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07B1 -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07B1
KR101691807B1 KR1020150116217A KR20150116217A KR101691807B1 KR 101691807 B1 KR101691807 B1 KR 101691807B1 KR 1020150116217 A KR1020150116217 A KR 1020150116217A KR 20150116217 A KR20150116217 A KR 20150116217A KR 101691807 B1 KR101691807 B1 KR 10169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shing water
nozzle
fil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종
장세민
안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07B1/ko
Priority to EP16837321.5A priority patent/EP3339489B1/en
Priority to PCT/KR2016/009065 priority patent/WO2017030379A1/ko
Priority to US15/932,192 priority patent/US109616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Y02B40/50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순환통로 상에 구비되는 필터망에 채집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배출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배치되는 내조와, 시단이 상기 외조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류에서 하류로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의 순환통로와, 상기 외조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와, 상기 순환통로의 상기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필터망이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하류측에서 상기 필터망에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외조 내로 세탁수를 공급시키는 급수단계, 상기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키는 세탁물 세척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시키면서, 상기 세척수가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제어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controlling method of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순환통로 상에 구비되는 필터망에 채집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배출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외조, 및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건조할 세탁물이 저장되는 내조를 포함한다.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세탁물에 공급한다. 세탁물과 접촉하여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식 건조시스템, 상기 공기를 온습도 조절하여 세탁물에 재공급시키는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상기 공기 중 일부는 배기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세탁물에 재공급시키는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상기 순환식 건조시스템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을 갖춘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외조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조에서 유출되어 상기 외조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순환통로를 이동하는 공기 중에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이물질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다. 특히, 건조 행정 중에 상기 내조가 회전하면, 세탁물에 마찰이 발생하여 이러한 이물질의 양은 더욱 늘어난다. 이 경우, 상기 순환통로 상에 구비된 온습도 조절장치에 상기 이물질이 달라붙어 장치의 고장 또는 효율저하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외조 내로 재공급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세탁물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순환통로 상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제시한다. 상기 필터는 필터망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이물질을 채집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기술은,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노즐을 구비시켜, 상기 필터망에 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한다.
제 1과제는, 상기 필터망에 채집된 이물질을 세탁물 처리장치의 행정 중에 자동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제 2과제는, 상기 필터망에 채집된 이물질을 세척수를 분사시켜 제거시키는 경우, 세척 후 상기 이물질이 섞인 세척수를 자동으로 쉽게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필터망에 이물질이 고착된 경우 세척수를 분사시켜도 잘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배치되는 내조와, 시단이 상기 외조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류에서 하류로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의 순환통로와, 상기 외조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와, 상기 순환통로의 상기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필터망이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하류측에서 상기 필터망에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외조 내로 세탁수를 공급시키는 급수단계, 상기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키는 세탁물 세척단계, 상기 세탁수을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시키면서, 상기 세척수가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제어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망은 상기 순환통로의 상기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필터망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노즐배치부를 서로 상대운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상대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시키고, 상기 세척수가 상기 필터망에 충돌하는 부분이 상기 상대운동 궤적을 가로지르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는 원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배치부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원형프레임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원형프레임을 회전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시키고, 상기 세척수가 상기 필터망에 충돌하는 부분이 상기 원형프레임의 반경을 가로지르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상대운동시켜 상기 필터망의 전체 면적에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망의 상류측에 상기 필터망에 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배수단계 이후에, 상기 순환통로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원형프레임을 상기 회전운동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상기 필터망에 충돌하는 부분을 따라 상기 필터망에 닿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브러쉬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시키도록 제어된다.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외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상기 내조의 최하부 이하인 시점에 상기 복수의 노즐로 상기 세척수 분사를 시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세탁수의 배수를 시작하는 제 1시점 및 상기 세척수의 분사를 시작하는 제 2시점을 정의할 때, 상기 제 1시점과 상기 제 2시점의 시간 차는 상기 제 1시점 이후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상기 내조의 최하부가 되는데까지 걸리는 소정 시간 이상인 값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해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외조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조에서 유출되어 상기 외조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순환통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망 및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는 원형프레임을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망의 상류측에 상기 필터망에 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원형프레임을 회전운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순환통로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원형프레임을 상기 회전운동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의 하류측에서 상기 필터망의 상기 브러쉬가 닿는 부분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브러쉬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시키도록 제어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상기 필터망에 세척수를 직접 분사시켜 상기 필터망에 채집된 이물질이 잘 떨어져나가게 하면서도, 상기 필터망의 전체 면적을 고르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일정량의 세척수를 상기 필터망의 일부 면적에 집중적으로 분사시키되 시간차를 두고 다른 면적 부분에도 분사시켜, 상기 노즐의 세척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하면, 세척수를 상기 필터망의 전체 면적에 동시에 분사시키는 것보다 세척성능이 월등히 높아진다.
