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24B1 - 고정자 및 전동기 - Google Patents

고정자 및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24B1
KR101874224B1 KR1020167035123A KR20167035123A KR101874224B1 KR 101874224 B1 KR101874224 B1 KR 101874224B1 KR 1020167035123 A KR1020167035123 A KR 1020167035123A KR 20167035123 A KR20167035123 A KR 20167035123A KR 101874224 B1 KR101874224 B1 KR 101874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luminum
terminal
copper wir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481A (ko
Inventor
류키치 키지마
토모아키 오이카와
사다미 오쿠가와
오사무 카자마
유키히로 야마시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2개의 도통용 홈(1a, 1b)이 병설된 압접 단자(1)와, 압접 단자(1)를 수납할 수 있는 캐비티(6, 7)를 가지며 캐비티(6, 7) 내에 압접 단자(1)의 2개의 도통용 홈(1a, 1b)에 대응하는 2개의 앤빌(9a, 9b)이 돌설된 절연 부재(2)를 사용하고, 앤빌의 일방(9a)에, 알루미늄선의 단말(3, 4)을 재치함과 함께, 앤빌의 타방(9b)에, 구리선의 단말(5)을 재치하고, 알루미늄선의 단말(3, 4)과 구리선의 단말(5)을, 캐비티(6, 7) 내에 수납되는 압접 단자(1)의 2개의 도통용 홈(1a, 1b)에 각각 압입함으로써 결선하는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으로서, 압접 단자(1)의 2개의 도통용 홈(1a, 1b)에 알루미늄선의 단말(3, 4)을 구리선의 단말(5)보다도 먼저 압입한다.

Description

고정자 및 전동기{STATOR AND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 및 그 결선 방법을 이용한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밀폐형 압축기에 탑재되는 전동기의 권선으로서 알루미늄선을 사용하고, 건넘선(渡り線)에 구리선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저감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것에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은, 병설된 2개의 도통용 홈을 갖는 압접(壓接) 단자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압접 단자의 중앙 편부(片部)의 양측에 병설된 2개의 도통용 홈에 알루미늄선의 단말과 구리선의 단말을 각각 압입한다. 이에 의해, 압접 단자의 각 도통용 홈이 넓어지고, 그 탄성력이 압접 응력으로서 알루미늄선의 단말과 구리선의 단말에 작용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10-166643호 공보(도 5)
그러나, 압접 단자의 중앙 편부의 양측에 병설된 2개의 도통용 홈에 알루미늄선의 단말과 구리선의 단말을 압입함으로써 결선하도록 한 것에서는, 다음의 (1) (2)와 같은 과제가 존재한다.
(1) 압접 단자의 중앙 편부의 양측에 병설된 2개의 도통용 홈의 일방에 알루미늄선, 또 일방에 구리선이 압입되면, 알루미늄선은 구리선보다 강성이 낮기 때문에, 압접 단자의 중앙 편부는 알루미늄선측으로 기울어져, 알루미늄선이 압입된 도통용 홈의 입구는 좁혀지고, 알루미늄선이 압입되는 도통용 홈은, 입구가 좁고 속이 넓은 상태가 된다. 알루미늄선은 도통용 홈의 입구에서 변형하고, 도통용 홈의 속까지 압입되기 때문에, 구리선 상호를 압접하는 경우에 비하여, 압접 응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2) 밀폐형 압축기와 같이 운전시에 결선부의 주위의 분위기 온도가 높아지는 기기에서 사용한 경우, 열 크리프에 의해 응력 완화가 진행한다. 그 때문에, 압접 단자에 의한 알루미늄선에의 압접 응력은,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감소한다. 초기의 압접 응력이 낮으면 전술한 경년 변화에 의해 접촉 저항이 커지고, 최악의 경우 비도통(非導通)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을 결선하는 경우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 및 그 결선 방법을 이용한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은, 2개의 도통용 홈이 병설된 압접 단자와, 그 압접 단자를 수납할 수 있는 캐비티를 가지며 그 캐비티 내에 상기 압접 단자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에 대응하는 2개의 앤빌이 돌설된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앤빌의 일방에, 알루미늄선의 단말을 재치함과 함께, 상기 2개의 앤빌의 타방에, 구리선의 단말을 재치하고, 상기 알루미늄선의 단말과 상기 구리선의 단말을, 상기 캐비티 내에 수납되는 상기 압접 단자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에 각각 압입함으로써 결선하는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압접 단자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에 상기 알루미늄선의 단말을 상기 구리선의 단말보다도 먼저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동기는, 고정자의 권선으로서 알루미늄선을 사용하고, 건넘선에 구리선을 사용한 전동기이고, 상기 권선과 상기 건넘선과의 결선부가 상기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에서는,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에 알루미늄선의 단말을 구리선의 단말보다도 먼저 압입한다. 