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95Y1 - 외장용 단열타일 - Google Patents

외장용 단열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95Y1
KR200273595Y1 KR2020020003988U KR20020003988U KR200273595Y1 KR 200273595 Y1 KR200273595 Y1 KR 200273595Y1 KR 2020020003988 U KR2020020003988 U KR 2020020003988U KR 20020003988 U KR20020003988 U KR 20020003988U KR 200273595 Y1 KR200273595 Y1 KR 200273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resent
exterior
insulating material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식
Original Assignee
신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식 filed Critical 신주식
Priority to KR2020020003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95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등의 외벽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의 일종인 외장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일의 이면에 단열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우수한 단열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건식접착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더욱 향상시킨 외장용 단열타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장용 단열타일{An insulating tile using to external ornament}
본 고안은 건축물등의 외벽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의 일종인 외장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일의 이면에 단열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우수한 단열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건식접착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더욱 향상시킨 외장용 단열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타일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재형태의 것으로서, 외면은 매끄러운 장식면으로 형성되고, 그 이면은 모르타르가 접착되어서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기 쉽도록 일정한 요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타일을 사용할 경우는 건축물의 외벽에 모르타르를 바른 후, 타일을 부착하는 습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시공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벽면의 위치에 따라 또한 부착시간에 따라 모르타르의 점도 및 함수량 등이 다르게 되어 부착된 타일은 그 부착상태가 동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타일의 부착 후에도 부분적으로 타일의 부착부분이 이탈되어 타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보면, 콘크리트(또는 조적)로 전체적인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틀을 성형한 후에, 상기 외벽의 안쪽으로 단열재를 대고 그 안쪽으로 다시 내벽을 조적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축조하고 있다.
따라서, 그 시공방법이 번거롭고 공기가 장기화되며, 필요 이상으로 원자재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열재를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여야 하나, 이러한 경우는 그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단열재 위에는 종래와 같은 습식공법에 의한 외장용 타일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사용할 경우는 단열의 문제 뿐만 아니라, 비용이 고가이고, 그 하중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습식공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체에 단열재를 일체로 갖도록 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외장용 타일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타일 2: 접착제
3: 단열재 4: 실리콘
5: 백업제 6,6`: 앵커
7: 고정핀 8: 볼트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외장용 타일에 있어서;
상기 타일(1)의 이면에는 접착제(2)가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의 이면에는 단열재(3)가 부착되어 타일과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타일(1)은 종래에 사용되는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갖는 통상적인 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는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성이나 비용등을 고려하면 스티로폼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유리섬유나 우레탄폼등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정한 모양과 크기로 소성되는 타일(1)의 이면에 접착제(2)를 바른 후, 상기 접착제(2)에 상기 타일(1)과 동일한 평면모양을 갖는 단열재(3)를 부착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건식방법을 사용하여 시공되게 된다. 이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9)에 L형의 앵커(6`)를 볼트(8)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앵커(6`)의 타단부에 제2의 앵커(6)를 볼트(11)등을 사용하여 결합한후, 상기 앵커(6)의 단부에 본 고안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앵커(6)의 단부 상면에 그 하단이 지지되어 얹혀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두개의 앵커(6,6`)는 일체로 하나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타일(1)의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앵커(6)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앵커(6)의 바깥쪽 선단이 본 고안의 타일(1)의 일부를 받칠 수 있도록 , 상기 타일의 이어지는 경계부의 틈새는 백업제(5)와 실리콘(4)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상기 백업제(5)를 앵커(6)의 선단부의 전방의 틈새로 삽입하여 안쪽에 충진하고, 틈새의 바깥쪽에는 실리콘(4)을 발라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백업제나 실리콘의 처리는 기존의 통상적인 시공법이므로 작업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할 경우, 앵커(6)의 상하에 두개의 본 고안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게 되고,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용 단열타일은 상기 앵커(6)에 받혀져서 안정되게 지지되며,
이때,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개의 외장용 단열타일의 단열재(3)에 삽입되는 고정핀(7)을 상기 앵커(6)의 선단부에 고착시킨다.
상기 고정핀(7)은 앵커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그 상단부는 상부의 외장용 단열타일의 단열재의 하부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하부의 외장용 단열타일의 단열재의 상부에 삽입되어, 본 고안은 서로 인접하는 단열재끼리 서로 고정됨은 물론, 앵커(6)와도 고정되게 되어 전체적으로 매우 견고히 부착되어 설치되게 된다.
도4는 상기와는 다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앵커(6)가 본 고안의 단열재(3)에 직접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시공한 것이다.
이때 상기 단열재(3)에 삽입되는 앵커(6)의 선단부에는 접착제(10)를 도포하여 상기 단열재(3)에 삽입되는 앵커(6)와 단열재가 서로 견고히 결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건식 시공법을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타일 자체에 단열재를 형성하여 외장재와 단열재의 기능을 동시에 겸비하게 되며, 한번의 시공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장처리와 단열처리를 할 수 있게하여 건축물의 전체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은 석재보다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하며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단열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제비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타일 이면에 단열재가 형성되어 건식공법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방음과 방습이 우수하고, 단열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외장용 타일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의 이면에는 단열재가 부착되어 타일과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단열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스티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단열타일.
KR2020020003988U 2002-02-07 2002-02-07 외장용 단열타일 KR200273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988U KR200273595Y1 (ko) 2002-02-07 2002-02-07 외장용 단열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988U KR200273595Y1 (ko) 2002-02-07 2002-02-07 외장용 단열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95Y1 true KR200273595Y1 (ko) 2002-05-03

Family

ID=7307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988U KR200273595Y1 (ko) 2002-02-07 2002-02-07 외장용 단열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23301B1 (ko) * 2015-03-11 2016-05-20 박혜경 건축물의 외벽을 단열과 동시에 마감하는 마감재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23301B1 (ko) * 2015-03-11 2016-05-20 박혜경 건축물의 외벽을 단열과 동시에 마감하는 마감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3523B2 (en) Insulated wall panel
KR100804825B1 (ko) 욕실용 건식벽체 시공방법
KR101937711B1 (ko) 마감재 건식시공 시스템
CN217580989U (zh) 一种装配式内装整体卫浴结构
EA015475B1 (ru) Алюминиевая фас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внешним видом кирпича или керамики
KR200273595Y1 (ko) 외장용 단열타일
CN201190388Y (zh) 一种通过内螺纹和后加锚栓固定的建筑外墙保温装饰板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KR20190124896A (ko) 벽체패널 고정장치
KR2009000381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210564B1 (ko) 세라믹 타일 퍼티 공법
CN203669258U (zh) 装饰墙面的保温板件
CN206888215U (zh) 一种外墙保温系统
KR100249940B1 (ko) 스티로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용스티로폴 외장벽재
KR102152849B1 (ko) 연장된 결착부재의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20160047264A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160015953A (ko) 타일 고정 장치
KR102428858B1 (ko) 프레임 일체형 단열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 방법
CN215716810U (zh) 保温装饰一体化板及卡槽压网件和安装结构
KR200443690Y1 (ko) 조립식 월-패널
CN212336506U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薄板建筑结构
KR102255185B1 (ko)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CN208280344U (zh) 一种新型围护墙体结构
GB2468161A (en) A cladding element with integral hook-shaped mount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