셋째, 상기 필터망에 채집된 이물질을 세탁물 처리장치의 배수행정 중에 자동으로 제거하고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순환통로, 상기 필터부 및 상기 복수의 노즐 등의 배치를 통해서, 분사된 세척수와 제거된 이물질이 자동으로 쉽게 배수되고, 제거된 이물질이 내조 내의 세탁물을 다시 오염시키지 않도록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브러쉬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망에 고착되어 세척수로 쉽게 떨어지지 않는 이물질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 제거과정에서 상기 브러쉬에 붙은 이물질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배수행정 중에 자동으로 제거되고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케비닛(1) 내부의 구성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장치를 도 1과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전후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르고, 순환통로(40), 흡기통로(45), 배기통로(48) 및 배수통로(30) 상에서 공기와 물의 흐름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좌우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르고, 순환통로(40), 흡기통로(45) 및 배수통로(30) 상에서 공기와 물의 흐름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노즐배치부(170)가 고정되고 필터부(160)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상대운동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은, 필터부(260)가 고정되고 노즐배치부(270)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상대운동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노즐배치부(370)가 고정되고 필터부(360)가 회전운동하는 상대 운동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의 필터망을 생략한 필터부(360), 노즐배치부(370) 및 필터구동부(380)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3실시예의 필터부(360), 노즐배치부(370) 및 필터구동부(380) 등을 위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필터부(360) 및 노즐배치부(370) 등을 수직으로 자른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즐(375)의 배열예를 보여주는 노즐배치부(37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제 6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즐(375)의 배열예를 보여주는 노즐배치부(370)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제 7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즐(375)의 배열예를 보여주는 노즐배치부(370)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배수단계(S3)의 세부적인 행정 시작 및 종료 시점을 나타낸 시간축(t)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프론트로딩형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순환식 건조시스템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을 구비한 건조겸용 세탁기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을 구비한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케비닛(1) 내부의 구성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장치를 도 1과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전후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르고, 순환통로(40), 흡기통로(45), 배기통로(48) 및 배수통로(30) 상에서 공기와 물의 흐름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좌우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르고, 순환통로(40), 흡기통로(45) 및 배수통로(30) 상에서 공기와 물의 흐름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상기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1)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케비닛(1)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외조(5), 및 외조(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저장되는 내조(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부의 급수원(미도시)로부터 물을 외조(5) 내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20), 및 외조(5)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외조(5) 내부의 물이 케비닛(1)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30)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배수통로(40) 상에 구비되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작동하는 배수펌프(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외조(5)에서 유출되어 외조(5)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40)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순환통로(40) 상에 구비되어 순환통로(40)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순환통로(40) 상의 공기의 습도를 낮추거나 온도를 올리는 히터(55)나 냉각기(미도시) 등의 온습도 조절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 외부 또는 케비닛(1) 외부의 공기가 외조(5)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45)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순환통로(40)로 유입되는 일부 공기를 제외한 다른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순환통로(40) 상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60)를 포함한다. 필터부(60)는, 순환통로(40)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망(161, 261, 361), 및 필터망(161, 261, 361)을 지지하는 필터프레임(163, 263, 36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필터망(161, 261, 361)의 일부 면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필터망(161, 261, 361)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이 배열되는 노즐배치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노즐배치부(70)에 연결되어 복수의 노즐(175, 275, 375)로 분사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필터부(60)와 노즐배치부(70)를 서로 상대운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이 필터망(161, 261, 361)의 일부 면적에 세척수를 분사하더라도, 상기 상대운동에 의한 시간차를 두고 필터망(161, 261, 361)의 전체 면적에 상기 세척수가 분사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필터부(60)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브러쉬(9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90)는 필터망(161, 261, 361)의 표면을 쓸어주어 필터망(161, 261, 361)에 채집된 이물질을 떨어뜨린다. 브러쉬(90)에 의해 필터망(161, 261, 361)으로부터 떨어진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는 브러쉬(90)에 붙어있게 된다.
상기 케비닛(1)은, 상기 세탁기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2)을 포함한다. 프론트패널(2)에는 내조(1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3)가 구비된다. 투입구(3)를 개폐하는 도어(6)는 프론트패널(2)에 힌지(hinge) 접합되어 여닫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케비닛(1)은, 좌우측 면을 형성하는 2개의 사이드패널(미도시),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패널(미도시),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패널(미도시), 및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인 컨트롤패널(4)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4)은 사용자가 세탁기의 제어부(미도시)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컨트롤패널(4)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에 전원공급명령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미도시), 및 사용자가 장치의 구현 가능한 세탁물 처리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방법은 세탁물에 물이나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컨트롤패널(4)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물 처리방법 또는 세탁기의 작동과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조(5)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외조 지지부(8)에 의해 케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외조(5)의 전방면에는 투입구(3)와 연통하는 외조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외조투입구와 투입구(3) 사이에는 가스켓(9)이 구비된다. 가스켓(9)은 외조(5)에 발생된 진동이 케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조(5)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켓(9)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조(10)는 외조(5)의 후방면에 구비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외조(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내조(10)에는, 상기 외조투입구와 연통하는 내조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내조(10)에는, 원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원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내조 관통홀(13)이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부(20)는, 케비닛(1)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제공급부(25)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통로(23), 및 급수통로(23)를 개폐하는 급수밸브(21)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부(25)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26), 및 세제저장부(26)로부터 외조(5) 내부로 세제가 포함된 물을 안내하는 외조 공급관(27)을 포함한다. 세제저장부(26)는 프론트패널(2)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조 공급관(27)을 통해서 외조(5) 내부로 공급된 물을 이하 '세탁수'라 정의한다.
상기 물공급부(20)는, 노즐배치부(70)로 물을 안내하는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물공급부(20)는,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를 개폐하는 노즐급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의 일단은 상기 급수원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급수통로(23)에서 분지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의 타단은 노즐배치부(70)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 연결부(73, 도 3 참조)에 연결된다.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를 통해서 노즐(175, 275, 375)로 분사된 물을 이하 '세척수'라 정의한다.
상기 배수통로(30)의 시단은 외조(5)의 하측면에 연결된다. 외조(5)의 하측면에 배수통로(30)와 연결된 지점에는, 외조(5) 내부와 배수통로(30)를 연통하는 배수홀(31)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펌프(33)는 외조(5)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배수통로(30) 상의 최저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통로(30)는, 배수홀(31)부터 배수펌프(33)의 수류 유입구(미도시)까지 연장되고, 배수펌프(33)의 수류 유출구(미도시)부터 케비닛(1) 외부까지 연장된다.
배수통로(30)는 외조(5)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배수통로(30) 내에서 배수되는 물에 의한 워터트랩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순환통로(40)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외조(5)에서 유출되어 다시 외조(5)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순환통로(40)는 외조(5)의 상부 원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순환통로(40)의 시단(41)와 종단(42)는 외조(5)와 연결된다.
순환통로(40)의 시단(41)이 외조(5)의 측면에 연결된다. '시단(41)이 외조(5)의 측면에 연결된다'는 것은, 외조(5)의 측면과 상면 사이 부분에 시단(41)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순환통로(40)의 종단(42)은 가스켓(9)의 상측에 연결된다. 즉, 가스켓(9)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순환통로(40)는 상기 홀과 연결된다.
순환통로(40)상의 시단(41)에서 종단(42)으로의 방향이 순환통로(40) 내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다.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가 정의된다. 순환통로(40)는 상류에서 하류로 상향 연장되는 구간(43)을 포함한다. 상향 연장되는 구간(43)의 시단이 순환통로(40)의 시단이 되도록, 순환통로(40)가 구비될 수 있다. 순환통로(40)는, 상향 연장 구간(43)의 종단부에서 가스켓(9) 방향으로 꺾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44)을 포함한다.
상기 팬(40)은, 순환통로(40) 상에서 상향 연장 구간(43) 내에 구비된다. 상기 히터(55) 또는 냉각기(미도시)는 전방 연장 구간(44)에 구비된다.