구리선이 먼저 압접 단자의 도통용 홈에 압입되면 알루미늄선측의 도통용 홈의 입구부가 좁혀지고, 입구부에서 알루미늄선은 변형하고, 속이 입구보다 넓기 때문에, 압접 단자와 알루미늄선의 압접 응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알루미늄선을 먼저 압접 단자의 도통용 홈에 압입하고, 나중에 압접 단자의 타방의 도통용 홈에 구리선을 압입함으로써, 도통용 홈 입구에서 알루미늄선이 변형하여 압접 응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접 단자와의 접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열 크리프에 대해서도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동기에서는, 권선과 건넘선과의 결선부가 상기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결선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전동기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앤빌 높이와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알루미늄선이 구리선보다 먼저 압접 단자에 접촉하는 치수의 구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앤빌 높이와 선경과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형상의 설명도.
실시의 형태 1.
이하,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전동기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앤빌 높이와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結線部)는, 도 1∼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10)의 일방의 단면(端面)에 배치되어 있다. 즉, 결선부는, 중앙 편부(片部)(1c)를 끼우고 2개의 도통용 홈(1a, 1b)이 병설된 압접 단자(1)와, 압접 단자(1)를 수납할 수 있는 캐비티(6, 7)를 갖는 절연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캐비티(6, 7)에는, 각각 2개씩의 도선 구속(拘束) 홈(8a, 8b)이 마련되어 있다. 도선 구속 홈(8a, 8b)에는, 압접 단자(1)의 2개의 도통용 홈(1a, 1b)에 대응하는 앤빌(9)이 저면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앤빌(9)은, 알루미늄선의 단말,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이나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이 재치되는 알루미늄선측 앤빌(9a)과, 구리선의 단말, 즉 권선 사이를 접속하는 건넘선(5)이 재치되는 구리선측 앤빌(9b)을 갖는다. 또한, 알루미늄선측 앤빌(9a)의 돌출 높이는, 구리선측 앤빌(9b)의 돌출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접 단자(1)의 2개의 도통용 홈(1a, 1b)에 알루미늄선의 단말(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이나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을 구리선의 단말(건넘선(5))보다도 먼저 압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에 관해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캐비티(6, 7)상에,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 구리선 즉 건넘선(5)을 배치한다. 뒤이어, 이들 단말이나 건넘선(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도선」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의 위로부터, 이들 도선의 선경(線徑)보다도 작은 폭으로 설정된 도통용 홈(1a, 1b)을 갖는 압접 단자(1)를, 도통용 홈(1a, 1b)을 각 도선을 향하여 캐비티(6, 7) 내로 밀어넣(押入)는다. 이 때,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 구리선 즉 건넘선(5)은, 캐비티(6, 7)에 마련된 도선 구속 홈(8a, 8b)에 의해 구속되고, 절연층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a, 1b)의 에지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 구리선의 건넘선(5)이 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장기 신뢰성에 필요한 압접 응력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선이 구리선보다 먼저 압접 단자(1)에 압입되도록 앤빌(9)의 높이를 변경하고, 알루미늄선측 앤빌(9a)의 높이를, 구리선측 앤빌(9b)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여, 압접 단자(1)보다 강성이 높은 구리선이 알루미늄선보다도 후에 도통용 홈(1b)에 압입되도록 한다. 환언하면, 압접 단자(1)보다도 강성이 높은 구리선의 도통용 홈(1b)에의 압입 깊이가, 알루미늄선의 도통용 홈(1a)에의 압입 깊이보다도 얕아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구리선의 압입에 의한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b)의 넓어짐에 수반하여 생기는 알루미늄선의 도통용 홈(1a)에의 가압력에 의해, 알루미늄선측의 압접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열 크리프에 대해서도 압접 단자(1)와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 및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의 사이의 결선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권선과 건넘선과의 결선부를 구비한 전동기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알루미늄선이 구리선보다 먼저 압접 단자에 접촉하는 치수를 구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에서, 절연 부재(2)의 캐비티(6, 7)의 하면부터 알루미늄선측 앤빌(9a)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A, 절연 부재(2)의 캐비티(6, 7)의 하면부터 구리선측 앤빌(9b)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B, 알루미늄선의 선경을 φC, 구리선의 선경을 φD라고 한다. 앤빌의 고저차는 A-B로 구하여지고, 알루미늄선과 구리선의 선경차가 (φC-φD)임으로, 앤빌의 높이가 A-B>φD-φC로 설정되는 경우, 알루미늄선은 구리선보다 먼저 압접 단자에 접촉한다.
