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684B1 - 옥상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옥상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684B1
KR101873684B1 KR1020170079934A KR20170079934A KR101873684B1 KR 101873684 B1 KR101873684 B1 KR 101873684B1 KR 1020170079934 A KR1020170079934 A KR 1020170079934A KR 20170079934 A KR20170079934 A KR 20170079934A KR 101873684 B1 KR101873684 B1 KR 10187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wire
fixing member
slab
roof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용
Original Assignee
구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용 filed Critical 구형용
Priority to KR102017007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04D13/1693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inclin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81Drainage guiding provisions, e.g. deflectors or stimulation by inclined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태풍 등이 발생하여 세기가 강한 바람이 지붕패널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세움목재가 옥상슬라브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시키면서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110)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다수의 세움목재(200)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세움목재(200)의 상단에는 일정 폭으로 다수의 가로목(300)을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다수의 가로목(30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세로목(400)을 직교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로목(400)의 상부에는 옥상슬라브(100)와 지붕패널(5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용마루(600)로 부터 양측이 난간벽체(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붕패널(50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세움목재(200)가 수직으로 설치된 옥상슬라브(100)에 두 개 이상의 와이어고정부재(70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와 와이어고정부재(700)에는 세움목재(200)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가로목(300)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와이어(800)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각각 고정되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옥상방수 시공방법{Rooftop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태풍 등이 발생하여 세기가 강한 바람이 지붕패널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세움목재가 옥상슬라브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및 건물의 옥상은 바닥이 평평한 평슬라브와 상기 평슬라브의 외곽에 상부로 돌출되는 난간벽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평슬라브의 옥상 바닥을 시공할 경우에는 옥상 바닥을 통해 물이 건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기 위해 옥상 바닥에 방수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처리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액체상태의 방수재를 바닥에 발라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도막방수가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막방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물의 균열이나 방수층 자체의 균열로 인해 방수층이 손상되어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평슬라브 옥상은 여름철 뜨거운 직사광선에 그대로 노출되어 건물의 실내로 그 열이 전도됨은 물론, 겨울철에는 냉기가 옥상의 균열된 틈 사이로 유입되어 실내에 외풍이 발생 됨으로써, 건축물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은 냉·난방비를 소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옥상슬라브(100')의 상부에 일정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110')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다수의 세움목재(200')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세움목재(200')의 상단에는 일정 폭으로 다수의 가로목(300')을 설치하며, 상기 다수의 가로목(30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세로목(400')을 직교되게 설치하고, 상기 세로목(400')의 상부에는 용마루(600')로 부터 양측이 난간벽체(110') 방향으로 경사지는 지붕패널(500')을 설치하여, 상기 옥상슬라브(100')와 지붕패널(5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열층에 의해 건축물의 옥상슬라브(100')의 상부면이 여름철에는 뜨거운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그 열이 실내로 전도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고, 겨울철에는 냉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여, 건축물의 냉난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붕패널(500')은 다수개의 지붕패널(500')이 폭방향으로 상호 중첩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붕패널(500')과 지붕패널(500')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방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옥상방수 시공방법은 옥상슬라브(100')의 상부에 일정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110')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세움목재(200')의 하부가 못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만 옥상슬라브(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세로목(400')의 상부에 설치된 지붕패널(500')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태풍 등이 발생하여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옥상슬라브(100')에 설치된 지붕패널(500')과 옥상슬라브(100')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유입된 바람에 의해 세움목재(200')가 옥상슬라브(100')로 부터 이탈되어 지게 되고, 상기 옥상슬라브(100')로 부터 세움목재(200')가 이탈되는 것에 의해 지붕패널(500')이 바람에 날리면서 건축물의 외부로 낙하되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7020호(등록일자 : 2009. 02.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옥상슬라브의 상부에 일정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세움목재가 와이어 장력에 의한 지지를 받으며 고정되게 옥상슬라브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태풍 등이 발생하여 세기가 강한 바람이 지붕패널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세움목재가 옥상슬라브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옥상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도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시키면서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110)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다수의 세움목재(200)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세움목재(200)의 상단에는 일정 폭으로 다수의 가로목(300)을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다수의 가로목(30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세로목(400)을 직교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로목(400)의 상부에는 옥상슬라브(100)와 지붕패널(5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용마루(600)로 부터 양측이 난간벽체(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붕패널(50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세움목재(200)가 수직으로 설치된 옥상슬라브(100)에 두 개 이상의 와이어고정부재(70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와 와이어고정부재(700)에는 세움목재(200)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가로목(300)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와이어(800)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각각 고정되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는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전면 좌우 및 후부 좌우가 각각 앵커결합되는 고정부(7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의 상부에는 와이어(80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7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의 