상기 흡기통로(45)는 외조(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순환통로(40) 상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통로(45)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통로(40)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히터(55)는, 순환통로(40) 상에서 흡기통로(45) 내의 공기가 순환통로(40)로 유입되는 지점인 흡기통로 연결단(47)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또한, 팬(50)은 순환통로(40) 상에서 흡기통로 연결단(47)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히터(43)로 순환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 모두를 가열시킬 수 있고, 하나의 순환팬(41)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흡기통로(45)의 흡기구(46)는 외부의 공기가 흡기통로(45)내로 유입되는 개구부이다. 흡기구(46)가 케비닛(1)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케비닛(1)과 외조(5)의 사이 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기통로(45)로 유입되고, 흡기통로(45)의 흡입구가 케비닛(1)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케비닛(1) 외부의 공기가 흡기통로(45)로 유입된다. 본 설명에서 '외부의 공기'의 의미는, 케비닛(1) 외부의 공기 및 케비닛(1)과 외조(5) 사이의 공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필터부(60)는 순환통로(40) 상에서 흡기통로 연결단(47)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필터부(60)는 상향 연장 구간(43) 내에 구비되는데, 이는 필터부(60)가 상향 연장 구간(43)과 전방 연장 구간(44) 사이 지점인 상향 연장 구간(43)의 종단부에 구비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필터부(60)는, 순환통로(40) 상에서 팬(50)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필터부(60)는, 순환통로(40) 상에서 히터(55) 또는 상기 냉각기의 상류측에 구비된다.
상기 필터망(161, 261, 361)은 순환통로(40)의 단면을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필터망(161, 261, 361)은 상향 연장 구간(43)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데, 이는 필터망(161, 261, 361)가 상향 연장 구간(43)과 전방 연장 구간(44) 사이 지점인 상향 연장 구간(43)의 종단부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필터망(161, 261, 361)은 상향 연장 구간(43)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는데, '측방향'이란 필터망(161, 261, 361)이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형성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노즐배치부(70)는, 순환통로(40) 상에서 필터망(161, 261, 361)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된다. 노즐배치부(70)는 필터망(161, 261, 361)과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필터망(161, 261, 361)이 상향 연장 구간(43)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실시예에서, 노즐배치부(70)는 필터망(161, 261, 361)의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배치부(70)는 내부에 세척수가 통과하는 노즐급수통로를 형성한다. 노즐배치부(70)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급수통로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급수 연결부가 형성된다.
노즐배치부(70)의 필터망(161, 261, 361)을 바라보는 면 상에서 상기 노즐급수통로와 연통하는 상기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이 형성된다.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은 필터망(161, 261, 361)이 배치된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노즐배치부(70)가 필터망(161, 261, 361)의 상측에 배치되는 실시예에서,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은 노즐배치부(70)의 하면에 구비되어 하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은, 노즐배치부(70)의 하면 상에서 상기 상대운동의 궤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브러쉬(90)는, 상기 상대운동의 궤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필터망(161, 261, 361)에 닿도록 배치된다. 브러쉬(90)는, 순환통로(40) 상에서 필터망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다. 필터망(161, 261, 361)이 상향 연장 구간(43)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실시예에서, 브러쉬(90)는 필터망(161, 261, 361)의 하측에 배치된다. 브러쉬(90)는,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브러쉬(90)는, 복수의 노즐(175, 275, 375)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터망(161, 261, 361)에 충돌하는 부분을 따라 필터망(161, 261, 361)에 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브러쉬(90)를 지지하는 브러쉬 암(Arm)(92)을 포함한다. 브러쉬 암(92)을 따라 브러쉬(90)가 고정되는 브러쉬 고정부(9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수위센서는 내조(1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기지 않는 최대 수위(H)일 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센서는, 외조(5) 내의 수위가 내조(10)의 최하부 이하가 되는 최대 수위(H)일 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수위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시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필터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상대운동이 진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노즐(175, 275, 375)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화살표 방향은 외조(5)의 공기 순환 방향이다. 팬(50) 작동시, 정압(positive pressure) 상태인 외조(5) 내부에서 순환통로 시단(41)를 통해 부압(negative pressure)상태인 순환통로(40)로 공기 중 일부가 이동한다. 순환통로(40)로 이동한 공기는 흡기통로 연결단(47) 지점에서 외부의 공기와 합류한다. 합류된 공기는 팬(50), 필터부(60) 및 히터(43)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순환통로 종단(42)으로 이동한다. 순환통로 종단(42)으로 이동한 공기는 외조(5) 내부로 재공급된다.
C화살표 방향은 외부 공기의 흡입 방향이다. 순환팬(41) 작동시, 대기압 상태인 외조(5) 외부 또는 케비닛(1) 외부로부터 부압 상태인 순환통로(4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순환통로(40)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팬(50), 필터부(60) 및 히터(43)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외조(5) 내부로 공급된다.
D화살표 방향은 공기의 배기 방향이다. 팬(50) 작동시, 정압 상태인 외조(5) 내부에서 배기통로(48)를 따라 외조(5) 외부 또는 케비닛(1) 외부로 배기된다.
E화살표 방향은 물(상기 세탁수 및 상기 세척수)의 배수 방향이다. 외조(5) 내부의 물은 배수홀(31)을 통해 배수통로(33)로 유입된다. 배수펌프(33) 작동시, 외조(5)에서 배수통로(33)로 유입된 물은 케비닛(1) 외부로 배수된다.
F화살표 방향은, 노즐(175, 275, 375)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흐름 방향이다. 노즐(175, 275, 375)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필터부(60)를 통과한다. 필터부(60)를 통과한 세척수 중 적어도 일부는 브러쉬(90)와 충돌한다. 그 후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상향 연장 구간(43)을 따라 순환통로 시단(41)으로 이동한다. 순환통로 시단(41)으로 이동한 세척수는 외조(5) 내부로 유입된다. 외조(5)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외조의 내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중력에 의해 외조(5)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이동한다. 순환통로 시단(41)에 형성된 개구부는, 외조(5)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세척수가 내조 관통홀(13)을 통해 내조(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내조(10)의 외주 면에 접하는 가상의 수직선(Y)보다 바깥방향에 형성된다. 외조(5)의 하측으로 이동한 세척수는 배수홀(31)을 통해 배수통로(33)로 유입된다. 배수펌프(33) 작동시, 외조(5)에서 배수통로(33)로 유입된 세척수는 케비닛(1) 외부로 세탁수와 함께 배수된다. 이 경우, 상기 수위(H) 이하인 시점에 세척수를 배수시키면, 필터망(161, 261, 361)의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가 내조(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배수되어, 내조(10) 내부의 세탁물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망의 전체 면적에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필터부와 상기 노즐배치부를 서로 상대운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한다. 어느 한 시점에서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은 필터망(161, 261, 361)의 일부 면적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나, 상기 필터구동부가 필터부(60)와 노즐배치부(70)를 서로 상대운동 시킴으로써 순차적으로 필터망(161, 261, 361)의 전체 면적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하 도 5 내지 10을 참고하여, 상기 상대운동의 제 1 내지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는 노즐배치부(170)가 고정되고 필터부(160)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상대운동 실시예이다. 필터프레임(163)은 필터망(161)을 지지하며 순환통로(140)의 상향 연장 구간(43)의 단면상에서 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필터망(161)은 필터프레임(163)에 고정되어 필터프레임(163)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을 따라 순환통로(140)의 단면상에서 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상기 직선 왕복운동이 진행되는 중의 모든 시점에서 필터망(161)이 순환통로(140)의 단면 전체를 덮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측방향으로 필터망(161)의 면적은 순환통로(140)의 단면 면적의 최소 2배가 되도록 필터망(161)이 구비된다.
