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19B1 -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19B1
KR101887619B1 KR1020160025283A KR20160025283A KR101887619B1 KR 101887619 B1 KR101887619 B1 KR 101887619B1 KR 1020160025283 A KR1020160025283 A KR 1020160025283A KR 20160025283 A KR20160025283 A KR 20160025283A KR 101887619 B1 KR101887619 B1 KR 10188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llers
separator
longitudinal dir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753A (ko
Inventor
김동윤
Original Assignee
김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윤 filed Critical 김동윤
Priority to KR102016002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2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only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1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설치공간(11);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롤러(110); 상기 다수개의 롤러(110)를 모두 순환하여 상기 설치공간(11)을 통과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차량이 부딪칠 경우 동시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연결체(120);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과 충돌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중앙분리대에 접근할 경우 부딪치면서 소음을 유발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으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Device impact-absorbing for median strip}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충돌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차량과 충돌할 경우 소음을 유발시켜 졸음운전 등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분리대는 고속도로 및 지방도로의 중앙에 설치하여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분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안전구조물이다.
이러한 중앙분리대에는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장치를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깥쪽에 금속재질의 가드레일을 부착하고 그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차량이 가드레일과 충돌하면서 튕겨져 나가면서 2차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차량이 중앙분리대와 충돌하기 전까지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므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원천적인 안전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는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차량과 충돌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나머지 부분까지 모두 폐기처분하거나 재설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가중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2211호(2002.03.18)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52874호(2003.06.2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1288호(2003.07.2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6094호(2005.03.1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801호(2005.04.2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0568호(2005.07.22)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9948호(2005.09.09)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938호(2006.12.07)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941호(2009.04.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과 충돌할 경우 충격을 분산 및 완충시켜 교통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중앙분리대에 접근할 경우 부딪치면서 소음을 유발하여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100)는,
중앙분리대(1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설치공간(11);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롤러(110); 상기 다수개의 롤러(110)를 모두 순환하여 상기 설치공간(11)을 통과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차량이 부딪칠 경우 동시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연결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120)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배열하여 차량이 접근하여 부딪칠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음유발구(1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음유발구(121)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부(122)를 형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음유발구(12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형성한 롤러(110)의 사이에 설치하여 연결체(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쇽업쇼버(130); 또는 압축스프링(130a);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형성한 롤러(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설치하는 다수개의 지지대(140);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조지지대(141); 상기 보조지지대(141)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지지대(140)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체(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축스프링(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과 충돌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중앙분리대에 접근할 경우 부딪치면서 소음을 유발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으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1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설치공간(11);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롤러(110); 상기 다수개의 롤러(110)를 모두 순환하여 상기 설치공간(11)을 통과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차량이 부딪칠 경우 동시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연결체(1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설치공간(11)은 상기 롤러(110)를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11)은 상기 롤러(110)의 개수에 따라서 다수개를 설치하고 내부에 상기 연결체(1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롤러(110)는 중앙분리대(10)를 전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양측에 형성하되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상기 롤러(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미 도시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110)는 차량이 상기 연결체(120)와 충돌할 경우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체(120)를 차량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20)는 차량과 충돌할 경우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더 이상 큰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연결체(12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 야광물질을 코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형성한 롤러(110)의 사이에 쇽업쇼버(130); 또는 압축스프링(130a);을 설치하여 상기 롤러(110)를 항상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온도변화 등에 따라서 변화하는 연결체(120)의 장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110)를 균일한 압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체(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형성한 롤러(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설치하는 다수개의 지지대(140);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조지지대(141); 상기 보조지지대(141)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지지대(140)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체(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축스프링(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42)은 동시에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지지대(140) 및 롤러(11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바깥쪽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체(120)의 장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20)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배열하여 차량이 접근하여 부딪칠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음유발구(12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차량이 중앙분리대(10)와 충돌하기 전에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으로 조작하여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상기 소음유발구(121)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부(122)를 형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음유발구(12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음유발구(121)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제작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차량의 부딪칠 경우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10: 중앙분리대 11: 설치공간
100: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110: 롤러
120: 연결체 121: 소음유발구
122: 절개부
130: 쇽업쇼버 130a: 압축스프링
140: 지지대 141: 보조지지대
142: 압축스프링

Claims (5)

  1. 중앙분리대(1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설치공간(11);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는 다수개의 롤러(110); 상기 다수개의 롤러(110)를 모두 순환하여 상기 설치공간(11)을 통과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차량이 부딪칠 경우 동시에 차량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연결체(12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체(120)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배열하여 차량이 접근하여 부딪칠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음유발구(121);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유발구(121)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부(122)를 형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음유발구(12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형성한 롤러(110)의 사이에 설치하여 연결체(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쇽업쇼버(130); 또는 압축스프링(130a);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공간(11)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쪽에 형성한 롤러(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설치하는 다수개의 지지대(140);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조지지대(141); 상기 보조지지대(141)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지지대(140)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체(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축스프링(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25283A 2016-03-02 2016-03-02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KR10188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283A KR101887619B1 (ko) 2016-03-02 2016-03-02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283A KR101887619B1 (ko) 2016-03-02 2016-03-02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753A KR20170102753A (ko) 2017-09-12
KR101887619B1 true KR101887619B1 (ko) 2018-08-13

Family

ID=5992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283A KR101887619B1 (ko) 2016-03-02 2016-03-02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98Y1 (ko) * 2001-03-16 2001-10-08 금호엔지니어링 (주)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0370203Y1 (ko) * 2004-09-17 2004-12-14 (주)대흥엔지니어링 도로 안전을 위한 롤러가 부착된 중앙 분리대 설치구조
KR101009538B1 (ko) * 2010-08-05 2011-01-18 서용수 충격흡수 안전휀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98Y1 (ko) * 2001-03-16 2001-10-08 금호엔지니어링 (주)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0370203Y1 (ko) * 2004-09-17 2004-12-14 (주)대흥엔지니어링 도로 안전을 위한 롤러가 부착된 중앙 분리대 설치구조
KR101009538B1 (ko) * 2010-08-05 2011-01-18 서용수 충격흡수 안전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753A (ko)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396B1 (ko) 방호울타리 단부 충격흡수장치
KR101402021B1 (ko) 차량용 범퍼유닛
WO2019120022A1 (en) A device for suspension of a lamp in a vehicle
JP2013500412A (ja) 幹線道路保護バリア
KR20080109207A (ko)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101466046B1 (ko) 차량 방호울타리 완충장치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101250343B1 (ko) 차량 방호책
KR101887619B1 (ko)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CN109295896B (zh) 岔道口道路防撞装置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US20160280166A1 (en) Vehicle bumper structure
KR101270083B1 (ko) 충격흡수부재를 장착한 차량방호용 울타리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328677B1 (ko)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CN106427852A (zh) 车辆后防护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075193B1 (ko) 충격흡수형 가드레일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KR101889328B1 (ko) 중앙분리대의 충돌방지장치
KR100773333B1 (ko) 가드레일용 차량충격 완충장치
CN210821912U (zh) 一种车用防爆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