실시의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앤빌 높이와 선경과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면 중,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설명에서는,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캐비티(6, 7)에 마련된 앤빌(9)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알루미늄선이 구리선보다도 먼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a)에 압입되도록 하여, 압접 단자(1)와 알루미늄선과의 접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고,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구리선의 선경을 알루미늄선의 선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알루미늄선이 구리선보다도 먼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a)에 압입되도록 하여, 압접 단자(1)와 알루미늄선과의 접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고,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비티(6, 7)에 각각 2개씩 마련된 도선 구속 홈(8a, 8b)에 있는 앤빌(9)의 높이, 즉 알루미늄선측 앤빌(9a)의 높이와 구리선측 앤빌(9b)의 높이는, 어느 쪽도 같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A) 및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A)의 선경이, 구리선 즉 건넘선(5)의 선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에 관해 도 5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캐비티(6, 7)상에,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A)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A)과, 구리선 즉 건넘선(5)을 배치한다. 뒤이어, 이들 도선의 위로부터, 이들 도선의 선경보다도 작은 폭으로 설정된 도통용 홈(1a, 1b)을 갖는 압접 단자(1)를, 도통용 홈(1a, 1b)을 각 도선을 향하여 캐비티(6, 7) 내로 밀어넣는다. 이 때,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A)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A)과, 구리선 즉 건넘선(5)은, 캐비티(6, 7)에 마련된 도선 구속 홈(8a, 8b)에 의해 구속되고, 절연층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a, 1b)의 에지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A)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A)과, 구리선의 건넘선(5)이 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와 같이, 알루미늄선의 선경을 구리선의 선경보다도 크게 취하여, 알루미늄선이 먼저 도통용 홈(1a)에 압입되도록 한다. 환언하면, 알루미늄선의 도통용 홈(1a)에의 압입 깊이가, 구리선에 비하여 깊어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도통용 홈 입구에서 알루미늄선이 변형하여 압접 응력이 저하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접 단자(1)와의 접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고, 열 크리프에 대해서도 압접 단자(1)와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A) 및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A) 사이의 결선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구리선은 알루미늄선에 비하여 저항률이 1/3이여서, 알루미늄선보다 선경이 1/3 이상이라면 허용 전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의 압접 단자의 2개의 도통용 홈형상의 설명도이고, 도면 중,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설명에서는, 여기서도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압접 단자(1)의 중앙 편부(1c)의 양측에 병설된 2개의 도통용 홈(1d, 1e)을, 입구부의 홈 폭은 알루미늄선이나 구리선의 선경보다도 크게, 속측의 홈 폭은 알루미늄선이나 구리선의 선경보다도 작게 되고, 입구부로부터 속측에 걸쳐서 홈 폭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압접 단자(1)와 알루미늄선과의 접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고,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을 이용한 결선부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d, 1e)의 홈 폭이, 모두 압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작아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알루미늄선과 구리선과의 결선 방법에 관해 도 6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캐비티(6, 7)상에,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 구리선 즉 건넘선(5)을 배치한다. 뒤이어, 이들 도선의 위로부터, 홈 폭이, 모두 압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된 도통용 홈(1d, 1e)을 갖는 압접 단자(1)를, 도통용 홈(1d, 1e)을 각 도선을 향하여 캐비티(6, 7) 내로 밀어넣는다. 