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688B1 -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688B1
KR101886688B1 KR1020170108733A KR20170108733A KR101886688B1 KR 101886688 B1 KR101886688 B1 KR 101886688B1 KR 1020170108733 A KR1020170108733 A KR 1020170108733A KR 20170108733 A KR20170108733 A KR 20170108733A KR 101886688 B1 KR101886688 B1 KR 10188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extract
nymphoides
polycyclic ar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103A (ko
Inventor
김보윤
정현정
김유아
박병준
김동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47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35761A1/ko
Priority to CN201780083933.3A priority patent/CN110214003B/zh
Publication of KR2018008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오염용 조성물, 및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 세포에 대해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항오염 효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독성 화학물질이 처리된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면, 화학물질에 의한 피부 세포의 사멸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라그린의 합성을 증가시켜서, 독성 화학물질로 인해 저하된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ANTI-POLUTION COMPRISING EXTRACT OF NYMPHOIDES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는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및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수분 증발을 조절하고 외부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의 피부는 산업화와 함께 개발된 각종 화학물질들의 제조 과정 또는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과, 강한 자외선에 끊임없이 노출되면서,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트러블과 급격한 피부 노화를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품 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화학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제품의 개발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피부에 오염물질 또는 공해물질의 침투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화장품이나, 오염물질 세정력이 강화된 세정제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들은 오염물질의 피부 침투 방지력이 미미하며, 단지 피부로부터 오염원을 제거하는데 불과하여 오염물질로부터 피부를 근본적으로 보호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화학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사례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자극성이 없는 자연물 추출물을 이용하고, 화학물질로 인해 오염된 피부의 상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Marcelo C.L. et al, J.invest. Dermatol.,pages 37-44, 1983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리연꽃속 식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물인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오염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물질로 인한 피부 각질 세포의 사멸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대해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항오염 효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독성 화학물질이 처리된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면, 피부 세포의 사멸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라그린의 합성을 증가시켜서, 독성 화학물질로 인해 저하된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벤조피렌을 처리한 후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피부 각질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질산암모늄을 처리한 후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피부 각질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포름알데하이드를 처리한 후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피부 각질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한 도이다.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필라그린의 단백질 발현 변화(도 4)와 mRNA 발현 변화(도 5)를 관찰한 도이다(NIE는 어리연꽃을 의미함).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어리연꽃속(Nymphoide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오염용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어리연꽃속(Nymphoide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이다.
어리연꽃속(Nymphoide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세포 사멸 억제 또는 방지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오염(anti-pollution)"은, 피부에 독성이 있는 물질로 인한 피부 상태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세포 보호"는, 피부 세포의 괴사 또는 사멸을 최소화하거나, 세포 증식 저해를 개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어리연꽃속 식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어리연꽃속 식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일 측면에서,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은 바람직하게,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일 수 있다.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은 진흙 속에서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긴 잎자루 끝에 1~3개의 잎이 달려있다. 잎은 물 위에 뜨고 원심형이며 한쪽이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워에 피고 흰 바탕에 중심부는 황색이며 10여개가 잎자루의 밑부분으로 싸여서 달려있다. 어리연꽃은 구갈(口渴), 구건(口乾) 등의 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됐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학물질에 의한 피부 오염, 피부 세포 사멸 또는 피부 세포 증식 저해, 또는 피부 상태 저하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물질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알데하이드류 및 질소산화물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는 벤조피렌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데하이드류는 포름알데하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소산화물류는, NOx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질소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NO, NO2, N2O, N4O, N2O3, N2O4, N2O5, N4O6 또는 이들의 이온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소산화물류는, 암모늄 또는 그 염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암모늄의 그 염은 암모늄의 질산염인, 질산암모늄을 포함할 수 있다.
벤조피렌은, 자동차 배기가스 또는 담배 연기 등 불완전 연소로 인해 생성되며, 에폭시드로의 대사전환과 DNA와의 반응을 통해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유독 물질이다.
포름알데하이드는, 메탄알(methanal)이라고도 불리우며, 포르말린 제조, 합판 제조, 합성수지 및 화학제품 제조, 석유 정제 등에서 발생하는데, 인체 독성이 강하여, 호흡기 장애, 두통, 구토, 설사, 심하게는 독성 폐기종까지 유발할 수 있는 유독 물질이다(양지연 등(2007), 실내 환경 중 알데하이드 농도 분포 및 영향 요인 평가, J. ENVIRON. TOXICOL. Vol. 22, No. 1, 37~47).
