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816A -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816A
KR20110108816A KR1020100028220A KR20100028220A KR20110108816A KR 20110108816 A KR20110108816 A KR 20110108816A KR 1020100028220 A KR1020100028220 A KR 1020100028220A KR 20100028220 A KR20100028220 A KR 20100028220A KR 20110108816 A KR20110108816 A KR 20110108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phytoncide
kelp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경모
Original Assignee
(주)웰바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바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웰바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2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816A/ko
Publication of KR2011010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 및 두피의 가려움을 예방 및 치료또는 완화하기 위한 모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다시마 추출물과 피톤치드 혼합물을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마 추출물과 피톤치드를 혼합 사용함으로서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상승적인 비듬 및 두피의 가려움 제거효과가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의 탁월한 항균 및 항염증 효능을 활용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Hair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Anti-dandruff complex extracted from Laminaria japonica and phytoncide}
본 발명은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시마 및 피톤치드가 병용 혼합된 천연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비듬균에 대한 탁월한 항진균 및 살균효과를 제공하고, 동시에 항염증 효능을 제공하여 비듬 및 두피 지루성 피부염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염증을 완화하고 가려움증을 개선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화학합성유래의 항비듬 유효성분인 아연피리치온과 달리 천연 유래의 항균 유효성분만을 이용한 항비듬 화장료 조성물로 피부 안정성을 확보하고 두피건강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듬방지효능을 가지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듬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Malassezia속 진균에 대해 살균 및 항진균 효능을 가지며 동시에 항염증 효능을 제공하여 비듬 및 두피트러블 환자에게 비듬치료 및 가려움증 개선을 통해 두피건강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인체의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생긴 죽은 세포나 벗겨진 세포들이 두피 피지선의 분비물과 함께 말라붙어서 생긴 각질형태를 말한다.
두피의 지루성 피부염이란 피지의 분비가 왕성한 부위에 주로 발생하는 습진성 피부염으로 초기에는 두피가 붉게 변하며 비듬이 나타나고, 심하면 악취와 함께 부스럼이 두피 전체를 덮는다.
비듬 및 지루성 피부염의 발생 원인은 아직 불명확하나 비듬의 주원인이 되는 호지성 진균인 Malassezia속 진균이 과대 증식할 경우 인설, 가려움증 등 비듬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과대 증식이 심할 경우,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이러한 Malassezia균으로 인해 비듬이 많이 발생하면 가려움증 등으로 인해 두피를 과도하게 문지르게 되고, 이에 의한 상처가 생기거나 경우에 따라 탈모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듬치료제는 비듬 발생의 주요 원인인 말라세시아 속 진균의 증식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두피 세포의 비정상적인 대사활동을 정상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현재 이러한 비듬 및 가려움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한 조성물의 첨가제로는 1% zinc pyrithion 이나 ketoconazole 등의 합성 의약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약효는 우수하나 인체 안전성을 고려해 사용회수를 제한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직 독성 등 신체 부작용이 없으며 일반인에게 널리 사용 될 수 있는 제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작용을 줄이고 장기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안전성이 높고 조직 위해성이 낮은 천연추출물이 주목을 끌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추출물은 에틸에테르로 갈조식물문(Phaeophyta) 갈조강(Phaeophyceae) 다시마목(Laminariales) 다시마과(La min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대형 갈조류로, 참다시마, 해대 또는 해곤포라고도불리운다.
한대, 아한대의 연안에 분포하는 한행성 해조류로서, 대한민국에서는 동해안 북부, 원산 이북의 함경북도에서 자생하며, 동해안 남부와 남해완의 완도 등지에서 양식을 한다 .
상기 다시마는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에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나 다시마는 예로부터 피를 맑게 하고 혈압을 내리는 건강식품으로 사용되어왔던 식용소재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은 경험적으로 검증되어 있다.
피톤치드는 식물에서 내뿜는 천연의 자연치유성분으로 식물이 내뿜는 살균성 물질을 총칭한다. 휘발성이 강한 테르펜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효능은 소취 효과, 진드기 기피효과,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스트레스 완화, 항균효과, 소염효과, 진정작용과 쾌적 효과, 면역기능 증대효과 등으로 많은 사례를 통하여 검증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톤치드와 다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항비듬 효능을 제공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듬유발균인 말라세시아속 진균(Malassezia furfur, Malassezia restrict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종래 1% 아연 피리치온과 유의한 효능을 나타내고, 동시에 항염증 효능을 통해 비듬 및 두피건강을 개선해 나 갈 수 있는 헤어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시마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말라세시아속에 대한 항진균과 항염증 효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 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시마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항비듬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의 다시마추출물과 피톤치드는 각각 비듬유발균인 말라세시아속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이나 일정비로 혼합한 혼합물 상태가 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상기 혼합물의 비는 다시마추출물과 피톤치드가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을 때 가장 우수하며, 다시마추출물 및 피톤치드 혼합물의 함량은 샴푸 조성물에서 2~10 중량% 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의 다시마추출물은 다시마 분쇄물을 에틸에테르에 상온에서 침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농축 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한다.
