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063B1 -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 Google Patents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063B1
KR101889063B1 KR1020170094334A KR20170094334A KR101889063B1 KR 101889063 B1 KR101889063 B1 KR 101889063B1 KR 1020170094334 A KR1020170094334 A KR 1020170094334A KR 20170094334 A KR20170094334 A KR 20170094334A KR 101889063 B1 KR101889063 B1 KR 10188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generation
tube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이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식 filed Critical 이성식
Priority to KR102017009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갱생작업 시 갱생관을 노후관 내 요구의 위치로 운반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갱생관 운반대차, 갱생관 운반대차에 의하여 노후관에 삽입된 갱생관들을 자동용접으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갱생관 연결보조대차 및 이들을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EQUIPMENT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노후화된 유체 수송용 관을 갱생하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갱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 송유관, 가스관과 같이 유체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관으로는 강관, 주철관, 콘크리트관, 합성수지관 등이 이용되고, 관로가 상대적으로 큰 대형관으로는 이들 중에서도 강관이나 주철관이 주로 이용된다.
이들 관은 장기간 사용하면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 및 유체에 포함된 각종의 이물 등에 의하여 노후화되면서 내면이 손상을 입게 된다. 특히, 강관이나 주철관을 적용한 상수도관의 경우에는 상수를 보다 안전하게 공급할 목적으로 코팅처리를 하여 내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바, 내면의 코팅층이 노후화로 인하여 부식되거나 벗겨지면 상수의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의 노후화 문제는 노후관을 철거하고 새것을 시공하는 교체방법으로 해결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교체방법보다는 노후관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개량하는 갱생방법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더 효율적이므로, 근래에 들어서는 노후관 갱생방법을 더 선호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589호(특허문헌 000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2012호(특허문헌 0002)에는 기존의 노후관에 신규의 갱생관을 삽입하고 삽입된 갱생관들을 서로 연결하여 노후 관로의 내부에 신규 관로를 형성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및 이 방법에 이용하는 장비로서 갱생관 운반대차 등이 제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갱생관 운반대차는, 노후 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노후 관로에 투입된 갱생관을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갱생관을 들어올린 상태로 노후 관로를 따라 이동되어 갱생관을 요구의 삽입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노후 관로에 삽입된 갱생관은, 이웃한 갱생관과 서로 연결되고, 노후관과의 사이에 주입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갱생관 운반대차는, 갱생관을 갱생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어 갱생관을 관통한 때 갱생관의 외부에 각각 위치되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및 갱생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중간 부분을 가진 대차 프레임(특허문헌 0002의 도면부호 410 참조), 대차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부분에 각각 장착된 대차 바퀴(특허문헌 0002의 도면부호 420 참조), 대차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갱생관을 들어올리는 리프트(특허문헌 0002의 도면부호 430 참조), 그리고 대차 프레임의 선단에서 대차 프레임의 전방 부분을 승강시키는 전방승강유닛(특허문헌 0002의 도면부호 440 참조)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전방승강유닛에 의하면, 갱생관 운반대차가 갱생관의 운반을 위하여 갱생관에 진입 시 갱생관의 관 두께로 인하여 발생되는 바닥의 단차영역에 대차 프레임의 선단이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갱생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갱생관을 갱생관 운반대차에 의하여 노후관에 투입 시 노후관의 관 두께로 인하여 발생되는 바닥의 단차영역에 대차 프레임의 선단이나 갱생관의 선단이 충돌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 방지를 위하여, 전방승강유닛은, 이동 시 대차 바퀴와 함께 구름운동을 하는 지지바퀴(특허문헌 0002의 도면부호 445 참조), 그리고 대차 프레임의 전방 부분을 지지바퀴에 대하여 상승시켜 들어올리거나 원위치로 하강시키는 구동실린더(특허문헌 0002의 도면부호 443 참조)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갱생관 운반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단차영역을 통과 시 대차 프레임의 전방 부분에 대한 전방승강유닛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단차영역에 대차 프레임의 선단이나 갱생관의 선단이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지만, 전방승강유닛의 지지바퀴가 바닥에 항시 접하고 있는 점 때문에, 지지바퀴가 단차영역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서행을 하더라도 발생되는 걸림현상으로 인하여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이동이 사실상 불가하므로 어떤 식으로든 충격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발생한 충격이 대차 프레임, 리프트, 구동실린더 등으로 전달되어 장기 사용 시에 고장 및 손상을 유발하거나 리프트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가 있다. 리프트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의 자세가 외력으로 인하여 틀어지면, 갱생관의 운반과정에서 노후관의 내벽에 갱생관이 충돌할 우려가 커지므로 갱생관의 운반을 잠시 중단하고 틀어진 갱생관의 자세를 노후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교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차 프레임의 전방 부분을 전방승강유닛에 의하여 들어올리면, 대차 프레임이 기울어지고, 리프트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도 함께 기울어지기 때문에, 단차영역을 통과 시 노후관의 내벽에 갱생관이 자칫 충돌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갱생관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갱생관 운반대차를 이용한 갱생관의 운반과정에서 갱생관의 자세가 틀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조종(운전) 실수 등으로 인하여 노후관의 내벽에 갱생관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갱생관이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노후 관로에서 상하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선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노후관의 내벽에 갱생관이 충돌할 수 있다. 