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275B1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275B1
KR101882275B1 KR1020120017878A KR20120017878A KR101882275B1 KR 101882275 B1 KR101882275 B1 KR 101882275B1 KR 1020120017878 A KR1020120017878 A KR 1020120017878A KR 20120017878 A KR20120017878 A KR 20120017878A KR 101882275 B1 KR101882275 B1 KR 10188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lint
tub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437A (ko
Inventor
김효준
김우례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1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7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3223005A priority patent/AU2013223005B2/en
Priority to JP2014558665A priority patent/JP6006339B2/ja
Priority to EP13752142.3A priority patent/EP2817445B1/en
Priority to PCT/KR2013/000533 priority patent/WO2013125794A1/en
Priority to BR112014020591-4A priority patent/BR112014020591B1/pt
Priority to CN201380014279.2A priority patent/CN104169489B/zh
Priority to RU2014138031/12A priority patent/RU2596463C2/ru
Priority to US13/747,996 priority patent/US9441883B2/en
Publication of KR2013009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세탁물을 처리하고, 외주면에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장치로 회수시키기 위한 공기회수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공기회수구 내측에 상기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린트를 상기 린트필터와 분리하는 필터세척부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세척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내측으로 연장 및 분지되어 상기 린트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하는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장치, 건조 겸용 세탁장치 등을 예로 들수 있다. 여기서 세탁장치는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또한, 건조 겸용세탁장치는 상술한 세탁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세탁물을 세탁 후 건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응축용수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시켜 다시 터브로 투입하는 응축식 세탁건조기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12)와, 터브(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과, 터브(12)로부터 생성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도록 터브(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응축덕트(14)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응축덕트(14)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히터(16)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2)의 내부로 제공하는 가열덕트(15)와, 터브(12)의 공기가 응축덕트(14) 및 가열덕트(15)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17)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세탁물의 건조시 송풍팬(17)에 이동되는 공기가 가열덕트(15)에 마련되는 히터(16)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 공기는 터브(12)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드럼(13)의 회전과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후 세탁물을 건조한 가열 공기는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습한 공기로 변환되고 터브(12)에서 응축덕트(14)로 유입되어 응축덕트(14)에서 습기가 제거된다. 여기서, 응축덕트(14)에는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한편 응축덕트(14)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17)에 의해 다시 가열덕트(15)로 공급되며, 상술한과정을 반복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대량으로 공급하여야 하며, 냉각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의 건조시에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가 공기와 함께 응축덕트(14)를 통하여 유입되고 응축덕트(14), 송풍팬(17), 가열덕트(15) 등에 잔류할 수 있다. 이에 응축덕트(14)에 잔류된 린트는 응축덕트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송풍팬(17)에 잔류된 린트는 송풍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열덕트(15)에 잔류된 린트는 가열덕트(15)에 마련되는 히터(16)의 고장 또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킨 열풍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구조를 개선하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풍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킨 열풍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구조를 개선하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풍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의 유지보수 구조를 개선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세탁물을 처리하고, 외주면에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장치로 회수시키기 위한 공기회수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공기회수구 내측에 상기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린트를 상기 린트필터와 분리하는 필터세척부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세척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내측으로 연장 및 분지되어 상기 린트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기회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회수구 상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와, 상기 가열덕트에서 가열된 공기를 터브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은 상기 공기의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는 응축면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기 터브의 응축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의 연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세척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외측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세척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라인과, 상기 세척수라인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배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노즐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세척수라인이 연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회수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린트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폭이 가장 넓어지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공기회수구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2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린트필터측으로 굴절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를 분지 공급하도록 제 1, 2노즐부가 결합되는 회동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접선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공기회수구의 내주면 곡면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경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접선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접선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폭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내부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기 공간에 마련되어 린트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터브내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필터의 일부를 차폐하는 반사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을 건조한 열풍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열풍에 함유된 습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응축을 위한 냉각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린트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청소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린트필터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의 린트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140)과, 드럼(14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드럼(140) 내에 투입된 세탁물(1)을 세탁, 헹굼, 탈수 시키는 구동모터(130)와, 터브(120)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1)의 건조를 수행하는 공기공급장치(150)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의류 처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 및 제어부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패널(111)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후술될 각종 구성요소가 내측 및 외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캐비닛(110)의 전방측에는 세탁물(1)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112)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110)의 내측 상부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1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와, 급수호스 상에 설치되어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급수밸브와,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제와 함께 터브(120) 내부로 투입되도록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공급장치(114)로 이루어진 급수부(113)가 마련된다.
