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247B1 -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247B1
KR101873247B1 KR1020160105969A KR20160105969A KR101873247B1 KR 101873247 B1 KR101873247 B1 KR 101873247B1 KR 1020160105969 A KR1020160105969 A KR 1020160105969A KR 20160105969 A KR20160105969 A KR 20160105969A KR 101873247 B1 KR101873247 B1 KR 10187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utoantibody
protein
atcay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440A (ko
Inventor
전재필
심성미
송지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0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247B1/ko
Priority to PCT/KR2017/004836 priority patent/WO2018038352A2/ko
Publication of KR2018002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 G01N2800/2821Alzheim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 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상인에 비하여 치매 환자의 혈액 내에서 그 양이 특이적으로 증가하여 치매를 진단할 수 있는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NME7(NME/NM23 Family Member 7) 및 NOL3(Nucleolar Protein 3)를 각각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이를 인식하는 항원을 포함한 치매 진단용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매 진단용 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 ATCAY, NME7 및 NOL3의 자가항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 키트는 환자의 혈액을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치매를 진단할 수 있어 치매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Potential autoantibody biomarkers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dementia}
본 발명은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질환(Alzheimer's disease)은 나이와 관련된 신경퇴행성 질환 중에 가장 대표적인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치매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질병이며,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알츠하이머질환 환자는 신경세포 소실로 인해 전반적 뇌 위축 소견을 나타내며, 뇌 조직에서 특징적인 병변인 신경반(neuritic plaque)과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 등이 관찰된다. 이러한 뇌 병리 소견은 질병 초기에는 주로 기억력을 담당하는 주요 뇌 부위인 해마와 내후각뇌피질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지만 점차 뇌 전체로 확장되어 초기에는 기억력 저하가 주로 나타나다가 병이 진행됨에 따라 언어능력, 사고판단력, 일상생활수행능력 등이 저하되고 정신이상행동 등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나면서 중증으로 발전한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 기전과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현재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가 과량 만들어져 뇌에 침착되면서 뇌 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발병의 핵심 기전으로 생각되나, 그 외에도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의 과인산화, 염증, 산화적 손상 등도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경반(혹은 노인반)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과 관련되며, 신경섬유다발은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와 연관이 있다.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기능, 특히 기억력이 저하되어 있지만,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유지하고 있는 치매의 전단계를 지칭한다. 경도인지장애가 나타나는 사람의 경우 알츠하이머병으로의 진행가능성이 매우 높은 고위험군으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병을 가장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로써 최근 새로운 유형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약물이 알츠하이머병의 말기보다 초기에 더욱 더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치료효과의 극대화와 관련하여 경도인지장애의 조기 발견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더구나 65세 이상의 남자의 경우 알츠하이머병의 유병률이 33%, 여자의 경우 45%에 이르며, 인구증가 및 의학의 발전으로 인한 평균수명의 증가와 함께 2040년 정도에는 전세계적으로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약 810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바 조기에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가능성이 높은 군을 선별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체계를 확립하는 것은 건강한 노후생활이라는 개인의 삶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경제적, 사회적 비용의 막대한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자가항체(auto-antibody)는 모든 인간의 혈액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가항체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항체는 자기 자신에 대항하는 (self-reactive) 항체로서 adaptive debris-clearance mechanism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자가면역질환의 경우에는, 자기 자신의 특정 세포나 조직 구성물에 대항하는 자가항체에 의해서 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자가항체와 알츠하이머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알려졌다. 예를 들어, PTCD2 (Pentatricopeptide repeat domain 2), FRMD8 (FERM domain containing 8)에 대한 자가항체들이 정상군에 비해 알츠하이머 환자 혈청에서 더 많이 존재하고, 항원에 결합되어 있는 Aß자가항체가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혈청과 뇌척수액에서 증가한다는 보고들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가항체가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과 발병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경도인지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은 주로 보호자를 통한 병력 청취 및 신경심리학적 평가, 인지테스트, 뇌영상검사등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들의 발병 유무 및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바이오마커는 혈액샘플로부터 쉽게 확인가능한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을 가진 환자가 일반적으로 고령임을 고려하면, 뇌척수액을 얻기 위한 요부천공(lumber puncture)은 그 잠재적 위험성이 크며 또한 보통의 중소형병원에서 실시하기가 적당하지 않다. 혈액샘플은 보통 가정이나 일반 병원에서 쉽고 안전하게 수득하여 검사가 가능하며, 여타 고가의 장비나 수술적 처치등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경도인지장애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및 발병 예측이 가능한 자가항체를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인간 단백질체 마이크로어레이(human proteome microarray)를 이용하여 정상인 경도인지장애환자 및 알츠하이머 환자의 혈청으로부터 자가항체를 프로파일링(profiling)하고 알츠하이머 질환 특이적인 자가항체를 선별하여 ELISA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NME7(NME/NM23 Family Member 7)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로 구성된 경도인지장애 진단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로 구성된 치매 진단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ATCAY, NME7 및 NOL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ATCAY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매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ATCAY, NME7 및 NOL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ATCAY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NME7(NME/NM23 Family Member 7)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로 구성된 경도인지장애 진단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로 구성된 치매 진단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TCAY, NME7 및 NOL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TCAY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매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NME7(NME/NM23 Family Member 7)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상기 단백질의 각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용 스트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상기 단백질의 각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용 스트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시지역(경기도 안산)을 대상으로 60세 이상의 정상인,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의 혈청을 얻어, 알츠하이머질환군에서 항-ATCAY IgG와 항-NME7 IgG 양(level)이 높게 나타나며, 경도인지장애군에서 항-PAIP2 IgG 양(level)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고, 항-PAIP2 IgG와 항-ATCAY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 항-NOL3 IgG와 항-NME7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의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기억형 경도인지장애(aMCI)의 위험이 높아짐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치매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알츠하이머병으로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을 미리 선별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할 기반을 제공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60세 이상의 한국인 노인 10명의 혈청 내 존재하는 자가항체의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Occurrence(빈도)는 전체 10명 중에서 양성자가항체(positive autoantibody)의 수를 의미한다.
도 2는 정상인 5명과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 5명의 자가항체 수를 비교한 도이다.
도 3은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질환군에서 혈청 샘플 내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을 나타낸 도이다.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est)을 수행한 결과, 세 그룹간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은 차이가 없었다(p=0.227).두번 반복해서 실험한 결과의 도이며, 각각의 점은 한 대상(subject)를 나타내고, 바(bar)는 평균 표준편차 오류(eroor)를 나타낸다.
도 4는 자가항체 양(level)을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한 후,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에 이들 자가항체 양(level)의 차이를 비교한 도이다. 각각의 점은 한 대상(subject)를 나타내고, 바(bar)는 평균 표준편차 오류(eroor)를 나타낸다.
