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 길이의 1.4 내지 1.7 정도, 폭길이는, 봉형상 밥 덩어리(6)의 길이에 약 2cm를 더한 길이이다.
외필름(2)은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외필름(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찢을 수 있는 분단 가능부(21)를 갖고 있다.
실시예의 분단 가능부(21)는, 커트 테이프(22)를 외필름(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착한 것이다. 커트 테이프(22)의 일단을 당기면 외필름(2)을 테이프 방향을 따라 찢을 수 있다.
외필름(2)의 한쪽의 단부(1b)에는, 커트 테이프(22)의 외측에, 커트 테이프(22)에 접근하여 커트 테이프(22)와 평행하게 짧게 절입(23)(23)이 형성되어 있다. 그 절입(23)(23) 사이를 잡고 커트 테이프(22)를 당기기 때문에, 절입(23)(23)측이 외필름(2)의 분단을 개시하는 측의 단부(이하 「분단 개시단(1b)」이라고 칭한다)이 된다.
또한, 「분단 개시단(1b)」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분단 종단(1a)」이라고 칭하고, 그 분단 종단(1a)에는, 후술하는 대로, 미리 부착 수단이 붙여진다.
내필름(3)은, 동형의 2장의 필름편(31)(31)으로 구성되어, 서로의 내측 가장자리를 상기 외필름(2)의 분단 가능부(21) 상에서, 약 1cm의 겹침 폭으로 겹쳐 있다.
양 필름편(31)(31)에는, 서로 외필름(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로부터 사다리꼴형상으로 크게 돌출된 단부 포장부(33)(33)가 또한 열용착되어 있다. 또한, 단부 포장부(33)(33)는, 필름편(31)(31)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단부 포장부(33)(33)의 돌출 높이 h는, 봉형상 밥 덩어리(6)의 직경의 1.3배 정도이다.
내필름(3)(필름편(31)(31)) 및 단부 포장부(33)(33)는, 봉형상 밥 덩어리(6)로부터의 괴리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오목부와 볼록부가 균일하게 분포한 엠보스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내필름(3) 등에 밥알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형상 식품(4)은, 실시예에서는 시트형상 김(41)(이하, 간단히 「김」)이다.
김(41)은, 길이 약 15cm, 폭길이 약 10cm이며, 길이는 상기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 길이의 1배 초과(약 1.2배), 폭길이는 봉형상 밥 덩어리(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 상에, 김(41) 및 내필름(3)이 겹쳐져, 외필름(2)의 외주부 및 김(41)을 둘러싸고, 외필름(2)과 내필름(3)이 선형상으로 용착되어 포장 시트(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있어서, 부호(11)(11), (12)(12), (13)(13)는 용착선을 나타내고 있다.
필름편(31)(31)의 겹침부(32)에는 그 용착선(12)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41)은, 외필름(2)의 절입(23)(23)이 형성된 일단측, 즉, 분단 종단(1a)측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시트(1)의 외필름(2)의 분단 종단(1a)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4cm 내측의 범위 e에는 김(41)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시트(1)에는, 감음단(1a)(1b)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5)인 라벨(50)이 포장 시트(1)의 전개 상태에서 미리 외필름(2)의 분단 종단(1a)측에 붙여져 있다.
라벨(50)은, 외필름(2)과 거의 동일한 폭이며, 부착 수단(5)의 이면에는, 후술하는 대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56)(57)(58)를 갖는다.
라벨(50)에는, 외필름(2)에 붙였을 때에, 커트 테이프(22)의 외측에 접근하여, 단속적인 절입(52)(52)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50)은, 절입(52)(52)에 의해 중앙과 그 양측으로 분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라벨(50)의 이면에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56)(57)(58)를 갖는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50)의 이면에는, 포장 시트(1)의 분단 종단(1a)이 접착되는 제1 접착부(56)와, 그 제1 접착부(56)에 인접하여, 포장 시트(1)의 분단 개시단(1b)이 접착되는 제2 접착부(57)와, 그 제2 접착부(57)에 인접하여, 포장 시트(1)를 통형상으로 다 감았을 때에, 포장 시트(1)의 개방이나 감김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장 시트(1)의 통형상 동체부에 접착되는 제3 접착부(58)를 갖고 있다.
