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949B1 -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 Google Patents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0949B1 KR100650949B1 KR1020060077953A KR20060077953A KR100650949B1 KR 100650949 B1 KR100650949 B1 KR 100650949B1 KR 1020060077953 A KR1020060077953 A KR 1020060077953A KR 20060077953 A KR20060077953 A KR 20060077953A KR 100650949 B1 KR100650949 B1 KR 100650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pad
- base member
- rooftop
- outer base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 E04D2015/042—Fixing to the roof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층에 위치되어 옥상난간벽에 밀착되는 사각틀체로 내측단은 상부로 수직절곡되고, 옥상난간벽에 고정못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모서리부와 중간부에는 선단이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삽입공을 갖는 체결구가 체결고정되는 판체인 외곽베이스부재와; 상기 외관베이스부재의 내측단 내측의 옥상슬라브층에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와; 하부에는 상기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가 안착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하부선단부는 상기 외곽베이스부재 내측단과 밀착되는 밀착요부가 형성되며, 하부선단에는 톱니형수분방지구가 체결되어 톱니형수분방지구의 하단이 외곽베이스부재의 내측면과 밀착 밀폐되고, 상면에는 사방과 대각선방향으로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접착층이 도포된 하부고무패드와; 상기 하부고무패드의 삽입요부에 삽입되어 양단이 수직절곡되어 체결구의 삽입공을 관통하고, 삽입공 상단에서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승하강 가변고정바와; 상기 하부고무패드의 삽입요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개재한 상태로 하부고무패드의 접착층에 접착고정되는 상부고무패드를 구비하는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옥상 슬라브층 상부면에 추가 설치하여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옥상 슬라브의 온도변화에 상응하는 신장 및 수축작용을 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서 옥상의 방수기능과 더불어 방음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로우 패널과 슬라브면의 밀착을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통해 수시로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곽베이스부재,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 하부고무패드, 승하강가변고정바, 상부고무패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곽베이스부재 11 : 체결구
12 : 삽입공 13 : 고정못
20 :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 30 : 하부고무패드
31 : 삽입요홈 32 : 밀착요부
33 : 톱니형수분방지구 34 : 삽입요부
35 : 접착층 40 : 승하강 가변고정바
41 : 체결너트 50 : 상부고무패드
51 : 삽입홈 60 : 옥상슬라브홈
61 : 옥상난간벽
본 발명은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 슬라브층 상부면에 추가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옥상 슬라브의 온도변화에 상응하는 신장 및 수축작용을 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서 옥상의 방수기능과 더불어 방음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로우 패널과 슬라브면의 밀착을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통해 수시로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옥상 슬래브는 여름철 60~70℃, 겨울철 영하 10℃ 이하의 온도로 팽창과 수축이 해마다 반복되어 3~4년경부터는 슬래브 곳곳에 1㎜ 이상의 균열이 발생하고 슬래브 표면 곳곳이 파이거나 손상된다.
그러므로 옥상 방수처리는 누수 차단뿐 아니라 옥상 슬래브층을 보호하여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있으며, 따라서 옥상 방수처리 시공 방법으로는 옥상의 슬래브층에 단열재를 얻고 그 위에 몰탈층과 방수층으로 구성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인 시공 방법이다.
그러나, 옥상에 사용하는 도막 방수층은 그 두께가 1~2㎜ 내외로 여름철과 겨울철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고 이로 인해 방수층 자체가 균열 되어 방수처리를 하여도 몇 년 후에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이 오래된 경우 기존의 방수층을 걷고 방수처리를 다시 하고 있으나 시공비가 비싸서 대부분 기존의 방수층에 덧씌우는 재시공을 하여 건물 자체의 하중을 증가시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학술적으로도 완벽한 단열층은 정지된 공기, 즉 현실적으로 반영구적인 단열효과를 지녀 수축과 팽창을 견디는 방수재료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방수제 성분 자체로는 우수한 도막성을 가지고 있어 시공시 조건만 제대로 갖춘다면 그 사용 수명을 수년 이상 연장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시공시 콘크리트가 상온 20~25도℃에서 20여일간 건조되어 표면습도가 5%이하 상태를 이뤄야 하는데 4계절이 확실한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이 시공조건을 맞추기 어려워 대부분 주먹구구식 방수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외곽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정 두께의 방수 실리콘 패드와; 상부에 상기 방수 실리콘 패드의 삽입 설치를 이룰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외곽에는 볼트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사방에는 