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007B1 -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 Google Patents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007B1
KR101885007B1 KR1020160176875A KR20160176875A KR101885007B1 KR 101885007 B1 KR101885007 B1 KR 101885007B1 KR 1020160176875 A KR1020160176875 A KR 1020160176875A KR 20160176875 A KR20160176875 A KR 20160176875A KR 101885007 B1 KR101885007 B1 KR 10188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dysfunction
cognitive
protein
presen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777A (ko
Inventor
안성수
심규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48Details p5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Cognitive disorder)의 진단 방법, 키트 및 상기 인지기능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 의심환자의 체액 내 p53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지기능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Method and Kit for Diagnosing Cognitive disorder}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에서 가장 흔히 발병되며, 지속적으로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치매 진단분야에서는 초기단계에서 치매를 진단하는 것과 여러 치매들과 구별되어 진단하는 것에 많은 초점을 두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되기 전 단계를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라 하며, 어느 정도 수준의 인지 결손(cognitive deficit)을 가지고 있지만 특정 치매로 진단하기엔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단계이다. 아직 MCI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치매는 알츠하이머병뿐만 아니라 혈관성치매, 파킨슨병, 전측두엽 치매 등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이를 구별하여 진단하는 방법도 나오지 않은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42, 총(total) 타우(tau) 단백질, 인산화된 타우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p53은 종양 억제 단백질(tumor suppressor protein)로 기존에 다양한 세포 스트레스에 반응하거나 또는 세포주기 저지(cell cycle arrest)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Uberty et al.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p53 신호전달 경로의 문제가 나타났음을 보여주면서 p53와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을 발표하였다. 이외에도 p53과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섬유아세포나 다른 혈액 세포과 같은 말초 세포(peripheral cell)에서 p53의 구조적(conformational) 변화가 일어나 p53 신호전달 경로에 문제가 생기고, 정상군과의 농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또한 younger mutants나 같은 나이의 야생형 대조군에 비해 Old AD transgenic mice APPswe/PS-1A246에서 발암물질인 20-메틸콜란트렌(20-methylcholanthrene) 주입 후에 뇌종양이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utated p53 구조도 보였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p53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53이 HNE(lipid peroxidation product)에 의해 산화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이 발표되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p53 단량체 형태 뿐만 아니라 이이량체도 높은 농도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보고된 논문에 따르면, p53은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환자에서 발현이 증가하며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 정상적인 신호전달 경로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p53의 구조적 변화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 1-40에 노출되었을 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Homeodomain interacting protein kinase 2(HIPK2)는 p53의 번역후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며, DNA 손상제(damaging agent)나 형태발생 신호에 반응하여 분화나 발생, 아폽토시스에 주요역할을 한다. HIPK2는 p53과 반응하여 p53의 세린 46을 인산화하여 p53-유도 아폽토시스에 관여한다. HIPK2가 결실될 경우 p53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 역할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를 토대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발현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편에 의해 HIPK2가 탈조절(deregulation)되어 p53의 구조적 변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p53의 구조적 변화는 단백질의 응집(aggregation)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량체나 4양체와 같은 올리고체 단백질을 형성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와 다른 치매 환자에서 일어나는 p53 구조적 변화에 의해서 다르게 검출되는 p53 단량체, 이량체를 통해 치매를 진단하는데 있어 다른 바이오마커와 함께 적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혈액 내 세포에 돌연변이형 p53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상향-조절됨(up-regulated)을 확인하고,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체액 내 p53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Cognitive disorder) 환자군의 체액 내에서 p53이 하향-조절됨(down-regulated)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지기능장애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지기능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a) 객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분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체액 내 p53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로, 상기 p53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향-조절(down-regulation)되는 경우, 인지기능장애로 진단한다.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혈액 내 세포에 돌연변이형 p53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상향-조절됨을 확인하고,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체액 내 p53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환자군의 체액 내에서 p53이 하향-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진단하고자 하는 인지기능장애는 기억처리, 지각 및 문제해결과 같은 인지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주관적기억장애(Subjective memory impairment),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빈스완거병(Binswangers disease), 학습장애, 픽병(Pick's disease),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또는 섬망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객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객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한 객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단계 (a): 생물학적 시료의 분리
먼저, 객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분리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생물학적 시료”는 체외로 분리된 동물의 생체 시료 또는 이의 배양물로서, 전혈, 혈청, 혈장, 소변, 세포, 세포 파쇄물 또는 세포 배양의 상등액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 또는 혈장(plasma)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장이다.
