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459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459A
KR20180037459A KR1020160127628A KR20160127628A KR20180037459A KR 20180037459 A KR20180037459 A KR 20180037459A KR 1020160127628 A KR1020160127628 A KR 1020160127628A KR 20160127628 A KR20160127628 A KR 20160127628A KR 20180037459 A KR20180037459 A KR 20180037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am
clothes
unit
injection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520B1 (ko
Inventor
팀 로치포드
윤덕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520B1/ko
Priority to US16/339,617 priority patent/US20200040504A1/en
Priority to CN201780073487.8A priority patent/CN110023554B/zh
Priority to EP17858727.5A priority patent/EP3511463B1/en
Priority to PCT/KR2017/010976 priority patent/WO2018066933A1/ko
Publication of KR2018003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도어를 구비한 케이스, 의류를 지지하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의류 지지 유닛,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유닛 및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동시에 이동하면서,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슬릿을 구비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의 상태를 개선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침구류와 같은 직물로 이루어진 물품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기는 수조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을 세척함에 따라 별도의 탈수, 건조과정 등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종래의 세탁기보다 의류를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세탁수를 통한 별도의 세탁과정 없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의 조직을 유연하게 하여 주름을 펴준 뒤 의류를 다시 건조함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였으나, 주름 제거의 효과가 높지 않았다.
아울러,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주름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평판 형상의 별도의 가압수단을 통해 의류를 눌러줌으로써 주름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가압수단을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가압수단으로 인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진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처리장치를 소형화하고 의류의 처리 및 관리 성능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를 구비한 케이스; 의류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의류 지지 유닛; 상기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유닛; 및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슬릿을 구비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지지 유닛을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을 통해 상기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을 통해, 상기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선형의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가 배치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유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분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사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사 유닛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열풍 순환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 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상태를 처리하는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하겠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의류 외에 침구류 등과 같은 직물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을 구비한 케이스(10)와, 의류(C)를 지지 또는 고정하여 케이스(10) 내의 수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는 의류 지지 유닛(20)과, 스팀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30)과, 케이스(10) 내에서 분사 유닛(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40)과, 케이스(10) 내부의 수용공간(S)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열풍 순환 유닛(50)을 포함한다.
케이스(10)의 수용공간(S)에는 의류 지지 유닛(20), 분사 유닛(30), 이동 유닛(40)이 배치되며, 수용공간(S)의 하측에는 열풍 순환 유닛(50)이 배치된다.
의류 지지 유닛(20)은 수용공간(S) 내에 의류(C)를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되며, 케이스(1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수용공간(S)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의류 지지 유닛(20)은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의류(C)를 지지하는 상태로 케이스(10)의 일측에 배치된 도어(11)를 통해 수용공간(S)으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지지 유닛(20)은 수용공간(S)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1)를 오픈한 상태에서 의류 지지 유닛(20)을 케이스(10)의 외부를 향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인출한 뒤, 의류(C)를 의류 지지 유닛(20)에 지지시킨 후, 의류 지지 유닛(20)을 케이스(10) 내부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의류(C)를 케이스(10)의 수용공간(S)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지지 유닛(20)은 일반적인 옷걸이의 형상일 수 있겠으나, 이에 제한됨이 없이 의류 또는 침구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족하다.
일 예로서, 의류 지지 유닛(20)은 몸체(21)와, 몸체(2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날개(22)와, 몸체(21)의 상단에 배치된 후크(23)를 구비한다. 한 쌍의 날개(22)는 의류(C)에 삽입되어 의류(C)를 평평하게 편 상태로 지지 또는 고정한다. 후크(23)는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된 고리부(미도시)에 걸 수 있다. 즉, 의류 지지 유닛(20)은 도 1과 같이 케이스(10) 외부에서 의류(C)를 지지 또는 고정하여 케이스(10)의 내부에 걸어둘 수 있다.
분사 유닛(30)은 케이스(10)의 수용공간(S)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C)를 향해 스팀과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이동 유닛(40)은 케이스(10)의 수용공간(S)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분사 유닛(30)은 이동 유닛(40)에 결합되어 이동 유닛(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용공간(S)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의 수용공간(S) 하측에는 열풍 순환 유닛(50)이 배치된다.
