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16B1 - 바이패스 스위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16B1
KR101870016B1 KR1020160018051A KR20160018051A KR101870016B1 KR 101870016 B1 KR101870016 B1 KR 101870016B1 KR 1020160018051 A KR1020160018051 A KR 1020160018051A KR 20160018051 A KR20160018051 A KR 20160018051A KR 101870016 B1 KR101870016 B1 KR 10187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sing
fixed
movable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539A (ko
Inventor
정택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6820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700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16B1/ko
Priority to EP16183762.0A priority patent/EP3208825B2/en
Priority to ES16183762T priority patent/ES2712667T5/es
Priority to US15/240,862 priority patent/US9953779B2/en
Priority to JP2016176455A priority patent/JP6378270B2/ja
Priority to CN201710076171.6A priority patent/CN107086164B/zh
Publication of KR2017009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2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provided with a cartridge-magaz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4Clo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9/00Protective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causes the closing of contacts, e.g. for short-circuiting the apparatus to be protec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35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each including a switchable capacitor, the capacitors having a nominal charge voltage which corresponds to a given fraction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capacitors being selectively connected in series to determine the instantaneous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Spira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5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with means for allowing continuous operation despite a fault, i.e. fault tolerant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공 인터럽터와; 케이싱에 배치된 제1고정 버스바; 케이싱에 제1고정 버스바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고정 버스바; 가동 접점에 연결된 무빙 푸셔와; 케이싱에 설치되고 무빙 푸셔를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점되는 위치로 밀어내는 구동원과; 무빙 푸셔에 접촉되게 배치된 멀티 컨택터를 포함하여, 무빙 푸셔가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신속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무빙 푸셔를 적은 외력으로 무빙시킬 수 있어 구동원의 크기 및 구동원에 사용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스위치{Bypass Switch}
본 발명은 바이패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이동되어 접촉되는 진공 인터럽터를 갖는 바이패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컨버터 등의 전기기기에 설치되어 고장 등의 이상이 감지되면, 단락되어 컨버터 등의 전기기기에 설치된 타 부품으로 고장에 의한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고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에 사용되는 컨버터(Converter)에 구비되거나, 정지형 동기 보상기(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또는 무효전력 보상장치(Static Var Compensator,SVC)에 구비될 수 있고, 고속으로 단락되는 고속 단락 바이패스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고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은 송전소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켜서 송전한 후, 수전소에서 교류로 재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 설비이다.
그리고, 정지형 동기 보상기(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는 전기를 송배전할 때 전력계통에서 무효전력, 유효전력 보상장치로 사용되며 손실전압을 보충해 안정성을 높이는 설비이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다수의 서브 모듈 조합으로 이루어진 컨버터에 구비될 경우, 서브 모듈의 자체 고장 등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이 감지된 서브 모듈들을 단락시켜 인접한 다른 서브 모듈에 고장에 의한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모듈의 자체 고장은 서브 모듈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없는 경우, 서브 모듈에 설계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서브 모듈의 통신 기능이 이상인 경우, 서브 모듈의 드라이버 고장일 경우 등일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고정 접점과 연결된 제1 버스바와, 가동 접점과 연결된 제2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가동 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이동되어 고정 접점과 접촉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구동원의 구동시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으로 이동되어 고정 접점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원의 구동에 의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시, 전류는 제1고정 버스바, 고정 접점, 가동 접점과, 제2 버스바로 흐를 수 있고, 바이패스 스위치는 단락될 수 있다.