도 5는 항-ATCAY IgG 양(level)과 MMSE 점수 및 K-MoCA 점수와의 연관성(correlation)을 나타낸 도이다:
A: 항-ATCAY IgG 양(level)과 MMSE 점수와의 연관성(correlation)을 나타낸 도; 및
B: 항-ATCAY IgG 양(level)과 K-MoCA 점수와의 연관성(correlation)을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NME7(NME/NM23 Family Member 7)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ME7(NME/NM23 Family Member 7) 은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OL3(Nucleolar Protein 3)은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는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ME7(NME/NM23 Family Member 7)은 서열번호 5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OL3(Nucleolar Protein 3)는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매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상기 ATCAY, NME7 및 NOL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자가항체에 특이적인 항원 기질과의 반응에 의해서 발색하는 표지체가 접합된 2차 항체 접합체(Conjugate); 상기 표지체와 발색반응 할 발색기질 용액 세척액 또는 효소반응 정지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TCAY, NME7 및 NOL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은 고체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체기판은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PVDF 막, 폴리비닐(Polyvinyl)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차 항체는 발색반응을 하는 통상의 발색제로 표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HRP(Horseradish peroxidase),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콜로이드 골드(Coloid gold), FITC(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RITC(Rhodamine-B-isothiocyanate) 등의 형광물질(Fluorescein) 및 색소(Dy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지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색을 유도하는 기질은 TMB(3,3',5,5'-tetramethyl bezidine),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및 OPD(o-phenylenediamin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는 상기 항원항체 결합 반응 및 검출체의 결합반응 후, 남은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액은 인산염 완충용액, NaCl 및 트윈 20(Tween 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2 M 인산염 완충용액, 0.13 M NaCl, 및 0.05% 트윈 20(Tween 20)으로 구성된 완충용액(PBST)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세척액은 항원항체 결합반응 후 항원항체 결합체에 검출체를 반응시킨 다음 적당량을 고정체에 가하여 3 내지 6회 세척한다. 반응 정지용액은 바람직하게는 황산 용액(H2SO4)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1) ATCAY, NME7 및 NOL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이 코팅된 고정체에 피검체 유래 시료를 가하여 항원-항체 반응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항원-항체 반응물을 발색기질 용액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검출된 자가항체량이 정상인에 비해 증가된 피검체를 경도인지장애에 걸렸거나 걸릴 가능성이 있는 개체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ATCAY 단백질이 코팅된 고정체에 피검체 유래 시료를 가하여 항원-항체 반응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항원-항체 반응물을 발색기질 용액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검출된 자가항체량이 정상인에 비해 증가된 피검체를 치매에 걸렸거나 걸릴 가능성이 있는 개체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검체 유래 시료는 인간의 혈청, 혈장 및 혈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체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PVDF 막, 폴리비닐(Polyvinyl)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 글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항원-항체 반응은 효소면역분석법, 방사능면역분석법, 샌드위치 측정법, 웨스턴 블롯팅, 면역침강법, 면역조직화학염색법, 형광면역법, 효소기질발색법, 항원-항체 응집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NME7(NME/NM23 Family Member 7)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상기 단백질의 각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용 스트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상기 단백질의 각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용 스트립을 제공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이며, 상기 반응막은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스, PVDF(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fone), 유리섬유 또는 나일론이며, 상기 흡수패드는 셀룰로오스, 무명 또는 친수다공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도시지역(경기도 안산)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에 수집된 60세 이상의 정상인,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의 혈청을 얻어, 교육 점수, MMSE 점수, CDR 점수 및 apoE의 유전자형 분석을 하여, 교육 점수 및 MMSE 점수는 경도인지장애 환자그룹와 알츠하이머병 환자그룹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CDR 점수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증가하였고, apo E4 대립 유전자의 비율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60세 이상의 한국인 노인 10명의 혈청 내 존재하는 자가항체의 종류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HuProt proteome microarray 데이터로부터 자가항체 프로파일(profile)을 분석하여, 자가항체 양성 신호(signal)를 보이는 단백질 프로브(probe)들은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분자들을 제외하고 총 434개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가 검출되었고, 총 434개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 중 269개(62%)의 자가항체는 개인특이적(individual-specific)이었고, 5개(1.2%)의 자가항체는 모든 혈청에서 검출됨을 확인하였다(도1 및 표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 많이 존재하는 자가항체(AD-abundant autoantibody)를 탐색하기 위해 HuProt proteome microarray 데이터로부터 정상인 5명과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 5명의 자가항체 프로파일(profile)을 비교 및 분석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평균 자가항체 개수는 정상인에 비해 1.5배 많으며(도 2 참조),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서 많이 존재하는(AD-abundant) 자가항원은 PAIP2, SURF5, HIST1H3F 및 C4orf40 임을 확인하였고(표 3 참조), DAVID(Database for Annotation, Visualization and Integrated Discovery)를 사용한 기능(functional enrichment)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서 많이 존재하는 항원들은 막이 없는 것과 결합한 세포소기관(non-membrane bounded organelle)과 단백질 위치(protein localization)와 연관성이 높으며, ErbB 신호전달경로(signaling pathway)와 관련된 항원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표 4 및 표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HuProt proteome microarray를 수행하여 자가항체 양성 신호를 나타내는 단백질 프로브(probe) 중에서 12개의 단백질 프로브(probe)들을 선별하고, 상기와 같이 선별된 12개 항원단백질에 대하여 성별과 나이(±2)를 매칭한 정상과 치매환자 각각 5명으로 구성된 발굴용 샘플(discovery set)에서 간접효소면역측정법(indirect ELISA assay)을 이용하여, 이들 12개 항원단백질 중 ATCAY, HIST1H3F, NME7, NOL3, PAIP2에 대한 자가항체 ELISA AU 값과 칩 데이터 간에 유의적으로 높은 연관성(correlation)을 확인하였다(표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자가항체 ELISA AU 값과 칩 데이터 간에 유의적으로 높은 연관성(correlation)을 보인 ATCAY, HIST1H3F, NME7, NOL3, PAIP2 5개 항원의 자가항체들이 알츠하이머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성별과 나이를 매칭한 정상군, 기억형 경도인지장애군(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및 알츠하이머 환자군 각각 44명으로 구성된 검증용 샘플(validation sample set)에서 간접효소면역측정법(indirect ELISA assay)을 이용하여, 항-ATCAY 자가항체 IgG 양(level)과 항-NME7 자가항체 IgG 양(level)이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MCI), 알츠하이머질환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표 8 참조), 특히 항-ATCAY IgG 양(level)은 정상인지군에 비해 알츠하이머질환그룹에서 높게 나타나며, 항-NME7 IgG 양(level)은 알츠하이머질환그룹에 비해 경도인지장애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항-PAIP2 IgG 양(level)은 정상인지군에 비해 경도인지장애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질환군의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이 자가항체 양(level)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혈청 샘플 내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을 직접효소면역측정법(indirect ELISA assay)으로 측정하여, 혈청 내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은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질환군 세 그룹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도 3 참조), ATCAY, HIST1H3F, NME7, NOL3, PAIP2 5개 자가항체 양(level)과는 모두 유의적으로 양의 연관을 보였으며, 특히 항-NME7 IgG 양(level)은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과 높은 연관성(rs=0.473, p<0.001)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9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자가항체 양(level)을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한 후,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에 이들 자가항체 양(level)의 차이를 비교하여, 정상인지군과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의 항-ATCAY IgG 양(level)차에 대한 유의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간이정신상태검사인 MMSE 점수와, 경도인지장애 검진을 위한 K-MoCA 점수 및 CDR 점수로 MMSE 점수와 K-MoCA 및 CDR 점수와의 연관성(correlation)을 스피어맨 순위 상관 시험(Spearman rank correlation test)을 통해 확인하여, 항-ATCAY IgG 양(level)과 인지기능이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참조).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에 자가항체의 양성탐지 빈도(occurrence)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위험도평가(risk assessment)를 실시하여, 항-PAIP2 IgG와 항-ATCAY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 항-NOL3 IgG와 항-NME7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의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기억형 경도인지장애(aMCI)의 위험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표 10 참조).