노후 관로 대비 신규 관로의 단면적 감소율 최소화를 위하여 노후관과의 직경 차이가 보다 작은 갱생관을 더 선호하는 근래의 추세에 의하면, 노후관의 내벽에 갱생관이 충돌하는 사고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노후관에 삽입된 갱생관들을 보다 긴밀하고 정확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갱생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 앞서, 갱생관들을 서로 밀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이 매우 힘든 데다 효율적인 장비가 전무하기 때문에, 작업 품질 향상에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589호(2015.04.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2012호(2017.02.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갱생관을 요구의 위치로 운반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노후관 갱생장비(갱생관 운반대차)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후관에 삽입된 갱생관들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노후관 갱생장비(갱생관 연결보조대차)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은 노후관 갱생장비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관(2)의 관로를 따라 전, 후진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110)과; 전방 부분(121), 후방 부분(122) 및 상기 전방 부분(121)과 상기 후방 부분(122) 사이의 중간 부분(123)을 가지며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되는 갱생관(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 가능하고 상기 갱생관(4)을 관통 시 상기 전, 후방 부분(121, 122)이 각각 상기 갱생관(4)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행차량(110)의 전방 쪽에 상기 후방 부분(122)이 좌우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차 프레임(120)과;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장착되어 상기 전방 부분(121)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차 바퀴(130)와;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설치되고 상기 갱생관(4)을 들어올리는 갱생관 승강유닛(도면부호 141 참조)과; 상기 대차 바퀴(130)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상단과 하단 사이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선단) 쪽에 바퀴 등의 구름운동부재(152)가 장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름운동부재(152)가 상기 대차 바퀴(130)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되거나 하측에 위치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승강레버(151)와; 상기 승강레버(151)의 상단 쪽에 한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레버(151)를 양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구동수단(153)을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갱생관 승강유닛은 복수의 승강실린더(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승강실린더(141)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한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갱생관(4)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하부)의 내주에 힌지핀을 가진 탈착형 연결수단에 의하여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상기 갱생관 승강유닛(도면부호 141 참조)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4)의 상부와 하부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상부)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는 홀더(146)와; 상기 홀더(146) 각각에 한쪽 단부가 연결된 와이어 또는 로프(147)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로프(147) 각각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각각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로프(147) 각각을 긴장시켜 상기 갱생관(4)이 외력 등에 인하여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실린더(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146) 각각은, 상기 갱생관(4)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부 및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로프(147)가 연결된 고리 형상 또는 구멍 형상의 연결부를 가진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의 홈부에 삽입된 상기 갱생관(4)의 단부를 상기 홈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상기 대차 프레임(120)과 상기 대차 바퀴(1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을 승강시키는 전방 높이조절유닛(1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상기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후방 부분(122)이 상기 좌우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렇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후방 부분(122)을 승강시키는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관(2)의 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110)과; 전방 부분(121), 후방 부분(122) 및 상기 전방 부분(121)과 상기 후방 부분(122) 사이의 중간 부분(123)을 가지며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되는 갱생관(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 가능하고 상기 갱생관(4)을 관통 시 상기 전방 부분(121) 및 상기 후방 부분(122)이 각각 상기 갱생관(4)의 전방 및 후방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상기 후방 부분(12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차 프레임(120)과;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장착되어 상기 