US 8,390,968 B2(2013년3월5일 공개)
본 발명은 구동원의 크기 및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접점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공 인터럽터와; 상기 케이싱에 배치된 제1고정 버스바와; 상기 케이싱에 상기 제1고정 버스바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고정 버스바와; 상기 가동 접점에 연결된 무빙 푸셔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 푸셔를 상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점되는 위치로 밀어내는 구동원과; 상기 무빙 푸셔에 접촉되게 배치된 멀티 컨택터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컨택터는 상기 무빙 푸셔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무빙 푸셔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부에 돌출되어 상기 무빙 푸셔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복수개가 상기 아우터 바디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복수개가 상기 아우터 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컨택터는 상기 무빙 푸셔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무빙 푸셔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부에 내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푸셔와 접촉되는 나선형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푸셔는 상기 가동 접점에 연결된 가동부 연장로드와;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에 연결된 래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과 이격시키는 마그네트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원은 구동시,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상기 인력보다 큰 외력을 가하도록 피스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는 상기 피스톤이 외력을 가하는 핀과, 상기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플레이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는 일면에 상기 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핀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고, 타면에 상기 가동부 연장바디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마그네트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홀더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멀티 컨텍터를 지지하고 통전 재질인 멀티 컨텍터 서포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는 내주에 상기 멀티 컨택터가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컨택터는 상기 무빙 푸셔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무빙 푸셔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부에 돌출되어 상기 무빙 푸셔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우터 바디부는 상기 무빙 푸셔의 일부를 둘러싸는 중공 통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공 통체는 상기 무빙 푸셔와 멀티 컨텍터 서포터의 사이에 상기 무빙 푸셔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중공 통체의 내주에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중공 통체는 상기 무빙 푸셔의 외면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 접점 및 제1고정 버스바와 결합된 제1통전 케이싱과,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 및 제2고정 버스바와 결합된 제2통전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전 케이싱에는 상기 구동원의 일부를 둘러싸는 중공통부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 버스바는 상기 중공 통부가 관통하는 중공통부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 버스바는 상기 제2통전 케이싱에 접촉되는 접촉판체와, 상기 접촉판체에서 절곡되고 상기 구동원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와 상기 제1통전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절연 케이싱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외측에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는 상기 제2통전 케이싱과 절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전 케이싱에는 상기 제1통전 케이싱을 상기 절연 케이싱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 버스바는 상기 체결부재 관통공 및 체결부재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통전 케이싱은 상기 고정접점과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 버스바는 상기 체결부재를 회피하는 회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빙 푸셔가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신속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무빙 푸셔를 적은 외력으로 무빙시킬 수 있어 구동원의 크기 및 구동원에 사용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고정 버스바와 제2고정 버스바가 모두 고정되게 설치되어 조립 및 정비성이 용이하고 제1고정 버스바 또는 제2고정 버스바의 이동을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바이패스 스위치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트에 의해 래치 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바이패스 스위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원 작동 후, 래치 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멀티 컨텍터가 가동부 연장로드에 밀리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되어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멀티 컨텍터와 가동부 연장로드의 접촉상태가 계속 유지되면서 가동부 연장로드가 이동되어,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제2고정 버스바와 제1고정 버스바가 케이싱의 둘레면에 위치하지 않고, 케이싱의 옆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케이싱의 외둘레면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이패스 스위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멀티 컨텍터 서포터 및 제2통전 케이싱이 멀티 컨텍터와 제2고정 버스바를 통전시켜 별도의 통전부재가 멀티 컨텍터와 제2고정 버스바를 통전시키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바이패스 스위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통전 케이싱이 고정 접점과 제1고정 버스바를 통전시켜 별도의 통전부재가 고정 접점과 고정부 바스바를 통전시키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진공 인터럽터가 외관을 형성하는 절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절연 케이싱에 의해 보호되므로, 진공 인터럽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 전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 후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 후 전류의 흐름이 도시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 전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 후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 후 전류의 흐름이 도시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케이싱(1)와, 진공 인터럽터(2)와, 무빙 푸셔(3)와, 마그네트(4)와, 구동원(5)와, 제1고정 버스바(6)와, 제2고정 버스바(7) 및 멀티 컨택터(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바이패스 스위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알루미늄 등의 통전 재질의 통전 케이싱과,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질의 절연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적어도 하나의 통전 케이싱과, 적어도 하나의 절연 케이싱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복수개의 통전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케이싱은 복수개의 통전 케이싱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은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11)에는 진공 인터럽터(2)와, 무빙 푸셔(3)와, 마그네트(4)와, 멀티 컨택터(8)가 구비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2)는 가동 접점(21)이 고정 접점(22)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2)는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2)는 케이싱(1)의 공간(11)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싱(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2)는 외둘레면(2a)이 케이싱(1)의 내면(1a)을 마주볼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2)는 이너 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3)은 진공 인터럽터(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3)은 내부에 이너 공간(24)이 형성된 진공 하우징일 수 있다.
