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19B1 -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19B1
KR101885519B1 KR1020160080580A KR20160080580A KR101885519B1 KR 101885519 B1 KR101885519 B1 KR 101885519B1 KR 1020160080580 A KR1020160080580 A KR 1020160080580A KR 20160080580 A KR20160080580 A KR 20160080580A KR 101885519 B1 KR101885519 B1 KR 10188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infrastructure device
unit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62A (ko
Inventor
강남철
배종진
송병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보행 경고부; 상기 감지부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통신부; 및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INFRASTRUCTURE DEVICE, VEHICLE AND JAYWALKING 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이에 대처하여 교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는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횡단 보도가 설치되며, 횡단 보도에는 보행자가 횡단 가능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점등신호를 발생시키는 보행자 신호등과 운전자가 횡단 보도의 보행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신호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보행자와 차량을 위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여 발생하는 사고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중, 차량과 보행자 간의 교통사고 중 차도 위나 횡단보도 위에서의 사고발생율은 약 62%를 차지한다. 횡단보도에 신호등 및 교통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지만,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부주의 또는 신호 무시에 따른 신호위반에 의해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야간 중이나,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져서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의 무단 횡단을 차량 운전자가 확인하지 못하여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6385호(2013.06.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에게 위험을 인지시켜 무단 횡단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 있다.
보행자가 무단 횡단을 하는 경우, 이를 차량에 알려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을 동기화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위험을 인지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보행 경고부; 상기 감지부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 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상기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V2I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제어방법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를 동기화시켜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상기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V2I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수신한 무단횡단 감지신호에 포함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상대적 위치 확인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동작을 입력받아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경고부;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에 의해 상기 경고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상대적 위치 확인부가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가까워짐을 인지하면, 상기 차량 통신부를 제어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 차량근접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통신부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기화되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상에 설정 모드를 출력하는 동기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모드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상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원하는 차량 경고부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경고부는, 헤드 라이트, 비상등, 경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보행 경고부; 상기 감지부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수신한 무단횡단 감지신호에 포함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상대적 위치 확인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동작을 입력받아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경고부;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에 의해 상기 경고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부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 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상대적 위치 확인부가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가까워짐을 인지하면, 상기 차량 통신부를 제어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 차량근접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 통신부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기화되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상에 설정 모드를 출력하는 동기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모드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상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원하는 차량 경고부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상기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V2I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야간과 비 또는 눈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진 경우,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차량의 운전자가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제어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보행 대상체 판별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경고신호가 송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동기화 설정 모드가 도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동기화 모드로 수동 모드를 선택할 경우의 네비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 및 차량(400)을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할 경우,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차량과 동기화하여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보행자 신호등 및/또는 차량 신호등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차량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차량(400)은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이륜 및/또는 사륜구동 장치일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인 것으로 설명한다.
차량(400)은 상술한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400)과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체를 감지하고,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보행체에게 위험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차량(400)과 통신을 통해 차량(400)에게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발신하고, 차량(400)과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장치를 동기화시켜 경고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위험 상황을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체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행체는 사람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감지부(210), 보행 경고부(220), 디바이스 통신부(230) 및 디바이스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감지부(210)는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한다.
감지부(210)는,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210)는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210)는, 열화상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도로 진입하는 보행체가 사람 형상인 경우 사람으로 인식하여 보행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10)는 대상체의 크기,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보행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상술한 조건을 고려하여 보행체가 사람인지 차량인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210)는 위치정보를 사전에 별도의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210)는 보행자 신호등 및/또는 차량 신호등과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210)는,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빨간색이고, 차량 신호등의 신호가 파란색일 경우, 보행자를 식별하고 무단 횡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행 경고부(220)는, 감지부(210)가 무단횡단 보행자를 감지하면,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한다.
