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198B1 -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198B1
KR101876198B1 KR1020160158958A KR20160158958A KR101876198B1 KR 101876198 B1 KR101876198 B1 KR 101876198B1 KR 1020160158958 A KR1020160158958 A KR 1020160158958A KR 20160158958 A KR20160158958 A KR 20160158958A KR 101876198 B1 KR101876198 B1 KR 10187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substrate
suspension
flake substrate
f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911A (ko
Inventor
조금성
강광중
최병기
임광수
장길완
Original Assignee
씨큐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큐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큐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198B1/ko
Priority to JP2019520690A priority patent/JP6853352B2/ja
Priority to CN201780064421.2A priority patent/CN109906252A/zh
Priority to EP17797849.1A priority patent/EP3546527A4/en
Priority to PCT/KR2017/011710 priority patent/WO2018097486A1/ko
Priority to US15/576,556 priority patent/US11370923B2/en
Publication of KR2018006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3/063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core coated with only one layer having a high or low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09D17/005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6Pearl essence, e.g. coatings containing platelet-like pigments for pearl lust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2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04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mprising at least one inorganic oxide, e.g. Al2O3, TiO2 or S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87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bismuth oxychloride, magnesium fluoride, nitrides, carbides, borides, lead carbonate, barium or calcium sulfate, zinc sulphide, molybdenum disulphide or graphi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사용하여 인체친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인 흑색 계통의 화장품용 진주 광택 안료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은 (a) 천연 숯을 밀링하여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제조된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플레이크 기질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LACK COLORED PEARLESCENT PIGMENTS USING CHARCOAL}
본 발명은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숯을 이용하여 화장품용 유색 안료를 제조할 수 있는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에 관한 것이다.
안료는 다양한 분야에서 미적인 효과를 갖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용 펄 안료에 사용되는 유기 안료의 특징은 색상의 범위가 넓고 선명하며, 착색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기안료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고 내구성, 내열성 등에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무기 안료보다는 유기 안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유기 안료는 주로 도료, 잉크, 고무, 섬유, 제지, 피혁, 화장품 등에 사용된다.
화장품용 펄안료는 특성상 트랜드 변화에 민감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나, 화장품용 펄안료는 환경 규제로 그 원료물질에 여러 가지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천연 유기 안료를 이용한 화장품용 펄안료가 현재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품은 크게 얼굴 전체에 도포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과 얼굴의 국소 부분에만 도포하는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으로 나뉜다.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은 립스틱, 아이섀도우, 블러셔 등으로 얼굴에 화사함을 주어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은 색상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흑색계의 안료는 일반적으로 백색의 광택 안료에 산화철을 도포시켜 갈색계열의 색상을 발현시키고, 그 표면 위에 청색 안료를 침적시켜 흑색계열의 광택 안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흑색 안료를 통해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흑색 계열의 광택 안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두드러기, 비염, 천식 등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천연 숯을 이용하여 인체친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인 화장품용 광택 안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401호(2011.10.05. 공개)에는 유기 흑색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숯 분말을 이용하여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를 제조하고, 인체친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인 화장품용 진주 광택 안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은 (a) 천연 숯을 밀링하여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제조된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플레이크 기질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b1) 수용성 무기염 용액을 투입한 후 pH를 중성상태로 조정하여 안료 현탁액 제조 단계; (b2) 플레이크 기질을 정수(D.I. water)에 혼합한 후 교반 및 분산하는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 및 (b3) 상기 기질 현탁액에 산도 조절제와 상기 안료 현탁액을 혼합하여 상기 플레이크 기질의 표면에 천연 숯 분말을 피복하는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의 평균 입도는 100~300nm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는 참나무 숯, 대나무 숯, 떡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모목견, 낙엽송, 소나무, 삼나무, 노송나무, 유카리, 망그론프, 산다화, 올리브, 아카시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흑색 계열일 수 있다.