전,후,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소형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러버재의 가변 판넬과; 상부에는 상기 가변 판넬의 하부 사방에 설치된 소형 캐스터의 삽입 설치와 더불어 가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십자형 홈부와 옥상 슬라브층에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앙카 볼트의 삽입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앙카공이 수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외곽에는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판과; 내측은 상기 베이스판의 고정홈에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된 절곡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은 옥상의 외측을 마감하는 벽체와의 면접을 이룰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된 절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면의 내측면에는 연결 걸림돌기가 일체 로 형성되어 있는 마감 방수부재와; 내측면에는 상기 마감 방수부재의 연결 걸림돌기에 걸림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부로 관통되어 있는 앙카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옥상 방수 판넬 구조가 2005년 10월 31일자 특허등록 제10-0525010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옥상 방수구조는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태양광선에 의해서 크랙이 발생되고, 방수판넬이 들뜨는 형상이 발생되어 방수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옥상 슬라브층 상부면에 추가 설치하여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옥상 슬라브의 온도변화에 상응하는 신장 및 수축작용을 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서 옥상의 방수기능과 더불어 방음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로우 패널과 슬라브면의 밀착을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통해 수시로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층에 위치되어 옥상난간벽에 밀착되는 사각틀체로 내측단은 상부로 수직절곡되고, 옥상난간벽에 고정못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모서리부와 중간부에는 선단이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삽입공을 갖는 체결구가 체결고정되는 판체인 외곽베이스부재와;
상기 외관베이스부재의 내측단 내측의 옥상슬라브층에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와;
하부에는 상기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가 안착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하부선단부는 상기 외곽베이스부재 내측단과 밀착되는 밀착요부가 형성되며, 하부선단에는 톱니형수분방지구가 체결되어 톱니형수분방지구의 하단이 외곽베이스부재의 내측면과 밀착 밀폐되고, 상면에는 사방과 대각선방향으로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접착층이 도포된 하부고무패드와;
상기 하부고무패드의 삽입요부에 삽입되어 양단이 수직절곡되어 체결구의 삽입공을 관통하고, 삽입공 상단에서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승하강 가변고정바와;
상기 하부고무패드의 삽입요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개재한 상태로 하부고무패드의 접착층에 접착고정되는 상부고무패드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 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은, 옥상 슬라브층(60)에서 옥상난간벽(61)에 밀착되는 외곽베이스부재(10)와, 외곽베이스부재(10) 내측에 배열되는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와,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를 감싸면서 외곽베이스부재(10)에 밀착되는 하부고무패드(30)와, 하부고무패드(30)를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에 밀착시키는 승하강 가변고정바(40)와, 하부고무패드(30) 상면에 접착고정되는 상부고무패드(50)로 구성된다.
상기 외곽베이스부재(10)는 옥상슬라브층(60)에 위치되어 옥상난간벽(61)에 밀착되는 판체인 사각틀체로, 내측단은 상부로 수직절곡되고, 옥상난간벽(61)에 고정못(13)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모서리부와 중간부에는 선단이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삽입공(12)을 갖는 체결구(11)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는 상기 외관베이스부재(10)의 내측단 내측의 옥상슬라브층(6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무패드(30)는 하부에는 상기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가 안착되는 삽입요홈(31)이 형성되고, 하부선단부는 상기 외곽베이스부재(10) 내측단 과 밀착되는 밀착요부(32)가 형성되며, 하부선단에는 톱니형수분방지구(33)가 체결되어 톱니형수분방지구(33)의 하단이 외곽베이스부재(10)의 내측면과 밀착 밀폐되고, 상면에는 사방과 대각선방향으로 삽입요부(34)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접착층(35)이 도포된다.
상기 승하강 가변고정바(40)는 상기 하부고무패드(30)의 삽입요부(31)에 삽입되어 양단이 수직절곡되어 체결구(11)의 삽입공(12)을 관통하고, 삽입공(12) 상단에서 체결너트(41)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상기 상부고무패드(50)는 상기 하부고무패드(30)의 삽입요부(31)에 대응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가변고정바(40)를 개재한 상태로 하부고무패드(30)의 접착층(35)에 접착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홈(60)의 옥상난간벽(61)에 외곽베이스부재(10)를 고정못(13)으로 고정시킨 다음, 외곽베이스부재(10) 내측의 옥상슬라브홈(60)에 다수개의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를 배열시킨다.