그리고, 캐비닛(110)의 내측 하부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와 배수펌프로이루어진 배수부(115)가 마련된다.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내측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도어(112)로 투입되는 세탁물(1)을 수용하도록 도어(112) 측으로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터브(120)의 전면에는 세탁물(1)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의 외측으로는 터브(120)의 중량을 증가시켜 진동을 방지하는 웨이트(125)가 부착된다. 그리고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터브(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림부(122)가 형성된다. 림부(122)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의 공기토출구(156)가 연결된다. 한편, 터브(1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의 공기회수구(151)가 형성된다.
또한, 터브(120)의 후면에는 드럼(1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30)의 구조, 종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의 경우 터브(120)의 내주면을 응축면(126)으로 이용하여 응축수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세탁물(1)을 건조한 습한 공기의 습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덕트의 구조가 생략된다. 이러한 응축덕트의 생략에 따른 응축수의 생성과정은 공기공급장치(150)의 설명 및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설명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터브(120)는 상부의 스프링(127) 및 하부의 댐퍼(128)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구동모터(130)에 의한 드럼(14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120)를 통해 캐비닛(110)으로 전달될 때 스프링(127)과 댐퍼(128)에 의해 완충 및 감쇠되어 드럼(14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상기 드럼(140)은 터브(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140)의 내측에는 도어(112)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1)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드럼(14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탈수공(141)이 형성되며, 드럼(140)의 내측에는 드럼(140)이 회전될 때 드럼(140)에 적재된 세탁물(1)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다수의 리프트(142)가 형성되며, 리프트(142)에 의한 세탁물(1)의 유동에 따라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드럼(14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드럼(140)의 회전시 세탁물(1)에 의한 언밸런스를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145)가 설치된다. 드럼(140)의 후방에는 구동모터(130)에 연결되는 회전축(144) 및 회전축에 연결되는 스파이더(143)가 마련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50)는 터브(1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의류 처리장치(100)의 건조행정 시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가열시킨다. 즉, 공기공급장치(150)는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후 가열하여 다시 터브(120)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50)는 터브(120)의 외주면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회수구(151), 공기회수구(151)를 통하여 공기를 회수 및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153), 송풍팬(153)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154), 가열덕트(154)에서 가열된 공기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공기토출구(156)를 구비한다.
여기서, 공기회수구(151)는 터브(120)의 외주면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공기회수구(151)의 내측면에는 터브(120)의 외주면을 따라 세탁물(1)의 건조시 발생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160)가 마련된다.
여기서 린트필터(16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린트필터(16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부형상에 대응되고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필터프레임(161)과, 필터프레임(161)의 공기 유동 공간에 마련되어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62)가 마련된다. 여기서 필터(162)는 터브(120)의 내주면 형상인 곡면 형상을 따라 연장되독 소정의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회수구(151)의 린트필터(160) 상부에는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되는 린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세척부(170)가 마련된다. 필터세척부(170)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됨으로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송풍팬(153)은 공기회수구(151)의 상측에 마련된다. 송풍팬(153)의 작동에 따라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가열덕트(154) 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가열덕트(154)는 송풍팬(153)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다. 가열덕트(154)에서 가열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56)에 의해 터브(120)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1)을 건조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공급장치(150)에서 공기회수구(15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160)는 장기간 사용시 필터링된 린트를 제거하는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는 린트필터(160)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된 린트를 제거하는 필터세척부(170)가 마련된다. 여기서, 필터세척부(170)는 세탁을 위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13)에서 별도의 세척수밸브(미도시)에 의해 급수가 제어된다.