이 때,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 구리선 즉 건넘선(5)은, 캐비티(6, 7)에 마련된 도선 구속 홈(8a, 8b)에 의해 구속되고, 절연층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d, 1e)의 에지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알루미늄선 즉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3)과,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4)과, 구리선의 건넘선(5)이 도통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압접 단자(1)에 마련한 2개의 도통용 홈(1d, 1e)을, 도통용 홈 입구의 홈 폭을 알루미늄선이나 구리선의 선경보다도 넓게, 속측의 홈 폭을 알루미늄선이나 구리선의 선경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구리선을 압접 단자(1)에 압입한 때, 압접 단자(1)의 중앙 편부(1c)는 알루미늄선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도통용 홈의 홈 폭은 속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있기 때문에, 압접 단자(1)와 알루미늄선의 압접 응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 3의 2개의 도통용 홈(1d, 1e)의 형상은, 알루미늄선이 압입되는 도통용 홈(1d)측에만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알루미늄선측 앤빌(9a)의 높이와 구리선측 앤빌(9b)의 높이가 동일하고, 알루미늄선의 선경과 구리선의 선경이 동일하면, 구리선이 알루미늄선보다도 먼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e)에 압입되어, 알루미늄선측의 도통용 홈(1d)의 입구부가 좁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선이 압입되는 도통용 홈(1d)측의 입구부의 홈 폭이 미리 알루미늄선의 선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통용 홈(1d)측의 입구부에서 알루미늄선이 크게 변형하는 것 같은 일은 없어진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 3의 2개의 도통용 홈(1d, 1e)의 형상, 또는 알루미늄선이 압입되는 도통용 홈(1d)측레만 입구부부터 속측에 걸쳐서 홈 폭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한 형상은, 전술한 실시의 형태 1, 2와 같이 알루미늄선이 구리선보다도 먼저 압접 단자(1)의 도통용 홈(1a)에 압입된 형태를 취하면서 적응(適應)시킬 수도 있다.
1 : 압접 단자
1a, 1b, 1d, 1e : 도통용 홈
1c : 중앙 편부
2 : 절연 부재
3, 3A : 권선의 감기 시작 단말(알루미늄선의 단말)
4, 4A : 권선의 감기 종료 단말(알루미늄선의 단말)
5 : 건넘선(구리선의 단말)
6, 7 : 캐비티
8a, 8b : 도선 구속 홈
9 : 앤빌
9a : 알루미늄선측 앤빌
9b : 구리선측 앤빌
10 : 고정자 철심
A : 절연 부재의 캐비티의 하면부터 알루미늄선측 앤빌의 상면까지의 높이
B : 절연 부재의 캐비티의 하면부터 구리선측 앤빌의 상면까지의 높이
φC : 알루미늄선의 선경
φD : 구리선의 선경

Claims (6)

  1. 2개의 도통용 홈이 병설된 압접 단자와,
    그 압접 단자를 수납할 수 있는 캐비티를 갖는 절연 부재를구비하고,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는,
    알루미늄선의 단말을 재치하고, 상기 알루미늄선의 단말과 함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의 일방에 배치된 알루미늄선측 앤빌과,
    구리선의 단말을 재치하고, 상기 구리선의 단말과 함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의 타방에 배치된 구리선측 앤빌이 돌설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선측 앤빌의 돌출 높이가, 상기 구리선측 앤빌의 돌출 높이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선측 앤빌의 돌출 높이를 A, 상기 구리선측 앤빌의 돌출 높이를 B, 상기 알루미늄선의 선경을 φC, 상기 구리선의 선경을 φD로 한 경우에, 이들의 관계가 A-B>φD-φC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선의 선경은, 상기 구리선의 선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도통용 홈 중 상기 알루미늄선측 앤빌이 배치된 도통용 홈은, 입구부의 홈 폭이 상기 알루미늄선의 선경보다도 크고, 속측의 홈 폭이 상기 알루미늄선의 선경보다도 작고,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속측에 걸쳐서 홈 폭이 점차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5. 2개의 도통용 홈이 병설된 압접 단자와,
    그 압접 단자를 수납할 수 있는 캐비티를 갖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는,
    알루미늄선의 단말을 재치하고, 상기 알루미늄선의 단말과 함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의 일방에 배치된 알루미늄선측 앤빌과,
    구리선의 단말을 재치하고, 상기 구리선의 단말과 함께 상기 2개의 도통용 홈의 타방에 배치된 구리선측 앤빌이 돌설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도통용 홈 중 상기 알루미늄선측 앤빌이 배치된 도통용 홈만을, 입구부의 홈 폭이 상기 알루미늄선의 선경보다도 크고, 속측의 홈 폭이 상기 알루미늄선의 선경보다도 작고,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속측에 걸쳐서 홈 폭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KR1020167035123A 2014-10-01 2015-07-15 고정자 및 전동기 KR101874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3387 2014-10-01
JPJP-P-2014-203387 2014-10-01