순환통로(140) 내면 상에는 필터프레임(163)의 측방향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해주는 필터프레임 가이드(167)가 형성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167)는, 필터프레임(163)이 배치된 지점에서 상기 직선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 순환통로(140)의 한 측 및 그 반대 측에 구비된다. 순환통로(140)의 내면에는 필터프레임(163)이 상기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인입되고 인출되는 함몰 부분이 형성되고, 필터프레임 가이드(167)는 상기 함몰 부분에 고정되어 필터프레임(163)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167)는 레일(미도시)을 포함하고, 필터프레임(163)은 상기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노즐배치부(170)는, 상향 연장 구간(43) 상에서 필터망(16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노즐배치부(170)는, 상향 연장 구간(43) 상에서 필터망(161)의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배치부(170)는, 필터망(161)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중 필터망(161)이 형성된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노즐(175)은, 노즐배치부(170)의 하면 상에서 노즐배치부(17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즉, 복수의 노즐(175)은, 필터망(161)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 궤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필터망(161)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의 1 사이클(Cycle)에서, 필터망(161)의 모든 면적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최소 2개의 노즐배치부(170)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노즐배치부(170a)는 순환통로(140) 단면상의 어느 한 측에 구비되고, 제 2노즐배치부(170b)는 순환통로(140) 단면상의 상기 어느 한 측의 반대 측에 구비된다. 복수의 노즐(175)은, 제 1노즐배치부(170a)의 하면 상에서 제 1노즐배치부(170a)를 따라 배열된 어느 한 노즐군(175a), 및 제 2노즐배치부(170b)의 하면 상에서 제 2노즐배치부(170b)를 따라 배열된 다른 한 노즐군(175b)를 포함한다.
제 1실시예의 필터구동부(미도시)는, 모터(미도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미도시), 및 상기 크랭크축과 필터프레임(163)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은 필터프레임(163)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된다.
도 6을 참고하여, 제 2실시예는 필터부(260)가 고정되고 노즐배치부(270)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상대운동 실시예이다. 필터프레임(263)은 필터망(261)을 지지하고, 필터망(261)은 순환통로(240)의 상향 연장 구간(43)의 단면상에서 측방향을 가로지르며 고정 배치된다. 노즐배치부(270)는 순환통로(140)의 단면상에서 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즉, 노즐배치부(270)는 필터망(261)이 형성한 면과 평행한 가상의 면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한다.
노즐배치부(270)는, 상향 연장 구간(43) 상에서 필터망(26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노즐배치부(270)는, 상향 연장 구간(43) 상에서 필터망(261)의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배치부(270)는,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중 필터망(261)이 형성된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노즐(275)은, 노즐배치부(270)의 하면 상에서 노즐배치부(27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즉, 복수의 노즐(275)은,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 궤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순환통로(240) 상에는 노즐배치부(270)의 측방향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해주는 노즐배치부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배치부 가이드는,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 노즐배치부(270)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배치된다. 순환통로(140)의 내면에는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 궤적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된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은 상기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제 2실시예의 노즐 급수호스(272)는 유연한 재질이다. 노즐 급수호스(272)는 노즐배치부(270)의 급수 연결부(미도시)와 연결된다. 노즐 급수호스(272)는 노즐배치부(270)에 연결된 채로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을 따라 휘어지고 펴지는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제 2실시예의 필터구동부(미도시)는, 모터(미도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미도시), 및 상기 크랭크축과 노즐배치부(270)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은 노즐배치부(270)의 상기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제 3실시예는 노즐배치부(370)가 고정되고 필터부(360)가 회전운동하는 상대운동 실시예이다. 도 8은, 상기 제 3실시예의 필터망을 생략한 필터부(360), 노즐배치부(370) 및 필터구동부(380)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3실시예의 필터부(360), 노즐배치부(370) 및 필터구동부(380) 등을 위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필터부(360) 및 노즐배치부(370) 등을 수직으로 자른 A-A' 단면도이다.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필터망(161)보다 면적이 작은 필터망(340)을 구비할 수 있고, 필터프레임 가이드(367)가 상기 제 1실시예의 필터프레임 가이드(167)와 달리 순환통로(340)의 측방향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제 1실시예의 노즐배치부(170)가 최소 2개 필요한 것과 달리 1개의 노즐배치부(370)로 충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3실시예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노즐 급수호스(272)와 달리 노즐 급수호스(372)가 휘어지고 펴지는 반복운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제 3실시예의 필터프레임(363a)은, 순환통로(340) 단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고리형의 원형프레임(363a)를 포함한다. 원형프레임(363a)은 둘레를 따라 필터망(361)을 지지한다. 원형프레임(363a)은 필터망(361)을 지지하며 순환통로(340)의 상향 연장 구간(43)의 단면상에서 회전운동한다. 필터망(361)은 원형프레임(363a)에 고정되어 원형프레임(363a)의 상기 회전운동을 따라 필터망(363)이 형성하는 면 상에서 회전운동한다.
순환통로(340) 내면 상에는 원형프레임(363a)의 둘레를 따라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운동을 안내해주는 필터프레임 가이드(367)가 형성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는 순환통로(340)의 단면 상의 둘레를 따라 고리형으로 구비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는 순환통로(340)의 내면 상에 고정되어 원형프레임(363a)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운동을 안내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는 레일(미도시)을 포함하고, 원형프레임(363a)은 상기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회전운동을 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는, 원형프레임(363a)의 외주 면과 접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된 측면가이드(367a)를 포함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는, 측면가이드(367a)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운동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면가이드(367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제 1리브(367b)를 포함한다. 제 1리브(367b)의 하면은 원형프레임(363a)의 상면과 접촉하여,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이 안내된다.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는, 측면가이드(367a)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운동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면가이드(367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제 2리브(367c)를 포함한다. 제 2리브(367c)의 상면은 원형프레임(363a)의 하면과 접촉하여,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이 안내된다.