또한, 질소산화물류는, 주로 석유나 석탄 등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며, 폐기종,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독 물질이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0.0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나열된 효과들을 기대할 수 없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피부 질환들은, 많은 경우 피부 장벽(skin barrier) 기능의 약화 또는 와해로부터 비롯되는데, 피부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필라그린이다. 필라그린의 감소에 의해 피부장벽 및 보습력이 약해지고, 그 결과,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해물질들은 산화반응을 유도하여 고반응성 활성산소 라디칼을 형성하는데, 고반응성 활성산소 라디칼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되고, 그 결과 T helper cell 2(Th2)의 면역반응이 유도되어, IL-4, IL-13 의 분비가 증가하고, 그로 인해 필라그린의 합성이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필라그린의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은,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Michael D. et al(2009), Cytokine modulation of atopic dermatitis filaggrin skin expressio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9, vol. 124 (3))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서,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은 어리연꽃속 식물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어리연꽃속 식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어리연꽃속 식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6 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은 어리연꽃속 식물의 C1-6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은 물, C1-6 알콜,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6 알콜은 구체적으로 메탄올일 수 있다. 어리연꽃속 식물을 용매로 추출 시, 어리연꽃속 식물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어리연꽃속 식물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은 어리연꽃속 식물의 전초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또는 두피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본 발명의 바이아릴아미드 유도체를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 (O/W)의 크림베이스에 본 발명의 바이아릴아미드 유도체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각질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어리연꽃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 전초 50g에 500ml의 메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기를 통하여 용매를 휘발시킨 뒤 동결 건조하여 어리연꽃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오염 활성 측정
일반적으로 공해 물질과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피부 각질세포를 사용하여 공해물질에 의한 세포 손상 정도를 측정하고, 실시예 1의 어리연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피부 세포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람 각질 세포 HaCaT를 5 X 103 cells/ml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시킨 후, 벤조피렌(10μM), 질산암모늄(500㎍/ml), 및 포름알데하이드(1.5㎍/ml) 각각과 실시예 1의 어리연꽃 추출물을 처리하고, 45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5mg/ml 농도의 MTT solution을 넣고 3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를 150ul 씩 각 well에 넣어주고 10분간 shaking 하고, 57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공해물질에 의한 세포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벤조피렌을 처리한 경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75μg/ml로 처리시 벤조피렌만 처리한 군에 비하여 35.85% 이상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또한, 질산암모늄을 처리하고 50㎍/ml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질산암모늄을 처리한 군에 비하여 약 16% 이상 향상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또한, 포름알데하이드를 처리하고 50㎍/ml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포름알데하이드를 처리한 군에 비하여 약 25% 이상 향상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실험예 2] 필라그린(filaggrin) 합성 촉진 능력 확인
[실험예 2-1] 필라그린 단백질 합성 확인
HaCat 세포내에서 HAS와 filaggrin protein 활성을 보기 위하여 60mm tissue culture dish에 cell seeding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cell을 안정화 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로 24시간 배양한 후 다시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번 세척해주었다. RIPA buffer 10ml에 complete mini 1 tab를 가하고 100uL로 용해해서 4℃ 12,000rmp에서 20분간 원심 분리 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은 Bradford assay로 정량하여 30ul의 단백질을 10%의 SDS-PAGE사에서 전기 영동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semi dry transfer cell 기기 (Hofer, USA)를 이용하여 PVDF membrane에 옮긴 다음 실온에서 1시간 blocking buffer (5% skim milk in TBST)에서 incubation 시켰다. 1차 항체를 희석하여 4℃에서 over night한 다음, 다시 10분 간격으로 TBST로 3회 washing 하고 mouse anti-rabbit IgG HRP 2차 항체를 1:1,000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다. 3회 washing한 뒤 LAS 4,000 기기를 이용하여 밴드를 확인하고 정량하였다.