전방 부분(121)을 지지하는 대차 바퀴(130)와;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설치되고 상기 갱생관(4)을 들어올리는 갱생관 승강유닛(도면부호 141 참조)과; 상기 갱생관 승강유닛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4)을 상기 대차 프레임(120)에 지지시켜 상기 갱생관(4)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갱생관 흔들림 방지유닛(145)을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관(2)의 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110)과; 전방 부분(121), 후방 부분(122) 및 상기 전방 부분(121)과 상기 후방 부분(122) 사이의 중간 부분(123)을 가지며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되는 갱생관(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 가능하고 상기 갱생관(4)을 관통 시 상기 전방 부분(121) 및 상기 후방 부분(122)이 각각 상기 갱생관(4)의 전방 및 후방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상기 후방 부분(12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차 프레임(120)과;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승강레버(151), 상기 승강레버(151)의 선단에 장착된 바퀴(152), 그리고 상기 승강레버(151)를 회전(각운동)시켜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을 승강시키는 레버 구동수단(153)으로 구성된 전방승강유닛(150)과;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설치되고 상기 갱생관(4)을 들어올리며 들어올려진 상기 갱생관(4)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갱생관(4)의 자세를 변경하는(예를 들어, 기울어진 자세나 수평 자세로 변경할 수 있다.) 갱생관 자세변경장치(도면부호 141 참조)를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생관 운반대차(100)에 의하여 노후관(2)에 삽입된 갱생관(4)의 내부를 따라 이동(전진, 후진) 가능한 주행차량(210)과; 상기 주행차량(210)의 전방에 연결되고 자동용접으로 연결시킬 서로 이웃한 두 갱생관(4 : 4A, 4B)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방향의 메인 프레임(220)과; 상기 메인 프레임(220)에 장착되며 상기 두 갱생관(4 : 4A, 4B) 중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갱생관(4A)을 파지하면서 상기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고정파지유닛(230)과; 상기 고정파지유닛(230)의 전방에 상기 고정파지유닛(230)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파지유닛(230)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두 갱생관(4 : 4A, 4B) 중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갱생관(4B)을 파지하면서 상기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가동파지유닛(240)과; 상기 가동파지유닛(240)을 상기 고정파지유닛(230)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파지유닛(230)과 상기 가동파지유닛(240)에 의하여 파지된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을 접근시키는 견인유닛(250)을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파지유닛(230)과 상기 가동파지유닛(240)은 각각,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기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의 내주면을 압박하거나 밀착 및 이로 인한 압박 상태가 해제되는 복수의 파지블록(231, 241)과; 상기 파지블록(231, 241)들을 이동시키는 블록 구동수단(232, 2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프레임 승강유닛(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승강유닛(260)은, 상기 메인 프레임(220)을 상기 주행차량(2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파지유닛(230) 및 상기 가동파지유닛(240)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갱생관 운반대차(100)를 이용, 사전에 설정한 갱생구간에 투입된 갱생관(4)을 들어올린 상태로 운반하여 상기 갱생관(4)을 상기 갱생구간의 노후관(2) 내 요구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갱생관 운반대차(100)에 의하여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된 갱생관(4)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노후관(2)과 상기 갱생관(4) 사이의 틈새에 복수 개의 간격유지부재를 개재시킨 후 상기 갱생관 운반대차(100)를 상기 갱생관(4)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를 이용, 상기 복수 개의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노후관(2)과의 간격이 유지되고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된 두 갱생관(4 : 4A, 4B) 중 먼저 삽입된 제1 갱생관(4A)과 나중에 삽입된 제2 갱생관(4B)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갱생관(4B)을 상기 제1 갱생관(4A)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갱생관(4A)에 상기 제2 갱생관(4B)을 밀착시키는 단계와; 서로 밀착된 상기 제1 갱생관(4A)과 상기 제2 갱생관(4B)을 자동용접에 의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서로 연결된 상기 갱생관(4)과 상기 노후관(2) 사이에 모르타르를 주입, 충전한 후 양생(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후관 갱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갱생관(4)을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상기 노후관(2)을 따라 어느 한쪽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갱생관(4A)에 상기 제2 갱생관(4B)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 갱생작업을 간편하고 신속,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장비(100, 200)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장비(100, 200)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의 변형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의 구성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의 고정 및 가동파지유닛(230, 240)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정면에서 본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방법(공법)을 살펴본다.
먼저, 노후관(2)의 관로, 즉 노후 관로에서 갱생할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갱생구간을 통과하는 유체(상수, 하수 등)의 흐름을 차단한다.
다음, 갱생구간에 노후관 갱생장비(도면부호 100 및 200 참조) 등의 투입 및 투입된 장비 등의 철거를 위한 제1과 제2의 두 작업구(6, 8)를 구축한다. 갱생구간의 길이방향 한쪽에는 제1 작업구(6)가 구축된다. 그리고, 갱생구간의 길이방향 다른 쪽에는 제2 작업구(8)가 구축된다.