열풍 순환 유닛(50)은 수용공간(S)으로 고온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수용공간(S)에 유입된 공기를 다시 흡입함으로써, 수용공간(S)에 고온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열풍 순환 유닛(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의류(C)가 배치된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의류처리장치(1)의 분사 유닛(30)을 중심으로 한 일부 구성들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의류처리장치(1)의 유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자 케이스(10)를 이루는 외부패널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 4에서는 의류(C)를 향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스팀의 유로를 화살표로서 도시하였으며, 수용공간(S)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제1 및 제2 분사 유닛(30a, 30b)의 모습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분사 유닛(30)은 의류(C)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유닛(31)과 의류(C)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유닛(3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의 상측에는 압축공기 생성부(60)와 스팀 생성부(70)가 배치된다.
압축공기 생성부(60)는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모터 또는 압축펌프 등으로 구성되며, 압축공기 생성부(6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는 에어 분사 유닛(31)으로 공급된 뒤, 고속 및 고압으로 의류(C)에 분사될 수 있다.
스팀 생성부(7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부(71)와, 가열부(71)로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72)를 포함한다.
에어 분사 유닛(31)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의류(C)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의류(C)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2 에어 분사 유닛(3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수용공간(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이를 통해, 수용공간(S)의 폭과 대응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각각, 의류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대략 선형(linear form)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에어 슬릿(3111a, 3111b)을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 슬릿(3111a, 3111b)은 의류(C)의 가로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이동 유닛(4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의류(C)의 전 영역에 압축공기를 상하로 분사할 수 있다.
스팀 분사 유닛(32)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의류(C)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의류(C)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스팀을 분사하는 제1 스팀 분사 유닛(32a)과 제2 스팀 분사 유닛(3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수용공간(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되며, 이를 통해 수용공간(S)의 폭과 대응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 역시 이동 유닛(4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의류(C)의 전 영역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케이스(10)의 양쪽 내측면에 고정되어 의류(C)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아울러, 단일의 스팀 분사 유닛(32)이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수용공간(S)을 스팀으로 채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류(C)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의류(C)의 동일위치상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의류(C)의 동일위치상의 전면과 후면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동일하다.
이를 통해, 의류(C)의 동일위치상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압착됨으로써 평평하게 펴질 수 있으며, 의류(C)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압축공기를 분사하면서 이동 유닛(4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결국,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의류(C)의 전 영역이 순차적으로 압착됨으로써 의류(C) 전체가 평평하게 펴질 수 있으며, 의류(C) 전체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고속 및 고압의 압축공기를 의류(C)에 분사함으로써 의류(C)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속도 및 압력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의류(C)의 습기나 먼지를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고온의 스팀을 의류(C)에 분사함으로써, 고온의 열기와 습기를 통해 의류(C)를 구성하는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의류(C)의 동일위치상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C)의 동일위치상의 전면과 후면으로 균등하게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을 통해 의류(C)의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변화시킨 후,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의류(C)를 압착함으로써, 의류(C)의 주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에어 분사 유닛(31b)과 제2 스팀 분사 유닛(32b)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의류(C)의 전면에 압축공기 및 스팀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고, 제2 에어 분사 유닛(31b)과 제2 스팀 분사 유닛(32b)은 의류(C)의 후면에 압축공기 및 스팀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서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에어 분사 유닛(31b)과 제2 스팀 분사 유닛(32b)도 서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고속 및 고압의 압축공기를 의류(C)에 분사함으로써 의류(C)에 부착된 먼지나 오물 등을 의류(C)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의류(C)로부터 이탈되어 수용공간(S)에서 부유하는 먼지나 오물 등은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에서 분사된 스팀에 응집될 수 있으며, 스팀과 함께 응집된 먼지나 오물 등은 수용공간(S)의 바닥으로 떨어짐으로써 수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물 외에 세제, 표백제, 섬유 유연제 등이 혼합된 액체 또는 스팀을 의류(C)에 분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류(C)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이동 유닛(40)에 결합됨으로써 동시에 수용공간(S)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40)은 제1 이동 유닛(40a) 및 제2 이동 유닛(40b)을 포함한다.