가동 접점(21)은 이너 하우징(2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3)에는 가동 접점(21)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가동 접점 관통공(2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22)은 이너 하우징(23)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3)에는 고정 접점(22)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고정 접점 관통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 관통공(26)은 가동 접점 관통공(25)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3)은 케이싱(1) 내부에 케이싱(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3)의 외둘레면(2a)은 진공 인터럽터(2)의 외둘레면이 될 수 있고, 이너 하우징(23)의 외둘레면(2a)는 케이싱(1)의 내면(1a)을 마주볼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가동 접점(21)에 연결되어 가동 접점(21)을 무빙시킬 수 있다. 가동 접점(21)은 무빙 푸셔(3)의 무빙시 고정 접점(22)과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가동 접점(21)이 고정 접점(22)과 접촉되게 가동 접점(2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가동 접점(21)이 고정 접점(22)과 이격되게 가동 접점(2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구동원(5)의 구동 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21)을 고정 접점(22)과 이격시키는 제1위치(F)에 유지될 수 있다. 무빙 푸셔(3)은 구동원(5)의 구동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21)을 고정 접점(22)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R)로 무빙될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구동원(5)과 가동 접점(21)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원(5)의 구동시 가동 접점(21)이 고정 접점(22)에 접촉되게 가동 접점(21)을 밀어낼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가동 접점(21)에 연결된 가동 접점 커넥터일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가동 접점(21)과 함께 무빙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무빙 푸셔(3)는 가동 접점(21)에 연결된 가동부 연장로드(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진공 인터럽터(2)의 외부에 위치되게 가동 접점(21)에 연결될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가동 접점(2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가동 접점(21)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가동 접점(21)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가동 접점(21)과 연결될 경우, 가동부 연장로드(31)에 돌출된 돌출부(31a)가 가동 접점(21)에 형성된 돌출부 삽입홈부(21a)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고, 가동부 연장로드(31)와 가동 접점(21)은 일체로 무빙될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가동 접점(21)과 연결될 경우, 가동부 연장로드(31)에 돌출부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가동 접점(21)에 형성된 돌출부가 가동부 연장로드(31)의 돌출부 삽입홈부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무빙 푸셔(3)는 가동부 연장로드(31)에 연결된 래치 플레이트(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는 케이싱(1) 내부에 무빙되게 위치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는 진공 인터럽터(2)와 구동원(5)의 사이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마그네트(4)의 인력 작용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4)와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는 구동원(5)이 구동되기 이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4)를 고정하는 마그네트 홀더(41)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는 단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래치 플레이트(32)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구동원(5)의 후술하는 피스톤(51)이 외력을 가하는 핀(33)과, 마그네트(4)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플레이트 바디(3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34)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그네트(4)의 인력은 플레이트 바디(34)에 작용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바디(34)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마그네트(4)에 의해 마그네트(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34)는 일면에 핀(33)이 삽입되는 삽입공(35a)이 형성된 핀 삽입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34)는 타면에 가동부 연장로드(31)에 연결되는 연결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34)는 원판 형상의 판체로 형성될 수 있고, 판체의 일면에 핀 삽입부(35)가 구동원(5)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판체의 타면에 연결부(36)가 진공 인터럽터(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핀(33)은 플레이트 바디(34)의 핀 삽입부(35)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핀(33)은 플레이트 바디(34)의 핀 삽입부(35)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구동원(5)의 피스톤(51)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핀 삽입부(35)는 플레이트 바디(34)의 양면 중 마그네트(4)를 마주보는 면에 구동원(5)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36)는 플레이트 바디(34)의 양면 중 마그네트(4)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가동부 연장로드(3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연결부(36)가 삽입되는 연결부 삽입홈부(37)가 형성될 수 있고, 래치 플레이트(32)는 플레이트 바디(34)에 형성된 연결부(36)가 가동부 연장로드(31)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부(37)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는 가동부 연장로드(31)와 함께 무빙 푸셔(3)를 구성할 수 있다. 구동원(5)의 구동시, 래치 플레이트(32)가 가동부 연장로드(31)를 밀고, 가동부 연장로드(31)가 가동 접점(21)을 밀 수 있다.