그 다음, 양쪽의 작업구(6, 8)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갱생구간에 외기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를 통하여 갱생구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를 설치한다. 또, 환기장치에 의하여 갱생구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쪽의 작업구에 갱생구간에서 갱생작업 수행 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처리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설치한다.
다음, 갱생구간에 작업구(6, 8)를 통하여 준설장비, 배수장비 등을 투입하여 갱생구간을 청소한다. 갱생구간에 대한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투입된 준설장비, 배수장비 등을 갱생구간의 외부로 철거한다. 청소작업 중 환기장치 및 집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환기장치를 이용, 갱생구간에 외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갱생구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갱생구간에 대한 건조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3D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청소 및 건조작업이 완료된 갱생구간에 대하여 3차원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갱생구간의 노후관(2)의 관로 내면에 대한 3차원 형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후, 획득된 3차원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노후관(2)의 관로 내면의 형상에 맞추어 노후관(2)에 비하여 작은 직경의 갱생관(4)을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한다.
여기에서, 3차원 스캔(정밀측량)은 토목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갱생관(4)은 공장에서 한쪽 단부에 확관작업으로 내주가 확장된 수관부(도 4 및 도 6에서 확대도 참조)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생관(4)은 한쪽 갱생관의 수관부에 다른 쪽 갱생관의 단부가 끼워진다.
갱생관(4)의 제작이 완료되면, 노후관 갱생장비로서 갱생관 운반대차(100)와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를 이용, 갱생구간의 노후관(2)(이하,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에 대한 갱생작업을 수행한다. 갱생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환기장치 및 집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갱생구간 통과 유체의 흐름 차단작업, 갱생구간에 제1, 제2 작업구(6, 8) 구축작업, 작업구(6, 8)를 통한 환기장치와 집진장치 설치작업, 갱생구간 청소 및 건조작업, 노후관의 내면에 대한 3차원 형상 획득작업, 갱생관 제작작업 등의 준비단계를 거친 후 수행되는 노후관 갱생작업은, 제작된 갱생관(4)을 노후관에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갱생관(4)과 노후관 사이에 복수 개의 간격유지부재(부력방지부재)를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개재시켜서 갱생관(4)을 노후관의 센터에 배치하는 단계, 노후관의 센터에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된 양쪽의 갱생관(4 : 4A, 4B) 중 상대적으로 먼저 삽입된 제1 갱생관(4A)에 상대적으로 나중에 삽입된 제2 갱생관(4B)을 밀착시키는 단계, 서로 밀착된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을 용접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서로 연결된 갱생관(4)들과 노후관 사이의 이격 공간(틈새)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갱생관(4)을 삽입하는 단계 및 간격유지부재를 개재시키는 단계에는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이용되고,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을 서로 밀착시키는 단계 및 용접에 의하여 연결시키는 단계에는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가 이용된다.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제1 작업구(6)로 투입된다.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제1 작업구(6)로 투입된 갱생관(4)(이하,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을 들어올린 상태로 제2 작업구(8) 쪽으로 전진하여 갱생관을 운반, 노후 관로 내 요구의 위치에 갱생관을 삽입한다.(도 3 참조)
간격유지부재는 운반, 삽입된 갱생관이 갱생관 운반대차(100)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상태(즉, 들어올려짐에 따라 노후관과의 간격이 확보된 상태)에서 노후관과 갱생관 사이에 끼워진다.