고정부(710)는 전면 좌우 및 후부 좌우 양측이 옥상슬라브(100)에 앵커결합되면서 고정되게 저면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720)에는 와이어(800)의 일측단부를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결합부(720)와 결합부(720)에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800)의 중간부위에는 와이어(800)의 장력상태를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력조절장치(900)를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800)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제공받으며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세움목재(200)가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태풍 등이 발생하여 세기가 강한 바람이 지붕패널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세움목재(200)가 옥상슬라브(100)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더욱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가로목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와이어고정부재의 결합부와 와이어고정부재의 결합부에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는 와이어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제공받으며 옥상슬라브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세움목재가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지붕패널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태풍 등이 발생하여 세기가 강한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세움목재가 옥상슬라브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상기 옥상슬라브로 부터 세움목재가 이탈되지 않는 것에 의해 지붕패널 역시도 바람에 의해 날리지 않게 됨으로써, 바람이 많이 부는 해안가 지역이나 산악지역에 지붕패널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옥상방수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지붕패널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바람에 의한 파손이 발생 되지 않아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어 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상태의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반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시 사용되는 와이어고정부재가 옥상슬라브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시 사용되는 와이어고정부재와 와이어고정부재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시 사용되는 와이어고정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반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시 사용되는 와이어고정부재가 옥상슬라브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시 사용되는 와이어고정부재와 와이어고정부재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시 사용되는 와이어고정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은 도 2와 도 3 및 도 4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시키면서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110)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다수의 세움목재(200)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세움목재(200)의 상단에는 일정 폭으로 다수의 가로목(300)을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다수의 가로목(30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세로목(400)을 직교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로목(400)의 상부에는 옥상슬라브(100)와 지붕패널(5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용마루(600)로 부터 양측이 난 간벽체(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붕패널(50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세움목재(200)가 수직으로 설치된 옥상슬라브(100)에는 두 개 이상의 와이어고정부재(70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와 와이어고정부재(700)에는 세움목재(200)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가로목(300)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와이어(800)의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는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전면 좌우 및 후부 좌우가 각각 앵커결합되는 고정부(7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의 상부에는 와이어(80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7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의 고정부(710)는 전면 좌우 및 후부 좌우 양측이 옥상슬라브(100)에 앵커결합되면서 고정되게 저면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 됨은 물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720)에는 와이어(800)의 일측단부를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720)와 결합부(720)에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800)의 중간부위에는 와이어(800)의 장력상태를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력조절장치(900)를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800)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제공받으며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세움목재(200)가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옥상방수 시공방법에 따르면,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해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다수의 세움목재(200)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상기 세움목재(200)를 옥상슬라브(100)의 상부에 설치한 한 후에는 일정 폭으로 다수의 가로목(300)을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가로목(300)을 설치한 후에는 세움목재(200)가 고정된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와이어고정부재(7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710) 저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후좌우 양측부를 각각 옥상슬라브(100) 바닥에 고정되게 앵커결합 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는 두 개 이상의 와이어고정부재(700)가 상호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옥상슬라브(100)에 와이어고정부재(70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의 결합부(720)에 와이어(800)의 일측단부를 고정되게 결합시키고,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와 간격이 유지되도록 옥상슬라브(100)에 설치된 다른 와이어고정부재(700)의 결합부(720)에는 와이어(800)의 타측단부를 고정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800)는 저면이 세움목재(200)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가로목(300)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결합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와 와이어고정부재(700)에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 와이어(800)의 장력이 세움목재(200)를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의 장력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800)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와이어장력조절장치(900)를 조작하여 세움목재(200)를 가압할 수 있는 장력이 되도록 작업자가 와이어(80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 다수의 세움목재(200)가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옥상슬라브(100)로 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목(300)을 가압하도록 와이어(800)와이어고정부재에 설치한 후에는 다수의 세로목(400)을 가로목(300)에 직교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로목(400)의 상부에는 옥상슬라브(100)와 지붕패널(5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용마루(600)로 부터 양측이 난간벽체(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붕패널(50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붕패널(500)과 옥상슬라브(100)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사이로 태풍 등이 발생하여 세기가 강한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세움목재(200)가 옥상슬라브(100)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상기 옥상슬라브(100)로 부터 세움목재(200)가 이탈되지 않는 것에 의해 지붕패널(500) 역시도 바람에 의해 날리지 않게 된다.
