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82B1 -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82B1
KR101871182B1 KR1020180002051A KR20180002051A KR101871182B1 KR 101871182 B1 KR101871182 B1 KR 101871182B1 KR 1020180002051 A KR1020180002051 A KR 1020180002051A KR 20180002051 A KR20180002051 A KR 20180002051A KR 101871182 B1 KR101871182 B1 KR 10187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elastic
fixing
fasten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호
Original Assignee
남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호 filed Critical 남승호
Priority to KR102018000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탄성체결구 제조시 금을 전기로에 용해하여 내부의 기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밴딩작업을 한 이후 프레스 금형을 통해 커팅하여 제조되는 것인 바, 이에 상기 탄성체결구는 내부의 기포가 제거되어 높은 밀도로 우수한 장력(Tension)을 가지기 때문에 오랜기간 사용해도 체결박스에 결합되는 탄성체결구의 삽입부가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탄성체결구 및 팔찌 사이에는 탄성체결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탄성체결구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 및 유동방지부의 홈에 유동방지철사를 끼워넣고 레이저 용접(재료에 주는 열의 영향이 적음)함으로서 탄성체결구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Connector for bracelet and by there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팔찌의 잠금 및 해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팔찌 일측단에 탄성체결구가 형성되고, 팔찌 타측단에 체결박스가 구비되어 탄성체결구 및 체결박스의 상호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상기 탄성체결구는 금을 전기로에 용해하여 내부의 기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밴딩작업을 한 이후 프레스 금형을 통해 커팅하여 제조되는 것인 바, 이에 상기 탄성체결구는 내부의 기포가 제거되어 높은 밀도로 우수한 장력(Tension)을 가지기 때문에 오랜기간 사용해도 체결박스에 결합되는 탄성체결구의 삽입부가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탄성체결구 및 팔찌 사이에는 탄성체결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탄성체결구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 및 유동방지부의 홈에 유동방지철사를 끼워넣고 레이저 용접(재료에 주는 열의 영향이 적음)함으로서 탄성체결구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는 고대의 주술적인 것에서 비롯되어 현대에 와서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남녀 모두가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장신구 중 하나이며, 체인형, 띠형 등의 팔찌 외에도 실을 이용하여 각종 문양을 만들어 착용하기도 하며 원석과 이나 구슬을 꿰어 만든 팔찌 등의 형태가 있다.
상기한 팔찌는 양단에 결속부재를 부설하여 손목에 찰 때에는 결속부재를 결속하여 손목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고, 차지 않을 때에는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상태를 풀어서 벗겨 주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524호(등록일: 2017.01.26.)에는 팔찌 및 손목시계 등에 사용되는 잠금 장식으로서 손목에 둘러싸고 있는 체인 등의 체결이 완전히 풀어지지 않고 그 끝이 2단 서랍식 구조로 계속 연결되어 늘어나고 줄어들어 탈착이 용이하게 제작된 팔찌 및 손목시계 잠금 장식의 체결구조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장력(Tension)을 이용한 결합을 체결을 도모하지만 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성이나 방법이 결여되어 있어서 체결 및 해제를 반복해서 하다 보면 결국 체결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탄성체결구 제조시 금을 전기로에 용해하여 내부의 기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밴딩작업을 한 이후 프레스 금형을 통해 커팅하여 제조되는 것인 바, 이에 상기 탄성체결구는 내부의 기포가 제거되어 높은 밀도로 우수한 장력을 가지기 때문에 오랜기간 사용해도 체결박스에 결합되는 탄성체결구의 삽입부가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탄성체결구 및 팔찌 사이에는 탄성체결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탄성체결구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 및 유동방지부의 홈에 유동방지철사를 끼워넣고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탄성체결구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에 고정홈(111)이 있는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의 삽입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절곡된 내측에는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동작홈(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에는 체결홈(131)이 파여진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탄성체결구(100)와;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내입홈(211)이 형성되는 체결집(210)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홈(211) 양 내측에는 탄성고정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가 내입홈(211)으로 내입될 때 삽입부 외주면이 탄성고정구(220)에 접촉하면서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눌려짐으로서 체결홈(131)에 탄성고정구(220)가 결합되어 탄성체결구(10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상기 체결집(210) 일측에 유동방지홈(230)이 형성되는 체결박스(200)와;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부(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체(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체(310)는 일측에 유동방지구(320)가 형성되어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으로 삽입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고, 상기 유동방지체(310) 면상에는 고정홈(111)과 연통될 수 있는 연통홈(330)이 형성되어 고정홈(111) 및 연통홈(330)에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유동방지체(310)에 내입된 탄성체결구(100)를 고정할 수 있는 유동방지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이후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후 양 외측으로 분기되어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한 쌍의 삽입부(120)가 돌출된 이후 각각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인 것이다.