마그네트(4)는 케이싱(1) 내부에 배치되어 래치 플레이트(32)에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3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마그네트(4)는 래치 플레이트(32)에 자기력을 작용하여 래치 플레이트(32)를 끌어당길 수 있고, 가동 접점(21)을 고정 접점(22)과 이격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4)는 링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4)는 링 형상인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막대 형상의 복수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마그네트(4)를 고정하는 마그네트 홀더(41)가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1)는 케이싱(1)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아우터 홀더(42)와, 아우터 홀더(42)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홀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1)는 자성체 특히 약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홀더(4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너 홀더(43)는 아우터 홀더(42)의 공간에 아우터 홀더(43)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4)는 아우터 홀더(42)와 이너 홀더(43)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어 아우터 홀더(42)와 이너 홀더(43)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너 홀더(43)는 외둘레에 마그네트(4)가 걸리는 스토퍼(44)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홀더(43)에는 핀 삽입부(35) 및 핀(33)이 관통되게 위치될 수 있는 관통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1)는 마그네트(4) 중 플레이트 바디(34)를 마주보는 면 이외를 둘러싸는 마그네트 하우징일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1)는 아우터 홀더(42), 마그네트(4) 및 이너 홀더(43)를 마주보는 사이드 홀더(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4)는 사이드 홀더(46)와 스토퍼(44) 사이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홀더(46)는 아우터 홀더(42)와 이너 홀더(43)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1)로 체결될 수 있다.
사이드 홀더(46)는 핀(33)과 후술하는 피스톤(51)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안내홀(47)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47)은 이너 홀더(43)의 관통공(45)을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핀(33)은 구동원(5)의 작동 전, 일부가 안내홀(47)에 위치될 수 있고, 구동원(5)의 작동시 안내홀(47)에 안내되면서 진공 인터럽터(2)를 향해 전진될 수 있다. 사이드 홀더(46)는 핀(33)을 안내하는 핀 가이드일 수 있다. 사이드 홀더(46)는 구동원(5)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구동원 수용홈(46a)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원 수용홈(46a)은 사이드 홀더(46)의 양면 중 후술하는 제2통전 케이싱(13)을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가동 접점(21)과 고정 접점(22)이 접촉되는 방향으로 래치 플레이트(3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48)은 가동 접점(21)과 고정 접점(22)이 접촉되었을 때, 가동 접점(21)이 고정 접점(22)에서 떨어지지 않고 그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플레이트 바디(34)를 진공 인터럽터(2)의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48)은 일단이 플레이트 바디(34)에 접촉되고 타단이 마그네트 홀더(41)에 접촉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48)은 구동원(5)의 구동 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4)에 의해 당겨진 래치 플레이트(32)에 눌려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48)은 구동원(5)이 구동되어 구동원(5)이 래치 플레이트(32)를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복원될 수 있고, 래치 플레이트(32)가 진공 인터럽터(2)의 반대방향 즉, 마그네트(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스프링(48)은 핀 삽입부(35)의 외측 및 핀(33)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48)은 핀 삽입부(35)의 외측 및 핀(33)의 외측을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1)에는 스프링(48)의 일측이 삽입되어 수용되고 스프링(48)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부(49)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시트부(49)는 이너 홀더(43)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시트부(40)는 이너 홀더(43)의 양면 중 플레이트 바디(34)를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바디(34)는 마그네트(4)를 마주보는 면에 스프링(46)의 타측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부(38)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원(5)은 케이싱(1)에 설치되고 무빙 푸셔(3)를 가동 접점(21)과 고정 접점(22)이 접점되는 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 구동원(5)은 무빙 푸셔(3)를 고속으로 무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원(5)은 후술하는 제2통전 케이싱(13)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원(5)은 폭발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폭발형 액츄에이터는 구동시, 피스톤(51)이 래치 플레이트(32)에 마그네트(4)의 인력보다 큰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구동원(5)과 폭발형 액츄에이터(5)에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폭발형 액츄에이터(5)는 케이싱(1)에 설치될 수 있다. 폭발형 액츄에이터(5)는 가동 접점(21)이 고정 접점(22)과 접촉되게 가동부 연장로드(31)와 래치 플레이트(32) 중 적어도 하나를 밀어낼 수 있다.