단계 (b): p53 단백질의 검출
다음, 상기 체액 내 p53 단백질을 검출한다.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인지기능장애 진단 마커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인지기능장애 진단 마커” 또는 “인지기능장애 마커”는 인지기능장애을 진단할 수 있는 물질로, 정상인에 비하여 인지기능장애가 발병한 개체에서 감소 양상을 보이는 생체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인지기능진단 마커는 총 p53 단백질 또는 올리고머 형태의 p53이고, 상기 총 p53 단백질은 모노머 형태, 올리고머 형태, 돌연변이 형태의 p53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노머(monomer) p53"은 일반적인 단일 분자로서의 p53을 의미하고, 용어 "올리고머(oligomer) p53"은 모노머 형의 p53이 둘 이상 포함된 p53 복합체를 의미한다. p53은 세포의 이상증식이나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막아주는 대표적인 암 억제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트는 면역분석 방식, 즉 항원-항체 반응 방식으로 인지기능장애 마커(단량체 p53 또는 올리고머 p53)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항체”란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항체는 본 발명의 마커 또는 상기 마커의 구성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로운 인지기능장애 진단 마커가 규명되었으므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p53(마커 단백질 항원)을 이용하여 항체를 생성하는 것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클론 항체는 상기한 마커 단백질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다클론 항체는 염소, 토끼, 양, 원숭이, 말, 돼지,소 개 등의 임의의 동물 종 숙주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상기 단클론 항체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하이브리도마 방법(hybridoma method)(Kohler 및 Milstein, European Jounral of Immunology 6:511-519, 1976 참조) 또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Clac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58, 1-597, 1991)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항체는 겔 전지영동, 투석, 염 침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적인 면역분석 방법에 적용되어 인지기능장애를 진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면역분석방법은 종래에 개발된 다양한 정량적 또는 정성적 면역분석 방법으로서, 면역분석 포맷은 웨스턴 블랏, 엘라이자(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샌드위치 엘라이자,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다.
상기 면역분석 또는 면역염색의 방법은 Enzyme Immunoassay, E. T. Maggio, ed.,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80; Gaastra, W.,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1, Walker, J.M. ed., Humana Press, NJ, 1984; 및 Ed Harlow and David Lane, Using Antibodies: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키트가 방사능면역분석 방법에 적용되는 경우, 키트 내의 검출 제제는 방사능동위원소(예컨대, C14, I125, P32및 S35)로 레이블링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트는 샌드위치 ELISA에 적용되어 인지기능장애 마커를 검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특정예에서, 이러한 샌드위치 ELISA는 (a) 포획 항체로서 p53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 가능한 항체를 고체 기질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b) 포획 항체와 생물학적 시료를 반응시키는 단계; (c) 단계 (b)의 결과물을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레이블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포획 항체가 포획한 p53에 결합 가능한 검출 항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레이블로부터 발생하는 시그널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 항체는 검출 가능한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레이블을 가지고 있다. 상기 레이블은 화학물질(예컨대, 바이오틴), 효소(알칼린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 래디쉬 퍼옥시다아제 및 사이토크롬 P450), 방사능물질, 형광물질(예컨대, 플루오레신), 발광물질, 화학발광물질(chemiluminescent) 및 FRET(fluorescenceresonance energy transfer)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레이블 및 레이블링 방법은 Ed Harlow and David Lane, Using Antibodies: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ELISA에서 최종적인 효소의 활성 측정 또는 시그널의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이 검출은 본 발명의 마커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만일, 레이블로서 바이오틴이 이용된 경우에는 스트렙타비딘으로, 루시퍼라아제가 이용된 경우에는 루시페린으로 시그널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항체 대신에 앱타머를 이용할 수 있다. 