상기 안료 현탁액 제조 단계에서, 안료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5~30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에서, 기질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3~25중량%로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에서 기질 현탁액은 BaCl₂, CaCl2, AlCl3, SnCl4, TiCl4, TiOCl2, TiOSO4, FeCl3, FeSO4, SiCl4, ZrOCl2, Na2OSiO25H2O, MnCl2, MgCl2 및 CoCl2 중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3~20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 이후에, 천연 숯 분말로 피복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을 수세 및 탈수하는 플레이크 기질 세척 단계; 세척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을 건조하는 플레이크 기질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 중 소정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플레이크 기질을 메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플레이크 기질 스크리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건조 단계는, 60~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스크리닝 단계에서, 분리되는 플레이크 기질의 평균 입경은 45㎛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에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은 합성 운모, 천연 운모, 유리, 판상 산화철, 판상 알루미나 및 판상 실리카, 탈크, 비스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에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은 표면에 금속산화물이 코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는 플레이크 기질의 표면에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의 평균 입도는 100~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를 포함하고, 마스카라(mascara), 아이섀도(eyeshadow), 아이라이너(eyeliner) 및 네일(nail)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도료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를 포함하고, 자동차 코팅용 도료, 인쇄용 잉크, 착색용 도료, 페인트용 도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기술은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사용하여 인체친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인 흑색계의 화장품용 진주 광택 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생산 공정시의 유기물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천연의 저자극성 화장품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연 숯 분말을 이용한 진주광택 안료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 전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 후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나무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가 기질에 코팅된 진주 광택 안료의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숯 분말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은 안료 현탁액 형성 단계(S110),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S120) 및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S130)를 포함한다.
안료 현탁액 형성 단계(S110)
천연 숯을 밀링하여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제조하고, 수용성 무기염 용액을 투입한 후 pH를 중성상태로 조정하여 안료 현탁액을 제조한다.
상기 밀링은 20~40Hz에서 24~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밀링 시간이 24시간 미만이면 안료의 분산이 불충분 할 수 있고 72시간을 초과하면 더 이상의 분산효과 없이 공정시간만 길어져서 효율이 떨어 질 수 있다.
상기 천연 숯을 밀링함으로써, 나노 사이즈를 갖는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안료의 평균 입도는 100~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평균 입도가 100nm미만인 경우 기질 표면을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로 코팅한 후 채도(흑색도)에 대한 향상이 없을 수 있다. 반대로, 300nm를 초과하는 경우는 안료의 크기가 커서 기질에 부착성이 떨어지며 반응 후 흑색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는 참나무 숯, 대나무 숯, 떡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모목견, 낙엽송, 소나무, 삼나무, 노송나무, 유카리, 망그론프, 산다화, 올리브, 아카시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흑색 계열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무기염 용액은 NaOH, KOH, Ca(OH)2, NH3, Mg(OH)2, CH3NH2, CH3CH2NH2, CH3OH, Al(OH)3 중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 현탁액 제조 단계에서 안료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5~30중량%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농도가 5중량% 미만인 경우 낮은 농도로 인하여 밀링 시 밀링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안료의 농도가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용액 대비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의 양이 너무 많아서 밀링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S120)
다음으로, 플레이크 기질을 정수(D.I. water)에 혼합한 후 교반 및 분산하는 기질 현탁액을 형성한다. 플레이크 기질은 합성 운모, 천연 운모, 유리, 판상 산화철, 판상 알루미나 및 판상 실리카, 탈크, 비스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플레이크 기질은 표면에 금속산화물로 코팅되어 안료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산화물은 예를 들어, TiO2, Fe2O3, Cr2O3, SiO2, ZnO, ZnO2, Ce2O3, MgO, Al2O3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크 기질은 상기 제시한 성분을 포함하고, 동시에 기질 표면에 금속산화물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교반 및 분산은 200~500rpm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에서 기질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3~25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기질의 농도가 3중량% 미만이면 농도가 너무 낮아서 반응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25중량%를 초과하면 기질 현탁액의 진한 농도로 인해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S130)
다음으로, 상기 기질 현탁액에 산도 조절제와 상기 안료 현탁액을 혼합하여 상기 플레이크 기질의 표면에 천연 숯 분말을 피복한다.
산도 조절제는 산성을 나타내는 염산, 황산, 아세트산, 초산 등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산성 용액을 포함한다.
상기 기질 현탁액은 BaCl₂, CaCl2, AlCl3, SnCl4, TiCl4, TiOCl2, TiOSO4, FeCl3, FeSO4, SiCl4, ZrOCl2, Na2O, SiO25H2O, MnCl2, MgCl2 및 CoCl2 중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3~20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금속염의 농도가 3중량%미만이면 첨가되는 용액의 양이 많아져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면 급격한 pH 변화로 인하여 반응 후 기질의 코팅 상태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는 100~500rpm에서 수행될 수 있다.