따라서, 알츠하이머질환군에서 항-ATCAY IgG 양(level)이 높게 나타나며, 경도인지장애군에서 항-NME7 IgG, 항-NOL3 IgG 및 항-PAIP2 IgG 양(level)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고, 항-PAIP2 IgG와 항-ATCAY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 항-NOL3 IgG와 항-NME7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의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기억형 경도인지장애(aMCI)의 위험이 높아짐을 확인하여, PAIP2, ATCAY, NOL3, NME7, HIST1H3F의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가 기억형 경도인지장애(aMCI) 또는 알츠하이머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상인, 경도인지장애 환자,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통계학적 자료 및 apoE 유전자형 분석
도시지역(경기도 안산)을 대상으로 population-based geriatric cohort study를 위해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에 수집된 60세 이상의 정상인,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의 혈청을 얻어, 상기 샘플을 discovery set(발굴용 샘플)과 validation set으로 구성하였다. discovery set(발굴용 샘플)은 인간 단백질체 마이크로어레이(human proteome microarray)를 이용한 자가항체 프로파일링을 위하여 성별과 나이(±2)를 매칭한 정상과 치매환자 각각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검증용 샘플(validation set)은 AD-abundant 자가항체의 검증(validation)을 위하여 성별과 나이를 매칭한 정상군, 기억형 경도인지장애군(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및 알츠하이머 환자군 등 3그룹별로 각각 44명을 포함하였다. 상기 환자그룹에 대해 성별, 나이, 교육 점수(education score),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및 apo E(Apolipoprotein E)의 유전자형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문지를 통해 환자의 교육 점수를 수집하였으며, 설문 항목은 초(6년), 중(3년), 고(3년), 대학교(4년), 대학원(2년) 순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체 교육연수를 합하여 기재하도록 하여 수치화하였다. 치매 진단은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IV) 제시한 기준을 따랐으며, 경도인지장애는 Petersen/Winblad criteria를 따랐다. 신경정신학적 검사로는 간이정신상태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와 몬트리올 인지평가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가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MMSE-KC (Korean version of MMSE in the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와 K-MoCA를 사용하였다. MMSE 점수는 중도인지장애의 경우 0~19점,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20~23점, 정상인의 경우 24~30점으로 그 정도에 따라 수치화하였다. 치매임상평가척도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CDR)는 최성혜 등 (2001)에 의하여 번안된 한국판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CDR 점수의 경우, 정상의 경우는 0점, 치매가 의심스러운 경우 0.5점, 경도치매의 경우 1점, 중증 치매의 경우 2점 이상으로 수치화하였다. ApoE 유전자형 분석은 SNaPshot system(Applied Biosystems, Forster City, CA, USA)을 이용하여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ApoE는 알츠하이머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대표적인 위험 유전자로 E4(ApoE4) 유전자형을 가지는 경우 우리나라에서 이 유전자형이 없는 사람에 비해 그 대립 유전자를 1개 가지고 있을 경우 약 2.7배, 2개 가지고 있는 경우 17.4배 정도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략히 그 분석 과정을 설명하면, 엑스텐션프라이머(extension primer)를 이용하여 1차 PCR 반응을 한 후, 합성에 이용되지 않는 프라이머와 dNTP를 제거하고 그 PCR 산물을 정제하였다. 그 산물은 다시 SNaPshot ready Reaction Mix 및 SNaPshot primer와 섞어 2차 PCR 반응을 수행하고 이 PCR 산물을 서열분석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교육 점수 및 MMSE 점수는 각각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가지면서 MCI 환자그룹와 알츠하이머병 환자그룹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CDR 점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가지면서 MCI 환자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증가하였고, apoE의 유전자형 분석결과, apo E4 대립 유전자의 비율이 MCI 환자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다(표 1).
[표 1]
정상인, MCI 환자,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통계학적 자료 및 apoE 유전자형 분석
Figure 112016081091011-pat00001
단백질체 마이크로어레이 ( proteome microarray )를 이용한 자가항 체(autoantibody) 분석
60세 이상의 한국인 노인 10명의 혈청 내 존재하는 자가항체의 종류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HuProt proteome microarray 데이터로부터 자가항체 프로파일(profile)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 혈청(serum)의 자가항체 프로파일을 조사하기 위해 19,000여개의 단백질 항원이 점적되어(spotted) 있는 HuProt microarray (CDI Laboratories, Baltimore, MD, USA)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점적된 단백질들은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GST-fusion protein으로 발현되었으며, 각각의 단백질들은 중복(duplicate)으로 찍혀있다. 마이크로어레이 실험방법은 제조사에서 제공한 매뉴얼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그 방법은 하기와 같다.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3ml blocking buffer[5% BSA in TBST (TBS, 0.1% tween 20)]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 시킨 후, 혈청 샘플을 블로킹버퍼(blocking buffer)로 1:500으로 희석하여 3ml을 칩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칩에 4ml TBST 버퍼를 첨가하여 10분간 실온에서 흔들어서(shaking incubation) 칩을 씻어주며, 이를 3회 반복한 후, 블로킹버퍼(blocking buffer)에 1:1000으로 희석한 Cy5-conjugated goat anti-human IgG (H+L) (Abcam, Cambridge, UK)를 3ml 처리하고, TBST로 3회 씻어주고 말린 뒤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GenePix 4000B Florescence scann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635nm 파장에서 스캐닝하여 이미지를 TIFF format으로 저장하였다.
스캐닝된 이미지는 GenePix Pro software 6.0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과 Huprot proteome microarray 제조사에서 제공한 GAL file을 이용하여 점적된 단백질 스팟(spot)들의 정보를 맞추고(align) 정량(quantitation)하였다. 스팟의 신호강도(Spot intensity signal)값은 F635 median(the median of all the feature pixel intensities) - B635 (the median of all the background pixel intensities)으로 정의하였고, 특정 단백질 프로브(probe)의 신호강도(intensity signal)값이 모든 프로브(probe)들의 신호강도(intensity signal)값의 3 시그마 (3 standard deviations)보다 클 경우 그 단백질 프로브(probe)를 자가항체 양성 신호(autoantibody positive signal)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 자가항체 양성 신호(signal)를 보이는 단백질 프로브(probe)들은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분자들을 제외하고 총 434개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가 검출되었고, 개인당 평균 82.0±41.1개의 자가항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총 434개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 중 269개(62%)의 자가항체는 개인특이적(individual-specific)이었고, 5개(1.2%)의 자가항체는 모든 혈청에서 검출됨을 확인하였다(도1 및 표 2).
[표 2]
60세 이상 한국인 노인의 혈청 내에 많이 존재하는 자가항체들
Figure 112016081091011-pat00002
알츠하이머 질환 연관 자가항체의 분석
<3-1>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자가항체 및 항원 확인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 많이 존재하는 자가항체(AD-abundant autoantibody)를 탐색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HuProt proteome microarray 데이터로부터 정상인 5명과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 5명의 자가항체 프로파일(profile)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평균 자가항체 개수는 98.0±39.9로 정상인 (66.0±39.6)에 비해 1.5배 많았으며(도 2),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서 많이 존재하는(AD-abundant) 자가항원은 PAIP2, SURF5, HIST1H3F 및 C4orf40 임을 확인하였다 (표 3). 또한 DAVID(Database for Annotation, Visualization and Integrated Discovery)를 사용한 기능(functional enrichment)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서 많이 존재하는 항원들은 유전자 생산물의 위치에 대하여 다루는 세포요소 온톨로지(GO cellular component)에서 막이 없는 것과 결합한 세포소기관(non-membrane bounded organelle)과 연관성이 높으며,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목적에 대하여 다루는 생물학적 과정 온톨로지(GO biological process)에서 단백질 위치(protein localization)와 연관성이 높으며, KEGG(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생화학 경로(pathway)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ErbB 신호전달경로(signaling pathway)와 관련된 항원단백질이 유의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4 및 표 5).