한편, 금을 전기로를 통해 용해함으로서 금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 단계(S100);
상기 기포제거 단계(S100)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금을 밴딩롤러로 밴딩작업을 한 후 프레스 금형으로 커팅하여 탄성체결구(100)를 제조하며,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중앙에 고정홈(111)이 있는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의 삽입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절곡된 내측에는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동작홈(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에는 체결홈(131)이 파여진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200); 상기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가 장력에 의해 삽탈될 수 있는 체결박스(200)를 제조하되, 상기 체결박스(200)는 내입홈(211)이 형성되는 체결집(210)이 구비되며, 상기 내입홈(211) 양 내측에 탄성고정구(220)가 형성되어 체결홈(131)이 탄성고정구에 탄성 결합되어 탄성체결구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상기 체결집(210) 일측에 유동방지홈(230)이 형성되는 체결박스 제조단계(S300);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부(110)에 고정될 수 있는 유동방지부(300)를 제조하되, 상기 유동방지부(300)의 유동방지체(310)는 일측에 유동방지구(320)가 형성되어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에 내입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체 면상에는 고정홈(111)과 연통될 수 있는 연통홈(330)이 형성되는 유동방지부 제조단계(S400);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홈(111) 및 유동방지부(300)의 연통홈(330)에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연통홈(330)과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탄성체결구(100) 및 유동방지부(300)를 고정하는 레이저 용접단계(S500);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이후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후 양 외측으로 분기되어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한 쌍의 삽입부(120)가 돌출된 이후 각각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300)에 고정된 탄성체결구(100)는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의 타측 단부에는 체결박스(200)가 고정됨으로서, 상기 탄성체결구(100) 및 체결박스(200)는 상호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는 일렬(一列) 또는 다열(多列)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민자스타일 또는 큐빅이 형성된 큐빅스타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탄성체결구 제조시 금을 전기로에 용해하여 내부의 기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밴딩작업을 한 이후 프레스 금형을 통해 커팅하여 제조되는 것인 바, 이에 상기 탄성체결구는 내부의 기포가 제거되어 높은 밀도로 우수한 장력(Tension)을 가지기 때문에 오랜기간 사용해도 체결박스에 결합되는 탄성체결구의 삽입부가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탄성체결구 및 팔찌 사이에는 탄성체결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탄성체결구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 및 유동방지부의 홈에 유동방지철사를 끼워넣고 레이저 용접(재료에 주는 열의 영향이 적음)함으로서 탄성체결구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찌용 체결구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2 내지 도 4는 탄성체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탄성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탄성체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탄성체결구, 체결박스 및 유동방지부가 결합되는 측면에서 도시하여 탄성체결구의 높이가 유동방지부의 홈 높이가 같다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 및 도 13는 탄성체결구, 체결박스 및 유동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6는 각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결구 및 체결박스가 민자스타일의 팔찌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각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결구 및 체결박스가 큐빅스타일의 팔찌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결구(100), 체결박스(200), 유동방지부(300) 및 기포제거 단계(S100),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200), 체결박스 제조단계(S300), 유동방지부 제조단계(S400), 레이저 용접단계(S500)
이에,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중앙에 고정홈(111)이 있는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의 삽입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절곡된 내측에는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동작홈(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에는 체결홈(131)이 파여진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누름부(130) 외측에 손톱홈(13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부를 누를때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3가지 형태로 나뉘어지는 것이다.
이에,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이후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후 양 외측으로 분기되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한 쌍의 삽입부(120)가 돌출된 이후 각각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체결박스(200)는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내입홈(211)이 형성되는 체결집(210)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홈(211) 양 내측에는 탄성고정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가 내입홈(211)으로 내입될 때 삽입부 외주면이 탄성고정구(220)에 접촉하면서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눌려짐으로서 체결홈(131)에 탄성고정구(220)가 결합되어 상하로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상기 체결집(210) 일측에 유동방지홈(2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는 단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집(210)의 내입홈(211)의 내측은 삽입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삽입부(120)가 내입홈(211)으로 내입될 때 탄성고정구(220)가 삽입부를 간섭하게 되어 삽입부가 눌려지면서 내입되다가 체결홈(131)으로 탄성고정구(220)가 결합되면서 눌려졌던 삽입부가 원상태로 펴지게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유동방지체(310)의 홈(유동방지체는 국문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홈이 형성됨)에 끼워진 이후 탄성체결구가 휘어지는 것(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방지체(310)의 홈의 높이는 탄성체결구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내입홈(211) 또한 탄성체결구(100)의 높이와 같은 것이다.