그 상태에서 삽입요홈(31)에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20)를 위치시키면서 밀착요부(32)를 외곽베이스부재(10)의 내측단과 밀착시키며, 하부선단의 톱니형수분방지구(33) 하단이 외곽베이스부재(10) 내측단과 밀착시킨 다음, 승하강 가변고정바(40)를 하부고무패드(30)의 상측 삽입요부(34)에 안착시키고, 승하강 가변고정바(40)의 양단을 외곽베이스부재(10)의 체결구(11) 삽입공(12)에 체결너트(41)로 체결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삽입요부(34)에 대응되게 삽입홈(5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고무패드(50)를 하부고무패드(30)의 상부 접착층(35)에 접착고정시키면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층(60)에 내리쬐는 태양 빛에 의해서 상부고무패드(50)만이 크랙이 가고, 내부의 하부고무패드(30)는 전혀 이상없이 옥상슬라브층(60)에 승하강 가변고정바(40)에 의해서 밀착고정된다. 승하강 가변고정바(40)에 의해서 하부고무패드(30)는 옥상슬라브층(60)에서 들뜨지 않고 완강히 고정밀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옥상 슬라브층 상부면에 추가 설치하여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옥상 슬라브의 온도변화에 상응하는 신장 및 수축작용을 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서 옥상의 방수기능과 더불어 방음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로우 패널과 슬라브면의 밀착을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통해 수시로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 옥상슬라브층에 위치되어 옥상난간벽에 밀착되는 사각틀체로 내측단은 상부로 수직절곡되고, 옥상난간벽에 고정못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모서리부와 중간부에는 선단이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삽입공을 갖는 체결구가 체결고정되는 판체인 외곽베이스부재와;상기 외관베이스부재의 내측단 내측의 옥상슬라브층에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와;하부에는 상기 실리콘재 반호형충격흡수부재가 안착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하부선단부는 상기 외곽베이스부재 내측단과 밀착되는 밀착요부가 형성되며, 하부선단에는 톱니형수분방지구가 체결되어 톱니형수분방지구의 하단이 외곽베이스부재의 내측면과 밀착 밀폐되고, 상면에는 사방과 대각선방향으로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접착층이 도포된 하부고무패드와;상기 하부고무패드의 삽입요부에 삽입되어 양단이 수직절곡되어 체결구의 삽입공을 관통하고, 삽입공 상단에서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승하강 가변고정바와;상기 하부고무패드의 삽입요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가변고정바를 개재한 상태로 하부고무패드의 접착층에 접착고정되는 상부고무패드를 구비하는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7953A KR100650949B1 (ko) | 2006-08-18 | 2006-08-18 |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7953A KR100650949B1 (ko) | 2006-08-18 | 2006-08-18 |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0949B1 true KR100650949B1 (ko) | 2006-11-30 |
Family
ID=3771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7953A KR100650949B1 (ko) | 2006-08-18 | 2006-08-18 |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094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95960A (ja) * | 1990-04-13 | 1991-12-26 | Misawa Homes Co Ltd | 庇状部用防水パン |
JP2000199265A (ja) | 1999-01-05 | 2000-07-18 | Daiwa Danchi Kk | ガ―デン用区画防水構造及びガ―デン構造 |
KR20020024983A (ko) * | 2000-09-27 | 2002-04-03 | 이창남 |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
KR100525010B1 (ko) | 2005-08-24 | 2005-10-31 | (주)천도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옥상 방수 판넬 구조 |
-
2006
- 2006-08-18 KR KR1020060077953A patent/KR1006509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95960A (ja) * | 1990-04-13 | 1991-12-26 | Misawa Homes Co Ltd | 庇状部用防水パン |
JP2000199265A (ja) | 1999-01-05 | 2000-07-18 | Daiwa Danchi Kk | ガ―デン用区画防水構造及びガ―デン構造 |
KR20020024983A (ko) * | 2000-09-27 | 2002-04-03 | 이창남 |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
KR100525010B1 (ko) | 2005-08-24 | 2005-10-31 | (주)천도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옥상 방수 판넬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81473B2 (en) | Deck-sealing surround for skylights and windows | |
RU2385392C2 (ru) |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 |
US20190161963A1 (en) | Temporary wall element | |
US20070193201A1 (en) | Shower reces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RU2154716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листовой обшивки, основанная на решетчатой системе, и метод для ее установки | |
KR100650949B1 (ko) | 건축용 옥상 방수시설 | |
KR900008324B1 (ko) | 평지붕 구조물 | |
KR101616500B1 (ko) | 옥상 슬라브용 조립식 방수 단열 구조체 | |
CN214531710U (zh) | 一种室内地面伸缩缝铺贴结构 | |
KR100609472B1 (ko) |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 |
KR101873684B1 (ko) | 옥상방수 시공방법 | |
KR100609471B1 (ko) |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 |
IT201700004592A1 (it) | Staffa di ancoraggio per coperture. | |
KR100525010B1 (ko) | 건축용 옥상 방수 판넬 구조 | |
KR100525195B1 (ko) |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 |
EP3404155A1 (en) | A balcony or an attached terrace | |
TW202033875A (zh) | 防水窗結構 | |
KR100609475B1 (ko) |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 |
KR101174043B1 (ko) |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및 건축 구조물의 신설 지붕 건축 방법 | |
WO2022083016A1 (en) | Floor frame | |
KR100696616B1 (ko) | 건축 외장재 상부 고정장치 | |
KR100672234B1 (ko) | 마루바닥 시공방법 및 그 마루바닥 구조 | |
FI59141B (fi) | Prefabricerat plaotbeslag foer anordnande av takgenomgaongar i takpanneklaedda yttertak | |
JP2011122402A (ja) | 太陽光パネルの平板状支持瓦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パネルの設置方法 | |
KR200273595Y1 (ko) | 외장용 단열타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