제1 이동 유닛(40a)은 제1 에어 분사 유닛(31a) 및 제1 스팀 분사 유닛(32a)과 결합되어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 유닛(40b)은 제2 에어 분사 유닛(31b)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b)과 결합되어 제2 에어 분사 유닛(31b)과 제2 스팀 분사 유닛(32b)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40a)은 제1 모터(41a), 제1 모터(41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411a), 제1 피니언 기어(411a)와 맞물리는 제1 랙 기어(42a),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부재(43a)를 포함한다.
제1 모터(41a)는 제1 에어 분사 유닛(31a) 또는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랙 기어(42a)는 수용공간(S)의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모터(41a)에 의해 제1 랙 기어(42a)와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411a)가 회전함으로써,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이 제1 랙 기어(42a)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랙 기어(42a)의 양측에는 제1 랙 기어(42a)와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가이드 부재(43a)가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부재(43a)는 제1 랙 기어(42a)의 형상과 대응하여 수용공간(S)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체로 결합된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에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부재(43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가이드 홀(33a)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홀(33a)에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부재(43a)가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에어 분사 유닛(31a) 및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복수의 제1 가이드 부재(43a)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에어 분사 유닛(31a) 및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제1 랙 기어(42a)와 더불어 복수의 제1 가이드 부재(43a)에 가이드 되어 이동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 유닛(40b)은 전술한 제1 이동 유닛(40a)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이동 유닛(40b)은 전술한 제1 이동 유닛(40a)과 동일하게 제2 모터(41b)와, 제2 모터(41b)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피니언 기어(411b)와, 제2 피니언 기어(411b)와 맞물리는 제2 랙 기어(42b)와, 제2 에어 분사 유닛(31b)과 제2 스팀 분사 유닛(32b)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부재(43b)를 포함한다.
제2 이동 유닛(40b)의 구성은 제1 이동 유닛(40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이동 유닛(40a, 40b)의 랙 기어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을 이동시키는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 유닛은 실린더, 체인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이동 유닛(40a, 40b)이 수용공간(S)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이동 유닛(40a, 40b)의 이동 방향과 이동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은 의류(C)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의류(C)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면서 스팀과 압축공기를 의류(C)에 균등하게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결합된 이동 유닛은 의류(C)의 둘레를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케이스(10) 내에서 상하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류(C)의 전 영역에 스팀과 압축공기를 더욱 신속하고도 균등하게 분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제1 및 제2 송풍호스(312a, 312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송풍호스(312a, 312b)를 통해 압축공기 생성부(60)와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송풍호스(312a, 312b)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2a)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송풍호스(312a, 312b)는 압축공기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이동에 의해 압축공기 생성부(60)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제1 및 제2 스팀 이송 호스(322a, 322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스팀 이송 호스(322a, 322b)를 통해 스팀 생성부(70)와 연결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 스팀 이송 호스(322a, 322b)는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장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스팀 이송 호스(322a, 322b)의 길이는 압축공기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이동에 의해 스팀 생성부(70)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1 분사 유닛(30a)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제1 분사 유닛(30a)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분사 유닛(30a)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에어 분사 유닛과 스팀 분사 유닛으로 구성된 분사 유닛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분사 유닛(30a)의 구성과 제2 분사 유닛(30b)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1 분사 유닛(30a)을 기준으로서 분사 유닛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 분사 유닛(30b)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분사 유닛(30a)은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으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의 하부에는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의 압축공기와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는 서로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동시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이 함께 수용공간(S)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에어 분사 유닛(31a)과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은 동시에 압축공기와 스팀을 의류(C)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C)에는 스팀이 분사된 직후 바로 연속하여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의류(C)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제1 스팀 분사 유닛이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의 제1 스팀 분사 유닛은 상하 이동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에서만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에서 스팀이 분사되고 동시에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스팀이 분사된 의류(C)에 바로 연속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에서 스팀이 분사되고 동시에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스팀이 분사된 의류(C)에 바로 연속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함께 이동함에 있어,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보다 뒤에 배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며 이동하는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을 따라가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은 제1 스팀 분사 유닛(32a)과 함께 이동하며 동시에 스팀과 압축공기를 의류(C)에 순차적으로 분사함에 따라, 스팀을 통해 직물조직이 유연해진 의류(C)에 즉시 연속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의류(C)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공간(S)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에서는 에어를 분사하지 않고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을 통해 의류(C)에 스팀만 분사한 이후, 다시 수용공간(S)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에서 스팀을 분사하지 않고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을 통해 의류(C)에 압축공기만을 분사함으로써 의류(C)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에어 분사 유닛(31a) 및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의 이동과 제1 에어 분사 유닛(31a) 및 제1 스팀 분사 유닛(32a)을 통한 압축공기와 스팀의 분사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에어 분사 유닛(31a)은 수용공간(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에어 분사부(311a) 및 압축공기 생성부(60)와 제1 에어 분사부(311a)를 연결하는 제1 송풍호스(312a)를 포함한다.