한편, 필터세척부(170)에서 필터의 세척을 위하여 린트필터(160)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린트필터(160)에 위해 필터링된 린트를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린트필터(160)의 내주면을 따라 터브(120)의 내주면(즉, 응축면)으로 흘러내리면서 터브(120)의 내주면을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필터 세척수에 의해 터브(120)의 내주면이 냉각됨에 따라 터브(120) 내부에서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터브(120)의 내면과 접하면서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이 일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건조한 공기 변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의 터브(120)의 경우 터브(120) 내부에는 높은 온도의 습한 공기가 체류하게 되고, 터브(120)의 외부에는 터브(120)의 내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체류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필터세척부(17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터브(120)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덕트를 이용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응축량이 많아질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의 응축덕트의 경우 터브(120)의 내주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에서 응축을 유도한다. 하지만 본원 발명의 경우와 같이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을 유도할 경우 응축을 위한 냉각면이 응축덕트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응축덕트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응축면(126)을 형성하고 있어 응축 효율을 증가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는 린트필터(16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 압력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된 린트를 터브(120)의 내측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린트를 제거한 응축수가 터브(120)의 내주면으로 흐르게 하여 터브(120)의 내주면을 냉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세척부(170)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라인(171)과, 공기회수구(151)를 관통하여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공기회수구(151)의 외측에서 세척수라인(171)에 연결되는 분배노즐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필터세척부의 분배노즐부에 대하여 3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분배노즐부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회구수 및 필터세척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중복되는 구성의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열풍을 공급 및 순환시킬 때 발생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160)와, 린트필터(160)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세척부(17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는 린트필터(16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된 린트를 터브(120)의 내측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필터세척부(170)는 세척수를 공급한기 위한 세척수라인(171)과, 세척수라인(171)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배하여 린트필터(16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배노즐부(2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세척수라인(171)은 급수부(113)의 세탁수 급수와 별도로 마련되는 세척수밸브(미도시)에 의해 세탁수의 급수와 별도로 세척수를 급수하도록 구성된다. 세척수라인(171)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분배노즐부(200)는 분배노즐부(20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세척수라인(171)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세척수라인(171)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아 린트필터(160)의 필터 상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분배노즐부(200)는 공기회수구(1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210)와, 체결부(210)에 결합되어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4)와, 연장부(21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장부(21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린트필터(160)측으로 굴절시키는 굴절부(215)와, 굴절부(215)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굴절부(215)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배하는 회동분배부(216)와 회동분배부(216)의 양단에 체결되어 회동분배부(216)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린트필터(160)의 필터(162) 상면으로 분사하는 제 1, 2노즐부(219a, 219b)를 구비한다. 여기서, 체결부(210), 연장부(214), 굴절부(215), 회동분배부(216), 제 1, 2노즐부(219a, 219b)에는 세척수가 이동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한편, 공기회수구(151)의 일측에는 분배노즐부(200)의 체결부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미도시) 또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의 경우 분배노즐부(200)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분배노즐부(200)의 체결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의 체결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210)는 공기회수구(15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부(210)는 세척수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부(210)의 일단에는 세척수라인(171)이 연결되기 위한 라인체결부(211)가 형성된다. 체결부(210)의 타단에는 연장부(214)가 연결되는 연결단턱(213)이 형성된다. 라인체결부(211)와 연장부(214)의 사이에는 체결부(210)가 공기회수구에 결합될 때 공기회수구(151)에 대하여 체결부(210)를 지지하는 고정리브(212)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214)는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체결부(210)의 연결단턱(213)에 결합되어 체결부(2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장부(214)는 연결단턱(213)에 결합되어 린트필터(160)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연장부(214)는 린트필터(160)의 폭이 가장 넓어지는 중심을 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굴절부(215)는 중공이 형성되며 린트필터 측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굴절부(215)는 연장부(2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굴절부(215)가 회동됨에 따라 굴절부(215)의 각도 및 굴절부(215)에 결합되는 회동분배부(21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굴절부(215)는 연장부(214)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직방향의 회동반경을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회동분배부(216)는 중공이 형성되며 뒤집어진 "T"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분배부(216)는 중앙에서 굴절부(2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의 단부 양측으로 제 1, 2노즐부(219a, 219b)가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토출구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회동분배부(216)는 굴절부(215)의 하향 절곡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의 회동반경을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 1, 2노즐부(219a, 219b)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회동분배부(216)의 양측 토출구에 각각 체결된다. 이러한 제 1, 2노즐부(219a, 219b)는 각각 일측은 폐쇄되며 타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1, 2노즐부(219a, 219b)에는 린트필터(160)의 필터(162) 상면에 접선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 1노즐(220a)이 형성된다(도 6a 참조).