제1 접착부(56)는, 라벨(50)의 길이의 약 3분의 1(약 0.8cm~1cm)를 차지하고, 제2 접착부(57)는, 그 상측의 약 6분의 1(약 0.3cm~0.5cm), 나머지(약 1.5cm~1.9cm)가 제3 접착부(58)로 되어 있다.
제1 접착부(56) 및 제2 접착부(57)에는, 각각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 제3 접착부(58)에도 접착제가 도포되지만,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50a)(이하 「손가락을 넣는 영역(50a)」이라고 칭한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손가락을 넣는 영역(50a)은, 포장을 풀 때에, 라벨(50)의 중앙을 잡는 손가락끝을 침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 제3 접착부(58)가 포장 시트(1)의 통형상 동체부와 접착되는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라벨(50)이 포장 시트(1)의 통형상 동체부로부터 벗겨지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접착부(58)는, 자유단측 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50b)(50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영역(50b)은, 라벨(50)의 자유단측으로부터 약 0.3cm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라벨(50)의 자유단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50b)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을 풀 때에 중앙을 잡는 손가락끝을 침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라벨(50)의 표면측 및 외필름(2)에는, 도 2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을 푸는 순서를 나타낸 「1」 「2」 「3」의 3개의 숫자 및 필름의 당김 방향을 나타낸 화살표가 인쇄 또는 시일 접착되어 있다.
숫자 「1」은, 외필름(2)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폭 중앙에 표시된다.
숫자 「1」의 근방에, 내방향의 화살표(53)가 표시된다.
숫자 「2」는, 외필름(2)의 폭방향의 일단측에, 숫자 「3」은 외필름(2)의 폭방향의 타단측에 길이 방향 외방향의 화살표(54)(55)와 함께 표시된다.
포장 시트(1)는, 내필름(3)이 열용착되어, 시트형상 식품(4)이 사이에 끼워진 외필름(2)의 분단 종단(1a)에, 라벨(50)을 붙여 구성된다. 라벨(50)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의 분단 종단(1a)측이 제1 접착부(56)에 닿도록 접착된다.
이 상태로, 이하의 요령에 의해,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로 포장한다.
[포장 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필름(3)을 위로 한 포장 시트(1)에 봉형상 밥 덩어리(6)를, 눕힌 상태로 외필름(2)의 커트 테이프(22)(22)와 직교하여, 양단이 김(4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또한 김(41)의 길이 중앙 부근에 얹는다.
다음에, 도 3의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필름(3)의 양단부 포장부(33)(33)로 봉형상 밥 덩어리(6)의 양단부를 싼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 밥 덩어리(6)를 싸면서, 도 6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시트(1)의 분단 개시단(1b)을 분단 종단(1a)으로부터 조금 돌출하도록 겹쳐 라벨의 제2 접착부(57)에 붙인다.
이 때, 포장 시트(1)의 양단 겹침부와 봉형상 밥 덩어리(6) 사이에 큰 공간 S1(도 10 참조)이 생긴다.
이 상태로부터, 포장 시트(1)의 봉형상 밥 덩어리(6)에 씌워져 있지 않은 부분, 즉, 김(41)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누름으로써, 내측이 되는 포장 시트(1)를 접도록 하여 상기 공간 S를 좁히면서, 포장 시트(1)를 봉형상 밥 덩어리(6)에 감고,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지막에 라벨(50)의 제3 접착부(58)를 통형상이 된 포장 시트(1)에 부착시킴으로써, 포장 봉형상 밥이 완성된다.