제1 에어 분사부(311a)는 제1 송풍호스(312a)로부터 이송된 압축공기가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의류(C)의 폭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형성된 유로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제1 에어 슬릿(3111a)을 통해 의류(C)로 분사된다.
제1 에어 슬릿(3111a)은 제1 에어 분사부(311a) 상에 수용공간(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구멍으로서,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슬릿(3111a)은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제1 에어 슬릿(3111a)을 통과한 압축공기는 고속 및 고압으로 의류(C)에 분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류(C)의 주름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슬릿(3111a)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 에어 슬릿(3111a)이 수용공간(S)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속도가 균등해질 수 있으며, 또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제1 에어 슬릿(3111a)은 의류(C)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선형(linear form)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제1 에어 슬릿(3111a)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분사될 수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슬릿(3111a)의 길이와 대응되는 선의 형상으로 압축공기(A)가 분사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선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A)는 의류(C)의 표면과 수직한 면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제1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전체적인 형상은 제1 분사부(311a)의 길이와 대응되는 선의 형상으로서, 의류(C)의 표면에 수직하게 분사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분사되는 선형의 압축공기는 의류(C)의 전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제1 에어 슬릿(3111a)과 마주하는 제2 에어 분사 유닛(31b)의 다수의 제2 에어 슬릿(3111b)은 제1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압력을 받는 의류(C)의 전면과 대응되는 의류(C)의 후면에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의류(C)가 수용공간(S)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선의 형상으로 압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압축공기를 분사하면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의류(C)를 선의 형상을 압착하는 압축공기 역시 상하로 이동하며 분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의 전 영역이 순차적으로 수용공간(S)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선의 형상으로 압착될 수 있으며, 의류(C)의 전 영역이 순차적으로 압착됨으로써 의류(C) 전체의 주름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C)의 가로방향으로 선형의 압축공기(A)를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분사함으로써, 의류(C)를 압착할 수 있다.
아울러,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을 가로방향으로 압착하는 선형의 압축공기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의류(C)의 전 영역이 순차적으로 압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류(C) 전체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에어 분사부(311a)는 길이방향을 따라 의류(C)의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3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112a)는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돌출부(3112a)를 통과하여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외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제1 돌출부(3112a)를 통과하는 동안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질 수 있다.
제1 돌출부(3112a)는 의류(C)의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1 하향 경사부(31121a)와 제1 하향 경사부(31121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의류(C)의 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 상향 경사부(31122a)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3112a)가 제1 하향 경사부(31121a)와 제1 상향 경사부(31122a)가 결합됨으로써, 제1 에어 분사부(311a)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는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 에어 슬릿(3111a)은 제1 돌출부(3112a)의 선단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1 돌출부(3112a)를 지나 압력이 상승된 압축공기가 제1 에어 슬릿(3111a)을 통해 의류(C)의 표면과 수직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의류(C)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돌출부(3112a)의 선단에 배치된 다수의 제1 에어 슬릿(3111a)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의류(C)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 외에도, 제1 하향 경사부(31121a)와 제1 상향 경사부(31122a)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의류(C)를 향해 분사되는 방향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분사 유닛(31b)의 구성은 제1 분사 유닛(31a)의 구성과 동일하며, 제2 에어 슬릿(3111b)을 통해 의류(C)의 후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의류(C)이 후면에 선형의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하부에는 제1 스팀 분사부(321a)가 배치되며, 제1 스팀 분사부(321a)는 스팀 생성부(70)와 연결된 제1 스팀 이송 호스(322a)와 연결된다.
제1 스팀 분사부(321a)는 수용공간(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에 결합된 제1 에어 분사부(311a)의 길이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스팀 분사부(321a)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스팀 노즐(3211a)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1 스팀 노즐(3211a)을 통해, 제1 스팀 분사부(321a)의 내부의 스팀은 제1 스팀 분사부(3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의류(C)의 전면으로 균등하게 분사될 수 있다.