간격유지부재의 개재작업 완료 후,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갱생관을 들어올린 상태를 해제하고 제1 작업구(6)로 투입된 다른 갱생관을 운반, 노후 관로 내 요구의 위치(먼저 삽입된 갱생관과 이웃하는 위치)에 삽입하기 위하여 제1 작업구(6) 쪽으로 후진된다.(도 4 참조) 물론,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제1 작업구(6) 쪽에서 제2 작업구(8)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제1 작업구(6) 쪽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갱생관을 운반, 삽입한다.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제2 작업구(8)로 투입된다. 투입된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노후관의 센터에 배치된 갱생관을 따라 제2 작업구(8) 쪽에서 제1 작업구(6) 쪽으로 전진, 서로 연결할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이후,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제2 갱생관(4B)을 제1 갱생관(4A) 쪽으로 이동시켜(끌어당겨) 제1 갱생관(4A)에 제2 갱생관(4B)을 밀착시킨다.(도 5 참조) 이렇게 밀착되면, 한쪽 갱생관의 수관부에 다른 쪽 갱생관의 단부가 완전히 끼워진다.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이 같이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강관의 경우에는 자중으로 인하여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원상으로 교정(정형)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서로 밀착된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은,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에 의하여 밀착이 유지되고 연결부의 형상이 교정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후,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의 밀착 유지를 해제하고 다음 연결부에 대한 용접 연결을 위하여 제1 작업구(6) 쪽으로 전진된다. 물론,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제1 작업구(6) 쪽으로의 이동과 연결부에 대한 밀착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노후관의 관로를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110), 전방 부분(121)과 후방 부분(122) 및 전방 부분(121)과 후방 부분(122)을 사이에서 연결하는 중간 부분(123)을 가지며 노후관에 삽입되는 갱생관을 길이방향으로 관통 가능함과 아울러 갱생관 관통 시 전방 부분(121)과 후방 부분(122)이 각각 갱생관의 전후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후방 부분(12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차 프레임(120),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장착되어 전방 부분(121)을 지지하는 대차 바퀴(130),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설치되며 갱생관의 하부의 내주에 연결되어 갱생관을 상방으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들어올리는 갱생관 승강유닛(도면부호 141 참조), 대차 바퀴(13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에 구름운동부재(152)가 장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구름운동부재(152)가 대차 바퀴(130)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되거나 하측에 위치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승강레버(151), 그리고 승강레버(151)를 양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구동수단(153)을 포함한다.
주행차량(110)은 자주차이다. 주행차량(110)은, 주행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구성 및 작업자에 의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는 각종의 조종 구성 등이 탑재된 차체 프레임(111), 그리고 차체 프레임(111)의 전방과 후방에 좌우로 장착된 주행바퀴(112)를 포함한다.
대차 바퀴(130)는 대차 프레임(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대차 프레임(120)의 하측에 배치된 대차 바퀴(130)는, 중앙에 구비될 수도 있고, 좌우 양쪽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갱생관 승강유닛은 복수의 승강실린더(141)를 포함한다. 승강실린더(141)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갱생관의 하부의 내주에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승강실린더(141)와 갱생관의 회전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위하여, 갱생관은 하부의 내주에 러그(lug, 41)가 복수로 마련되고, 승강실린더(141)는 러그(41)에 각각 힌지핀으로 연결된다. 러그(41) 및 힌지핀은 탈착형 연결수단을 구성한다. 참고로, 러그(41)는 갱생관의 제작 시 가용접으로 위치가 고정되고 갱생관의 운반, 삽입 후 제거될 수 있다.
승강레버(151), 구름운동부재(152) 그리고 레버 구동수단(153)은 전방승강유닛(150)을 구성한다. 구름운동부재(152)로는 롤러, 바퀴, 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레버 구동수단(153)으로는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한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승강레버(151)에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전방승강유닛(150)에 의하면,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노후관 또는 갱생관의 두께로 인하여 발생되는 바닥의 단차영역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차 바퀴(130)와 구름운동부재(152) 사이에 단차영역이 위치하는 때, 레버 구동수단(153)에 의하여 승강레버(151)를 회전시켜서 구름운동부재(152)를 대차 바퀴(130)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시키면,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이 들어올려지고, 이로써 대차 바퀴(130)가 부상되기 때문에, 대차 바퀴(130)가 단차영역에 어떤 식으로든 걸리는 현상 및 이로 인한 충격 발생 없이 대차 바퀴(130)를 노후관이나 갱생관의 내부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진입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반면, 대차 바퀴(130)가 노후관이나 갱생관의 내부로 진입된 후, 구름운동부재(152)를 원위치인 대차 바퀴(130)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시키면, 갱생관 운반대차(100)를 대차 바퀴(130)에 의하여 주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영역 통과과정은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정지함이 없이 주행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갱생관의 운반 등 갱생작업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이 들어올려져 대차 프레임(120)이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갱생관도 함께 기울어지면, 승강실린더(141)들 중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승강실린더를 신장시키거나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승강실린더를 수축시킴으로써, 갱생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의하면, 갱생관이 기울어지면서 노후관의 내벽에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165는 후방 높이조절유닛으로,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은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장착된다.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를 포함하는바,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상단 쪽에는 대차 프레임(120)의 후방 부분(12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앞서, 갱생관이 기울어진 때 승강실린더(141)들을 이용하여 갱생관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의 실린더를 신장시켜 대차 프레임(120)의 후방 부분(122)을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갱생관이 기울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대차 프레임(120)과 대차 바퀴(130) 사이에는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을 대차 바퀴(130)에 대하여 승강시켜 전방 부분(121)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 높이조절유닛(160)이 구비된다.