이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131) 내주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R)가 형성되어 탄성고정구(220)가 체결홈(131)에 결합될 시 더욱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300)는 탄성체결구(100)의 고정부(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체(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체(310)는 일측에 유동방지구(320)가 형성되어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에 내입되어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유동방지체(310) 면상에는 고정홈(111)과 연통될 수 있는 연통홈(330)이 형성되어 고정홈(111) 및 연통홈(330)에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유동방지체(310)에 내입된 탄성체결구(10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저 용접은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재료(금)에 주는 열 영향이 작아 탄성체결구(100)의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것이고, 일반 땜을 할 경우에는 장력이 사라지게 되어 탄성체결구의 체결력 및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300)의 유동방지구(320)는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부(300)와 고정되는 탄성체결구(100)가 체결박스(200)에 결합되었을 시에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팔찌(B)가 풀려버리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체결박스(200)에 결합된 탄성체결구(유동방지부)를 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탄성체결구(100)의 양측 누름부(130)를 가압하여 체결홈(131)에서 탄성고정구(220)를 이탈시킨 후 탄성체결구를 빼내면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홈(111)과 연통홈(310)에 대응된 후 유동방지철사(W)가 삽입되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면 탄성체결구 중 고정홈(111)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밑단부가 연통홈(31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디귿자형 홈에 대응 삽입되면서 유동방지철사(W)를 기준으로 3점(삼각형태) 지지를 받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포제거 단계(S100)는 금을 전기로를 통해 용해함으로서 금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여 높은 밀도로 우수한 장력(Tension)을 가지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해도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100)는 기포제거 단계(S100)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금을 밴딩롤러로 밴딩작업을 한 후 프레스 금형으로 커팅하여 탄성체결구(100)를 제조하며,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중앙에 고정홈(111)이 있는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의 삽입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절곡된 내측에는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동작홈(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에는 체결홈(131)이 파여진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박스 제조단계(S300)는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가 장력에 의해 삽탈될 수 있는 체결박스(200)를 제조하되, 상기 체결박스(200)는 내입홈(211)이 형성되는 체결집(210)이 구비되며, 상기 내입홈(211) 양 내측에 탄성고정구(220)가 형성되어 체결홈(131)이 탄성고정구에 탄성 결합되고, 상기 체결집(210) 일측에 유동방지홈(2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홈(131) 내주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R)가 구비되도록 하여 탄성고정구(220)가 체결홈(131)에 결합될 시 더욱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 제조단계(S400)는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부(110)에 고정될 수 있는 유동방지부(300)를 제조하되, 상기 유동방지부(300)의 유동방지체(310)는 일측에 유동방지구(320)가 형성되어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에 내입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체 면상에는 고정홈(111)과 연통될 수 있는 연통홈(33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이저 용접단계(S500)는 탄성체결구(100)의 고정홈(111) 및 유동방지부(300)의 연통홈(330)에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연통홈(330)과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탄성체결구(100) 및 유동방지부(30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저 용접은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재료(금)에 주는 열 영향이 작아 탄성체결구(100)의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것이고, 일반 땜을 할 경우에는 장력이 사라지게 되어 탄성체결구의 체결력 및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이후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후 양 외측으로 분기되어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한 쌍의 삽입부(120)가 돌출된 이후 각각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300)에 고정된 탄성체결구(100)는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의 타측 단부에는 체결박스(200)가 고정됨으로서, 상기 탄성체결구(100) 및 체결박스(200)는 상호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는 일렬(一列) 또는 다열(多列)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민자스타일 또는 큐빅이 형성된 큐빅스타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탄성체결구 110 ... 고정부
111 ... 고정홈 120 ... 삽입부
130 ... 누름부 131 ... 체결홈
200 ... 체결박스 210 ... 체결집
211 ... 내입홈 220 ... 탄성고정구
230 ... 유동방지홈 300 ... 유동방지부
310 ... 유동방지체 320 ... 유동방지구
330 ... 연통홈 B ... 귀금속 악세사리(팔찌)
H ... 동작홈 R ... 연질부
W ... 유동방지철사
S100 ... 기포제거 단계 S200 ... 탄성체결구 제조단계
S300 ... 체결박스 제조단계 S400 ... 유동방지부 제조단계
S500 ... 레이저 용접단계

Claims (5)

  1. 중앙에 고정홈(111)이 있는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의 삽입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절곡된 내측에는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동작홈(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에는 체결홈(131)이 파여진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탄성체결구(100)와;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내입홈(211)이 형성되는 체결집(210)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홈(211) 양 내측에는 탄성고정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가 내입홈(211)으로 내입될 때 삽입부 외주면이 탄성고정구(220)에 접촉하면서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눌려짐으로서 체결홈(131)에 탄성고정구(220)가 결합되어 탄성체결구(10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상기 체결집(210) 일측에 유동방지홈(230)이 형성되는 체결박스(200)와;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부(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체(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체(310)는 일측에 유동방지구(320)가 형성되어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으로 삽입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는 유동방지부(300)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이후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후 양 외측으로 분기되어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한 쌍의 삽입부(120)가 돌출된 이후 각각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유동방지체(310)는 면상에 고정홈(111)과 연통될 수 있는 연통홈(330)이 형성되어 고정홈(111) 및 연통홈(330)에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유동방지체(310)에 내입된 탄성체결구(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체결홈(131) 내주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용 장신구.