여기서, 제 1노즐(22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노즐(220a)에서 분사되는 분사 각도와 린트필터(160)의 필터(162) 곡면 및 경사에 의해 필터(162)의 일정 면적에 분사되어 필터(162)에 필터링된 린트를 필터(162)에서 분리 및 제거한다.
한편, 제 1, 2노즐부(219a, 219b)에는 제 1노즐(22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예를 들어, 제 1노즐(220a)에 의해 분사되는 영역의 반대 영역)으로 별도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하여 제 1노즐(220a)과 다른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2노즐(220b)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6b 참조).
여기서, 제 2노즐(22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노즐과 마찬가지로 제 2노즐(220b)에서 분사되는 분사 각도와 린트필터(160)의 필터(162) 곡면 및 경사에 의해 필터(162)의 일정 면적에 분사되어 필터(162)에 필터링된 린트를 필터(162)에서 분리 및 제거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의 경우 세탁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 중에 린트필터(160)를 청소하기 위하여 필터세척부(170)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린트필터(160)에 린트가 가장 많이 필터링되는 건조행정 중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세척부(17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필터세척부(170)에 위한 린트필터(160)의 세척이 수행되면 린트필터(160)의 세척을 위하여 세척수라인(171)을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되고, 세척수는 체결부(210), 연장부(214), 굴절부(215), 회동분배부(216)에 형성된 중공을 통하여 제 1, 2노즐부(219a, 219b)로 분배되어 공급된다. 제 1, 2노즐부(219a, 219b)로 공급된 세척수는 제 1, 2노즐부(219a, 219b)에 형성된 제 1노즐(220a) 또는/및 제 2노즐(220b)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를 세척한다.
여기서, 제 1, 2노즐부(219a, 219b)의 경우 연장부(214)에 결합된 굴절부(215)의 수직방향 회전과, 굴절부(215)에 결합된 회동분배부(216)의 수평방향회전에 의해 제 1, 2노즐부(219a, 219b)의 분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린트필터(160)로 분사되어 필터에서 린트를 세척 및 분리한 세척수는 분리된 린트와 함께 터브(12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 터브(120)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부(115)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터브(12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는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키면서 배출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터브(120)의 내면이 냉각함으로써 터브(120)의 내면이 응축면(126)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회구수 및 필터세척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중복되는 구성의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열풍을 공급 및 순환시킬 때 발생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160)와, 린트필터(160)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세척부(17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는 린트필터(16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된 린트를 터브(120)의 내측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필터세척부(170)는 세척수를 공급한기 위한 세척수라인(171)과, 세척수라인(171)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배하여 린트필터(16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배노즐부(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세척수라인(171)은 급수부(113)의 세탁수 급수와 별도로 마련되는 세척수밸브(미도시)에 의해 세탁수의 급수와 별도로 세척수를 급수하도록 구성된다. 세척수라인(171)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분배노즐부(300)는 분배노즐부(30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세척수라인(171)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세척수라인(171)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아 린트필터(160)의 필터 상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분배노즐부(300)는 공기회수구(1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310)와, 체결부(310)에 결합되어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14)와, 연장부(314)의 단부에 연통되며 린트필터(160)의 내주면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어 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경사노즐부(3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체결부(310), 연장부(314), 경사노즐부(316)는 세척수가 이동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한편, 공기회수구(151)의 일측에는 분배노즐부(300)의 체결부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미도시) 또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의 경우 분배노즐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분배노즐부(300)의 체결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의 체결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310)는 공기회수구(15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부(310)는 세척수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부(310)의 일단에는 세척수라인(171)이 연결되기 위한 라인체결부(311)가 형성된다. 체결부(310)의 타단에는 연장부(314)가 연결되는 연결단턱(313)이 형성된다. 라인체결부(311)와 연장부(314)의 사이에는 체결부(310)가 공기회수구에 결합될 때 공기회수구(151)에 대하여 체결부(310)를 지지하는 고정리브(312)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314)는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체결부(310)의 연결단턱(313)에 결합되어 체결부(3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장부(314)는 연결단턱(313)에 결합되어 린트필터(160)의 반대편 측으로 근접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경사노즐부(316)는 린트필터(160)의 상면 외주면을 따라 굴곡 및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제 1, 2경사부(317, 318)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2경사부(317, 318)는 린트필터(160)의 상면 외주면에서 필터의 하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미도시)을 구비한다.