그 결과, 어리연꽃 추출물의 경우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필라그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험예 2-2] 필라그린 mRNA 발현 측정
세포를 60mm dish에 cell seeding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샘플을 농도별로 처리 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 상등액을 제거한 후 trizol lysis buffer를 각 well에 1ml씩 분주하여 세포를 lysis한 후 -70℃에 보관하였다. 세포로부터 추출되어진 RNA를 260nm과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정량한 RNA를 5μg, Oligo(dT)15 0.5μg/reaction, Nuclease-Free Water(promega kit, USA)와 혼합한 뒤 70℃에서 5분동안 얼음을 이용하여 식혔다. Reaction mixture로 10배의 RT buffer, MgCl2 DTT, RNase를 섞어 준비 하였다. 25℃에서 10분 42℃에서 50분간 70℃에서 15분간 가열하여 inactivate 시키고 얼음으로 식혔다. cDNA와 2X SYBR green mix, primer, ROX를 각각 넣어 ABI step one plus (Applied biosystem, USA)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량 분석을 한 뒤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필라그린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표 1과 같다.
필라그린 forward TTGTTCTTTGATGCAGTCAGC
reverse GATTTGCGCCAAAAGTGC
β-actin forward ATTGTTGCCATCAATGACCC
reverse AGTAGAGGCAGGGATGAT
그 결과, 어리연꽃 추출물의 경우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필라그린 mRNA를 합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110> KOLMAR KOREA <120> COMPOSITION FOR SKIN ANTI-POLUTION COMPRISING EXTRACT OF NYMPHOIDES AS AN EFFECTIVE INGREDIENT <130> PF170236 <150> KR 10-2017-0010672 <151> 2017-01-23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filaggrin(forward) <400> 1 ttgttctttg atgcagtcag c 21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filaggrin(reverse) <400> 2 gatttgcgcc aaaagtgc 18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beta-actin(forward) <400> 3 attgttgcca tcaatgaccc 20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beta-actin(reverse) <400> 4 agtagaggca gggatgat 18

Claims (11)

  1. 어리연꽃속(Nymphoide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알데하이드류 및 질소산화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피부 항오염용 조성물.
  2. 어리연꽃속(Nymphoide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알데하이드류 및 질소산화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
  3. 어리연꽃속(Nymphoide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알데하이드류 및 질소산화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피부 세포 사멸 억제 또는 방지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은,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알데하이드류 및 질소산화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피부 오염, 피부 세포 사멸 또는 피부 세포 증식 저해를 개선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각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는, 벤조피렌을 포함하고,
    상기 알데하이드류는 포름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산화물류는 질산암모늄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70108733A 2017-01-23 2017-08-28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10188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4764 WO2018135761A1 (ko) 2017-01-23 2017-12-14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CN201780083933.3A CN110214003B (zh) 2017-01-23 2017-12-14 包含莕菜属植物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防污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72 2017-01-23
KR20170010672 2017-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103A KR20180087103A (ko) 2018-08-01
KR101886688B1 true KR101886688B1 (ko) 2018-08-08

Family

ID=6322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33A KR101886688B1 (ko) 2017-01-23 2017-08-28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6688B1 (ko)
CN (1) CN1102140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70B1 (ko) * 2018-11-29 2020-02-19 주식회사 땡큐파머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102299407B1 (ko) * 2019-12-26 2021-09-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669541B (zh) * 2022-10-08 2023-10-31 中国热带农业科学院热带作物品种资源研究所 一种海丰莕菜组织培养快速繁殖方法
CN116159008A (zh) * 2023-03-17 2023-05-26 北京迷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牡丹提取物的抗敏组合物及抗敏化妆品/护肤品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323B1 (ko) * 2015-05-12 2015-11-24 주식회사 셀랩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5930A1 (en) * 2006-07-31 2008-01-31 Hugo Corstjens Anti-aging Compositions Comprising Menyanthes Trifoliata Leaf Extra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80114246A (ko) * 2011-04-06 2018-10-17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KR101495851B1 (ko) * 2012-12-26 2015-02-2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보습효과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6109865A (zh) * 2016-07-06 2016-11-16 丘利锦 一种治疗湿疹的凉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323B1 (ko) * 2015-05-12 2015-11-24 주식회사 셀랩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14003B (zh) 2022-12-30
KR20180087103A (ko) 2018-08-01
CN110214003A (zh)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688B1 (ko)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102078670B1 (ko)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102286991B1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343705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2017132B1 (ko) 실론시나몬나무껍질 및 구릿대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860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179605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美白剤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70080707A (ko) 인동초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35761A1 (ko) 어리연꽃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20050117409A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801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537252B1 (ko) 반려동물용 항염증 조성물
KR101583478B1 (ko)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432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108816A (ko)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