제2 스팀 분사 유닛(32b)은 제1 스팀 분사 유닛(32a)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2 스팀 분사부(3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2 스팀 노즐(3211b)을 통해 의류(C)의 후면으로 균등하게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스팀 분사부(321a, 321b)는 제1 및 제2 이동 유닛(40a, 40b)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C)의 전면과 후면의 전 영역에 스팀을 균등하게 분사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열풍 순환 유닛(5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열풍 순환 유닛(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열풍 순환 유닛(50)은 케이스(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S)의 바닥에 형성된 제1 및 제2 통풍구(101, 102)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수용공간(S)으로 유입시키고, 다시 수용공간(S)의 공기를 수용공간(S)의 외부 즉, 열풍 순환 유닛(50) 측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열풍 순환 유닛(5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51), 제1 하우징(5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52), 열풍 생성부(미도시) 및 열풍 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공기를 수용공간(S)으로 송풍하는 송풍 유닛(5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51)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 통풍구(101, 10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흡기구(511)와 배기구(512)가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51)의 흡기구(511)는 케이스(10)의 제1 통풍구(101)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배기구(512)는 케이스(10)의 제2 통풍구(102)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흡기구 및 배기구(511, 512)에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제1 및 제2 커버부재(5111, 5121)가 결합되며, 이를 통해, 다른 이물질들이 열풍 순환 유닛(5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열풍 순환 유닛(50)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5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52)의 내부에는 흡기구(511) 및 배기구(512)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송풍 유닛(53) 및 열풍 생성부가 배치된다.
송풍 유닛(53)은 송풍 모터(531), 송풍 모터(53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심 팬(532), 원심 팬(532)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수용공간(S)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팬(533)을 포함한다.
원심 팬(532)은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축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 모터(531)에 의해 회전하는 원심 팬(532)은 흡기구(5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수용공간(S)의 공기를 제2 하우징(52)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원심 팬(532)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팬(533)을 통과하여 열풍 생성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열풍 생성부는 이송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부재는 예를 들어 발열 코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풍 생성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구(512)와 제2 통풍구(102)를 통해 수용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열풍 순환 유닛(50)을 통해 수용공간(S)으로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고, 수용공간(S)의 공기가 다시 열풍 순환 유닛(50)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용공간(S)에서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을 통해 주름이 제거된 의류(C)에 남아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열풍 순환 유닛(50)은 수용공간(S)을 고온으로 유지하여 의류(C)의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의 주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열풍 순환 유닛(50)은 전술한 구성 외에도, 케이스(10)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고,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다시 흡입함으로써, 케이스(10) 내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과 그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의류(C)를 지지하는 의류 지지 유닛(20)을 케이스(10)의 수용공간(S)에 배치한다(S10).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 지지 유닛(20)은 케이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의류 지지 유닛(20)에 처리 및 관리하고자 하는 의류(C)를 지지하여 수용공간(S)에 배치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를 통한 의류(C)의 처리를 준비한다.
이후, 의류(C)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수용공간(S)을 따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을 통해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스팀을 분사한다(S20).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은 제1 및 제2 이동 유닛(40a, 40b)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 전체에 스팀이 균등하게 분사됨으로써 의류(C)의 직물조직이 유연한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어서, 의류(C)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수용공간(S)을 따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을 통해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선형의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한다(S30).
스팀을 통해 직물조직이 유연한 상태로 변화된 의류(C) 전면 및 후면에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는 압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제1 및 제2 이동 유닛(40a, 40b)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의류(C)를 압착하는 압축공기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의류(C)의 전 영역을 순차적으로 압착할 수 있으며, 의류(C) 전체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을 통한 압축공기의 분사는 의류(C)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분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류(C)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의류(C)의 주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단계(S30)에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함께 이동하고,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함께 이동함에 있어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보다 뒤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과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의류(C)에 스팀과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이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의 이동방향의 후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31a, 31b)과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32a, 32b)이 함께 이동하며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스팀과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에 스팀이 분사된 직후에 연속적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의류(C)의 주름을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의류(C)가 배치된 수용공간(S)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킨다(S40).