전방 높이조절유닛(160)과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에 의하면, 갱생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대차 프레임(120)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서 대차 프레임(120)을 갱생작업에 요구되는 적정의 높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승강실린더(14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갱생관을 앞쪽이 들어올려지거나 뒤쪽이 들어올려져서 경사진 자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노후 관로에서 상하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선구간을 통과 시, 이렇게 갱생관의 자세를 변경시키면,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진 갱생관을 삽입하기 위하여 운반하더라도 노후관의 내벽에 갱생관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승강실린더(14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갱생관을 길이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고 운반할 수 있다. 즉, 다양한 길이의 갱생관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145는 갱생관 흔들림 방지유닛이다. 갱생관 흔들림 방지유닛(145)은, 갱생관 승강유닛(도면부호 141 참조)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의 상부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는 홀더(146), 홀더(146) 각각에 한쪽 단부가 견고하게 연결된 와이어(147), 그리고 와이어(147) 각각에 한쪽 단부가 견고하게 연결되고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각각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와이어(147) 각각을 긴장시켜 갱생관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실린더(148)를 포함한다.
이 같은 갱생관 흔들림 방지유닛(145)은, 갱생관 운반대차(100)가 갱생관 승강유닛의 승강실린더(141)를 이용하여 갱생관을 들어올린 상태로 이동 시 갱생관을 외력에 의한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바, 갱생관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승강실린더(141)를 작동시켜 갱생관의 자세를 다른 자세로 변경하는 때에는 와이어 인장실린더(148)를 신장시켜 와이어(147)의 긴장을 해제함으로써 갱생관의 자세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갱생관의 자세 변경이 완료된 때에는 와이어 인장실린더(148)를 수축시켜 와이어(147)를 다시 긴장시킴으로써 갱생관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운반대차(100)의 변형 일례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갱생관 승강유닛(도면부호 141 참조)과 갱생관 흔들림 방지유닛(145)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을 예시한다. 이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갱생관 운반대차(100)는 갱생관을 상방으로 끌어당기는 방식이 아닌 상방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갱생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210), 주행차량(210)의 전방에 연결되며 노후관에 용접으로 연결할 두 갱생관(4A, 4B)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방향의 메인 프레임(220), 메인 프레임(220)에 장착되며 두 갱생관(4A, 4B) 중 노후관에 먼저 삽입된 제1 갱생관(4A)의 내주에 밀착되어 제1 갱생관(4A)을 파지하면서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고정파지유닛(230), 고정파지유닛(23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고정파지유닛(230)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두 갱생관(4A, 4B) 중 노후관에 나중에 삽입된 제2 갱생관(4B)의 내주에 밀착되어 제2 갱생관(4B)을 파지하면서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가동파지유닛(240), 그리고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이 고정파지유닛(230)과 가동파지유닛(240)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에서 가동파지유닛(240)을 고정파지유닛(230) 쪽으로 이동(접근)시켜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을 접근시키는 견인유닛(250)을 포함한다.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의 주행차량(210)은 차량 프레임(211)과 주행차륜(212)을 포함한다.
고정파지유닛(230)은, 원형 구조를 가지며 메인 프레임(220)에 결합된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제1 갱생관(4A)의 내주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는 복수의 파지블록(231), 그리고 파지블록(231)들을 각각 이동시키는 블록 구동수단(232)을 포함한다.
가동파지유닛(240)은, 원형 구조를 가지며 고정파지유닛(230)의 고정프레임에 고정파지유닛(230)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프레임, 고정프레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제2 갱생관(4B)의 내주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는 복수의 파지블록(241), 그리고 파지블록(241)들을 각각 이동시키는 블록 구동수단(242)을 포함한다.
블록 구동수단(232, 242)은 고정프레임과 가동프레임 중 해당의 프레임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해당의 파지블록(231, 241)들에 각각 연결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상으로 배치된 파지블록(231, 241)들이 블록 구동수단(232, 242)에 의하여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면, 파지블록(231, 241)들은 제1 갱생관(4A)의 내주와 제2 갱생관(4B)의 내주에 각각 밀착된다. 그러면, 제1 갱생관(4A)과 제2 갱생관(4B)은, 파지블록(231, 241)들의 밀착력으로 인하여 파지되고 연결부의 형상이 밀착에 따른 압박작용에 의하여 원상으로 교정된다.