앱타머는 올리고핵산 또는 펩타이드 분자,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분자이며, 앱타머의 일반적인 내용은 Bock LC et al. Nature 355(6360):5646(1992); Hoppe-Seyler F, Butz K "Peptide aptamers: powerful new tools for molecular medicine". J Mol Med. 78(8):42630(2000); Cohen BA, Colas P, Brent R . "An artificial cellcycle inhibitor isolated from a combinatorial library". Proc Natl Acad Sci USA. 95(24):142727(1998)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면역분석 과정에 의한 최종적인 시그널의 세기를 분석함으로써, 인지기능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료에서 본 발명의 마커에 대한 시그널이 정상 시료 보다 약하게 나오는 경우에는 인지기능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실시예, 도 1 및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인지기능장애 진단용 키트”는 인지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이 포함된 키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표현 “인지기능장애 진단용 키트”는 “인지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과 서로 교차 또는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키트는 항원-항체 방식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키트는 면역분석(immunoassay)용 키트이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키트는 ELISA 키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키트는 ELIS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한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진단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a) 객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분석하고자 하는 후보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생물학적 시료 내 p53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백질이 인지기능장애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향-조절된 경우에, 상기 시료는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우선 객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 또는 혈장(plasma)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장이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후보물질”은 본 발명의 마커의 발현량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스크리닝에서 이용되는 미지의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후보물질은 화학물질, 뉴클레오타이드, 안티센스-RNA, siRNA(small interference RNA) 및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후보물질이 처리된 세포에서 본 발명의 p53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농도의 측정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 본 발명의 p53의 농도가 인지기능장애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향-조절된 경우에 상기 후보물질은 인지기능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Cognitive disorder)의 진단 방법, 키트 및 상기 인지기능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 의심환자의 체액 내 p53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지기능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정상군과 인지기능장애 질환군의 혈액 내 총 p53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정상군과 인지기능장애 질환군의 혈액 내 올리고머 p53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혈장 준비
채혈된 혈액 2개(헤파린 튜브 1개, EDTA 튜브 1개)를 850 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가속은 빠른 속도로 해도 무방하나, 감속 시에는 브레이크 사용을 하지 않고 천천히 감속하였다. 원심분리 후 혈구와 섞이지 않게 분리된 혈장을 뽑아 15 ml 코니칼 튜브(PP)에 넣었다. 볼텍싱에 의해 잘 혼합된 혈장을 다음과 같이 분주하였다:
혈장(in EDTA 튜브)는 보라색캡튜브에 0.3 cc씩 여러 개로 분주하여 80도에서 보관하였다.
혈장(in 헤파린 튜브)는 녹색캡튜브에 0.3 cc씩 여러 개로 분주하여 80도에서 보관하였다.
체액 내 p53의 검출
p53 포획 항체(Abcam, ab28)를 PBS(Sigma, P-3813)에 2 ㎍/㎖로 희석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100 ㎕씩 분주하고 4℃ 냉장고에서 밤새 항온반응 시켰다. PBST로 3번 세척 한 후, 블로킹 완충액[25% Block ACE(Biorad, BUF029) 및 1% 수크로즈(Sigma, S-0389)를 포함하는 PBS]을 각 웰에 300 ㎕씩 분주한 뒤 37℃에서 1시간동안 항온반응시켰다. PBST(Sigma, P-3563)로 3번 세척 한 후, 혈액 시료를 반응 완충액과 1:1로 희석한 뒤 100 ㎕씩 각 웰에 분주하여 37℃에서 2시간동안 항온반응 시켰다. PBST로 3번 세척한 후, 다음의 방법으로 총 p53 또는 올리고머 p53를 검출하였다: (1) 총 p53의 검출의 경우, 검출항체(R&D, BAF1355)를 10% Block ACE를 포함하는 PBST에 0.5 ㎍/㎖로 희석하여 각 웰에 100 ㎕씩 분주하고 37℃에서 2시간 항온반응 시켰다. (2) 올리고머 p53의 검출의 경우, 포획 항체와 동일한 항체를 10% Block ACE를 포함하는 PBST에 0.5 ㎍/㎖로 희석하여 각 웰에 100 ㎕씩 분주하고 37℃에서 2시간 항온반응 시켰다. 반응 후, PBST로 3번 세척하고 스트렙타비딘 폴리-HRP를 10% block ace를 포함하는 PBST에 100 ng/㎖로 희석한 뒤 각 웰에 100 ㎕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항온반응 시켰다. PBST로 3번 세척한 후, TMB 용액을 100 ㎕씩 각 웰에 분주하고 상온에서 30분동안 항온반응 시켰다. 정지 용액을 50 ㎕씩 각 웰에 분주하고 450 ㎚ 파장대에서 신호를 측정하였다. p53 표준 곡선은 재조합 p53 단백질(Origene, TP300003)으로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혈액에 존재하는 총 p53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AD(Alzheimer disease),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SMI(Subjective memory impairment)를 포함하는 치매환자군에서 체액 내 총 p53의 농도값이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1).
혈액에 존재하는 올리고머 p53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AD(Alzheimer disease),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SMI(Subjective memory impairment)를 포함하는 치매환자군에서 체액 내 p53의 농도값이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2).