노즐배치부(370)는, 상향 연장 구간(43) 상에서 필터망(36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노즐배치부(370)는, 상향 연장 구간(43) 상에서 필터망(361)의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배치부(370)는, 필터망(361)의 상기 회전운동 궤적의 반경 방향 중 필터망(361)이 형성된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노즐배치부(370)는, 원형프레임(363a)의 둘레의 일부분에서 상기 회전운동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즉, 노즐배치부(370)은 원형프레임(363a)의 어느 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노즐배치부(370)는 내부에 세척수가 통과하는 노즐급수통로(374)를 형성한다. 즉, 노즐배치부(370)는 내부의 공간인 노즐급수통토(374)를 외부의 케이스가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노즐배치부(370)는, 원형프레임(363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즐급수통로(374)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포함한다.
노즐배치부(370)의 상기 하면은 제 1리브(367b)와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고, 필터프레임 가이드(367)와 노즐배치부(370)는 일체로 사출된다. 노즐배치부(370)의 상기 반경 바깥 측에는 노즐 급수호스(372)와 연결되는 급수연결부(373)가 형성된다. 급수연결부(373)를 통해 노즐급수통로(374)로 세척수가 유입된다.
노즐배치부(370)의 하면 상에서 노즐급수통로(374)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375)이 형성된다. 복수의 노즐(375)은 노즐배치부(37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즉, 복수의 노즐(375)은 필터망(361)의 상기 회전운동 궤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노즐(375)은 필터망(361)이 배치된 하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필터망(361)의 상기 회전운동의 1 사이클(Cycle)에서, 필터망(361)의 모든 면적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복수의 노즐(375)은 원형프레임(363a)의 최소 1개의 반경부분에 대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들로 구성된 노즐군(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군의 배열에 대해서는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원형프레임(363a)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치자부(365)를 포함한다. 치자부(365)는 복수의 톱니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형프레임(363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구비된다.
치자부(365)의 돌출방향은 원형프레임(363a)의 상측, 하측 또는 바깥측 방향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치자부(365)는 원형프레임(363a)에서 상기 회전운동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필터구동부(380)는, 치자부(365)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어 치자부(365)와 맞물리는 기어(383)를 포함한다. 필터구동부(380)는 기어(383)를 회전시키는 모터(381)를 포함한다. 모터(381)의 회전운동은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치자부(365)가 원형프레임(363a)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치자부(365)의 내측 방향에 기어(383)가 배치됨으로써, 기어(383)가 치자부(365)에 밀착하여 바깥측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원형프레임(363a)의 변형이 어려워진다.
필터망(361)은 원형프레임(363a)의 내주 면을 따라 형성된 필터망 고정부(364)에 의해 지지된다. 필터망 고정부(364)는 원형프레임(363a)의 내주면 상에서 순환통로(40)의 상류 측에 형성된다. 즉, 필터망 고정부(364)는 원형프레임(363a)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에 형성된다. 필터망 고정부(364)는 원형프레임(363a)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형프레임(363a)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이다. 상기 리브 형상의 돌출 말단에 필터망(361)의 둘레가 고정된다.
치자부(365) 및 기어(383)는, 필터망(361)에 대해서 순환통로(4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치자부(365) 및 기어(383)는, 필터망(361)에 대해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원형프레임(363a)의 내주 면 상에서, 상류 측인 하측부에 필터망(361)이 배치되고, 하류 측인 상측부에 (365)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순환통로(40) 상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류 측의 필터망(361)에 걸러져, 치자부(365) 및 기어(383)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즐배치부(370)는 필터망(361)의 양 면 방향 중 치자부(365)가 배치된 면 방향에 배치된다. 노즐배치부(370)에는, 치자부(365)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376)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376)은 노즐배치부(370)의 하면 상에서 치자부(365)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노즐(376)은 상기 복수의 노즐(375)이 배열되는 방향의 연장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자부(365)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상기 노즐(376)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치자부(365)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모터(381)는 회전하는 모터축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축에 기어(383)가 결합되고, 기어(383)와 맞물리도록 치자부(365)가 배치된다. 모터(381)가 상기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기어(383)가 회전되고, 이어서 치자부(365)와 결합된 원형프레임(363a)이 필터프레임 가이드(367)를 따라 평면상에서 회전한다.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 방향은 모터(38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터(381)는, 회전시 소정 기준 이상의 저항이 생기면 회전방향이 역으로 바뀌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383)와 치자부(365)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원형프레임(363a)과 필터프레임 가이드(367)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등의 이유로,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에 갑자기 큰 저항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모터(381)가 계속 같은 방향으로 원형프레임(363a)을 회전시키려고 하면 이물질이 더욱 단단히 끼여서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큰 저항이 생긴 경우, 모터(381)는 스스로 회전 방향을 바꾸고, 원형프레임(363a)의 회전 방향도 바뀐다.
필터구동부(380) 및 치자부(365)는, 원형프레임(363a)이 1 내지 6 rpm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381)는 정속으로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정속 모터이다. 원형프레임(363a)이 1 내지 6 rpm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축의 회전속도에 대해서 기어(383) 및 치자부(365)의 톱니 수가 조절된다. 원형프레임(363a)이 1 내지 6 rpm 속도로 회전하면, 세척수가 필터망(361)에 충분한 충격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90)는, 원형프레임(363a)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브러쉬(90)는 필터망(361)의 상류측인 하측 면에 닿도록 배치된다. 브러쉬(90)는, 복수의 노즐(375)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브러쉬(90)는, 복수의 노즐(375)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터망(361)에 충돌하는 부분을 따라 필터망(361)에 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러쉬 암(92)은, 일단이 순환통로(40)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뻗도록 구비된다. 브러쉬 암(92)의 타단은 자유단이 되도록 구비된다. 브러쉬(9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브러쉬 고정부(91)가 브러쉬 암(92)의 연장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원형프레임(363a)이 회전운동시 브러쉬(90)는 필터망(361)의 하면을 쓸어주게 되고, 필터망(361)의 하측면에 채집된 이물질은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떨어지거나 브러쉬(90)에 달라붙게 된다. 브러쉬(90)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복수의 노즐(375)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브러쉬(90)는 복수의 노즐(375)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터망(361)에 충돌하는 부분을 따라 필터망(361)에 닿도록 배치되므로, 분사된 세척수는 브러쉬(90)에도 충격을 주어 붙어있는 이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G화살표 방향은 노즐(375)에서 분사되기 전의 세척수의 흐름 방향이다. 노즐 급수호스(372)를 거쳐 노즐 급수 통로(374)에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노즐(376) 및 복수의 노즐(375)를 통해 분산되어 필터망(361)을 향해 분사된다. 분사된 세척수는 필터망(361) 및 브러쉬(90)에 충돌한다. 분사된 이후의 세척수의 흐름방향(F)은 상기 설명과 같다. 세척수 분사 중에 원형프레임(363a)이 회전운동하도록 제어된다.