견인유닛(250)은 고정파지유닛(230)과 가동파지유닛(240)에 연결된 단수 또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유닛(250)의 실린더는 고정프레임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가동프레임에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메인 프레임(220)을 주행차량(210)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프레임 승강유닛(260)을 더 포함한다. 차량 프레임(211)과 메인 프레임(220) 사이에서 메인 프레임(220)을 승강시키는 단수 또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승강유닛(260)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2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파지유닛(230)과 가동파지유닛(240)을 갱생관의 센터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 : 노후관
4(4A, 4B) : 갱생관(제1 갱생관, 제2 갱생관)
100 : 갱생관 운반대차
110 : 주행차량
120 : 대차 프레임
130 : 대차 바퀴
141 : 승강실린더
145 : 갱생관 흔들림 방지유닛
150 : 전방승강유닛
161 : 전방 높이조절유닛
165 : 후방 높이조절유닛
170 : 안내유닛
200 : 갱생관 연결보조대차
210 : 주행차량
220 : 메인 프레임
230 : 고정파지유닛
240 : 가동파지유닛
250 : 견인유닛
260 : 프레임 승강유닛

Claims (12)

  1. 노후관(2)의 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110)과;
    전방 부분(121)과 후방 부분(122) 및 상기 전방 부분(121)과 상기 후방 부분(122) 사이의 중간 부분(123)을 가지며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되는 갱생관(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 가능하고 상기 갱생관(4)을 관통 시 상기 전방 부분(121) 및 상기 후방 부분(122)이 각각 상기 갱생관(4)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상기 후방 부분(122)이 좌우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대차 프레임(120)과;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장착되어 상기 전방 부분(121)을 지지하는 대차 바퀴(130)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한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갱생관(4)의 하부의 내주에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승강실린더(141)로 구성되어 상기 갱생관(4)을 끌어당겨서 들어올리는 갱생관 승강유닛과;
    상기 갱생관 승강유닛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갱생관(4)의 상부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는 홀더(146)와;
    상기 홀더(146) 각각에 한쪽 단부가 연결된 와이어(147)와;
    상기 와이어(147) 각각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123)에 각각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147) 각각을 긴장시켜 상기 갱생관(4)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실린더(148)를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 바퀴(130)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상단과 하단 사이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 쪽에 구름운동부재(152)가 장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름운동부재(152)가 상기 대차 바퀴(130)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되거나 하측에 위치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승강레버(151)와;
    상기 승강레버(151)의 상단 쪽에 한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전방 부분(121)에 다른 쪽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레버(151)를 회전시키는 레버 구동수단(153)을 더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량(110)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후방 부분(122)이 상기 좌우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대차 프레임(120)의 후방 부분(122)을 승강시키는 후방 높이조절유닛(165)을 더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차 프레임(120)과 상기 대차 바퀴(130) 사이에 장착된 전방 높이조절유닛(161)을 더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갱생관 운반대차(100).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기재된 갱생관 운반대차(100)를 이용, 갱생구간에 투입된 갱생관(4)을 들어올린 상태로 운반하여 상기 갱생관(4)을 상기 갱생구간의 노후관(2)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갱생관 운반대차(100)에 의하여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되고 들어올려진 상태의 갱생관(4)과 상기 노후관(2) 사이에 복수의 간격유지부재를 개재시킨 후 상기 갱생관 운반대차(100)를 상기 갱생관(4)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노후관(2)과의 간격이 유지되고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된 두 갱생관(4 : 4A, 4B) 중 먼저 삽입된 제1 갱생관(4A)과 나중에 삽입된 제2 갱생관(4B)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갱생관(4B)을 상기 제1 갱생관(4A)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갱생관(4A)에 상기 제2 갱생관(4B)을 밀착시키는 단계와;
    서로 밀착된 상기 제1 갱생관(4A)과 상기 제2 갱생관(4B)을 용접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서로 연결된 상기 갱생관(4)과 상기 노후관(2) 사이에 모르타르를 주입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갱생관(4A)에 상기 제2 갱생관(4B)을 밀착시키는 단계에는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가 이용되고,