보행 경고부(220)는, 조명 및 스피커를 통해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방출되는 경고신호는 사전에 저장된 위험 알림 멘트일 수 있으며, 조명은 무단횡단자의 이동 방향에 맞추어 회전할 수 있는 다축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 기능이 있는 조명일 수 있다. 한편, 보행 경고부(220)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초지향 특성은 특정한 지역에만 소리 또는 빛을 방사(방출)할 수 있는 특성이다. 예컨대, 초지향성 스피커는 좁은 지향각을 만들기 위해 초음파대역(20kHz~80kHz) 신호에 오디오신호를 실어 공기 중에 방사(방출)시키고, 공기는 초음파 지향각 이내에서 오디오 신호를 다시 만들어내어 손전등과 같이 특정한 지역에만 소리를 방사(방출)할 수 있다. 조명 및 스피커는 차량용 신호등 또는/및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보행자 및 차량에게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관계없다.
보행 경고부(220)는, 감지부(210)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경고신호를 바로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 경고부(220)는, 감지부(210)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조명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무단 횡단 대상체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230)는, 감지부(210)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 통신부(230)는, 감지부(210)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주변의 차량들로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2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통신부(230)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차량(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V2I 통신은 차량과 인프라(기지국) 사이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기술로, 급변하는 운전 환경의 변화 정보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교환함으로써 차선 변경 경고, 충돌 선 경고, 위험 상황 인지 경고, 무단 횡단 보행체 경고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통신부(230)는 미리 정해진 일정 반경 내로 차량(400)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400)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의 진입은, 감지부(210)가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하여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210)는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적외선 센서를 작동시켜 일정 반경 내로 진입하는 차량(400)을 감지하고 차량(400)에게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는 횡단보도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400)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디바이스 통신부(230)는 미리 설정된 반경 범위가 1Km인 경우, 감지부(210)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적외선 센서에 의해 반경 범위 내로 차량(400) 진입이 감지되고, 횡단보도 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할 경우, 차량에게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24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디바이스 제어부(240)는, 디바이스 통신부(230)가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동기화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구성요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과 동작을 모두 포함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동기화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310)는, 디바이스 통신부(230)가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과 보행 경고부(220)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동기화부(310)는 디바이스 통신부(230)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면, 응답신호로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차량근접신호는 디바이스 통신부(23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차량이 그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210)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할 경우, 디바이스 통신부(230)가 주변의 차량들로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방송(broadcast)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때,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디바이스 통신부(230)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반경 범위 내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반경 범위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반경 범위는,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이 위험을 인지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1km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차량근접신호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의 방향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 통신부(230)는, 감지부(210)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 1km 범위 내에 있는 차량들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1km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량이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차량(400)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차량(400)의 위치 정보 및 이동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근접신호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차량(400)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계산된 거리 정보와 방향 정보를 기초로 차량근접신호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차량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가까워지면, 차량근접신호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차량(400)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멀어지면, 차량근접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근접신호를 디바이스 통신부(230)가 수신하면 동기화부(310)는, 차량(400)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400)과 보행 경고부(220)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행 경고부(220)에 포함된 조명은 차량(400)의 헤드라이트와 동기화되고, 보행 경고부(220)에 포함된 스피커는 차량의 스피커와 동기화될 수 있다. 동기화된 보행 경고부(220)는 후술하는 디바이스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어 경고신호를 방사(방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차량(400)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400)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210)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은 V2I 통신 기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400)은, 차량 통신부(410), 위치 표시부(420), 거리 계산부(430), 차량 경고부(440) 및 차량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통신부(410)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2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표시부(420)는, 차량 통신부(410)가 수신한 무단횡단 감지신호에 포함된 감지부(2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감지부(210)의 위치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은 지도를 표시하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탐색된 경로를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은 네비게이션 전용장치 및/또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은 차량에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운전자가 소지한 것일 수 있다.