이하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복수의 노즐(375)의 배열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노즐배치부(7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제 6실시예에 따른 노즐배치부(70)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제 7실시예에 따른 노즐배치부(70)의 배면도이다. 도 11 내지 13에서, 상기 회전운동의 회전축이 가상으로 관통하는 점을 O로 도시한다.
설명을 위해, 제 1 노즐군(75a)의 각 노즐들과 회전축(O) 사이의 각 거리값들을 각 기준값(L)들로 정의한다. 제 1 노즐군(75a)을 이루는 각 노즐들 별로 각각 대응하는 기준값(L)이 산출되므로, 기준값(L)들이라 함은 복수의 값을 통칭하는 의미로 정의한다. 각 기준값(L)들은 서로 일정 간격(d)의 배수만큼 차이가 난다. 도 11 내지 13에서는, 기준값(L)들 중 어느 한 노즐에 대응하는 기준값(L)을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노즐(375)은, 노즐배치부(370)의 배면 상에서 원형프레임(363a)의 어느 한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노즐들로 구성된 제 1 노즐군(75a)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O)을 중심으로 상기 어느 한 반경 방향으로 뻗은 가상의 직선상에서, 제 1 노즐군(75a)의 노즐들은 서로 일정 간격(d) 이격되어 배열된다. 일정 간격(d)은 작을수록 필터망(361)의 표면에 고르게 세척수를 충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제 5실시예는 제 1노즐군(75a)이외의 추가적인 노즐군이 없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필터망(361)이 회전운동하더라도, 제 1 노즐군(75a)의 어느 한 노즐과 다른 한 노즐 사이 일정 간격(d) 부분에 대응하는 필터망(361)의 표면 부분은 직접적으로 세척수를 충돌시키기 어렵다. 일정 간격(d) 부분에 대응하는 필터망(361)의 표면 부분에도 세척수를 직접 충돌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노즐(375)은 추가적인 노즐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제 6실시예는 제 1노즐군(75a) 및 제 2 노즐군(75b)이 배열되고 이외의 추가적인 노즐군이 없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복수의 노즐(375)은, 노즐배치부(370) 상에서 상기 어느 한 반경방향과 각(a)을 이루는 원형프레임(363a)의 다른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노즐군(75b)을 포함한다. 제 2 노즐군(75b)은, 회전축(O)으로부터 각 기준값(L)들에 상기 일정 간격(d)의 반을 더한 거리(L+d/2)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노즐들로 구성된다. 필터망(361)이 회전운동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때에, 제 1 노즐군(75a)의 일정 간격(d)의 2등분 지점에 대응하는 필터망(361)의 표면 부분으로 제 2 노즐군(75b)이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n은 3이상의 자연수로 정의하고, 일정 간격(d)을 n등분한 값을 등분값(d/n)으로 정의하여 이하 설명한다. 복수의 노즐(375)은, 노즐배치부(370)의 하면 상에서 제 1 노즐군(75a)의 상기 어느 한 반경방향과 각(a)을 이루는 원형프레임(363a)의 각각 다른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노즐군(75b) 내지 제 n 노즐군을 포함한다. 제 1 노즐군(75a) 내지 제 n 노즐군의 배열방향은 각각 서로 각(a)을 이룬다. 제 2 노즐군(75b)은 회전축(O)으로부터 각 기준값(L)들에 등분값(d/n)의 1배수를 더한 거리(L+1*d/n)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노즐들로 구성된다. 제 n 노즐군은 회전축(O)으로부터 각 기준값(L)들에 등분값(d/n)의 n-1배수를 더한 거리(L+(n-1)*d/n)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노즐들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n=3 인 경우, 복수의 노즐(375)은 제 1 노즐군(75a), 제 2 노즐군(75b) 및 제 3 노즐군(75c)을 포함한다. n=4 인 경우, 추가로 제 4 노즐군(미도시)이 배열되어, 복수의 노즐(375)은 제 1 노즐군(75a) 내지 제 4 노즐군을 포함한다. n=5 인 경우, 추가로 제 5 노즐군(미도시)이 배열되어, 복수의 노즐(375)은 제 1 노즐군(75a) 내지 제 5 노즐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개념을 확장하여, 복수의 노즐(375)은 제 1 노즐군(75a) 내지 제 n 노즐군을 포함한다. 필터망(361)이 회전운동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때에, 제 1 노즐군(75a)의 일정 간격(d)의 n등분 지점에 대응하는 필터망(361)의 표면 부분으로 제 2 노즐군(75b) 내지 제 n 노즐군이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도 13를 참고하여, 제 7실시예는 제 1노즐군(75a) 내지 제 3 노즐군(75c)이 배열되고 이외의 추가적인 노즐군이 없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복수의 노즐(375)은, 노즐배치부(370)의 하면 상에서 제 1 노즐군(75a)의 상기 어느 한 반경방향과 각(a)을 이루는 원형프레임(363a)의 각각 다른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노즐군(75b) 내지 제 3 노즐군(75c)을 포함한다. 제 1 노즐군(75a) 내지 제 3 노즐군(75c)의 배열방향은 각각 서로 각(a)을 이룬다. 제 2 노즐군(75b)은, 회전축(O)으로부터 각 기준값(L)들에 등분값(d/3)의 1배수를 더한 거리(L+1*d/3)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노즐들로 구성된다. 제 3 노즐군(75c)은, 회전축(O)으로부터 각 기준값(L)들에 등분값(d/3)의 2배수를 더한 거리(L+2*d/n)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노즐들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제어방법은, 외조(10) 내로 세탁수를 공급시키는 급수단계(S1)를 포함한다. 급수단계(S1)에서 닫혀있던 급수밸브(21)가 개방된다. 케비닛(1) 외부에 구비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통로(23)를 통해 세제공급부(25)로 물이 이동하고, 상기 세제공급부(25)로 이동한 물은 외조 공급관(27)을 통해 외조(5)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단계(S1)는 세탁물의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의 초기에 진행된다. 상기 세탁행정의 경우, 세제공급부(25)에 담겨있는 세제가 상기 세탁수와 함께 외조(5)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1) 이후에 진행되는, 외조(5)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내조(10) 내의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키는 세탁물 세척단계(S2)를 포함한다. 세탁물 세척단계(S2)에서, 내조(10)가 회전하며 내조(10)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한다. 세탁물 세척단계(S2)는, 급수단계(S1)와 동시에 진행될 수 도 있다. 세탁물 세척단계(S2)에서, 외조(5) 내부의 세탁수에는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부유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세탁물 세척단계(S2) 이후에 진행되는 배수단계(S3)를 포함한다. 배수단계(S3)에서 외조(5)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통로(30)를 통하여 배수시킨다. 동시에, 배수단계(S3)에서 상기 세척수를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을 통해 분사시키고 분사된 세척수가 배수통로(30)를 통하여 상기 세탁수와 같이 배수되도록 제어한다. 배수단계(S3)에서, 배수펌프(33)가 작동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필터구동부가 필터부(60)와 노즐배치부(70)를 서로 상기 상대운동시키도록 제어된다.