상기의 다시마추출물은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decanoic acid(카프릴릭산), tridecanoic acid, cyclododeca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다시마추출물은 비듬유발균인 말라세시아속 진균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의 다시마추출물은 천연색소 및 알칼로이드 성분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활성이 탁월하게 나타내었다.
상기 조성물에서 피톤치드는 편백정유를 수증기 증류하여 생성된 유류성분을 지칭하며, 테르펜, 알칼로이드 성분등의 복합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는 말라세시아속 진균에 대해 항진균 효능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어 모발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유효성분으로 적합하다.
항비듬 샴푸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시마 에틸 에테르 추출물 1~10중량%, 피톤치드 0.5~5 중량%, 음이온계면 활성제 10~3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5~20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 5~10% 중량%, 실리콘오일 10마이크로미터~100마이크로미터 사이즈 1~10중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에서의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포네이트 및 알킬 설포숙시네이트로서 이루어진 1종 이상의 군으로
상기 조성물에서의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알킬폴리글루코시네이트 및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옥사이드,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의 양쪽성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등이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선택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임의 성분으로서는 샴푸로서의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에는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조절제, pH조절제, 향료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진주박 보조제; 파라 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 이소치아졸리논과 메틸 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과 같은 방부제;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쿼터늄-10 같은 점증제 및 점도조절제; 구연산 및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pH조절제. 또한 향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시마 추출물과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원인균인 말라세시아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갖고 있으므로, 비듬증에 대한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항생물질 및 아연피리치온 등과 같은 화학합성유래의 항비듬 모발 조성물과 달리 천연 유래의 유효성분 활용으로 부작용 및 독성의 염려가 없어 안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국민보건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또한 항비듬 효능 뿐만 아니라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소재활용의 가치가 산업적으로 매우 높다 할 것이다.
대표도면은 다시마 추출물 및 피톤치드 혼합물의 비듬원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A는 control : 에틸에테르 용매
B는 3%의 복합추출물 (다시마추출물 + 편백정유)
C는 1%의 복합추출물 (다시마추출물 + 편백정유)
D는 0.1%의 복합추출물 (다시마추출물 + 편백정유)
도1 은 다시마 에틸에테르 추출물의 비듬유발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A는 control로 에틸에테르 용매이고 B는 3%의 다시마 에틸에테르 추출물이며 C는 1%의 다시마에틸에테르 추출물을 가리키며 D는 0.1%의 다시마 에틸 에테르이다.
도2 는 편백정유의 농도별 비듬유발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A는 에틸에테르 용매만 함유되어 있는 것이고, B는 3%, C는 1%, D는 0.1%의 편백정유를 종이디스크에 20 마이크로리터 함유시켜 비듬균의 활성 저지환을 투명대로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시마추출물 제조
다시마는 2009년 채집된 부산 기장지역의 다시마를 사용하였고, 채집한 다시마는 부착물을 제거한 후, 깨끗한 담수로 씻어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다시마 50g에 에틸에테르를 500ml 가하여 상온에서 이틀동안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조추출액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회전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다시마 건조 분쇄물 50g으로부터 수득된 다시마추출물은 0.65g 이었다.
항비듬 샴푸 제조
항비듬 샴푸 제조는 하기 표 1 에 기술한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 비율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틸렌 글리콜 디세테아레이트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섭씨 80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교반 시키면서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40도가 될 때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유효성분과 임의 성분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교반하에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샴푸 제조 처방
성분명 용도 함량 (%)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계면활성제
10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2
디소듐 라우릴 설포숙시네이트 2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8
코카미도 디이에이
점도조절제
1
코카미도 엠이에이 2
라우라미도 엠이에이 1
폴리쿼터늄 점도조절, 트리트먼트 0.3
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진주박 보조제 2.5
스테아릴 알코올 유화제 2.0
메칠이소치아졸리논 방부제 0.04
피톤치드 비듬균 활성 유효성분 1.5
다시마추출물 3
글리세린 보습제 2
위치하젤 워터 플로랄 워터 5
녹차추출물 0.5
창포추출물 0.5
향료 0.5
구연산 pH 조절제 -
증류수 잔부
다시마+피톤치드 항진균활성 실험제조
대상 균주 및 배양 배지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효모 2종 ( KCTC 7743, SMalassezia restricta KCTC 7848)으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효모 2종의 생육을 위한 액체 배지는 Pityrosporum medium (Malt extract 5%wt, Ox-bile 2%wt, Tween40 1%wt, Horse serum 5%wt)를 사용하였고,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agar를 1.5~2%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비듬균에 대한 항진균활성
항균활성 측정은 Disc diffusion법 (Conner & Beuchat, 1984)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판 배지에 배양된 균주를 1백금이량 취해 액체배지 20 ㎖에서 44~48시간 배양하여 활성화 시킨 후 다시 액체배지 20㎖에 균액을 0.1 ㎖접종하여 6~24시간 본 배양한 후,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filter paper disc (6 mm or 8 mm)를 20 ㎕/disc 가 되도록 흡수 시킨 후 4~5분간 클린벤치 내에서 건조시켜 시험용 평판배지 위에 놓고 37℃의 incubator에서 48~72시간 배양한 다음 disc 주변의 clear zone의 직경 (mm)을 측정하였다.