여기서,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 각도와 린트필터(160)의 필터(162) 곡면 및 경사에 의해 필터(162)의 일정 면적에 분사되어 필터(162)에 필터링된 린트를 필터(162)에서 분리 및 제거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의 경우 세탁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 중에 린트필터(160)를 청소하기 위하여 필터세척부(170)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린트필터(160)에 린트가 가장 많이 필터링되는 건조행정 중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세척부(17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필터세척부(170)에 위한 린트필터(160)의 세척이 수행되면 린트필터(160)의 세척을 위하여 세척수라인(171)을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되고, 세척수는 체결부(310), 연장부(314), 경사노즐부(316)에 형성된 중공을 통하여 제 1, 2경사부(317, 318)로 분배되어 공급된다. 제 1, 2경사부(317, 318)로 공급된 세척수는 제 1, 2경사부(317, 318)에 형성된 노즐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를 세척한다.
한편, 린트필터(160)로 분사되어 필터(162)에서 린트를 세척 및 분리한 세척수는 분리된 린트와 함께 터브(12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 터브(120)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부(115)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터브(12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는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키면서 배출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터브(120)의 내면이 냉각함으로써 터브(120)의 내면이 응축면(126)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회구수 및 필터세척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중복되는 구성의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 및 필터세척부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열풍을 공급 및 순환시킬 때 발생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160)와, 린트필터(160)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세척부(17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는 린트필터(16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된 린트를 터브(120)의 내측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필터세척부(170)는 세척수를 공급한기 위한 세척수라인(171)과, 세척수라인(171)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배하여 린트필터(16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배노즐부(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세척수라인(171)은 급수부(113)의 세탁수 급수와 별도로 마련되는 세척수밸브(미도시)에 의해 세탁수의 급수와 별도로 세척수를 급수하도록 구성된다. 세척수라인(171)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분배노즐부(40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세척수라인(171)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세척수라인(171)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아 린트필터(160)의 필터 상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분배노즐부(400)는 공기회수구(1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410)와, 체결부(410)에 결합되어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4)와, 연장부(414)의 단부에 연통되며 린트필터(160)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4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체결부(410), 연장부(414), 노즐부(416)는 세척수가 이동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한편, 공기회수구(151)의 일측에는 분배노즐부(400)의 체결부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미도시) 또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의 경우 분배노즐부(400)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분배노즐부(400)의 체결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의 체결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410)는 공기회수구(15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부(410)는 세척수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부(410)의 일단에는 세척수라인(171)이 연결되기 위한 라인체결부(411)가 형성된다. 체결부(410)의 타단에는 연장부(414)가 연결되는 연결단턱(413)이 형성된다. 라인체결부(411)와 연장부(414)의 사이에는 체결부(410)가 공기회수구(151)에 결합될 때 공기회수구(151)에 대하여 체결부(410)를 지지하는 고정리브(412)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414)는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체결부(410)의 연결단턱(413)에 결합되어 체결부(4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장부(414)는 연결단턱(413)에 결합되어 린트필터(160)의 상측(즉, 체결부의 반대편에 근접한 위치)에 근접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노즐부(416)는 연장부(414)의 단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면, 연장부(414)의 단부에서 린트필터(160)의 상부와 평행하게 연장부(414)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노즐부(416)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주면에 의해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제 1, 2노즐부(219a, 219b)보다는 짧게 연장된다.