폭발형 액츄에이터(5)는 피스톤(51)과, 피스톤(51)으로 가스를 분출하여 피스톤(51)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52)는 내부에 가스가 분출되는 공간(53)이 형성된 하우징(52a)과, 하우징의 공간(53)으로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 분출기(52b)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51)은 인플레이터(5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간(53)으로 분출된 가스에 의해 고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51)은 인플레이터(52)의 작동시, 사이드 홀더(46)의 안내홀(47)로 전진되어 사이드 홀더(46)의 안내홀(47)에 위치하던 핀(33)을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인플레이터(52)는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공간(53)으로 가스를 분출할 수 있고, 피스톤(51)은 공간(53)으로 분출된 가스에 의해 밀려 래치 플레이트(32)를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가동부 연장로드(31)는 래치 플레이트(32)에 밀려 가동 접점(21)을 고정 접점(22)에 접촉시킬 수 있다. 피스톤(51)은 하우징(52a)의 공간(53)으로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면, 이러한 고압의 가스에 의해 빠르게 무빙될 수 있다.
하우징(52a)은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 분출기(52b)는 케이싱(1)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가스 분출기(52b)에는 가스 분출기(52b)를 작동시키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52c)이 연결될 수 있다.
가스 분출기(52b)는 가스 발생기로서, 외부에서 점호 신호가 인가되면 가스 분출기(52b)가 작동되어 하우징(52a)의 공간(53)으로 고압의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는 케이싱(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는 고정 접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 접점측 버스바로서, 케이싱(1)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는 케이싱(1)에 제1고정 버스바(6)와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 바스바(7)는 가동 접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동 접점측 버스바일 수 있다. 제2고정 바스바(7)는 후술하는 제2통전 케이싱(13)과 멀티 컨택터 서포터(12)와 멀티 컨택터(8)와 가동부 연장로드(31)를 통해 가동 접점(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는 제1고정 버스바(6)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케이싱(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와 제2고정 버스바(7)는 케이싱(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는 케이싱(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고정 버스바(7)는 케이싱(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와 제2고정 버스바(7)는 케이싱(1)을 사이에 두고 좌우 이격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가 케이싱(1)의 좌우 중 좌측에 위치될 경우, 제2고정 버스바(7)는 케이싱(1)의 좌우 중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가 케이싱(1)의 좌우 중 우측에 위치될 경우, 제2고정 버스바(7)는 케이싱(1)의 좌우 중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제1고정 버스바(6)와 제2고정 버스바(7)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고정 버스바(6) 및 제2고정 버스바(7)에 의해 그 좌측면과 우측면이 보호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멀티 컨택터(8)와 제2고정 버스바(7)를 통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 통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고정 접점(22)과 제1고정 버스바(6)를 통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 통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가동부 통전부재와 고정부 통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부 통전부재와 고정부 통전부재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멀티 컨택터(8)와 제2고정 버스바(7)를 통전시키는 가동부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싱(1)은 고정 접점(22)과 제1고정 버스바(6)를 통전시키는 고정부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싱(1)이 가동부 통전부재와 고정부 통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케이싱(1)은 가동부 통전부재와 고정부 통전부재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싱(1)이 절연부재를 포함할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케이싱(1)은 멀티 컨택터(8)를 지지하는 멀티 컨텍터 서포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고정 접점(21) 및 제1고정 버스바(6)와 결합되는 제1통전 케이싱(14)와, 멀티 컨택터 서포터(12) 및 제2고정 버스바(7)와 결합된 제2통전 케이싱(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컨텍터 서포터(12) 및 제2통전 케이싱(13) 각각은 알루미늄 등의 통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멀티 컨텍터 서포터(12) 및 제2통전 케이싱(13)는 가동부 통전부재일 수 있다.
멀티 컨텍터 서포터(12)와 제2통전 케이싱(13)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2)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멀티 컨텍터 서포터(12)는 내부에 멀티 컨택터(8)가 위치 고정되게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멀티 컨텍터 서포터(12)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멀티 컨텍터 서포터(12)의 내주면과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며, 멀티 컨택터(8)의 내주면은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멀티 컨텍터 서포터(12)는 내주에 멀티 컨택터(8)가 걸리는 걸림턱(12a)이 돌출될 수 있다.