[포장을 푸는 순서]
도 11에 나타낸 포장 봉형상 밥의 라벨(50)에 나타낸 숫자 「1」에 대응하는 화살표(53)의 방향으로 라벨(50)을 벗긴다. 라벨(50)의 중앙에는, 손가락을 넣는 영역(5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손가락끝을 라벨(50)의 이면측으로 넣을 수 있어, 라벨(50)을 순조롭게 당겨 벗길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라벨(50)을 포장 시트(1)의 통형상 동체부로부터 벗겨 세워 올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 외필름(2)과 내필름(3)의 양단(1a)(1b)이 부상하여,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1)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가 넓어져 있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50)의 이측에 있는 분단 개시단(1b)을 손가락끝으로 잡고 당겨, 외필름(2)을 커트 테이프(22)를 따라 분단한다. 분단 개시단(1b)으로부터 커트 테이프(22)를 당기는 것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라벨(50)의 이측 중앙의 손가락을 넣는 영역(50a)에 화살표 등을 인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트 테이프(22)를 라벨(50)측까지 당긴 후, 또한 끝까지 커트 테이프(22)를 당김으로써, 라벨(50)은, 절입(52)(52)에서 절단되어, 외필름(2)과 라벨(50)이 완전하게 좌우로 분단된다.
또한, 라벨(50)에 절입(52)(52)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커트 테이프(22)를 당김으로써, 라벨(50)은 커트 테이프(22)를 따라 분단할 수 있다.
이 후,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의 필름 절반체(2a)와 그 외필름 절반체(2a)에 용착되어 있는 내필름(3)의 필름편(31)을, 화살표 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 밥 덩어리(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끌어낸다. 또한, 외필름(2)의 나머지의 필름 절반체(2b)와 그 외필름 절반체(2b)에 용착되어 있는 내필름(3)의 필름편(31)을, 화살표 Y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 밥 덩어리(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끌어낸다.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1) 사이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 S가 생겨, 포장 시트(1)가 긴밀히 봉형상 밥 덩어리(6)에 감겨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공간 S에 의해, 잔존하는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당길 때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작게 할 수 있으며, 또, 시트형상 식품(4)을 파손하거나, 봉형상 밥 덩어리(6)의 형태를 무너뜨리는 일 없이,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포장을 푸는 작업에 의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김(41) 만이 봉형상 밥 덩어리(6)에 바로 감긴 상태로 남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분단 가능부(21)는, 외필름(2)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1개이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에 분단 가능부(21)(21), 즉, 커트 테이프(22)(22)를 소정 간격을 가지고 2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분단 가능부(21)(21)를, 외필름(2)의 전체폭의 3분의 1 이상 떨어뜨려 형성한 것이며, 라벨(50)의 절입(52)(52)도 분단 가능부(21)(21)의 폭방향 외측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절입(52)(52)은, 분단 가능부(21)(21)의 외측 약 0.3cm의 위치에 분단 가능부(21)(21)와 평행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단 가능부(21)(21)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넓은 폭으로 외필름(2)을 벗길 수 있어, 잔존하는 외필름(2)의 양단을 좁은 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봉형상 밥 덩어리(6)에 남아 있는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각각 좌우로 당길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시트형상 식품(4)을 파손하거나, 봉형상 밥 덩어리(6)의 형태를 무너뜨리는 일 없이,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도 7의 포장 시트(1)를 이용하여 포장한 포장 봉형상 밥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에 비해 분단 가능부(21)(21)의 간격은 좁아지지만, 분단 가능부(21)(21)를 2개로 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봉형상 밥 덩어리(6)에 남아 있는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각각 좌우로 당길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시트형상 식품(4)을 파손하거나, 봉형상 밥 덩어리(6)의 형태를 무너뜨리는 일 없이,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제거할 수 있다.
어느 경우도, 분단 가능부(21)(21)는, 외필름(2)의 폭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봉형상 밥 덩어리(6)의 굵기, 길이는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둥근 봉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 봉형상이어도 된다.