배수단계(S3)에서, 노즐 급수호스(172, 272, 372)를 통해 노즐배치부(70)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을 통해 필터망(161, 261, 361)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그 후, 분사된 세척수는 필터망(161, 261, 361) 및/또는 브러쉬(90)를 세척하면서 필터망(161, 261, 361)을 통과한다. 필터망(161, 261, 361) 또는 브러쉬(90)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이 섞인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설명한 도 4의 F화살표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수된다.
배수단계(S3)에서, 상기 상대운동시키면서 복수의 노즐(175, 275, 375)을 통해 상기 세척수를 분사시키고, 상기 세척수가 필터망(161, 261, 361)에 충돌하는 부분이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상대운동 궤적을 가로지르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는 필터망(161, 261, 361)의 일부 면적에 충돌하나, 1사이클의 상기 상대운동을 시켜 필터망(161, 261, 361)의 전체 면적에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3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수단계에서, 원형프레임(363a)을 회전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시키고, 상기 세척수가 필터망(361)에 충돌하는 부분이 일렬로 형성되어 원형프레임(363a)의 반경을 가로지르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는 필터망(361)의 일부 면적에 충돌하나, 1사이클의 상기 회전운동을 시켜 필터망(361)의 전체 면적에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방법은, 순환통로(40)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원형프레임(363a)을 상기 회전운동시키는 건조단계(S4)를 포함한다. 건조단계(S4)는 배수단계(S3)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건조단계(S4)에서, 팬(50)을 작동시켜 순환통로(40)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제어한다. 건조단계(S4)에서, 상기 온습도 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순환통로(40)상의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고 제습시킨다. 건조단계(S4)에서, 필터구동부(380)를 작동시켜 원형프레임(363a)을 상기 회전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원형프레임(363a)이 회전하면, 필터망(361)의 상류측인 하측에서 필터망(361)에 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90)에의해 필터망(361) 하면의 이물질이 떨어진다. 이 때, 필터망(361)에서 떨어진 이물질 중 상당량이 브러쉬(90)에 채집된다.
브러쉬(90)는,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필터망(361)에 충돌하는 부분을 따라 필터망(361)에 닿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수단계(S3)에서, 복수의 노즐(375)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브러쉬(90)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고하여, 상기 세척수의 배수 시작 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의 배수단계(S3)의 세부적인 행정 시작 및 종료 시점을 나타낸 시간축(t) 순서도이다.
배수단계(S3)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망(161, 261, 361)에서 떨어진 이물질이 세척수에 섞여 내조(5)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조(5)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내조(10)의 최하부 이하인 시점에 상기 복수의 노즐로 상기 세척수 분사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수단계(S3)에서, 상기 세탁수의 배수를 시작하는 제 1시점 및 상기 세척수의 분사를 시작하는 제 2시점을 정의한다. 이 경우, 상기 제 2시점은 상기 제 1시점보다 늦다. 외조(5) 내부에 채워진 세탁수가 배수되기 시작 한 상기 제 1 시점 이후 외조(5) 내의 수위가 상기 도 4의 수위(H)가 되기까지 소정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도 15를 참고하여,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시점 이후 세탁수 배수(S31) 행정이 종료된 후 세척수 배수(S33) 행정이 시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시점은 세탁수 배수(S31) 행정이 종료된 시점이다.
도 15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시점 이후 외조(5) 내부의 수위가 도 4의 상기 수위(H)가 되는 시점부터 세척수 배수(S31, S32) 행정이 시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시점은 세탁수 배수(S31) 행정 중에 외조(5) 내의 수위가 도 4의 상기 수위(H)가 되는 시점이다. 이 경우, 세척수 배수(S31, S32) 행정의 종료 시점은, 실시예에 따라 세탁수 배수(S31) 행정과 동일하게 종료(S31)할 수도 있고, 세탁수 배수(S31) 행정이 종료된 후에 종료(S32)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시점과 상기 제 2시점의 시간 차는 상기 제 1시점 이후 외조(5) 내의 수위가 내조(10)의 최하부가 되는데까지 걸리는 소정 시간 이상인 값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케비닛 2 : 프론트패널
3 : 투입구 4 : 콘트롤패널
5 : 외조 6 : 도어
8 : 외조 지지부 9 : 가스켓
10 : 내조 13 : 내조 관통홀
20 : 물공급부 21 : 급수밸브
23 : 급수통로 25 : 세제공급부
26 : 세제저장부 27 : 외조 공급관
30 : 배수통로 31 : 배수홀
33 : 배수펌프
40 : 순환통로 41 : 순환통로 시단
42 : 순환통로 종단 43 : 순환통로의 상향 연장 구간
44 : 순환통로의 전방 연장 구간
45 : 흡기통로 46 : 흡기구
47 : 흡기통로 연결단
48 : 배기통로 49 : 배기통로 연결단
50 : 팬 55 : 히터
60 : 필터부 161, 261, 361 : 필터망
163, 263, 363 : 필터프레임 363a : 원형프레임
365 : 치자부 167, 367 : 필터프레임 가이드
70 : 노즐배치부 172, 272, 372 : 노즐 급수호스
373 : 급수 연결부 175, 275, 375 : 노즐
75a : 제 1 노즐군 75b : 제 2 노즐군
75c : 제 3 노즐군 177 : 노즐배치부 가이드
380 : 필터구동부 381 : 모터
383 : 기어
90 : 브러쉬 91 : 브러쉬 고정부
92 : 브러쉬 암
B : 공기 순환 방향 C : 공기 흡입 방향
D : 공기 배기 방향 E : 배수 방향
F, G : 세척수 흐름 방향 H : 수위
d : 일정 간격 L : 기준값
O : 회전축 a : 소정 각

Claims (11)

  1.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배치되는 내조와, 시단이 상기 외조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류에서 하류로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의 순환통로와, 상기 외조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와, 상기 순환통로의 상기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필터망이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망에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로 세탁수를 공급시키는 급수단계;
    상기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키는 세탁물 세척단계;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시키면서, 상기 세척수가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제어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외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상기 내조의 최하부 이하인 시점에 상기 노즐로 상기 세척수 분사를 시작하도록 제어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배치되는 내조와, 시단이 상기 외조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류에서 하류로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의 순환통로와, 상기 외조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와, 상기 순환통로의 상기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필터망이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망에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로 세탁수를 공급시키는 급수단계;
    상기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키는 세탁물 세척단계;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시키면서, 상기 세척수가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배수통로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제어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세탁수의 배수를 시작하는 제 1시점 및 상기 세척수의 분사를 시작하는 제 2시점을 정의할 때, 상기 제 2시점은 상기 제 1시점보다 늦고, 상기 제 1시점과 상기 제 2시점의 시간 차는 상기 제 1시점 이후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상기 내조의 최하부가 되는데까지 걸리는 소정 시간 이상인 값으로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은 상기 순환통로의 상기 상향 연장되는 구간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필터망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노즐배치부를 서로 상대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는 원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원형프레임을 회전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상대운동시켜 상기 필터망의 전체 면적에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망의 상류측에 상기 필터망에 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통로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원형프레임을 회전운동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상기 필터망에 충돌하는 부분을 따라 상기 필터망에 닿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브러쉬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시키도록 제어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배치되는 내조와, 상기 외조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조에서 유출되어 상기 외조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순환통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망이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망의 상류측에 상기 필터망에 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필터부의 하류측에서 상기 필터망의 상기 브러쉬가 닿는 부분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배치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운동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망 및 브러쉬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시키도록 제어하는 배수단계; 및