여기서, 노즐부(416)는 린트필터(160)의 상측에서 필터(162)의 하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미도시)을 구비한다. 한편, 노즐부(416)의 경우 공기회수구(151)의 상부에 위치함으로 린트필터(160)의 폭보다 다소 작은 길이로 형성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노즐부(416)에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의 경우 노즐부(416)의 중앙에서 외측에 형성될수록 린트필터(160)의 외곽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 각도와 린트필터(160)의 필터(162) 곡면 및 경사에 의해 필터(162)의 일정 면적에 분사되어 필터(162)에 필터링된 린트를 필터(162)에서 분리 및 제거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의 경우 세탁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 중에 린트필터(160)를 청소하기 위하여 필터세척부(170)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린트필터(160)에 린트가 가장 많이 필터링되는 건조행정 중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세척부(17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필터세척부(170)에 위한 린트필터(160)의 세척이 수행되면 린트필터(160)의 세척을 위하여 세척수라인(171)을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되고, 세척수는 체결부(410), 연장부(414), 노즐부(416)에 형성된 중공을 통하여 노즐에서 분사된다.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노즐에 의해 린트필터(160)로 분사되어 린트필터(160)에 필터링된 린트를 분리 및 세척한다.
한편, 린트필터(160)로 분사되어 필터에서 린트를 세척 및 분리한 세척수는 분리된 린트와 함께 터브(12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 터브(120)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부(115)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터브(12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는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키면서 배출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터브(120)의 내면이 냉각함으로써 터브(120)의 내면이 응축면(126)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들의 필터세척부(170)의 경우 공기회수구(151) 내측에 마련되어 터브(120) 내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0)를 세척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분사되는 대부분의 세척수가 린트필터(160)의 접선방향으로 분사되어 세척수의 대부분은 린트필터(160)의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나, 일부의 세척수가 린트필터(160)를 통과하여 터브(120)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린트필터(160)의 린트제거를 위하여 분사되는 세척수가 터브(120)로 직접적으로 낙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린트필터(16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회수구의 린트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는 린트필터(160)가 설치되고, 린트필터(160)의 상부에는 필터세척부(170)가 마련된다. 필터세척부(170)는 린트필터(160)의 세척을 위하여 린트필터의 접선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린트필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린트필터(16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린트필터(160)는 공기회수구(151)의 내부형상에 대응되고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필터프레임(161)과, 필터프레임(161)의 공기 유동 공간에 마련되어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62)가 마련된다. 여기서 필터(162)는 터브(120)의 내주면 형상인 곡면 형상을 따라 연장되독 소정의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프레임(161)의 소정부(바람직하게는 린트필터(160)와 필터세척부(170)에서 분사되는 세턱수 사이의 각도가 린트필터(160) 면의 접선각을 과도하게 벗어나는 영역)에는 필터(162)의 일부분을 차폐하여 필터세척부(17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판(163)이 형성된다. 이러한 반사판(163)은 필터프레임(16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린트필터(160)와 필터세척부(170)에서 분사되는 세턱수 사이의 각도가 린트필터(160) 면의 접선각을 과도하게 벗어나는 영역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반사판(163)의 의해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162)를 따라 린트필터(160)의 하측으로 흘러 내리게 되어 세척수가 터브(120)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을 건조한 열풍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터브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응축덕트를 이용한 응축구조보다 응축면이 넓어짐으로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응축을 위한 냉각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건조한 후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린트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을 건조한 후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청소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린트필터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린트필터에서 린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터브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터브의 냉각 효과를 가져와 터브의 내면을 이용한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 의류 처리장치 110 : 캐비닛
120 : 터브 140 : 드럼
150 : 공기공급장치 151 : 공기회수구
160 : 린트필터 170 : 필터세척부
200, 300, 400 : 분배노즐부

Claims (20)

  1.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세탁물을 처리하고, 후방 상부 외주면에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장치로 회수시키기 위한 공기회수구 및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가열된 공기가 전방 중앙에서 공급되는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터브와,
    상기 공기회수구 상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공기회수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와,