포장 시트(1)의 크기는, 봉형상 밥 덩어리(6)의 크기에 맞추어 작성하면 된다.
또, 실시예에서는, 내필름(3)의 각 필름편(31)(31)은, 단부 포장부(33)(3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체의 단부 포장부(33)를 필름편(31)에 용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단부 포장부(33)(33)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분단 가능부(21)는, 커트 테이프(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분단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방향성 필름에 의해 외필름(2)을 형성하고, 그 외필름(2)의 일단의 중앙에 상기한 짧은 평행 절입(23)(23)을 형성함으로써, 외필름(2)을 2분할 수 있는 분단 가능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수단(5)의 접착부(56)(57)(58)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바꿈으로써 외필름(2)에 대한 접착력을 바꾸거나, 접착제의 종류나 농도, 단위 면적당의 도포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접착력을 바꿀 수도 있다.
또, 라벨(50)과 외필름(2) 또는 내필름(3)의 접착은, 접착제에 한정되지 않고, 열용착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18은, 필름편(31)(31)에 단부 포장부(33)(33)를 일체로 연속하여 형성한 내필름(3)을 이용한 포장 시트(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포장부(33)를 필름편(31)과 일체로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필름편(31)과 단부 포장부(33)의 열용착 공정을 불필요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각 필름편(31)(31)은, 미리 단부 포장부(33)가 형성되도록 커터 등에 의해 절단하여 작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필름편(31)(31)은, 단부 포장부(33)의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폭으로 형성해 두어, 필름편(31)(31)과 외필름(2)의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4)(김(41))을 끼운 상태로 필름편(31)(31)과 외필름(2)을 열용착(11)(11)한 후, 외필름(2) 및 시트형상 식품(4)의 위치에 맞추어 단부 포장부(33)(33)가 형성되도록, 커터 등으로 절단한다.
상기에 의하면, 롤 등에 감은, 길이가 긴 필름편(31)(31)을 외필름(2)에 연속하여 열용착(11)(11)한 후, 단부 포장부(33)(33)를 형성할 수 있어, 포장 시트(1)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외필름(2) 및 시트형상 식품(4)에 대한 단부 포장부(33)(33)의 위치 맞춤을 열용착(11)(11) 후에 행할 수 있어, 단부 포장부(33)(33)의 위치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내필름(3)은, 엠보스 필름 등, 밥알이 부착되기 어려운 재료의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거나, 혹은 범위를 감축하는 것처럼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로 싼 포장 봉형상 밥으로서,
    포장 시트(1)는, 전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외필름(2)과 그 외필름(2)의 이면측에 배치된 내필름(3)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4)을 끼우고, 외필름(2)과 내필름(3)은, 시트형상 식품(4)의 폭방향 양단 근방을 용착하여 일체화된 것이며, 외필름(2)의 이면에는, 폭방향 중앙에 분단 가능부(21)를 갖고, 내필름(3)은 2장의 필름편(31)(31)의 서로의 내측 가장자리를 외필름(2)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서 겹쳐 형성되고,
    외필름(2)의 길이 방향 일단(1a)의 표면측에는, 부착 수단(5)의 이면측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외필름(2)으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으며,
    상기 외필름(2)의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지 않은 타단(1b)에는, 분단 가능부(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절입(切入)(23)(23)이 형성된 포장 시트(1)를 이용하여,
    시트형상 식품(4)의 폭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의 내필름(3) 상에, 상기 외필름(2)의 분단 가능부(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눕혀서 얹고,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지 않은 타단(1b)을 부착 수단(5)이 붙여진 일단(1a)측으로 접어, 상기 타단(1b)이 상기 일단(1a)보다 돌출하도록 겹쳐, 부착 수단(5)의 자유단이 남도록 타단을 부착 수단(5)에 붙이고,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1)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를 좁혀, 포장 시트(1)의 타단(1b)측을 접도록 하여 포장 시트(1)를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면에 감아, 부착 수단(5)의 자유단을 원통형상이 된 외필름(2)에 붙여 이루어지고,
    부착 수단(5)은, 포장 시트(1)의 상기 일단(1a)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56)와, 포장 시트(1)의 상기 타단(1b)을 접착하는 제2 접착부(57)와,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면에 감은 후, 외필름(2)에 접착하는 제3 접착부(58)를 갖고 있으며,
    제3 접착부(58)는, 폭방향 중앙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50a)을 갖는, 포장 봉형상 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접착부(58)는, 자유단측 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50b)을 더 갖는, 포장 봉형상 밥.