[표 3]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서 많이 존재하는 자가항원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3
[표 4]
DAVID를 사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들에서 자가항원의 enrichment 분석한 결과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4
[표 5]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에서 자가항체와 관련된 KEGG 경로(pathway)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5
<3-2> 정상과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들로 구성된 발굴용 샘플(discovery sample set)에서 자가항체의 검증
HuProt proteome microarray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성별과 나이(±2)를 매칭한 정상과 치매환자 각각 5명으로 구성된 발굴용 샘플(discovery set)에서 자가항체의 검증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uProt proteome microarray를 수행하여 자가항체 양성 신호를 나타내는 단백질 프로브(probe) 중에서 12개의 단백질 프로브(probe)들을 선별하였다. 첫번째로 5명으로 구성된 치매환자군에서 자가항체 occurrence가 3 이상 이면서 정상군과 occurrence가 2 이상 차이를 보여, 자가항체 존재 유무가 대조군과 환자군에서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자가항체 존재유무를 통해서 환자군과 대조군의 구분이 가능한 CHAC2, HIST1H3F, NOL3, PAIP2, RAB11FIP1 및 SURF5 프로브(probe)들을 선별하였으며, 두번째로 자가항체 존재유무보다는 자가항체 양(level)의 차이를 통해서 대조군과 환자군의 구분이 가능한 정상군이나 대조군의 구별없이 자가항체 occurrence가 7 이상을 보이는 ATCAY, CLC, GPBP1, SPANXN2 및 TPM3 프로브(probe)들을 선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알츠하이머 혹은 신경퇴행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기타 neuroimmunity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NME7 프로브(probe)와 같은 12개의 단백질 프로브(probe)를 선별하였다(표 6).
상기와 같이 선별된 12개 항원단백질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발굴용 샘플(discovery sample set)에서 간접효소면역측정법(indirect ELISA assay)을 이용하여 이들의 자가항체 레벨을 측정하였고 칩 데이터와의 연관성(correlation)을 비교하였다. 96-웰 플레이트 (Thermo Scientific, Roskilde, Denmark)에 상기와 같이 선별된 12개의 재조합단백질(recombinant protein) (표 6 참조)을 coating buffer (0.05M Carbonate/bicarbonate buffer, pH9.6: SIGMA)에 적당한 농도(1ug/ml)로 희석한 후, 희석한 재조합단백질(recombinant protein)을 각 웰당 100㎕씩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overnight) 반응시켰다. 그 후, 플레이트를 300㎕ PBST (PBS에 0.05% Tween 20을 첨가하여 제조)로 씻어 낸 후, 200㎕ blocking buffer (PBST에 5% 탈지분유를 첨가하여 제조)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시간 후, PBST로 씻어 내고 blocking buffer에 1:50으로 희석한 혈청 샘플 희석액 50㎕를 웰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시간 후, 플레이트를 PBST로 씻어내고 blocking buffer에 1:5000으로 희석한 HRP가 접합된 이차 항체(HRP-conjugated goat anti-human IgG H&L: Abcam, Cambridge, UK) 100㎕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PBST로 씻어내고 웰에 100㎕ TMB (Invitrogen, Frederick, MD, USA)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뒤 100㎕ Stop solution (Invitrogen, Frederick, MD, USA)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optical density (OD) 값을 측정하였다. Internal variability test와 자가항체 OD값의 정규화(normalization)를 위해 10㎍ 사람의 IgG(Human whole IgG: GenScript, Piscataway, NJ, USA)를 사용하였으며, 자가항체 양(level)은 사람의 IgG(Human whole IgG)의 OD값으로 나누어 하기와 같은 식으로 normalized arbitrary unit (AU)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Autoantibody AU=
[Autoantibody OD - background OD]/[human whole IgG OD - background OD].
※ background OD: 혈청 샘플을 제외한 단백질이 코팅된 웰의 OD 값
상기와 같이 얻어진 ELISA AU 값과 마이크로어레이 칩 데이터의 연관성(correlation)은 스피어맨 상관분석(Spearman correlat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 12개 항원단백질 중 ATCAY, HIST1H3F, NME7, NOL3, PAIP2에 대한 자가항체 ELISA AU 값과 칩 데이터 간에 유의적으로 높은 연관성(correlation)을 확인하였으며(표 7), 상기 5개의 단백질들은 단백질 칩 결과가 ELISA실험에서도 재현됨을 확인하였다.
[표 6]
선별된 12개의 재조합 단백질들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6
[표 7]
선별된 12개의 자가항체에 대한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와 ELISA 데이터의 연관성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7
<3-3> 정상인지군과 기억형 경도인지 장애군 및 알츠하이머 질환군으로 구성된 검증용 샘플(validation sample set)에서 자가항체의 검증
상기 <실시예 3-2>에서 자가항체 ELISA AU 값과 칩 데이터 간에 유의적으로 높은 연관성(correlation)을 보인 ATCAY, HIST1H3F, NME7, NOL3, PAIP2 5개 항원의 자가항체들이 알츠하이머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성별과 나이를 매칭한 정상군, 기억형 경도인지장애군(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및 알츠하이머 환자군 각각 44명으로 구성된 검증용 샘플(validation sample set)에서 <실시예 3-2>와 같은 간접효소면역측정법(indirect ELISA assay)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항-ATCAY 자가항체 IgG 양(level)과 항-NME7 자가항체 IgG 양(level)이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MCI), 알츠하이머질환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표 8), 특히 항-ATCAY IgG 양(level)은 정상인지군에 비해 알츠하이머질환그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9), 항-NME7 IgG 양(level)은 알츠하이머질환그룹에 비해 경도인지장애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항-PAIP2 IgG 양(level)은 정상인지군에 비해 경도인지장애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p=0.046).
[표 8]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MCI), 알츠하이머질환군의 자가항체 양(level) 비교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8
<3-4> 자가항체와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질환군의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의 연관성 분석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질환군의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이 자가항체 양(level)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혈청 샘플 내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을 하기와 같은 직접효소면역측정법(indirect ELISA assay)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청 샘플을 coating buffer에 1:500,000로 희석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두 번(duplicate)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시간 후, 300㎕ PBST로 3회 씻어내고 200㎕ blocking buffer(1% BSA in PBS)를 넣어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시간 후, PBST로 씻어내고 blocking buffer에 1:10,000으로 희석한 HRP가 접합된 이차 항체(HRP-conjugated goat anti-human IgG H&L: Abcam, Cambridge, UK)를 100㎕씩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씻어내고 100㎕ TMB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키고, 100㎕ stop solution을 첨가하여 30분 이내에 450nm에서 OD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청 내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은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질환군 세 그룹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도 3), 상기 <실시예 3-3>에서 검증된 ATCAY, HIST1H3F, NME7, NOL3, PAIP2 5개 자가항체 양(level)과 모두 유의적으로 양의 연관을 보였으며, 특히 항-NME7 IgG 양(level)은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과 높은 연관성(rs=0.473, p<0.001)을 나타내었다(표 9).
따라서, 자가항체 양(level)에 대하여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자가항체 양(level)을 전체 IgG 양(total IgG level)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한 후,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에 이들 자가항체 양(level)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지군과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의 항-ATCAY IgG 양(level)차에 대한 유의성이 높아진 것(p=0.010)을 확인하였다 (도 4).