    상기 공기회수구 내측에 상기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린트를 상기 린트필터와 분리하는 필터세척부 및
    상기 필터세척부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세척부는,
    상기 공기회수구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세척수라인이 연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공기회수구의 내부에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공기회수구의 폭이 가장 넓어지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린트필터측으로 굴절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를 분지 공급하는 회동분배부와,
    상기 회동분배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회수구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린트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1, 2노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기회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은 상기 공기의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는 응축면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기 터브의 응축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의 연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세척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외측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접선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노즐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폭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공기회수구의 내부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기 공간에 마련되어 린트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터브내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필터의 일부를 차폐하는 반사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120017878A 2012-02-22 2012-02-22 의류 처리장치 KR10188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878A KR101882275B1 (ko) 2012-02-22 2012-02-22 의류 처리장치
JP2014558665A JP6006339B2 (ja) 2012-02-22 2013-01-23 衣類処理装置
EP13752142.3A EP2817445B1 (en) 2012-02-22 2013-01-23 Laundry treating machine
PCT/KR2013/000533 WO2013125794A1 (en) 2012-02-22 2013-01-23 Laundry treating machine
AU2013223005A AU2013223005B2 (en) 2012-02-22 2013-01-23 Laundry treating machine
BR112014020591-4A BR112014020591B1 (pt) 2012-02-22 2013-01-23 máquina para tratar vestuário
CN201380014279.2A CN104169489B (zh) 2012-02-22 2013-01-23 衣物处理机
RU2014138031/12A RU2596463C2 (ru) 2012-02-22 2013-01-23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3/747,996 US9441883B2 (en) 2012-02-22 2013-01-23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878A KR101882275B1 (ko) 2012-02-22 2012-02-22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437A KR20130096437A (ko) 2013-08-30
KR101882275B1 true KR101882275B1 (ko) 2018-07-26

Family

ID=4898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878A KR101882275B1 (ko) 2012-02-22 2012-02-22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41883B2 (ko)
EP (1) EP2817445B1 (ko)
JP (1) JP6006339B2 (ko)
KR (1) KR101882275B1 (ko)
CN (1) CN104169489B (ko)
AU (1) AU2013223005B2 (ko)
BR (1) BR112014020591B1 (ko)
RU (1) RU2596463C2 (ko)
WO (1) WO2013125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2707B2 (en) 2013-03-14 2017-02-0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oling system having a secondary cooling loop
CN104514114B (zh) * 2013-09-03 2017-10-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2155034B1 (ko) * 2013-11-01 2020-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591212B2 (en) * 2014-03-12 2020-03-17 Ceres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grain
EP3240925B1 (en) * 2014-12-30 2019-03-06 Whirlpool EMEA S.p.A Washing/dry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cleaning an air filter
EP3240926B1 (en) 2014-12-30 2019-02-27 Whirlpool EMEA S.p.A Washing/drying machine with a spider-shaped device for cleaning an air filter
KR102442968B1 (ko) * 2015-04-16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748257B1 (ko) * 2015-08-18 2017-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1691807B1 (ko) 2015-08-18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5937176B (zh) * 2016-06-29 2019-07-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或洗干一体机
US10087569B2 (en) 2016-08-10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aintenance free dryer having multiple self-cleaning lint filters
US10519591B2 (en) 2016-10-14 2019-12-31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washing/drying laundry appliance having a heat pump system with reversible condensing and evaporating heat exchangers
US10738411B2 (en) 2016-10-14 2020-08-11 Whirlpool Corporation Filterless air-handling system for a heat pump laundry appliance
US10502478B2 (en) 2016-12-20 2019-12-10 Whirlpool Corporation Heat rejection system for a condenser of a refrigerant loop within an appliance