걸림턱(12a)은 멀티 컨텍터 서포터(12) 중 진공 인터럽터(2)를 마주보는 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턱(12a)은 가동 접점(21) 중 진공 인터럽터(2)의 이너 하우징(23)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일단이 걸림턱(12a)에 접촉되게 수용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걸림턱(12a)에 걸린 상태에서 가동부 연장 로드(31)에 의해 밀리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통전 케이싱(13)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 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전 케이싱(13)은 중공 통체의 일면을 막는 판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전 케이싱(13)의 내부에는 래치 플레이트(32)가 무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마그네트 홀더(41)가 위치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1)는 제2통전 케이싱(1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1)로 고정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1)는 제2통전 케이싱(13)에 형성된 체결공과, 사이드 홀더(46)에 형성된 체결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아우터 홀더(42)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다. 제2통전 케이싱(13)은 마그네트 홀더(41)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홀더 마운터로 기능할 수 있다.
제2통전 케이싱(13)에는 구동원(5)의 일부를 둘러싸는 중공 통부(17)가 돌출될 수 있다. 중공 통부(17)의 내부에는 구동원(5)의 일부가 내삽되어 수용되는 구동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 통부(17)는 구동원(5)을 구성하는 인플레이터(52)의 하우징(52a)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원(5)은 인플레이터(52)의 하우징(52a)이 제2통전 케이싱(13)의 중공 통부(17)로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인플레이터(52)의 하우징(52a)은 단부가 마그네트 홀더(41) 특히, 사이드 홀더(46)의 구동원 수용홈(46a)로 삽입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는 중공 통부(17)가 관통하는 중공통부 관통공(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는 제2통전 케이싱(13)에 접촉되는 접촉 판체(72)와, 접촉판체(72)에서 절곡되고 구동원(5)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절곡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의 접촉 판체(72)에는 중공통부 관통공(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의 접촉 판체(72)는 양면 중 제2통전 케이싱(13)의 외면을 마주보는 면이 제2통전 케이싱(13)의 외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제2고정 버스바(7)의 접촉 판체(72)는 중공통부 관통공(71)의 둘레면이 제2통전 케이싱(13)의 중공 통부(17) 외주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제1통전 케이싱(14)는 알루미늄 등의 통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통전 케이싱(14)는 고정부 통전부재일 수 있다.
케이싱(1)은 멀티 컨택터 서포터(12)와 제1통전 케이싱(14) 사이에 배치된 절연 케이싱(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케이싱(15)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멀티 컨택터 서포터(12)에 체결될 수 있다. 절연 케이싱(15)과 멀티 컨택터 서포터(12)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부재 체결공이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케이싱(15)은 진공 인터럽터(2)의 외측에서 진공 인터럽터(2)를 둘러쌀 수 있다. 절연 케이싱(15)는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진공 인터럽터(2)가 수용되는 진공 인터럽터 수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2)는 절연 케이싱(15)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진공 인터럽터(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케이싱(1)이 진공 인터럽터(2)의 외둘레를 둘러싸지 않고, 진공 인터럽터(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진공 인터럽터(2)의 파손 가능성은 높을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케이싱(1) 특히, 절연 케이싱(15)이 진공 인터럽터(2) 외둘레를 둘러쌀 경우, 진공 인터럽터(2)의 파손 가능성은 최소화될 수 있다.
제1통전 케이싱(14)에는 제1통전 케이싱(14)을 절연 케이싱(15)에 체결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3)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고, 절연 케이싱(15)과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3)는 제1통전 케이싱(14)에 형성된 체결부재 관통공(141)을 관통하여 절연 케이싱(15)에 형성된 절연 케이싱 체결공(151)에 체결될 수 있다.