한편, 바람이 많이 부는 해안가 지역이나 산악지역에 지붕패널(500)과 옥상슬라브(1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옥상방수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지붕패널(500)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지붕패널(500)이 바람에 의한 파손이 발생 되지 않아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어 지게 된다.
100 : 옥상슬라브
200 : 세움목재
300 : 가로목
400 : 세로목
500 : 지붕패널
600 : 용마루
700 : 와이어고정부재
710 : 고정부
720 : 결합부
800 : 와이어
900 : 와이어장력조절장치

Claims (3)

  1.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시키면서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난간 벽체(110)에서 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다수의 세움목재(200)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세움목재(200)의 상단에는 일정 폭으로 다수의 가로목(300)을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다수의 가로목(30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세로목(400)을 직교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로목(400)의 상부에는 옥상슬라브(100)와 지붕패널(50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용마루(600)로 부터 양측이 난간벽체(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붕패널(50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상태에서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세움목재(200)가 수직으로 설치된 옥상슬라브(100)에 두 개 이상의 와이어고정부재(70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와 와이어고정부재(700)에는 세움목재(200)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가로목(300)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와이어(800)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각각 고정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방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정부재(700)는 옥상슬라브(100)의 바닥에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전면 좌우 및 후부 좌우가 각각 앵커결합되는 고정부(7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고정부(710)의 상부에는 와이어(80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7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방수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20)와 결합부(720)에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800)의 중간부위에는 와이어(800)의 장력상태를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력조절장치(9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방수 시공방법.
KR1020170079934A 2017-06-23 2017-06-23 옥상방수 시공방법 KR10187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34A KR101873684B1 (ko) 2017-06-23 2017-06-23 옥상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34A KR101873684B1 (ko) 2017-06-23 2017-06-23 옥상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84B1 true KR101873684B1 (ko) 2018-07-02

Family

ID=6291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934A KR101873684B1 (ko) 2017-06-23 2017-06-23 옥상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230B1 (ko) 2020-01-08 2020-06-16 김동우 철판수밀기능을 갖는 옥상의 방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20B1 (ko) * 2007-07-11 2009-03-04 이영갑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01581A (ko) * 2011-06-27 2013-01-04 구형용 건축구조물의 옥상 방수구조
KR20140140469A (ko) * 2013-05-29 2014-12-09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KR20170025466A (ko) * 2015-08-28 2017-03-08 구형용 지붕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20B1 (ko) * 2007-07-11 2009-03-04 이영갑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01581A (ko) * 2011-06-27 2013-01-04 구형용 건축구조물의 옥상 방수구조
KR20140140469A (ko) * 2013-05-29 2014-12-09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KR20170025466A (ko) * 2015-08-28 2017-03-08 구형용 지붕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230B1 (ko) 2020-01-08 2020-06-16 김동우 철판수밀기능을 갖는 옥상의 방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670A (en) Double roofing roof structure
US9068762B2 (en) Roof tile
US3918226A (en) Thermoplastic heat responsive fire vent apparatus
US10626616B2 (en) Reverse ballasted roof system
US20130186017A1 (en) Solar panel support structure
KR101873684B1 (ko) 옥상방수 시공방법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JP2655826B2 (ja) 二重葺き屋根構造
JP2002371677A (ja) 太陽光発電アレーシステム
JP2505995B2 (ja) 盤状の屋根材を用いた屋根
JP2592400B2 (ja) 建築物の屋根の棟構造
JP6912195B2 (ja) 太陽光発電装置を備えた屋根構造
IES20020262A2 (en) A roof edging strip
JP2004107908A (ja) 長尺屋根板の配設構造
KR100650949B1 (ko)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KR20200123673A (ko) 지붕패널
JP2557142B2 (ja) 二重葺き屋根構造
JP2939498B2 (ja) パラペットの換気装置
JPH0310258Y2 (ko)
JPH09111961A (ja) 縦葺き外装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506010B2 (ja) 屋根材の継手並びに該継手を用いた屋根構造
JPH0251024B2 (ko)
JP2006316460A (ja) 屋根用パネル材
JPH01304247A (ja) 防水屋根
JPH07150691A (ja) 屋根の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