[표 9]
전체 IgG(total IgG)와 자가항체간의 연관성 분석
Figure 112017111441161-pat00009
<3-5> 항-ATCAY IgG 양(level)과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분석
항-ATCAY IgG 양(level)과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간이정신상태검사인 MMSE 점수와, 경도인지장애 검진을 위한 K-MoCA 점수 및 CDR 점수로 MMSE 점수와 K-MoCA 및 CDR 점수와의 연관성(correlation)을 스피어맨 순위 상관 시험(Spearman rank correlation test)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항-ATCAY IgG 양(level)이 높을수록 MMSE 점수(rs=-0.204, p=0.019)와 K-MoCA 점수(rs=-0.242, p=0.005)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항-ATCAY IgG 양(level)과 인지기능이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3-6>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에 자가항체의 양성탐지 빈도(occurence) 확인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 간에 자가항체의 양성탐지 빈도(occurrence)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위험도평가(risk assessment)를 실시하였다. 자가항체 양성탐지빈도는 각각의 자가항체 양(AU)을 전체 IgG 양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한 값이 정상인지군(n=44)의 이 정규화 값의 평균(mean)+2×표준편차(SD)이상인 값을 가지는 경우를 양성(positive)으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 항-PAIP2 IgG와 항-ATCAY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p=0.011, OR=4.03, 95%CI: 1.32-12.37), 항-NOL3 IgG와 항-NME7 IgG를 결합한 두 개 자가항체의 양성탐지빈도(occurrence)가 높을수록 기억형 경도인지장애(aMCI)의 위험이 높아짐(p=0.006, OR=5.73, 95%CI: 1.50-21.87)을 확인함으로써(표 10), PAIP2, ATCAY, NOL3, NME7의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가 기억형 경도인지장애(aMCI) 또는 알츠하이머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0]
정상인지군, 경도인지장애군 및 알츠하이머질환군에서 자가항체의 양성탐지 빈도(occurrence)와 이를 이용한 위험도평가(risk assessment)
Figure 112017111441161-pat00010
<11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20> Potential autoantibody biomarkers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dementia <130> 2016P-07-030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7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Gly Thr Thr Glu Ala Thr Leu Arg Met Glu Asn Val Asp Val Lys 1 5 10 15 Glu Glu Trp Gln Asp Glu Asp Leu Pro Arg Pro Leu Pro Glu Glu Thr 20 25 30 Gly Val Glu Leu Leu Gly Ser Pro Val Glu Asp Thr Ser Ser Pro Pro 35 40 45 Asn Thr Leu Asn Phe Asn Gly Ala His Arg Lys Arg Lys Thr Leu Val 50 55 60 Ala Pro Glu Ile Asn Ile Ser Leu Asp Gln Ser Glu Gly Ser Leu Leu 65 70 75 80 Ser Asp Asp Phe Leu Asp Thr Pro Asp Asp Leu Asp Ile Asn Val Asp 85 90 95 Asp Ile Glu Thr Pro Asp Glu Thr Asp Ser Leu Glu Phe Leu Gly Asn 100 105 110 Gly Asn Glu Leu Glu Trp Glu Asp Asp Thr Pro Val Ala Thr Ala Lys 115 120 125 Asn Met Pro Gly Asp Ser Ala Asp Leu Phe Gly Asp Gly Thr Thr Glu 130 135 140 Asp Gly Ser Ala Ala Asn Gly Arg Leu Trp Arg Thr Val Ile Ile Gly 145 150 155 160 Glu Gln Glu His Arg Ile Asp Leu His Met Ile Arg Pro Tyr Met Lys 165 170 175 Val Val Thr His Gly Gly Tyr Tyr Gly Glu Gly Leu Asn Ala Ile Ile 180 185 190 Val Phe Ala Ala Cys Phe Leu Pro Asp Ser Ser Leu Pro Asp Tyr His 195 200 205 Tyr Ile Met Glu Asn Leu Phe Leu Tyr Val Ile Ser Ser Leu Glu Leu 210 215 220 Leu Val Ala Glu Asp Tyr Met Ile Val Tyr Leu Asn Gly Ala Thr Pro 225 230 235 240 Arg Arg Arg Met Pro Gly Ile Gly Trp Leu Lys Lys Cys Tyr Gln Met 245 250 255 Ile Asp Arg Arg Leu Arg Lys Asn Leu Lys Ser Leu Ile Ile Val His 260 265 270 Pro Ser Trp Phe Ile Arg Thr Val Leu Ala Ile Ser Arg Pro Phe Ile 275 280 285 Ser Val Lys Phe Ile Asn Lys Ile Gln Tyr Val His Ser Leu Glu Asp 290 295 300 Leu Glu Gln Leu Ile Pro Met Glu His Val Gln Ile Pro Asp Cys Val 305 310 315 320 Leu Gln Tyr Glu Glu Glu Arg Leu Lys Ala Arg Arg Glu Ser Ala Arg 325 330 335 Pro Gln Pro Glu Phe Val Leu Pro Arg Ser Glu Glu Lys Pro Glu Val 340 345 350 Ala Pro Val Glu Asn Arg Ser Ala Leu Val Ser Glu Asp Gln Glu Thr 355 360 365 Ser Met Ser 370 <210> 2 <211> 37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Asn His Ser Glu Arg Phe Val Phe Ile Ala Glu Trp Tyr Asp Pro 1 5 10 15 Asn Ala Ser Leu Leu Arg Arg Tyr Glu Leu Leu Phe Tyr Pro Gly Asp 20 25 30 Gly Ser Val Glu Met His Asp Val Lys Asn His Arg Thr Phe Leu Lys 35 40 45 Arg Thr Lys Tyr Asp Asn Leu His Leu Glu Asp Leu Phe Ile Gly Asn 50 55 60 Lys Val Asn Val Phe Ser Arg Gln Leu Val Leu Ile Asp Tyr Gly Asp 65 70 75 80 Gln Tyr Thr Ala Arg Gln Leu Gly Ser Arg Lys Glu Lys Thr Leu Ala 85 90 95 Leu Ile Lys Pro Asp Ala Ile Ser Lys Ala Gly Glu Ile Ile Glu Ile 100 105 110 Ile Asn Lys Ala Gly Phe Thr Ile Thr Lys Leu Lys Met Met Met Leu 115 120 125 Ser Arg Lys Glu Ala Leu Asp Phe His Val Asp His Gln Ser Arg Pro 130 135 140 Phe Phe Asn Glu Leu Ile Gln Phe Ile Thr Thr Gly Pro Ile Ile Ala 145 150 155 160 Met Glu Ile Leu Arg Asp Asp Ala Ile Cys Glu Trp Lys Arg Leu Leu 165 170 175 Gly Pro Ala Asn Ser Gly Val Ala Arg Thr Asp Ala Ser Glu Ser Ile 180 185 190 Arg Ala Leu Phe Gly Thr Asp Gly Ile Arg Asn Ala Ala His Gly Pro 195 200 205 Asp Ser Phe Ala Ser Ala Ala Arg Glu Met Glu Leu Phe Phe Pro Ser 210 215 220 Ser Gly Gly Cys Gly Pro Ala Asn Thr Ala Lys Phe Thr Asn Cys Thr 225 230 235 240 Cys Cys Ile Val Lys Pro His Ala Val Ser Glu Gly Leu Leu Gly Lys 245 250 255 Ile Leu Met Ala Ile Arg Asp Ala Gly Phe Glu Ile Ser Ala Met Gln 260 265 270 Met Phe Asn Met Asp Arg Val Asn Val Glu Glu Phe Tyr Glu Val Tyr 275 280 285 Lys Gly Val Val Thr Glu Tyr His Asp Met Val Thr Glu Met Tyr Ser 290 295 300 Gly Pro Cys Val Ala Met Glu Ile Gln Gln Asn Asn Ala Thr Lys Thr 305 310 315 320 Phe Arg Glu Phe Cys Gly Pro Ala Asp Pro Glu Ile Ala Arg His Leu 325 330 335 Arg Pro Gly Thr Leu Arg Ala Ile Phe Gly Lys Thr Lys Ile Gln Asn 340 345 350 Ala Val His Cys Thr Asp Leu Pro Glu Asp Gly Leu Leu Glu Val Gln 355 360 365 Tyr Phe Phe Lys Ile Leu Asp Asn 370 