제1통전 케이싱(14)은 고정접점(22)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로 체결될 수 있다. 제1통전 케이싱(14)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가 관통되는 중앙 관통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접점(22)은 이너 하우징(23)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가 체결되는 체결공(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는 제1통전 케이싱(14)의 관통공(142)을 관통하여 고정접점(22)의 고정접점 체결공(222)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 버스바(6)는 체결부재 관통공(141) 및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통전 케이싱(14)을 절연 케이싱(15)에 체결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는 제1고정 버스바(6)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는 제1통전 케이싱(14)을 고정 접점(22)과 체결시키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P4)를 회피하는 회피공(6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는 제1통전 케이싱(14)에 접촉되는 제1고정 버스바 접촉 판체(62)와, 제1고정 버스바 접촉판체(62)에서 절곡되고 제2고정 버스바(7)의 절곡부(73)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1고정 버스바 절곡부(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버스바(6)의 제1고정 버스바 접촉 판체(62)는 양면 중 제1통전 케이싱(14)의 외면을 마주보는 면이 제1통전 케이싱(14)의 외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무빙 푸셔(3)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가동부 연장로드(31)와 래치 플레이트(32)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가동부 연장로드(31)와 래치 플레이트(32) 중 가동부 연장로드(31)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알루미늄 등의 통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멀티 컨택터(8)은 그 위치가 고정인 상태에서 무빙 푸셔(3)와 접촉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복수 지점이 무빙 푸셔(3)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구동원(5)의 작동 후 뿐만 아니라 구동원(5)의 작동 전에도 무빙 푸셔(3)에 복수 지점 접촉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푸셔(3)와 접촉되는 접촉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81)는 멀티 컨택터(8)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복수개의 접촉부(81)와 복수 지점 접촉될 수 있고, 이 경우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무빙 푸셔(3)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아우터 바디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81)는 아우터 바디부(82)에 돌출되어 무빙 푸셔(3)와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81)는 가동부 연장로드(31)와 접촉되게 아우터 바디부(82)에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82)는 무빙 푸셔(3)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82)는 무빙 푸셔(3)와 비접촉되는 비접촉부일 수 있다.
멀티 컨택터(8)는 그 내둘레면 전체가 무빙 푸셔(3)와 접촉되지 않고, 복수개의 접촉부(81)만 무빙 푸셔(3)와 접촉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82)와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아우터 바디부(82)의 내주면(82a)과 면접촉되지 않고, 가동부 연장로드(31)는 폭발형 액츄에이터(5)의 작동시 신속하게 무빙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접촉부(81)는 다수의 접점이 가동부 연장로드(31)과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82)는 무빙 푸셔(3)의 일부를 둘러싸는 중공 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통체는 무빙 푸셔(3)와 멀티 컨텍터 서포터(12)의 사이에 무빙 푸셔(3)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공 통체는 무빙 푸셔(3)의 외면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을 수 있다.
중공 통체는 무빙 푸셔(3) 중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고, 가동부 연장로드(31)와 멀티 컨택터 서포터(12) 사이에 가동부 연장로드(3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외면(31a)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접촉부(81)는 아우터 바디부(8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촉부(81) 각각은 중공 통체의 내주에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접촉부(81)는 중공 통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촉부(81) 각각은 가동부 연장로드(3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에서 구동원(5)으로 점호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원(5)은 피스톤(51)을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점호 신호의 인가시, 인플레이터(52)는 하우징(52a)의 공간(53)으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할 수 있고, 피스톤(51)은 하우징(52a)의 공간(53)으로 분출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피스톤(51)의 전진시, 피스톤(51)은 무빙 푸셔(3)를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어 낼 수 있다. 피스톤(51)은 래치 플레이트(32)에 마그네트(3)의 인력보다 큰 외력을 가할 수 있고, 래치 플레이트(32)는 마그네트(3)와 멀어지면서 진공 인터럽터(2)와 가까워질 수 있다. 피스톤(51)에 의해 무빙되는 래치 플레이트(32)는 가동부 연장로드(31)를 밀어낼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멀티 컨택터(8)의 복수개의 접촉부(81)와 접촉된 상태에서 멀티 컨택터(8) 내부를 슬라이드할 수 있고, 가동부 연장로드(31)는 슬라이드시 복수개의 접촉부(81)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다.
가동부 연장로드(31)는 멀티 컨택터(8)의 아우터 바디(82) 내둘레면과 면접촉되지 않으면서 복수개의 접촉부(81) 사이를 슬라이드할 수 있고, 가동부 연장로드(31)는 멀티 컨택터(8)의 아우터 바디(82) 내둘레면과 면접촉되는 경우 보다 빠르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슬라이드시, 가동부 연장로드(31)에 연결된 가동 접점(21)은 고정 접점(20)을 향해 전진될 수 있으며, 가동 접점(21)은 고정 접점(2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래치 플레이트(32)의 이동시, 스프링(48)은 탄성 복원되면서 래치 플레이트(32)를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스프링(48)이 래치 플레이트(32)를 미는 힘에 의해 래치 플레이트(32), 가동부 연장로드(31) 및 가동 접점(21)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고, 가동 접점(21)은 고정 접점(22)과 접촉 유지될 수 있다.