  3.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로 싼 포장 봉형상 밥으로서,
    포장 시트(1)는, 전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외필름(2)과 그 외필름(2)의 이면측에 배치된 내필름(3)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4)을 끼우고, 외필름(2)과 내필름(3)은, 시트형상 식품(4)의 폭방향 양단 근방을 용착하여 일체화된 것이며, 외필름(2)의 이면에는, 폭방향 중앙에 분단 가능부(21)를 갖고, 내필름(3)은 2장의 필름편(31)(31)의 서로의 내측 가장자리를 외필름(2)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서 겹쳐 형성되고,
    외필름(2)의 길이 방향 일단(1a)의 표면측에는, 부착 수단(5)의 이면측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외필름(2)으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으며,
    상기 외필름(2)의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지 않은 타단(1b)에는, 분단 가능부(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절입(23)(23)이 형성된 포장 시트(1)를 이용하여,
    시트형상 식품(4)의 폭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봉형상 밥 덩어리(6)를, 포장 시트(1)의 내필름(3) 상에, 상기 외필름(2)의 분단 가능부(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눕혀서 얹고, 부착 수단(5)이 붙여져 있지 않은 타단(1b)을 부착 수단(5)이 붙여진 일단(1a)측으로 접어, 상기 타단(1b)이 상기 일단(1a)보다 돌출하도록 겹쳐, 부착 수단(5)의 자유단이 남도록 타단을 부착 수단(5)에 붙이고,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1)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를 좁혀, 포장 시트(1)의 타단(1b)측을 접도록 하여 포장 시트(1)를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면에 감아, 부착 수단(5)의 자유단을 원통형상이 된 외필름(2)에 붙여 이루어지고,
    부착 수단(5)은, 포장 시트(1)의 상기 일단(1a)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56)와, 포장 시트(1)의 상기 타단(1b)을 접착하는 제2 접착부(57)와,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면에 감은 후, 외필름(2)에 접착하는 제3 접착부(58)를 갖고 있으며,
    제3 접착부(58)는, 자유단측 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50b)을 갖는, 포장 봉형상 밥.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분단 가능부(21)는, 외필름(2)의 폭방향 중앙에 소정 간격을 갖고 좌우 한 쌍(21a)(21a) 형성되어 있는, 포장 봉형상 밥.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부착 수단(5)에는, 분단 가능부(21)의 폭방향 외측이 되는 위치에, 분단 가능부(21)와 평행하게 단속적인 절입(52)(52)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 봉형상 밥.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내필름(3)에는,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단부를 싸는 단부 포장부(33)(33)를 외필름(2)으로부터 돌출시켜 구비하고 있으며, 내필름(3) 상에 얹은 봉형상 밥 덩어리(6)의 양단을 단부 포장부(33)(33)로 싸고 나서, 포장 시트(1)를 봉형상 밥 덩어리(6)의 둘레면에 감는, 포장 봉형상 밥.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시트형상 식품(4)은, 전개 상태의 포장 시트(1)의 일단(1a)측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장 상태의 포장 시트(1)가 접히는 부분에는 시트형상 식품(4)은 존재하고 있지 않은, 포장 봉형상 밥.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단부 포장부(33)(33)는, 필름편(31)(31)에 일체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포장 봉형상 밥.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포장 봉형상 밥의 포장을 푸는 방법으로서,
    부착 수단(5)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손가락끝을 침입시켜, 부착 수단(5)을 자유단측으로부터 떼어, 원통형상이 된 외필름(2)으로부터 벗기고,
    부착 수단(5)과, 상기 부착 수단(5)에 붙여진 외필름(2)의 단부(1a)(1b)를 함께 원통형상의 외필름(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세워 올림으로써, 봉형상 밥 덩어리(6)와 포장 시트의 양단 겹침부 사이의 공간 S를 넓히고,
    외필름(2)의 단부(1b)측에 형성된 절입(23)(23) 사이의 분단 가능부(21)를 당겨, 분단 가능부(21)를 따라 외필름(2)을 단부(1a)까지 분단하고,
    봉형상 밥 덩어리(6)에 남아 있는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각각 외측으로 당겨, 외필름(2) 및 내필름(3)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봉형상 밥의 포장을 푸는 방법.