  2. 삭제
  3. 금을 전기로를 통해 용해함으로서 금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 단계(S100);
    상기 기포제거 단계(S100)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금을 밴딩롤러로 밴딩작업을 한 후 프레스 금형으로 커팅하여 탄성체결구(100)를 제조하며,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중앙에 고정홈(111)이 있는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의 삽입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절곡된 내측에는 삽입부가 장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동작홈(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에는 체결홈(131)이 파여진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200);
    상기 탄성체결구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탄성체결구(100)의 삽입부(120)가 장력에 의해 삽탈될 수 있는 체결박스(200)를 제조하되, 상기 체결박스(200)는 내입홈(211)이 형성되는 체결집(210)이 구비되며, 상기 내입홈(211) 양 내측에 탄성고정구(220)가 형성되어 체결홈(131)이 탄성고정구에 탄성 결합되어 탄성체결구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상기 체결집(210) 일측에 유동방지홈(230)이 형성되는 체결박스 제조단계(S300);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부(110)에 고정될 수 있는 유동방지부(300)를 제조하되, 상기 유동방지부(300)의 유동방지체(310)는 일측에 유동방지구(320)가 형성되어 체결박스(200)의 유동방지홈(230)에 내입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체 면상에는 고정홈(111)과 연통될 수 있는 연통홈(330)이 형성되는 유동방지부 제조단계(S400);
    상기 탄성체결구(100)의 고정홈(111) 및 유동방지부(300)의 연통홈(330)에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연통홈(330)과 유동방지철사(W)를 끼워 레이저 용접함으로서 탄성체결구(100) 및 유동방지부(300)를 고정하는 레이저 용접단계(S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용 체결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구(100)는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이후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삽입부(120)가 연장된 후 양 외측으로 분기되어 절곡되는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110)에서 한 쌍의 삽입부(120)가 돌출된 이후 각각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용 체결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300)에 고정된 탄성체결구(100)는
    귀금속 악세사리(B;팔찌)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귀금속 악세사리의 타측 단부에는 체결박스(200)가 고정됨으로서, 상기 탄성체결구(100) 및 체결박스(200)는 상호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귀금속 악세사리는 일렬(一列) 또는 다열(多列)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민자스타일 또는 큐빅이 형성된 큐빅스타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용 체결구 제조방법.
KR1020180002051A 2018-01-08 2018-01-08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51A KR101871182B1 (ko) 2018-01-08 2018-01-08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51A KR101871182B1 (ko) 2018-01-08 2018-01-08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82B1 true KR101871182B1 (ko) 2018-06-27

Family

ID=6279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51A KR101871182B1 (ko) 2018-01-08 2018-01-08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007A (ko) 2019-04-17 2020-10-27 황용석 순금 장식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90Y1 (ko) * 2013-01-14 2014-02-27 김용남 액세서리 연결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90Y1 (ko) * 2013-01-14 2014-02-27 김용남 액세서리 연결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007A (ko) 2019-04-17 2020-10-27 황용석 순금 장식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6460A5 (ko)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KR101871182B1 (ko) 팔찌용 체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JP3559794B2 (ja) 時計用連結構造および時計
JP2014510580A (ja) 装飾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KR100929208B1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JP5147175B2 (ja) 装身具用留め具
JP4344118B2 (ja) 装飾品の連結構造および装飾品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JP2541549Y2 (ja) ネックレス、腕輪、その他の装身具及び服飾品用留め金
KR200240217Y1 (ko) 장신용 체인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JP3118704U (ja) 連結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身飾品
KR200277366Y1 (ko) 사슬 체인의 연결구조
KR200338248Y1 (ko) 장신구의 보석 설치구조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348796A (ja) 装飾用連結具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JP3146778U (ja) 環状装身具の連結具
JP2009095637A (ja) 装身具用連結金具
JP3015267U (ja) ペンダント連結具
KR200432270Y1 (ko) 귀걸이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