PCT/JP2015/070244 WO2016051923A1 (ja) 2014-10-01 2015-07-15 アルミニウム線と銅線との結線方法およびその結線方法を用いた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481A KR20170005481A (ko) 2017-01-13
KR101874224B1 true KR101874224B1 (ko) 2018-07-03

Family

ID=5562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123A KR101874224B1 (ko) 2014-10-01 2015-07-15 고정자 및 전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57791B2 (ko)
KR (1) KR101874224B1 (ko)
CN (1) CN106537693B (ko)
CZ (1) CZ2017217A3 (ko)
WO (1) WO2016051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4619A1 (ja) * 2019-03-27 2020-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電動機
IT202100021437A1 (it) * 2021-08-06 2023-02-06 Askoll Holding S R L A Socio Unico Statore per motore elettrico sincrono trifase a magneti permanenti, motore elettrico comprendente detto statore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detto stat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586A (ja) * 2003-10-23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固定子
JP2010166643A (ja)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3157044A1 (ja) * 2012-04-20 201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ファンモータ及び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288A (ja) * 1993-08-18 1995-03-03 Sankyo Seiki Mf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
JPH11234940A (ja) * 1998-02-16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用固定子
CN104037517A (zh) * 2013-03-08 2014-09-10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铝线电机接头及其处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586A (ja) * 2003-10-23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固定子
JP2010166643A (ja)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3157044A1 (ja) * 2012-04-20 201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ファンモータ及び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37693B (zh) 2019-03-08
CZ2017217A3 (cs) 2017-06-28
WO2016051923A1 (ja) 2016-04-07
CN106537693A (zh) 2017-03-22
JP6257791B2 (ja) 2018-01-10
KR20170005481A (ko) 2017-01-13
JPWO2016051923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065B1 (ko) 평면 회로체와 단자의 접속 구조 및 접속 방법
KR20140102767A (ko) 플랫 회로체와 단자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CN103579791B (zh) 电端子
JP200701894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74224B1 (ko) 고정자 및 전동기
JP2010055937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CN104205501A (zh) 用于连接电导体的接触装置
JP5415397B2 (ja) 端子および端子の製造方法
US20060116020A1 (en) Electric connector
JP2010067478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5146759B2 (ja) 端子金具、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0010086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H0648173U (ja) 端子金具の圧着構造
JP2015076235A (ja) 圧着端子
JP6123739B2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端子付き電線および圧着治具
WO2013021602A1 (en) Terminal crimped wire
JP5125941B2 (ja) 端子圧着装置
KR102382776B1 (ko) 모터의 스테이터 조립방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및 압착단자
JP5151936B2 (ja)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6568721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このコネクタ端子を用いたバスバー
WO2017150644A1 (ja) 圧着接続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5191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WO2015060161A1 (ja) 圧着端子
KR20110137352A (ko) 라인을 연결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JP2016110806A (ja)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