JP2018117898A (ja) * 2017-01-25 2018-08-0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10544539B2 (en) 2017-02-27 2020-01-28 Whirlpool Corporation Heat exchanger filter for self lint cleaning system in dryer appliance
CN108729106A (zh) * 2017-04-25 2018-11-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烘干系统以及洗衣机
CN108729105A (zh) * 2017-04-25 2018-11-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烘干系统以及洗衣机
CN108729170B (zh) * 2017-04-25 2021-05-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烘干系统以及洗衣机
WO2018196766A1 (zh) * 2017-04-25 2018-11-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烘干系统以及洗衣机
US10514194B2 (en) 2017-06-01 2019-12-24 Whirlpool Corporation Multi-evaporator appliance having a multi-directional valve for delivering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s
US10718082B2 (en) 2017-08-11 2020-07-21 Whirlpool Corporation Acoustic heat exchanger treatment for a laundry appliance having a heat pump system
US11015281B2 (en) 2017-09-26 2021-05-2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having a maintenance free lint removal system
CN110004647B (zh) * 2018-01-05 2022-09-23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控制系统及衣物处理设备
US11585038B2 (en) 2019-11-21 2023-02-2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891A (en) * 1974-12-30 1976-06-01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lint screen assembly for a dryer
JPS60132282U (ja) 1984-02-15 1985-09-04 東静電気株式会社 全自動洗濯機用洗剤投入器
FR2711073B1 (fr) * 1993-10-15 1995-11-17 Esswein Sa Dispositif de nettoyage pour filtre du circuit séchage par flux d'air chaud d'une machine, en particulier pour une machine lave-linge séchante ou pour un sèche-linge.
JP3436644B2 (ja) * 1996-10-30 2003-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0413453B1 (ko) * 2001-02-05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4307105B2 (ja) 2003-02-28 2009-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ンドリー機器
US7168274B2 (en) * 2003-05-05 2007-01-30 American Dryer Corporation Combination washer/dryer having common heat source
KR100602242B1 (ko) * 2004-05-12 2006-07-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건조 열풍 공급 구조
KR100598233B1 (ko) * 2004-10-08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700793B1 (ko) * 2004-12-1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JP2006187449A (ja) * 2005-01-06 2006-07-20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101186159B1 (ko) * 2006-01-20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2009142351A (ja) * 2007-12-12 2009-07-02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DE102008041998A1 (de) 2008-09-11 2010-03-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einem Flusenfilter und einer Reinigungsvorrichtung
DE102008055093A1 (de) * 2008-12-22 2010-06-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sieb, Haushaltsgerät mit einem solchen Sieb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iebs
KR20100129117A (ko)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00091065A (ko) * 2009-02-09 2010-08-18 조재두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필터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23005A1 (en) 2014-09-18
EP2817445B1 (en) 2018-03-07
CN104169489B (zh) 2017-09-01
US20130212894A1 (en) 2013-08-22
EP2817445A4 (en) 2015-10-28
KR20130096437A (ko) 2013-08-30
CN104169489A (zh) 2014-11-26
WO2013125794A1 (en) 2013-08-29
JP6006339B2 (ja) 2016-10-12
RU2596463C2 (ru) 2016-09-10
RU2014138031A (ru) 2016-04-10
JP2015508005A (ja) 2015-03-16
US9441883B2 (en) 2016-09-13
AU2013223005B2 (en) 2016-03-03
EP2817445A1 (en) 2014-12-31
BR112014020591B1 (pt)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275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867819B1 (ko) 의류 처리장치
US10513813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130291395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25966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623914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61979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81596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20108168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80048513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22033B1 (ko) 세탁장치
KR10266230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3374563B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condenser
KR20140102169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81597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40043919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