상대적 위치 확인부(430)는, 감지부(210) 및 차량(4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차량(4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400)의 현재 위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10)의 위치는 차량 통신부(410)가 수신한 무단횡단 감지신호에 포함되어 있어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확인부(430)는 차량(400)이 감지부(210) 방향으로 이동하며, 감지부(21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차량(400)이 감지부(210)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위치 확인부(430)는 차량(400)이 감지부(2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감지부(21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 차량(400)이 감지부(210)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차량 경고부(440)는, 차량 통신부(410)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동작(예컨대, 헤드라이트 작동 동작 등)을 입력받아 동작에 대응되는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경고부(440)는, 헤드 라이트, 비상등 및 경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차량 경고부(440)는 위험을 인지하도록 소리 또는 빛을 통해 방사(방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관계없다.
차량 제어부(450)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차량 경고부(440)를 동기화시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에 의해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제어부(450)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조명과 차량 경고부(440)의 헤드라이트가 동기화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헤드라이트 작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차량 경고부(440)를 제어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통해 빛과 같은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경고부(440)와 동기화된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도 디바이스 제어부(240)의 제어동작에 의해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조명이 동기화된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240)는 조명을 통해서 경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450)는 상대적 위치 확인부(430)가 차량(400)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가까워짐을 인지하면, 차량 통신부(410)를 제어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100) 차량근접신호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450)는, 차량 통신부(410)를 제어하여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화 이후, 차량 경고부(440)를 제어하여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450)는 차량이 무단횡단 보행자와 가까워지고 있음을 인지하여, 차량근접신호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차량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 간의 경고장치를 동기화시켜 경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무단횡단 보행자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반면, 차량 제어부(450)는 상대적 위치 확인부(430)가 차량(400)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멀어짐을 인지하면, 바로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차량 간의 동기화를 해제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차량 경고부의 동기화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후, 차량 제어부(450)는, 차량 경고부(440)를 제어하여 경고신호의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450)는 차량이 무단횡단 보행자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인지하여 차량근접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으며, 경고신호의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V2V(Vehicle to Vehicle)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구성요소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과 동작을 모두 포함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400)은 동기화 모드 설정부(510)를 더 포함한다.
동기화 모드 설정부(510)는, 차량 통신부(410)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기화되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위치 표시부(420)에 포함된 네비게이션 상에 설정 모드를 출력할 수 있다. 설정 모드는, 자동 모드 및/또는 수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차량에 포함된 차량 경고부(440)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가 동기화된다. 이때, 서로 동기화되는 대상의 매칭 정보는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포함된 차량 경고부(440)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보행 경고부(220)가 동기화될 수 있다. 반면, 차량 탑승자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상에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보행 경고부(220)와 동기화를 원하는 차량 경고부(440)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차량 경고부(440)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는, 헤드 라이트, 비상등, 경적 등일 수 있다. 이때, 출력된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장치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보행 경고부(220)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제어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서의 보행상황 통신방법은, 무단횡단 보행자 감지단계(610), 무단횡단 감지신호 전송단계(620), 동기화 단계(630) 및 경고신호 송출 제어단계(640)를 포함한다.
무단횡단 보행자 감지단계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한다(610).
경고신호 송출단계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한다(620). 경고신호 송출 단계에서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가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경고신호를 바로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서의 경고신호가 송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무단횡단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 보행자에게 조명을 송출하여 무단횡단에 따른 위험을 인지시킬 수 있다. 한편, 조명은 보행자 신호등 및/또는 차량 신호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무단횡단자의 이동 방향에 맞추어 회전할 수 있는 다축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 기능이 있는 조명일 수 있다.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구성으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저장된 경고 음성이 경고신호로 송출될 수 있다. 조명 및 스피커는 초지향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한 지역에만 소리 또는 빛을 방사(방출)할 수 있다.
무단횡단 감지신호 전송단계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차량(400)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다(630).
경고신호 송출 제어단계는, 차량(400)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를 동기화시킨 후,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한다(630)(640).
한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경고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차량(400)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신호로 차량(400)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400)과 보행 경고부(220)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동기화 이후,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보행 대상체 판별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대상체가 사람인지 또는 차량인지 판별할 수 있다.
먼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710). 이때, 대상체를 인식하는 장치가 열화상 카메라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열적외선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관계없다.