375 <210> 3 <211> 20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Met Gly Asn Ala Gln Glu Arg Pro Ser Glu Thr Ile Asp Arg Glu Arg 1 5 10 15 Lys Arg Leu Val Glu Thr Leu Gln Ala Asp Ser Gly Leu Leu Leu Asp 20 25 30 Ala Leu Leu Ala Arg Gly Val Leu Thr Gly Pro Glu Tyr Glu Ala Leu 35 40 45 Asp Ala Leu Pro Asp Ala Glu Arg Arg Val Arg Arg Leu Leu Leu Leu 50 55 60 Val Gln Gly Lys Gly Glu Ala Ala Cys Gln Glu Leu Leu Arg Cys Ala 65 70 75 80 Gln Arg Thr Ala Gly Ala Pro Asp Pro Ala Trp Asp Trp Gln His Val 85 90 95 Gly Pro Gly Tyr Arg Asp Arg Ser Tyr Asp Pro Pro Cys Pro Gly His 100 105 110 Trp Thr Pro Glu Ala Pro Gly Ser Gly Thr Thr Cys Pro Gly Leu Pro 115 120 125 Arg Ala Ser Asp Pro Asp Glu Ala Gly Gly Pro Glu Gly Ser Glu Ala 130 135 140 Val Gln Ser Gly Thr Pro Glu Glu Pro Glu Pro Glu Leu Glu Ala Glu 145 150 155 160 Ala Ser Lys Glu Ala Glu Pro Glu Pro Glu Pro Glu Pro Glu Leu Glu 165 170 175 Pro Glu Ala Glu Ala Glu Pro Glu Pro Glu Leu Glu Pro Glu Pro Asp 180 185 190 Pro Glu Pro Glu Pro Asp Phe Glu Glu Arg Asp Glu Ser Glu Asp Ser 195 200 205 <210> 4 <211> 504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4 accccccacc ccctcctccc tgcacacaaa agcagcataa attaaccgtc ttcgggaagc 60 cgagcctctg ccagccctga gctgggaaga agcagctacc tcggaggcag ggcgcgcagg 120 cgggcggcga tgagaggggg cgcagccgca gccccgcgct ggggagccca ccgctaaccc 180 tgcaccccac ccacccctgc acaaaagagc tggcgggcgc tggccacgtc gccctgggtg 240 accttcctcg gatgcagaat ccgcccctgc gagcatcctc ttcctcctag gctctgaagg 300 cccggggagc gtgagcgatg cccagctgca cccgggcagg gctcgccttt gtttgccagt 360 aaggaggaga ggctgtctca gctgcagagg ggtcatccct gcttcaagcc agtgcctctt 420 cccagctccc atggggacca ccgaagccac gctccggatg gaaaacgtgg acgtgaagga 480 ggaatggcag gacgaagatc ttcccaggcc actcccagaa gagacggggg tggaactgct 540 tggcagcccg gtggaagaca catcctctcc tcccaacacg ctaaatttca acggagcgca 600 tcgtaagagg aagacgctgg tggccccaga gatcaacatt tctctggatc agagtgaggg 660 gtccctgctg tccgatgact tcttggatac ccctgatgac ctggatatta acgtggatga 720 catcgagacc cccgatgaga ccgactcgct ggagttcctg gggaatggca acgaactgga 780 gtgggaagac gacacccccg tggccaccgc caagaacatg cccggggaca gcgcggatct 840 atttggggac ggcacgacgg aggacggcag cgccgccaac gggcgcctgt ggcggacagt 900 gatcatcggg gagcaagagc accgtataga cctgcacatg atccggcctt acatgaaagt 960 ggtcacccac ggagggtact acggcgaagg cctcaacgcc atcatcgtct tcgcagcctg 1020 cttccttcca gacagcagcc tccccgacta ccactacatc atggagaacc tcttcctgta 1080 cgtcatcagc agcttagagc tcctggtggc tgaggactac atgatcgtgt acctgaacgg 1140 tgccacgccc cggcggagga tgcctggaat cggctggctg aagaagtgct accagatgat 1200 cgaccggagg ttgcggaaaa acctgaagtc cttgatcatc gtccacccct cgtggttcat 1260 tcggactgtg ctggccatct ctcgcccttt catcagcgtc aagttcatca acaagatcca 1320 gtacgtgcac agcttggaag acctggagca actcatccct atggaacacg tccagatccc 1380 agactgcgtc ctgcaatacg aagaggaaag actgaaggcc aggagggaga gcgcgaggcc 1440 ccagccggag tttgtgctgc ccaggtctga agagaagcca gaggtggcac cagtggaaaa 1500 caggtctgct ctggtctcag aagatcagga aacaagcatg tcctgaggcg acgtgagcat 1560 aacaaaggac atggaagaag attccagatg ccagaaaacc tctgtcagac gcccactggc 1620 cccagatctc atcctgcctc atcctgagtc ccaatcttcc aagggtgcca gcccctccgt 1680 tcatctctga aacccagcat ccttttcagc tgcttgaaaa cattgtattt ttttttttta 1740 acgatgcagt atttgtgcgt tccagaaaag ggcccagctc tgagcccctc acccttccac 1800 actcacgaac tctcagccga ggaaggcaag aagcgcaggg ggtggcccgc gtggcgtcgg 1860 tggcctccgc tcctgctcgc agcccctgtg gtcagagctg gatacaagat tcaagaccct 1920 tctcttgctt gtcacccgct ccaggttgga gccacagaca cccaccgcca ccccggctgg 1980 gtctgcgtcc tttcctgtgc ctttccctcc agaatgcggc ctcagaccta gaagctcaac 2040 ccccctatga gggccacgtc ctggggtagc tcctgacctc cgaccttatg tccaaatttc 2100 acacccatgg tttttcattt gacccgcccc cttctcgctc ataatgacac ccagctcctt 2160 tgagaggatc agagcccatt gcacaagaag agccgctgcc aaccatcctt gtcctccgat 2220 tgcaaaatga caccccagta atctagaaca ttctcaagcc cctttaactc agatgtcaag 2280 ccaccgggca aaccccgtca atacctccca ccaaggaatg agatatgtgg acctcactgc 2340 tcccccaacc cagcgtcagg ctgggacacg ccaacgctgt tccgggttgg aacagcagag 2400 gctcagaaac tggctctgaa ataggcagac ctagcaagag gaagatacag ggtatcgggc 2460 gtttgagtgt ttcagaagtc attcgggaag ataaatccag tgcgctggcc gcagccacct 2520 gcattcaaag cttggaccag cgggttcttg ttcgggaggc aaatttccct aggaaaaaga 2580 agacagactt ttctaatgtg gtccaaatgc ggatcactgg tcagatggac tctagaagca 2640 ctgagctccc tgtctctgga agtatttaag aaaaggctgg gccaggcacg atggctcacg 2700 cctgtaatcc cagactttgg gaggccgagg caggcggatc acctgaggtg aggagtttga 2760 gaacagcctg gccaacatgg tgaaacctca tctctactaa aaatacaaaa attagccagg 2820 cgtggtggca ggtgcctgta atcccagcta cttgggaggc tgaggcatga gaatcactta 2880 aacctgagag gcagaggtta cagtgagcca agatcgtgcc actgcattcc agcctgggcg 2940 acagagcaag actctgtctc aaaaaaaata aaaaataatc agggcacagt ggctcatgcc 3000 tgtaatccca gcactctggg aggctgaggt gggtggatca cctgaggtca ggagttcaag 3060 accagcctgg tgaacatggc gaaaccccgt ctctaataaa aatacaaaaa ttagccgggc 3120 atggtggtgc atgcctgtaa tcccagctac tcgggaggct gaggcaggag aactgcttga 3180 acccaggagg cagaggttgc agtgatccaa gatcatgcca ctgcactcca gcctgggcaa 3240 caagagcaaa actccgtctc aaaataaaaa gaaaagaaaa gaatggacag tgtttgcaga 3300 gagttgctca cgagtttccc tctaatccta aatgtcttca tgtctatcag tctgagcaga 3360 cggtgagtag ggcgggcaca ttctccaggc ccttcttcct agctctgtgg ttgacctctc 3420 agcaagtgct atccaggctg ggccaaccag acccacaatt aactgagcct cagtgaaagc 3480 gtccagtgca tcttgacctg agacagcaag gaattgcatt tggggttatt ccaacgatga 3540 tggcagggaa ctggtggtat ttagtgctga ggggcagtga tacagaaaga tttgccctgt 3600 gggacagggt cctgcgcgag tcccatcccc aaaagccagc agctcctgcc atgaggaaga 3660 cggggtttct gagcaggctt atgcctgcag gttcctgtgg agccaccggc tgtgacggga 3720 cacctctggg tctcagcatt