KR1020110105302A 2010-10-18 2011-10-14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KR101889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3442 2010-10-18
JPJP-P-2010-233442 2010-10-18
JP2010266526A JP5634235B2 (ja) 2010-10-18 2010-11-30 包装棒状飯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JP-P-2010-266526 201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10A KR20120040110A (ko) 2012-04-26
KR101889554B1 true KR101889554B1 (ko) 2018-08-20

Family

ID=4614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302A KR101889554B1 (ko) 2010-10-18 2011-10-14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5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832A (ja) 2000-09-29 2002-04-09 Makoto Suzuki 包装巻寿司
JP2009007007A (ja) 2007-05-31 2009-01-15 Makoto Suzuki 包装飯塊
JP2009232694A (ja) 2008-03-26 2009-10-15 Makoto Suzuki 包装飯塊
JP2010013117A (ja) 2008-07-01 2010-01-21 Makoto Suzuki 包装棒状食品及び包装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832A (ja) 2000-09-29 2002-04-09 Makoto Suzuki 包装巻寿司
JP2009007007A (ja) 2007-05-31 2009-01-15 Makoto Suzuki 包装飯塊
JP2009232694A (ja) 2008-03-26 2009-10-15 Makoto Suzuki 包装飯塊
JP2010013117A (ja) 2008-07-01 2010-01-21 Makoto Suzuki 包装棒状食品及び包装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10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204680A (ja) 包装シート、包装食品及び包装食品の包装を解く方法
KR102078883B1 (ko) 포장 시트 및 포장 밥 덩어리
JP2016214204A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包装飯塊の包装を解く方法
KR20150004238A (ko) 포장 시트
KR101889554B1 (ko) 포장 봉형상 밥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JP5588324B2 (ja) 包装棒状飯
JP6039303B2 (ja) 包装シート及び該包装シートにより包装された包装飯塊
JP5816447B2 (ja)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2011246145A (ja) 包装食品
JP2002101832A (ja) 包装巻寿司
JP6272669B2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JP5495835B2 (ja) 包装棒状飯及び包装方法
JP6077257B2 (ja)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5634235B2 (ja) 包装棒状飯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5243848B2 (ja) 包装棒状食品及び包装シート
JP5350946B2 (ja) 包装棒状飯
KR20190002325A (ko) 포장 밥 덩어리
KR101889559B1 (ko)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JP3323855B2 (ja) 棒状米飯加工食品の包装シート及びその包装シートを用いた棒状米飯加工食品入り包装体
JP2505368B2 (ja) 包装軍艦巻き寿司及びその包装シ―ト
JP6577741B2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包装飯塊の包装を解く方法
JP2015192600A (ja) 包装シート及び棒状包装飯塊
JP5595095B2 (ja) 包装棒状飯
JP2017038546A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JP2017226453A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