스팀과 압축공기의 분사로 인해 주름이 제거된 의류(C)에는 일부 습기가 잔존할 수 있는바, 수용공간(S)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의류(C)에 남아있는 습기를 증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름이 제거된 의류(C)를 건조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공간(S)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S40)는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S20)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단계(S30)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공기가 순환하는 수용공간(S) 내에서, 의류(C)에 스팀이 분사되고(S20), 압축공기가 분사됨으로써(S30) 의류(C)의 직물조직이 더욱 유연한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압착을 통한 주름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의 주름 제거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일부 단계가 중복 또는 순서가 변경되거나 다른 단계로도 치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스팀을 분사한 뒤, 이어서 의류(C)의 동일위치상의 전면 및 후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해 줌으로써 의류(C)를 압착하여 의류(C)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에어 분사 유닛(31a, 31b)과 스팀 분사 유닛(32a, 32b)이 이동하면서 압축공기와 스팀을 분사함에 따라 의류(C) 전체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분사 유닛(31a, 31b)은 에어 슬릿(3111a, 3111b)을 통해 의류(C)의 가로방향과 대응되는 선형의 압축공기를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분사함으로써, 의류(C)를 더욱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아울러, 에어 슬릿(3111a, 3111b)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의류(C)의 전면 및 후면을 압착한 상태에서 에어 분사 유닛(31a, 32b)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의류(C) 전체를 순차적으로 압착하여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C) 전체의 주름을 간편하고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20; 의류 지지 유닛
30a, 30b; 분사 유닛 31a, 31b; 에어 분사 유닛
32a, 32b; 스팀 분사 유닛 3111a, 3111b; 에어 슬릿
40a, 40b; 이동 유닛 50; 열풍 순환 유닛
60; 압축공기 생성부 70; 스팀 생성부

Claims (15)

  1. 도어를 구비한 케이스;
    의류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의류 지지 유닛;
    상기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유닛; 및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슬릿을 구비한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슬릿은 상기 수용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선형(linear form)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슬릿은 다수로 구성되며, 다수의 에어 슬릿은 상기 수용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 유닛은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의류를 향해 동시에 스팀을 분사하는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은 함께 이동하며 동시에 압축공기와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이 이동함에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보다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은 각각,
    압축공기 생성부와 연결된 송풍호스; 및
    상기 송풍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에어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릿은 상기 에어 분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의류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릿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 유닛은,
    스팀 생성부와 연결된 스팀 이송 호스; 및
    상기 스팀 이송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스팀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분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스팀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열풍 순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순환 유닛은,
    열풍 생성부; 및
    상기 열풍 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지지 유닛을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을 통해 상기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의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을 통해, 상기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선형의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의류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이 함께 이동하며 동시에 압축공기와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이 이동함에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에어 분사 유닛이 상기 제1 및 제2 스팀 분사 유닛보다 뒤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27628A 2016-10-04 2016-10-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9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28A KR102496520B1 (ko) 2016-10-04 2016-10-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339,617 US20200040504A1 (en) 2016-10-04 2017-09-29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780073487.8A CN110023554B (zh) 2016-10-04 2017-09-29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EP17858727.5A EP3511463B1 (en) 2016-10-04 2017-09-29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10976 WO2018066933A1 (ko) 2016-10-04 2017-09-29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28A KR102496520B1 (ko) 2016-10-04 2016-10-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59A true KR20180037459A (ko) 2018-04-12
KR102496520B1 KR102496520B1 (ko) 2023-02-07

Family

ID=6183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28A KR102496520B1 (ko) 2016-10-04 2016-10-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40504A1 (ko)
EP (1) EP3511463B1 (ko)
KR (1) KR102496520B1 (ko)
CN (1) CN110023554B (ko)
WO (1) WO2018066933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56A1 (ko) *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0040420A1 (ko) * 2018-08-20 2020-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WO2020040452A1 (en) * 2018-08-20 2020-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75959A1 (ko)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75964A1 (ko)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WO2020175963A1 (ko)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105330A (ko) 2019-02-2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144646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대창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216055B1 (ko) * 2020-11-20 2021-02-15 윤상근 옷장용 의류 제균 관리기