gccctgggga ggctgggaca tttagggaca tggtagggtt 3780 ttaacatttg tttcccaaat gtcaaatccc gggcacaggg gcaagaccct gtcccgaatt 3840 cccaccccag tgaatggtgt cgctgccaaa gccaacacaa gatgacaaaa gtggctgggt 3900 acggtggctc acgcctataa tcccagcact ttgggagacc gagacaggtg gatcacctga 3960 ggtcaggagt tcgagaccag gctggccaac atggtgaaac cccatctcta ctaaaaatac 4020 aaaaattagc tgggtgtggt ggcgcgcacc tgtagtccca gctactcagg aggctgaggt 4080 agaagaatag ctggaaccca ggaggcagag attgcagtca gccgagattg caccactgca 4140 ctccagcctg ggagacagag caagactgac tcaaaagaaa aaaaatgaca gaagcctgat 4200 tatcagactg cccggaggag acaggctcca gcagatagat gccagccagg cccagctgcc 4260 acgatttgtc ccaggtgacc aaaggcacgc agctccagca tgaatcgttc taacccaaca 4320 gtgacaagaa ctgctgggcc ttaaccgtca tggaagactg gggccgcttc caagtcacag 4380 acaggagacg gggacaggaa agaactcatt ccacccaatc ggacacctaa taattgagtg 4440 tctacagcag caatcaagtg acaagtgagg ccctacctga cccagaaggt gcctgccggc 4500 taaacattct gcccccacca gaaactccag ggggtccgcc cgttatgccg tggcccaccc 4560 acgccccttt ggatcaccag cagtcacaga caacaggcag gcgaaactga agaccccaac 4620 tcagccccag cggaccctcc agagcaaaag aggcccccgg cgaggccacc tgtcggcagg 4680 catgccgagg tcaaacagcc ggggccaccg ttcccagctg ggccacgacc tgcaccgtcc 4740 acagatgggc tttgagatgg atttgtatca gggtgggggg tgtggtttgg ccaaaatgca 4800 atggaccccg acccctcctc gtaaaaggat gttgggtttc cctctggtga cacatgggat 4860 gcgtcataaa ccctccccca aagtcctggt cagcagccca tccttccaac gatgagtttt 4920 gcggtttttc agaacagaaa tgatcactac gattgacgac ggtcgtgatg ttaagacgtc 4980 gtctccatga gctttggggg gacttttatg tggaataaag aaactatcac tgagaaaaaa 5040 aaaaaaaaa 5049 <210> 5 <211> 165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 gtaaaactgc cggaaacaga ataatggcgt ctcgtagccc caggcgacag cgtggagggg 60 cgggtctgtc gattggatga acgcagctga gattactccc agccactaag gacgaagagg 120 tggggcggtg gcgtcccacg cctcgtgcga cagtgggcgg ggctttgttg cctgagtaac 180 cgtatgatgg tggtggtggt ggtgtcttcc tgtctcaacg atacctattt tctagtgctg 240 agatcctgag acaatgaatc atagtgaaag attcgttttc attgcagagt ggtatgatcc 300 aaatgcttca cttcttcgac gttatgagct tttattttac ccaggggatg gatctgttga 360 aatgcatgat gtaaagaatc atcgcacctt tttaaagcgg accaaatatg ataacctgca 420 cttggaagat ttatttatag gcaacaaagt gaatgtcttt tctcgacaac tggtattaat 480 tgactatggg gatcaatata cagctcgcca gctgggcagt aggaaagaaa aaacgctagc 540 cctaattaaa ccagatgcaa tatcaaaggc tggagaaata attgaaataa taaacaaagc 600 tggatttact ataaccaaac tcaaaatgat gatgctttca aggaaagaag cattggattt 660 tcatgtagat caccagtcaa gacccttttt caatgagctg atccagttta ttacaactgg 720 tcctattatt gccatggaga ttttaagaga tgatgctata tgtgaatgga aaagactgct 780 gggacctgca aactctggag tggcacgcac agatgcttct gaaagcatta gagccctctt 840 tggaacagat ggcataagaa atgcagcgca tggccctgat tcttttgctt ctgcggccag 900 agaaatggag ttgttttttc cttcaagtgg aggttgtggg ccggcaaaca ctgctaaatt 960 tactaattgt acctgttgca ttgttaaacc ccatgctgtc agtgaaggac tgttgggaaa 1020 gatcctgatg gctatccgag atgcaggttt tgaaatctca gctatgcaga tgttcaatat 1080 ggatcgggtt aatgttgagg aattctatga agtttataaa ggagtagtga ccgaatatca 1140 tgacatggtg acagaaatgt attctggccc ttgtgtagca atggagattc aacagaataa 1200 tgctacaaag acatttcgag aattttgtgg acctgctgat cctgaaattg cccggcattt 1260 acgccctgga actctcagag caatctttgg taaaactaag atccagaatg ctgttcactg 1320 tactgatctg ccagaggatg gcctattaga ggttcaatac ttcttcaaga tcttggataa 1380 ttagtggtgt ggaaagtaaa gaagtcacag gttgggacat ttagacaaga gtgaatcaca 1440 cacgaggaat gtgttcattc ttttattgtc cgttgtttta acctgactga atacaagatc 1500 aacaagagca ctgtactcct ggcaattatt acatatgtta gaacatggat tttgcactgt 1560 agacaacatt taacaccagt ctatggggta ctgcattgct ttttataaag ttcaaaataa 1620 agatttattt tcaaacaaga aaaaaaaaaa aaaaaa 1656 <210> 6 <211> 154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6 ggcattcaga gagtagatgc cagtcctggg aaaggcaggg gaggagagga gagccacggc 60 tgacgcttgg ggacagaagg aggagcctga ggaggagaca ggacagagcg tctggagagg 120 caggaggaca ccgagttccc cgtgttggcc tccaggtcct gtgcttgcgg agccgtccgg 180 cggctgggat cgagccccga caatgggcaa cgcgcaggag cggccgtcag agactatcga 240 ccgcgagcgg aaacgcctgg tcgagacgct gcaggcggac tcgggactgc tgttggacgc 300 gctgctggcg cggggcgtgc tcaccgggcc agagtacgag gcattggatg cactgcctga 360 tgccgagcgc agggtgcgcc gcctactgct gctggtgcag ggcaagggcg aggccgcctg 420 ccaggagctg ctacgctgtg cccagcgtac cgcgggcgcg ccggaccccg cttgggactg 480 gcagcacgtg ggtccgggct accgggaccg cagctatgac cctccatgcc caggccactg 540 gacgccggag gcacccggct cggggaccac atgccccggg ttgcccagag cttcagaccc 600 tgacgaggcc gggggccctg agggctccga ggcggtgcaa tccgggaccc cggaggagcc 660 agagccagag ctggaagctg aggcctctaa agaggctgaa ccggagccgg agccagagcc 720 agagctggaa cccgaggctg aagcagaacc agagccggaa ctggagccag aaccggaccc 780 agagcccgag cccgacttcg aggaaaggga cgagtccgaa gattcctgaa ggccagagct 840 ctgacaggcg gtgccccgcc catgctggat aggacctggg atgctgctgg agctgaatcg 900 gatgccacca aggctcggtc cagcccagta ccgctggaag tgaataaact ccggagggtc 960 ggacgggacc tgggctctct ccacgattct ggctgtttgc ccaggaactt agggtgggta 1020 cctctgagtc ccagggacct gggcaggccc aagcccacca cgagcatcat ccagtcctca 1080 gccctaatct gcccttagga gtccaggctg caccctggag atcccaaacc tagcccccta 1140 gtgggacaag gacctgaccc tcctgcccgc atacacaacc catttcccct ggtgagccac 1200 ttggcagcat atgtaggtac cagctcaacc ccacgcaagt tcctgagctg aacatggagc 1260 aaggggaggg tgacttctct ccacataggg agggcttaga gctcacagcc ttgggaagtg 1320 agactagaag aggggagcag aaagggacct tgagtagaca aaggccacac acatcattgt 1380 cattactgtt ttaattgtct ggcttctctc tggactggga gctcagtgag gattctgacc 1440 agtgacttac acaaaaggcg ctctatacat attataatat attcgcttac taaatgaata 1500 aggactttcc aaaaaaaaaa aaaaaaaaaa aaaaaaaaaa 1540

Claims (26)

  1.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 키트.