100rpm미만이면 반응 시 분산효과가 떨어져 안료끼리 응집이 될 수 있으며, 500rpm이상이면 더 이상의 분산효과가 없이 rpm만 높아져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 이후에, 천연 숯 분말로 피복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을 수세 및 탈수하는 플레이크 기질 세척 단계; 세척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을 건조하는 플레이크 기질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 중 소정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플레이크 기질을 메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플레이크 기질 스크리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건조 단계는 60~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60℃미만이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150℃를 초과하면 빠른 건조 시간으로 인해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크 기질 스크리닝 단계에서, 분리되는 플레이크 기질의 평균 입경은 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질 스크리닝 단계에서는 메쉬를 사용하여 반응 중 생긴 응집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숯 분말을 이용하여 인체친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인 진주 광택 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 기술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품용 진주 광택 안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 안료로 기존의 유기 안료를 대체할 수 있어 화장품 생산 공정시의 유기물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천연의 저자극성 화장품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화장품의 종류로는 마스카라(mascara), 아이섀도(eyeshadow), 아이라이너(eyeliner) 및 네일(nail) 중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는 은폐력 및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산업용 도료로 사용할 수 있다. 산업용 도료는 예를 들어, 자동차 코팅용 도료, 인쇄용 잉크, 착색용 도료, 페인트용 도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250mL 용량의 볼 밀링용 bottle에 대나무 숯 10g, 1차 증류수 90g을 투입한 후 볼밀링을 35Hz, 48시간 동안 수행하여, 평균 입도가 100~300nm인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제조하였다. (용액 중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의 농도는 10중량%임.)
도 2,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밀링 전, 후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다음으로, 제조된 안료와 수용성 무기염 용액인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후 pH를 7로 조절하여 안료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2L 비커에 플레이크 기질로서 판상 알루미나 30g과 1차 증류수 270g을 투입하고 20~25℃에서 300rpm에서 교반 및 분산하여 기질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안료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 10%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12로 조절하고, 농도 5중량%인 AlCl3 용액과 함께 기질 현탁액과 혼합하여 pH를 5.5로 유지한다. 이를 10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수세 및 탈수를 실시한 후, 12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플레이크 기질을 메쉬를 이용하여 스크린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소정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플레이크 기질을 분리하거나 반응 중 생긴 응집입자를 제거하였다.
그 결과, 상기 플레이크 기질의 표면에 천연 숯 분말을 피복하여 흑색의 진주 광택 안료를 제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나무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가 기질에 코팅된 진주 광택 안료의 SEM 사진이다.
2.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화장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는 마스카라(mascara), 아이섀도(eyeshadow), 아이라이너(eyeliner) 및 네일(nail)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다.
[표 1]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마스카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1
[표 2]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아이섀도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2
[표 3]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액상형 아이라이너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3
[표 4]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젤형 아이라이너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4]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4
[표 5]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네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5]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5
상기 [표 1]~[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된 화장품의 발림성, 은폐력, 색상, 매트감 등의 특성을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6
Х (60점 미만) : 나쁨
△ (60~69점) : 중간
○ (70~79점) : 비교적 좋음
◎ (80~89점) : 우수
⊙ (90~100점) : 극히 우수
상기 [표 6]은 각 제품의 발림성, 은폐력, 색상 및 매트감의 평가를 위해 20세에서 40세까지의 여성 패널 40인을 대상으로 화장품으로서의 사용감 등의 관능 평가(0~100점)를 실시하여 점수를 매기고, 그 평균값이 속하는 구간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안료를 화장품 안료로 사용한 경우, 발림성, 은폐력, 투명감 및 우수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진주 광택 안료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 안료와 동등 이상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저광택에 의한 색감 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산업용 도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는 자동차 코팅용 도료, 인쇄용 잉크, 착색용 도료, 페인트용 도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산업용 도료에 적용될 수 있다.