총 p53 및 올리고머 p53, 모두 비슷하게 정상군에서 높은 값으로 검출되었다. 총 p53 및 올리고머 p53, 모두 치매간의 차이를 볼 수는 없지만, 치매환자와 정상군을 비교하는데 적합한 신규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객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내 총 p53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Cognitive disorder)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p53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향-조절(down-regulation)되는 경우에 인지기능장애로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또는 주관적기억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소변, 세포, 세포 파쇄물 또는 세포 배양의 상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53은 (a) 모노머(monomer) p53, 올리고머(oligomer) p53 및 돌연변이 p53를 포함하는 총 p53; 또는 (b) 올리고머 p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p53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진단용 키트로,
    상기 p53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향-조절(down-regulation)되는 경우에 인지기능장애로 진단하고,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또는 주관적기억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항원-항체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또는 주관적기억장애인 방법:
    (a) 객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생물학적 시료 내 p53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백질이 인지기능장애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향-조절된 경우에, 상기 시료는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정된다.
KR1020160176875A 2016-12-22 2016-12-22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KR10188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75A KR101885007B1 (ko) 2016-12-22 2016-12-22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75A KR101885007B1 (ko) 2016-12-22 2016-12-22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77A KR20180073777A (ko) 2018-07-03
KR101885007B1 true KR101885007B1 (ko) 2018-08-31

Family

ID=6291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875A KR101885007B1 (ko) 2016-12-22 2016-12-22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1058A (ja) * 2019-03-06 2022-07-06 ディアデム エス.アール.エル. アルツハイマー病の診断と予後判定におけるマーカーとしてのp53ペプチド
KR102321712B1 (ko) * 2019-04-05 2021-11-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능력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인지 능력 진단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5322A2 (en) 1997-04-10 1998-10-15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Diagnosis method and reagents
WO2016050630A1 (en) 2014-09-30 2016-04-07 Universita' Degli Studi Di Brescia Antibody binding a linear epitope of human p53 and diagnostic applica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5322A2 (en) 1997-04-10 1998-10-15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Diagnosis method and reagents
WO2016050630A1 (en) 2014-09-30 2016-04-07 Universita' Degli Studi Di Brescia Antibody binding a linear epitope of human p53 and diagnostic application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Death and Disease, 2013, Vol. 4, pp e484.
Int. J. Mol. Sci., 2015, Vol. 16, pp 2879-289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77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0002C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JP7102406B2 (ja) エキソソームの亜集団の定量および神経変性障害の診断
JP7457337B2 (ja) アルツハイマー病バイオマーカー
WO2019099950A1 (en) Astrocyte exosome complement-based assay for neuroinflammation
JP5363481B2 (ja) 早産の危険性を評価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の同定および定量化
KR102143189B1 (ko) 파킨슨병의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진단 키트
KR101885007B1 (ko)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KR102659191B1 (ko) 리신이 숙시닐화 된 락테이트 탈수소 효소 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과 키트 및 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143190B1 (ko) 파킨슨병 치매의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진단 키트
WO2015019979A1 (ja) 統合失調症に関するバイオマーカー
KR20140056501A (ko) 염증성 관절염의 신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102254053B1 (ko) 인지기능 정상군 또는 경도 인지장애에서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 침착 검출용 혈액 바이오 마커
US20150111777A1 (en) Biomarker for early neurodegeneration detection
JP5456056B2 (ja) 体液中のifi16の検出
KR101363576B1 (ko) 알츠하이머 질환에 대한 신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102128251B1 (ko) 아르기닌이 메틸화된 drd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대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20140018691A (ko) 시누클레인병증의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진단 키트
KR101893244B1 (ko) 당뇨병에 대한 신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102131860B1 (ko) 아르기닌이 메틸화된 ggt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대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2296346B1 (ko) 알츠하이머병의 진단과 유사 퇴행성 뇌질환과의 감별진단 향상을 위한 알파-시누클레인의 활용
KR101977410B1 (ko) 당뇨병에 대한 신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US10234455B2 (en) Regulatory brain specific ctyoplasmic RNAs (BC RNA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psychiatric lupus
KR101702115B1 (ko) 대장암에 대한 신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20170076611A (ko) 뇨 대사체에서 발굴된 폐렴연쇄상구균 유래 ABC-NBD, pstS, csrR 단백질을 이용한 진단방법
WO2024036134A2 (en) Defensin proteins for infection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