항진균 활성측정결과
항균활성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다시마추출물, 편백정유의 각각 농도별 항진균활성과 혼합물을 이용한 항진균 활성을 각각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와 같이 피톤치드 및 다시마추출물 혼합물을 이용한 비듬균 항진균 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균 활성 최소저해농도는 0.1%로 나타났다. 또한 다시마추출물과 편백정유가 2:1의 %중량비로 있을 때 항진균활성효과가 가장 높았다.
시료 농도별 비듬원인균 (Malassezia furfur) 항진균 활성에 따른 투명대의 크기
단위 : mm
시료명 농도 (%)
control(용매) 3 1 0.1
다시마추출물
0
15 10 0
편백정유 15 10 0
혼합물(다시마2 + 편백1) 21 13 9
피톤치드 및 다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샴푸 조성물의 비듬균 접촉살균 효능 검증
실험방법
살균력 실험은 샴푸와 균주 접촉 시간에 따른 살균 효능을 검증하였다. 평판배지에 배양된 균주를 1백금이량 취해 액체배지 20㎖에서 37℃에서 44~48시간 배양하여 활성화 시킨 후 1× 103/㎖의 균액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샴푸(피톤치드 1.5%, 다시마추출물 3%함유)는 멸균된 3차 증류수로 dilution하여 샴푸 최종농도를 1~2% 되게 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난 후 1~2% 희석된 샴푸 4.5 ㎖에 비듬균 액 0.5 ㎖를 넣고 5분, 10분 동안 접촉시켰다.
접촉시간이 지나면 Membrane filter(ADVANTEC, 0.45㎛) 위에서 샴푸액은 멸균된 3차 증류수로 린스하여 균과 샴푸의 접촉시간을 종료시켰다. 멸균수 린스를 통해 샴푸가 제거한 멤브레인 필터는 평판배지에 올려 37℃ 배양기에서 48~72시간 배양한 다음, 필터에 성장한 균의 colony 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표 3과 같이 샴푸에 5분 이상 접촉했을 시 비듬균주는 99%이상 사멸됨을 확인하였다.
다시마추출물 및 편백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한 샴푸의 비듬균주 접촉사멸 효능 검증
control (증류수) 샴푸 5분 접촉 샴푸 10분 접촉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다시마추출물 및 편백정유의 항염증 효능 검증
실험방법
항염증 효능 검증 Cell base NO assay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ATCC 번호 TIB-71)를 penicillin (100 units/mL), streptomycin (100 μg/mL) solution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GIBCO BRL, USA)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시켜 사용한다.
우선 96 well에 마우스 대식세포를 분주하고, 4시간 뒤에 새 배지로 교체 후 시료를 1시간 동안 전처리 후 LPS(stimulator)를 1㎍/mL로 1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배양 상층액 100μl를 96 well에 덜어놓고 Griess 용액 (1% sulfanilamide/0.1%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2.5% H3PO4) 100μl를 첨가하고 5분 후 ELISA reader (Wallac 1420, USA) 를 통해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3반복을 원칙으로 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세포내의 Nitric oxide 합성 저해능 =1-[(반응군-색보정군)/대조군]*100
실험결과
세포내 NO (nitric oxide)합성 저해능 검증을 통한 시료의 항염증 효능 검증 결과
시료 처리농도 1 2 3 AVERAGE STDEV
피톤치드
100 ug/ml
73.97 77.55 82.47 78.0 4.3
다시마추출물 (에틸에테르) 32.48 29.98 50.68 37.7 11.3

Claims (2)

  1. 다시마 에틸 에테르 추출물 및 편백정유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 및 예방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마 에틸 에테르 추출물 및 편백정유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효성분 비율이 3~10% 중량%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치료 및 예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28220A 2010-03-30 2010-03-30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8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20A KR20110108816A (ko) 2010-03-30 2010-03-30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20A KR20110108816A (ko) 2010-03-30 2010-03-30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16A true KR20110108816A (ko) 2011-10-06

Family

ID=4502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220A KR20110108816A (ko) 2010-03-30 2010-03-30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8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49A1 (ko) * 2012-04-16 2013-10-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옥타프로레톨 에이(op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90061148A (ko) * 2017-11-27 2019-06-05 허진희 편백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49A1 (ko) * 2012-04-16 2013-10-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옥타프로레톨 에이(op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90061148A (ko) * 2017-11-27 2019-06-05 허진희 편백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EP3648732B1 (en) Topical compositions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2136623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KR101182209B1 (ko)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1691495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CN109453094B (zh) 一种驱蚊止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6554A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8816A (ko)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KR20150045599A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20070080707A (ko) 인동초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8434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KR20150145577A (ko)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9223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