  2.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매 진단 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자가항체에 특이적인 항원 기질과의 반응에 의해서 발색하는 표지체가 접합된 2차 항체 접합체(Conjugate); 상기 표지체와 발색반응 할 발색기질 용액 세척액 또는 효소반응 정지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자가항체에 특이적인 항원 기질과의 반응에 의해서 발색하는 표지체가 접합된 2차 항체 접합체(Conjugate); 상기 표지체와 발색반응 할 발색기질 용액 세척액 또는 효소반응 정지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고체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고체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기판은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PVDF 막, 폴리비닐(Polyvinyl)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기판은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PVDF 막, 폴리비닐(Polyvinyl)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색기질은 TMB(3,3',5,5'-tetramethyl bezidine),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및 OPD(o-phenylenediamin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색기질은 TMB(3,3',5,5'-tetramethyl bezidine),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
    ic acid)] 및 OPD(o-phenylenediamin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11. 1) ATCAY 및 NOL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이 코팅된 고정체에 피검체 유래 시료를 가하여 항원-항체 반응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항원-항체 반응물을 발색기질 용액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검출된 자가항체량이 정상인에 비해 증가된 피검체를 경도인지장애에 걸렸거나 걸릴 가능성이 있는 개체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
  12. 1) ATCAY 단백질이 코팅된 고정체에 피검체 유래 시료를 가하여 항원-항체 반응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항원-항체 반응물을 발색기질 용액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검출된 자가항체량이 정상인에 비해 증가된 피검체를 치매에 걸렸거나 걸릴 가능성이 있는 개체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유래 시료는 인간의 혈청, 혈장 및 혈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유래 시료는 인간의 혈청, 혈장 및 혈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PVDF 막, 폴리비닐(Polyvinyl)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 글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PVDF 막, 폴리비닐(Polyvinyl)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 글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은 효소면역분석법, 방사능면역분석법, 샌드위치 측정법, 웨스턴 블롯팅, 면역침강법, 면역조직화학염색법, 형광면역법, 효소기질발색법, 항원-항체 응집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은 효소면역분석법, 방사능면역분석법, 샌드위치 측정법, 웨스턴 블롯팅, 면역침강법, 면역조직화학염색법, 형광면역법, 효소기질발색법, 항원-항체 응집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생물학적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 및 NOL3(Nucleolar Protein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단백질의 각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용 스트립.
  20. 생물학적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ATCAY(Ataxia, Cerebellar, Cayman Type)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단백질의 각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용 스트립.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스트립.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스트립.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막은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스, PVDF(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fone), 유리섬유 또는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스트립.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막은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스, PVDF(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fone), 유리섬유 또는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스트립.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패드는 셀룰로오스, 무명 또는 친수다공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스트립.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패드는 셀룰로오스, 무명 또는 친수다공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스트립.
KR1020160105969A 2016-08-22 2016-08-22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KR10187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69A KR101873247B1 (ko) 2016-08-22 2016-08-22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PCT/KR2017/004836 WO2018038352A2 (ko) 2016-08-22 2017-05-10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69A KR101873247B1 (ko) 2016-08-22 2016-08-22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40A KR20180021440A (ko) 2018-03-05
KR101873247B1 true KR101873247B1 (ko) 2018-08-02

Family

ID=6124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69A KR101873247B1 (ko) 2016-08-22 2016-08-22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3247B1 (ko)
WO (1) WO20180383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794B1 (ko) * 2020-01-31 2020-06-09 옙바이오 주식회사 파킨슨병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파킨슨병 진단 방법
CN111665365A (zh) * 2020-05-22 2020-09-15 无锡市孚维尔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冠状病毒2019-nCoV抗体谱检测试剂盒
KR102236422B1 (ko) * 2020-06-03 2021-04-06 옙바이오 주식회사 파킨슨병 진단용 키트
KR102236421B1 (ko) * 2020-06-03 2021-04-06 옙바이오 주식회사 파킨슨병 진단용 조성물
CN112362876B (zh) * 2020-08-06 2023-12-15 武汉天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早期老年痴呆症的胶体金试纸条及其制备方法
KR20240010151A (ko) 2022-07-15 2024-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f 신호를 통한 질병 원인물질 중합체 분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943A1 (fr) 2000-02-14 2001-08-16 Bf Research Institute, Inc. Nouvelle proteine clac du type collagene, precurseur de ladite proteine, et genes codant pour cette proteine
US20130157888A1 (en) 2010-05-13 2013-06-20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Diagnostic autoantibody profiles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32A (ko) * 2014-07-09 2016-01-19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경도인지장애 진단용 바이오마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943A1 (fr) 2000-02-14 2001-08-16 Bf Research Institute, Inc. Nouvelle proteine clac du type collagene, precurseur de ladite proteine, et genes codant pour cette proteine
US20130157888A1 (en) 2010-05-13 2013-06-20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Diagnostic autoantibody profiles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NEUROCHEMISTRY, 2008, Vol. 105, pp 1948-19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40A (ko) 2018-03-05
WO2018038352A3 (ko) 2018-08-09
WO2018038352A2 (ko)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247B1 (ko) 치매진단용 자가항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매진단 방법
CN105164536B (zh) 阿尔兹海默症诊断的组合物和方法
US10739356B2 (en) Prognosis and monitoring of membranous nephropathy based on the analysis of PLA2R1 epitope profile and spreading
KR102120794B1 (ko) 파킨슨병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파킨슨병 진단 방법
WO2012022459A1 (en) Methods and means for diagnosing spondylarthritis using autoantibody markers
US20200271673A1 (en) Biomarker
WO2021228125A1 (en) Protein markers for assessing alzheimer&#39;s disease
CN109073661B (zh) 用于神经学疾病的诊断的测定法
JP5924502B2 (ja) リンパ球性漏斗下垂体後葉炎のバイオマーカー及びその用途
KR101989383B1 (ko)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조기진단을 위한 펩타이드 프로브
US20230083393A1 (en) Multiple biomarkers for diagnosing lung cancer and use thereof
WO2013039166A1 (ja) 抗wt1抗体の測定方法
JP2009092561A (ja) ジヒドロピリジン受容体抗体レベルに基づく胸腺腫合併重症筋無力症の診断方法
KR102232200B1 (ko) 알츠하이머치매 진단 바이오마커
KR102145438B1 (ko) 퇴행성 뇌질환 발병 위험성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 위험성 예측 방법
JP2020519895A (ja) 多発性硬化症の進行を検出する、サブタイプ分類する、および/または評価するための、診断用バイオマーカー
WO2024075803A1 (ja) 脳神経疾患の検査、治療もしくは予防のための方法
KR102415209B1 (ko) Kras 자가항체를 이용한 쇼그렌 증후군 진단방법
KR102307043B1 (ko) Wasf2 자가항체를 이용한 간세포암종 조기진단용 조성물
EP2816354B1 (en) Biomarker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KR102478021B1 (ko) 혈장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KR102390827B1 (ko) 정상압 수두증의 진단 또는 예측용 gdf15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JP6970975B2 (ja) IgG4関連疾患の検査方法
KR20200099119A (ko) 퇴행성 뇌질환 발병 위험성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 위험성 예측 방법
WO2023144765A1 (en) Phage mediated immuno-pcr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39;s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