이후,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대상체의 크기,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사람인지 또는 차량인지 판별할 수 있다(720)(730)(740).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대상체가 인도와 인도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동 속도가 20km 미만이면 사람으로 판별할 수 있다. 반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는 대상체가 방향(즉, 인도와 인도 사이를 가로지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동 속도가 20km 이상이면 차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동기화 설정 모드가 도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동기화 모드로 수동 모드를 선택할 경우의 네비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400)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400)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화면에는 동기화 설정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동기화 설정 모드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일 수 있다.
차량의 탑승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동기화 절차에 따라 차량(400)과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져 상호 경고신호 발생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조명과 차량의 헤드라이트가 동기화된 경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신호가 발생하게되면, 경고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조명과 차량(400)의 헤드라이트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즉,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서 조명에 의해 빛이 방출되는 경고신호가 발생하면, 차량(400)의 헤드라이트에서도 동시에 빛이 방출되는 경고신호가 발생한다. 반대로, 사용자 즉, 차량(400)의 운전자가 차량(400)의 헤드라이트를 작동시켜 빛을 방출시키는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면, 동기화가 이루어진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조명도 동시에 조명에서 빛이 방출되는 경고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기화가 이루어진 경우, 차량(400)의 운전자가 차량(400)의 헤드라이트를 동작시키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조명도 같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차량(400)의 탑승자가 도 9의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차량(400)의 네비게이션에 화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보행 경고부(220)와 동기화를 원하는 차량 경고부(440)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차량 경고부(440)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는, 헤드 라이트, 비상등, 경적 등일 수 있다. 이때, 출력된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장치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의 보행 경고부(220)가 동기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위험을 인지시키고, 보행자가 무단횡단하는 경우, 이를 차량(400)에 알려 무단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100)와 차량(400)의 경고장치를 동기화시켜, 야간과 비 또는 눈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진 경우,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차량의 운전자가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 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 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210 : 감지부
220 : 보행 경고부
230 : 디바이스 통신부
240 : 디바이스 제어부
310 : 동기화부
400 : 차량
410 : 차량 통신부
420 : 위치 표시부
430 : 상대적 위치 확인부
440 : 차량 경고부
450 : 차량 제어부
510 : 동기화 모드 설정부

Claims (23)

  1.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보행 경고부;
    상기 감지부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고,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형상을 판별하고,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에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빨간색이고, 차량 신호등의 신호가 파란색일 때 보행자를 식별하여 무단횡단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형상을 판별하는 것은,
    인도와 인도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미만이면 보행자로 판별하고, 인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면 차량으로 판별하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동시에 경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고,
    상기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경고 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출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는,
    V2I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6.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킨 뒤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형상을 판별하고,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에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빨간색이고, 차량 신호등의 신호가 파란색일 때 보행자를 식별하여 무단횡단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형상을 판별하는 것은,
    인도와 인도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미만이면 보행자로 판별하고, 인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면 차량으로 판별하고,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과 동시에 경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고,
    상기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경고 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제어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출되는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V2I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방법.
  11.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수신한 무단횡단 감지신호에 포함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상대적 위치 확인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동작을 입력받아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경고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로 차량근접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에 의해 상기 경고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 및
    상기 차량 통신부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기화되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상에 설정 모드를 출력하는 동기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모드는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상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원하는 차량 경고부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를 출력한 뒤 선택된 상기 장치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가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경고 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고,
    상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기설정된 동기화 절차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경고 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상대적 위치 확인부가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가까워짐을 인지하면, 상기 차량 통신부를 제어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 차량근접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는 차량.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경고부는,
    헤드 라이트, 비상등, 경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6.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보행 경고부; 상기 감지부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면, 주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가 차량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근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과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고, 상기 차량과 보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상기 경고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형상을 판별하고,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에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빨간색이고, 차량 신호등의 신호가 파란색일 때 보행자를 식별하여 무단횡단 여부를 감지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수신한 무단횡단 감지신호에 포함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상대적 위치 확인부; 상기 차량 통신부가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동작을 입력받아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경고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에 의해 상기 경고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 및 상기 차량 통신부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부터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기화되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상에 설정 모드를 출력하는 동기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모드는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상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원하는 차량 경고부에 포함된 장치의 리스트를 출력한 뒤 선택된 상기 장치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가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경고 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고,
    상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기설정된 동기화 절차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경고 신호가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무단 횡단 방지 시스템.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상대적 위치 확인부가 차량이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가까워짐을 인지하면, 상기 차량 통신부를 제어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로 차량근접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차량 경고부를 동기화시키는 무단 횡단 방지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초지향 특성을 갖는 조명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출되는 무단 횡단 방지 시스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신호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단 횡단 방지 시스템.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는,
    V2I 통신을 기반으로 무단횡단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무단 횡단 방지 시스템.