WO2021112408A1 (ko) * 2019-12-0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145602A1 (ko) 2020-01-15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2047A (ko) * 2020-01-15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KR20210092544A (ko) 2020-01-16 202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펼침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101314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WO2023146338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5284B2 (en) * 2018-10-09 2021-05-25 Alex Ignacio Cacho System for dry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GB201817398D0 (en) * 2018-10-25 2018-12-12 Quadron Tech Ltd Automatic ironing apparatus
DE102018127238A1 (de) * 2018-10-31 2020-04-30 Miele & Cie. Kg Elektrisches Gerät
FR3103831B1 (fr) * 2019-11-29 2021-10-29 Seb Sa Armoire de défroissage équipée de deux buses d’émission de vapeur
FR3103833B1 (fr) * 2019-11-29 2022-01-21 Seb Sa Procédé de défroissage d’un vêtement
FR3103832B1 (fr) * 2019-11-29 2021-10-29 Seb Sa Procédé de défroissage d’un vêtement
US11313771B1 (en) * 2020-10-16 2022-04-26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nresenten by the Secretary of Homeland Securitv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scent detection
DE102020215692A1 (de) 2020-12-11 2022-06-15 BSH Hausgeräte GmbH Behandlungsmodul für ein Wäschebehandlungsgerät, Wäschebehandlung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äschebehandlungsgeräts
CN216972926U (zh) * 2021-11-15 2022-07-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08655B1 (ko) * 2009-09-29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6150B1 (de) * 2000-12-27 2006-06-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uchten von kleidungsstücken
CN1185383C (zh) * 2001-08-09 2005-01-19 麦西皮烫衣部股份公司 用于熨烫诸如牛仔裤或弹力或运动裤的自动熨烫机
US8006336B1 (en) * 2001-12-20 2011-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CN2536634Y (zh) * 2002-03-28 2003-02-19 魏天战 家用多功能干衣机
KR101387497B1 (ko) * 2007-08-03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76185B1 (ko) * 2008-03-21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53630B1 (ko) * 2009-12-15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790638B2 (en) * 2010-03-03 2017-10-1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0392B1 (ko) * 2010-03-03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40032821A (ko) * 2012-09-07 2014-03-17 박성수 세탁물의 오염물 제거용 에어스팀건
KR20140124240A (ko) * 2013-04-16 2014-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55B1 (ko) * 2009-09-29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0795B2 (en) 2018-02-28 2023-12-12 Lg Electronics Inc.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73594B2 (en) 2018-07-30 2024-01-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20027542A1 (ko) *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624146B2 (en) 2018-07-30 2023-04-11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ing apparatus
US11807981B2 (en) 2018-07-30 2023-11-0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US11866881B2 (en) 2018-07-30 2024-01-09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WO2020027556A1 (ko) *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0040420A1 (ko) * 2018-08-20 2020-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WO2020040452A1 (en) * 2018-08-20 2020-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59697B2 (en) 2018-08-20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WO2020175959A1 (ko)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05331A (ko) 2019-02-2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105330A (ko) 2019-02-2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105332A (ko) 2019-02-2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WO2020175963A1 (ko)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WO2020175964A1 (ko)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144646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대창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21112408A1 (ko) * 2019-12-0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2047A (ko) * 2020-01-15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WO2021145602A1 (ko) 2020-01-15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2544A (ko) 2020-01-16 202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펼침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16055B1 (ko) * 2020-11-20 2021-02-15 윤상근 옷장용 의류 제균 관리기
WO2023101314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WO2023146338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933A1 (ko) 2018-04-12
KR102496520B1 (ko) 2023-02-07
US20200040504A1 (en) 2020-02-06
EP3511463B1 (en) 2020-11-04
CN110023554B (zh) 2021-11-30
CN110023554A (zh) 2019-07-16
EP3511463A4 (en) 2019-09-18
EP3511463A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45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8193B1 (ko) 복합 세탁장치
EP366696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5642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647614B1 (ko) 의복 및 외투들의 세척,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위한 세탁기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160865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276811B1 (ko)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595725B1 (ko)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JP6378429B2 (ja) 衣類処理装置
EP3559331B1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0921460B1 (ko) 건조기
KR100761135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1610204B1 (ko) 액체분사노즐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236087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10021167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KR10219631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127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3565B1 (ko) 의류 처리 장치
EP262884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exchanger cleaning
KR10170869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07424A (ko) 의류 관리기
KR20240083340A (ko) 의류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