    상기 필터부를 운동시켜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망을 쓸어주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는 원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 및 건조단계에서,
    상기 원형프레임을 회전운동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16217A 2015-08-18 2015-08-18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9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17A KR101691807B1 (ko) 2015-08-18 2015-08-18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16837321.5A EP3339489B1 (en) 2015-08-18 2016-08-18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9065 WO2017030379A1 (ko) 2015-08-18 2016-08-18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5/932,192 US10961653B2 (en) 2015-08-18 2016-08-18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17A KR101691807B1 (ko) 2015-08-18 2015-08-18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807B1 true KR101691807B1 (ko) 2017-01-02

Family

ID=5781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17A KR101691807B1 (ko) 2015-08-18 2015-08-18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1653B2 (ko)
EP (1) EP3339489B1 (ko)
KR (1) KR101691807B1 (ko)
WO (1) WO20170303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352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4708B (zh) * 2018-02-12 2021-10-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5999771B (zh) * 2023-02-22 2023-06-13 金广恒环保技术(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板式湿电除尘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993A (ja) * 1992-09-21 1994-04-12 Tokyo Gas Co Ltd フィルタークリーナ付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0197A (ja) 2002-05-30 2003-12-02 Tosei Denki Kk 乾燥機、及びこの乾燥機を複数台集合した乾燥機群
KR100598233B1 (ko) * 2004-10-08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700793B1 (ko) * 2004-12-1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KR20070075596A (ko) * 2006-01-1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
DE102006007442A1 (de) * 2006-02-17 2007-08-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Bauteil eines Haushaltswäschetrockners
ITPN20070056A1 (it) * 2007-08-01 2009-02-02 Imat S P A "sistema di pulitura automatico di filtri ad aria e applicazione in una macchina asciugatrice"
KR20100129117A (ko)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WO2010095833A2 (en) * 2009-02-23 2010-08-2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9828715B2 (en) * 2009-05-28 2017-11-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g having a drying function
BR112012028154B8 (pt) * 2010-05-04 2022-06-07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controle de equipamento para tratamento de roupas
KR101199392B1 (ko) * 2010-05-07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DE212011100095U1 (de) * 2010-05-07 2013-01-11 Lg Electronics Inc. Kleidungsbehandlungsvorrichtung und Filtertechnologie
KR101177479B1 (ko) * 2010-05-07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EP2607546A4 (en) * 2010-08-19 2016-03-2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18196A (ko) * 2011-04-18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WO2012138136A2 (ko) * 2011-04-05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KR101882275B1 (ko) * 2012-02-22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101867819B1 (ko) * 2012-02-29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EP3192917A1 (en) * 2012-04-06 2017-07-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EP2834405B1 (en) * 2012-04-06 2020-08-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23655A (ko) * 2012-05-03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43262B1 (ko) * 2014-10-28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00343B1 (ko) * 2014-10-28 202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108102A1 (en) * 2014-12-30 2016-07-07 Indesit Company S.P.A. Washing/drying machine with a spider-shaped device for cleaning an air filter
WO2016108101A1 (en) * 2014-12-30 2016-07-07 Indesit Company S.P.A. Washing/dry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cleaning an air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993A (ja) * 1992-09-21 1994-04-12 Tokyo Gas Co Ltd フィルタークリーナ付衣類乾燥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352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52396B1 (ko) * 2017-03-13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9489A1 (en) 2018-06-27
WO2017030379A1 (ko) 2017-02-23
US20200283941A1 (en) 2020-09-10
EP3339489B1 (en) 2020-03-18
EP3339489A4 (en) 2019-01-16
US10961653B2 (en) 2021-03-30
WO2017030379A4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25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EP2698462B1 (en) Washing machine
US7255113B2 (en) Wash and rinse system for a dishwasher
KR101691807B1 (ko)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3745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5966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103620103A (zh) 洗衣机以及利用该洗衣机的漂洗方法
JP3067508B2 (ja) ドラム式洗濯機
TWI595934B (zh) 清洗裝置
EP3263759B1 (en) Fluff collection and handling
US11085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ering humidity with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116837569A (zh) 一种冷堆处理机用毛絮处理机构
KR101154952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9402943B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的控制方法
WO2021012765A1 (zh) 洗衣机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7112187B2 (ja) 洗濯乾燥機
EP4026939A1 (en) Foreign substrate collector for a laundry appliance
CN220724619U (zh) 衣物处理设备
JP2015192760A (ja) 衣類乾燥機
CN1746384A (zh) 滚筒洗衣机洗涤方法
JP7017203B2 (ja) 靴洗浄装置
KR20050080476A (ko)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190137994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70078322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