    상기 갱생관 연결보조대차(200)는,
    상기 노후관(2)에 삽입된 상기 갱생관(4)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차량(210)과;
    상기 주행차량(210)의 전방에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상기 두 갱생관(4 : 4A, 4B)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220)과;
    상기 메인 프레임(220)에 장착되며 상기 두 갱생관(4 : 4A, 4B) 중 상기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갱생관(4A)을 파지하면서 상기 제1 갱생관(4A)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고정파지유닛(230)과;
    상기 고정파지유닛(230)과 대향하고 상기 고정파지유닛(230)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두 갱생관(4 : 4A, 4B) 중 상기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갱생관(4B)을 파지하면서 상기 제2 갱생관(4B)의 연결부에 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가동파지유닛(240)과;
    상기 가동파지유닛(240)을 상기 고정파지유닛(230)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파지유닛(230)과 상기 가동파지유닛(240)에 의하여 파지된 상기 제1 갱생관(4A)과 상기 제2 갱생관(4B)을 접근시키는 견인유닛(250)을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KR1020170094334A 2017-07-25 2017-07-25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KR10188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34A KR101889063B1 (ko) 2017-07-25 2017-07-25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34A KR101889063B1 (ko) 2017-07-25 2017-07-25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063B1 true KR101889063B1 (ko) 2018-08-16

Family

ID=6344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334A KR101889063B1 (ko) 2017-07-25 2017-07-25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0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46A (ja) * 1998-03-23 1999-10-05 Nishimatsu Constr Co Ltd 管布設装置
JP2001018790A (ja) * 1999-07-08 2001-01-23 Sogo Tsusho Kk 管体用プッシャおよび管体用プッシャ付き搬送台車
JP2006022618A (ja) * 2004-07-09 2006-01-26 Kurimoto Kasei Kogyo Kk 管搬送用台車
JP3924099B2 (ja) * 1999-10-01 2007-06-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体搬送用台車
JP2010024819A (ja) * 2008-06-19 2010-02-04 Kurimoto Kasei Kogyo Kk 管搬送用台車及び管搬送方法
KR101513589B1 (ko) 2014-08-06 2015-04-20 (주)나스텍이앤씨 노후관 재생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재생장치
KR101702012B1 (ko) 2016-05-25 2017-02-03 (주)나스텍이앤씨 노후관 갱생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46A (ja) * 1998-03-23 1999-10-05 Nishimatsu Constr Co Ltd 管布設装置
JP2001018790A (ja) * 1999-07-08 2001-01-23 Sogo Tsusho Kk 管体用プッシャおよび管体用プッシャ付き搬送台車
JP3924099B2 (ja) * 1999-10-01 2007-06-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体搬送用台車
JP2006022618A (ja) * 2004-07-09 2006-01-26 Kurimoto Kasei Kogyo Kk 管搬送用台車
JP2010024819A (ja) * 2008-06-19 2010-02-04 Kurimoto Kasei Kogyo Kk 管搬送用台車及び管搬送方法
KR101513589B1 (ko) 2014-08-06 2015-04-20 (주)나스텍이앤씨 노후관 재생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재생장치
KR101702012B1 (ko) 2016-05-25 2017-02-03 (주)나스텍이앤씨 노후관 갱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5011B2 (ja)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0163795A (ja) 後方台車、後方台車の移動方法及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構築されたトンネル
CN112566864B (zh) 电梯的扬程延长技术的应用方法
JP2008156087A (ja) 走行台車の取扱方法及び取扱装置
KR101271922B1 (ko)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KR101889063B1 (ko) 노후관 갱생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CN213923778U (zh) 一种移动吊具设备
KR101513589B1 (ko) 노후관 재생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재생장치
JP4981754B2 (ja) 荷吊り装置
KR20110001858U (ko) 선박용 파이프 적입 장치
JP6906116B1 (ja) 坑内作業台車及び坑内作業台車の移動方法
KR101880691B1 (ko) 현수교 케이블 작업대차 시스템 및 작업대차를 이용한 현수교 케이블 보수 방법
JP7407650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CN104552191A (zh) 车辆换向翻转平台
JP7082370B2 (ja) セントルおよびセントル移動方法
JP2006327735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6825774B2 (ja) アンローダ及びそのグラブバケットの交換方法
JP2018053456A (ja) セグメントストック兼自動搬送装置
JP6954753B2 (ja) 管持ち上げ装置
JP6937219B2 (ja) 管埋設用搬送車
CN110725707A (zh) 整体式拱架安装方法和整体式拱架安装台车
JP4012639B2 (ja) 長尺物案内装置
JP2017020603A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CN209759914U (zh) 地铁小半径曲线段磨轨的换轨作业设备
JP2020153208A (ja)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