[표 7]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주 광택 안료를 적용한 도료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7]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7
[표 8]
Figure 112016115997407-pat00008
⊙ (90~100점) : 극히 우수
상기 [표 8]은 자동차용 강판(JISG3310) 표면에 [표 7]에서 제조된 도료를 도장한 후, 200℃에서 30분 동안 경화시킨 후, 은폐력과 내열성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안료를 포함하여 산업용 도료로 적용한 경우, 은폐력 및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진주 광택 안료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업용 도료와 동등 이상의 기능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기술은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사용하여, 인체친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인 흑색계의 화장품용 진주 광택 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생산 공정시의 유기물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천연의 저자극성 화장품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진주 광택 안료는 은폐력과 내열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코팅용 도료, 인쇄용 잉크, 착색용 도료, 페인트용 도료와 같은 산업용 도료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10 : 안료 현탁액 형성 단계
S120 :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
S130 :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

Claims (15)

  1. (a) 천연 숯을 밀링하여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제조된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를 플레이크 기질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링은 20~40Hz에서 24~72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의 평균 입도는 100~300nm이며,
    상기 (b) 단계는
    (b1) 수용성 무기염 용액을 투입한 후 pH를 중성상태로 조정하여 안료 현탁액 제조 단계;
    (b2) 플레이크 기질을 정수(D.I. water)에 혼합한 후 교반 및 분산하는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 및
    (b3) 상기 기질 현탁액에 산도 조절제와 상기 안료 현탁액을 혼합하여 상기 플레이크 기질의 표면에 천연 숯 분말을 피복하는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숯 분말을 포함하는 안료는 참나무 숯, 대나무 숯, 떡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모목견, 낙엽송, 소나무, 삼나무, 노송나무, 유카리, 망그론프, 산다화, 올리브, 아카시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흑색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현탁액 제조 단계에서
    안료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5~30중량%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에서
    기질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3~25중량%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에서 기질 현탁액은
    BaCl₂, CaCl2, AlCl3, SnCl4, TiCl4, TiOCl2, TiOSO4, FeCl3, FeSO4, SiCl4, ZrOCl2, Na2OSiO25H2O, MnCl2, MgCl2 및 CoCl2 중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의 농도는 현탁액 100중량%에 대하여, 3~20중량%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크 기질 피복 단계 이후에,
    천연 숯 분말로 피복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을 수세 및 탈수하는 플레이크 기질 세척 단계;
    세척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을 건조하는 플레이크 기질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상기 플레이크 기질 중 소정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플레이크 기질을 메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플레이크 기질 스크리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크 기질 스크리닝 단계에서,
    분리되는 플레이크 기질의 평균 입경은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현탁액 형성 단계에서
    상기 플레이크 기질은 합성 운모, 천연 운모, 유리, 판상 산화철, 판상 알루미나 및 판상 실리카, 탈크, 비스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크 기질은 표면에 금속산화물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숯을 이용한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58958A 2016-11-28 2016-11-28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KR10187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58A KR101876198B1 (ko) 2016-11-28 2016-11-28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JP2019520690A JP6853352B2 (ja) 2016-11-28 2017-10-23 天然炭を用いた黒色系の真珠光沢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780064421.2A CN109906252A (zh) 2016-11-28 2017-10-23 利用天然木炭的黑色系珠光颜料及其制备方法
EP17797849.1A EP3546527A4 (en) 2016-11-28 2017-10-23 BLACK-BASED PEARL-BRIGHT PIGMENT USING NATURAL WOOD CHARCOA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17/011710 WO2018097486A1 (ko) 2016-11-28 2017-10-23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US15/576,556 US11370923B2 (en) 2016-11-28 2017-10-23 Black pearlescent pigment using natural charco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58A KR101876198B1 (ko) 2016-11-28 2016-11-28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484A Division KR20180079277A (ko) 2018-07-02 2018-07-02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11A KR20180063911A (ko) 2018-06-14
KR101876198B1 true KR101876198B1 (ko) 2018-07-10

Family

ID=6219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58A KR101876198B1 (ko) 2016-11-28 2016-11-28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0923B2 (ko)
EP (1) EP3546527A4 (ko)
JP (1) JP6853352B2 (ko)