KR1020160080580A 2016-06-28 2016-06-28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8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80A KR101885519B1 (ko) 2016-06-28 2016-06-28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80A KR101885519B1 (ko) 2016-06-28 2016-06-28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62A KR20180001762A (ko) 2018-01-05
KR101885519B1 true KR101885519B1 (ko) 2018-08-06

Family

ID=6100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80A KR101885519B1 (ko) 2016-06-28 2016-06-28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80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소노위즈 레이더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횡단 교통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15740A (ko) * 2021-07-23 2023-01-31 한국자동차연구원 횡단 보도 주변으로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횡단 보도 시스템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1370A (zh) * 2019-06-10 2019-09-06 吉林大学 一种基于lk光流法人行道智能警示装置
KR102549179B1 (ko) * 2019-11-25 2023-06-30 한국자동차연구원 무단횡단 사고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9777A (ja) * 2012-12-21 2014-07-31 Denso Corp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475453B1 (ko) * 2014-08-22 2014-12-26 정지우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
KR101515609B1 (ko) * 2014-07-31 2015-04-28 (주)한백시스템 보행자 무단횡단 경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080A (ko) * 2006-01-27 2006-02-14 김동하 횡단 보도 경보 시스템 및 횡단 보도 경보 방법
KR101276385B1 (ko) 2011-12-27 2013-06-19 손승남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9777A (ja) * 2012-12-21 2014-07-31 Denso Corp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515609B1 (ko) * 2014-07-31 2015-04-28 (주)한백시스템 보행자 무단횡단 경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75453B1 (ko) * 2014-08-22 2014-12-26 정지우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80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소노위즈 레이더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횡단 교통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400246B1 (ko) * 2020-08-07 2022-05-20 주식회사소노위즈 레이더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횡단 교통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15740A (ko) * 2021-07-23 2023-01-31 한국자동차연구원 횡단 보도 주변으로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횡단 보도 시스템 및 전자 장치
KR102645204B1 (ko) * 2021-07-23 2024-03-07 한국자동차연구원 횡단 보도 주변으로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횡단 보도 시스템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62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8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guidance nodes and traffic navigating entities
US10486701B2 (en) Driving control device, driving control method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10068480B2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JP5867518B2 (ja) 運転支援装置
KR101885519B1 (ko)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WO2010110109A1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US8924141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20180111252A (ko) 센싱 정보에 기초한 주행 제어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
JPWO2009119637A1 (ja) 運転支援システム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US6262673B1 (en) Roadway warning system
US20070179701A1 (en) Vehicle presence indication
US20200211379A1 (en) Roundabout assist
CN111108534A (zh) 在危险情况下对易受伤用户的警告
JP7103733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システム
JP2012014219A (ja) 運転支援装置
US20190096246A1 (en) Compact modular wireless sensing radar infrastructure device
KR102077315B1 (ko) 지능형 교통정보제공장치 및 정보제공방법
JP5523250B2 (ja) 運転支援装置
JP3820828B2 (ja) 車両検出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4661793B2 (ja) 警告システム、車載装置、送信装置及び警告方法
JP7132165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7182477A (ja) 衝突警報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衝突警報方法
JP5200990B2 (ja) 運転支援装置
JP5797293B2 (ja) 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