KR (1) KR101876198B1 (ko)
CN (1) CN109906252A (ko)
WO (1) WO2018097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4701A (zh) * 2019-09-30 2021-03-30 莱施菲公司 用于将人造睫毛粘附到眼睛区域的粘合剂及其制造方法
JPWO2021140965A1 (ko) * 2020-01-06 2021-07-15
KR20230050825A (ko) 2021-10-08 2023-04-17 김유진 충격센서를 내장한 퍼스널 모빌리티 전용 네비게이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026A (ko) * 2002-02-09 2003-08-19 최명부 숯을 이용한 특수 도료 제조
KR20070079620A (ko) * 2006-02-03 2007-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숯을 안료로 사용하는 방법
CN101760044A (zh) * 2009-03-20 2010-06-30 昆山市世名科技开发有限公司 竹炭颜料浆及其制备方法
KR20150048588A (ko) * 2013-10-28 2015-05-07 씨큐브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염료를 이용한 유색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JP5812220B1 (ja) * 2015-04-22 2015-11-11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7796C2 (de) * 1975-12-22 1985-05-0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Rußhaltige Pigmente
FR2746302B1 (fr) * 1996-03-20 1998-12-24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des nanopigments
KR19990041767A (ko) * 1997-11-24 1999-06-15 성재갑 천연 목탄 분말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00048307A (ko) * 1998-12-24 2000-07-25 박순옥 숯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048747A (ja) * 1999-08-06 2001-02-20 Pola Chem Ind Inc 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20060013838A1 (en) * 2004-07-13 2006-01-19 Qinyun Peng Cosmetic powder compositions having large particle size color travel effect pigments
JP2008179737A (ja) * 2007-01-26 2008-08-07 Toyo Ink Mfg Co Ltd 炭インキ
US7470320B1 (en) * 2007-06-07 2008-12-30 Xerox Corporation Nanosized particles of monoazo laked pigment with tunable properties
US20090185992A1 (en) * 2008-01-18 2009-07-23 Christelle Conan Process for producing iron oxide coated pearlescent pigments
JP2009209327A (ja) * 2008-03-06 2009-09-17 Hinomaru Carbo Techno Co Ltd 炭粉含有コーティング剤とその用途
KR101773621B1 (ko) 2009-01-19 2017-08-31 바스프 에스이 유기 흑색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240919A (ja) * 2011-05-16 2012-12-10 Daito Kasei Kogyo Kk 水性分散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4101298A (ja) * 2012-11-19 2014-06-05 Daito Kasei Kogyo Kk 水性分散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11034841B2 (en) * 2014-11-24 2021-06-15 Basf Corporation Carbon black in effect pigments
CN104962136B (zh) * 2015-07-03 2017-08-11 苏州世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合成革着色的水性炭黑颜料色浆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026A (ko) * 2002-02-09 2003-08-19 최명부 숯을 이용한 특수 도료 제조
KR20070079620A (ko) * 2006-02-03 2007-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숯을 안료로 사용하는 방법
CN101760044A (zh) * 2009-03-20 2010-06-30 昆山市世名科技开发有限公司 竹炭颜料浆及其制备方法
KR20150048588A (ko) * 2013-10-28 2015-05-07 씨큐브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염료를 이용한 유색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1009B1 (ko) * 2013-10-28 2015-08-03 씨큐브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염료를 이용한 유색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JP5812220B1 (ja) * 2015-04-22 2015-11-11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6527A1 (en) 2019-10-02
JP6853352B2 (ja) 2021-03-31
CN109906252A (zh) 2019-06-18
US11370923B2 (en) 2022-06-28
WO2018097486A1 (ko) 2018-05-31
US20190002703A1 (en) 2019-01-03
KR20180063911A (ko) 2018-06-14
EP3546527A4 (en) 2019-11-27
JP2019537643A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8212B2 (en) Sparkle effect of unique particle size distribution
US6019831A (en) Non-lustrous pigments
KR101541009B1 (ko) 식물성 천연 염료를 이용한 유색 광택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0336872C (zh) 合成云母涂覆金属氧化物制备珍珠状颜料的方法
KR101876198B1 (ko)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JP2014218424A (ja) α−アルミナフレーク
JPH08231882A (ja) 灰色干渉色顔料、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CN101646626B (zh) 一种形成(金红石型)二氧化钛涂覆的片状颜料的方法
KR101526540B1 (ko) 산화철계 흑색 광택 안료의 제조 방법
CN1323116C (zh) 改进的BiOCl颜料
KR101942912B1 (ko) 화장품용 조성물
WO2005061630A2 (de) Gefärbte metallpigmen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verwendung der gefärbten metallpigmente in kosmetika und kosmetikum
US5753024A (en) Grey pigments containing tin
JP2002226732A (ja) 光沢顔料、ならびにそれを含有する塗料組成物、樹脂成形品、化粧料およびインキ組成物
JP4276448B2 (ja) 光輝性顔料及びその製造法
JPH0593148A (ja) カーボンブラツク含有顔料
KR20180079277A (ko) 천연 숯을 이용한 흑색계의 진주 광택 안료
JP4544995B2 (ja) BiOCl顔料
CN101189306A (zh) 独特颗粒尺寸分布的闪光效果
JP3713086B2 (ja) 無光沢有色顔料、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H09323064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
JP2002256174A (ja) 着色光沢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5803A (ko) 화장품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