스프링(48)이 래치 플레이트(32)를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누르지 않을 경우, 폭발형 액츄에이터(5)는 기폭 후, 피스톤(51)이 진동 등에 의해 가스 분출기(52b)의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고 이 경우 하우징(52a) 내의 가스가 누출될 수 있며, 가동 접점(21)은 피스톤(51)의 후퇴 및 가스 누출에 의해 고정 접점(22)과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프링(48)이 래치 플레이트(32)를 진공 인터럽터(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누를 경우, 피스톤(51)은 진동 등에 의해 가스 분출기(52b)의 방향으로 후퇴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하우징(52a) 내의 가스 누출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가동 접점(21)과 고정 접점(22)의 접촉 유지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동 접점(21)과 고정 접점(22)의 접촉시, 고정 접점(22)과 멀티 컨택터(8)는 가동 접점(21) 및 가동부 연장로드(31)에 의해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 버스바(6)과, 제2고정 버스바(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전 케이싱(14)와, 고정 접점(22)와 가동 접점(21)과, 가동부 연장로드(31)와, 멀티 컨택터(8)와, 멀티 컨텍터 서포터(12)와, 제2통전 케이싱(13)을 통해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제1통전 케이싱(14)와, 고정 접점(22)와 가동 접점(21)과, 가동부 연장로드(31)와, 멀티 컨택터(8)와, 멀티 컨텍터 서포터(12)와, 제2통전 케이싱(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 버스바(6)과, 제2고정 버스바(7)를 통전시키는 경로를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스위치는 단락될 수 있고, 전류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접촉부(81')의 형상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접촉부(81)와 상이하고, 접촉부(81') 이외의 기타 구성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접촉부(81')는 아우터 바디부(82)의 내주면(82a)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81')는 아우터 바디부(82)의 내주면(82a)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접촉부(81')는 아우터 바디부(82)의 내주면(82a)에 아우터 바디부(8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무빙 푸셔(3)의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그 외면이 복수개 접촉부(81') 각각의 내둘레면과 접촉될 수 있다. 무빙 푸셔(3)의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 지점이 멀티 컨텍터와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접촉부(81")의 형상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접촉부(81) 및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접촉부(81')와 상이하고, 접촉부(81")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접촉부(81")는 아우터 바디부(82)에 아우터 바디부(82)의 내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형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나선형 접촉부는 무빙 푸셔(3)와 접촉될 수 있다. 나선형 접촉부는 무빙 푸셔(3) 중 가동부 연장로드(31)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무빙 푸셔(3)의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그 외면이 접촉부(81")를 따라 연속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바이패스 스위치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멀티 컨텍터(8')의 구성이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상이하고, 멀티 컨텍터(8') 이외의 구성이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멀티 컨텍터(8')는 내주면(82a)에 볼 삽입홈(82b)이 형성된 아우터 바디(82')와, 볼 삽입홈(82b)에 삽입되고 무빙 푸셔(3)의 외면에 접촉되는 볼(8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8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아우터 바디부(82)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내주면(82a)에 볼 삽입홈(82b) 형성되는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아우터 바디부(82)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볼(83)은 볼 삽입홈(82b)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무빙 푸셔(3)의 무빙시 무빙 푸셔(3)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무빙 푸셔(3)를 따라 구를 수 있다.
아우터 바디(82')에는 복수개의 볼 삽입홈(82b)이 형성될 수 있다. 멀티 컨텍터(8')는 복수개의 볼(83)을 포함할 수 있고, 볼(83)과 볼 삽입홈(82b)는 1:1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볼 삽입홈(82b)는 복수개가 아우터 바디(8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볼(83)은 아우터 바디(82')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무빙 푸셔(3)와 접촉될 수 있다. 볼 삽입홈(82b)는 복수개가 아우터 바디(82')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볼(83)은 아우터 바디(82')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무빙 푸셔(3)와 접촉될 수 있다. 무빙 푸셔(3)의 가동부 연장로드(31)는 그 외면이 복수개의 볼(83)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를 흐르는 전류는 가동부 연장로드(31)과 복수개의 볼(83)을 통해 아우터 바디(82')로 흐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케이싱 2: 진공 인터럽터
3: 무빙 푸셔 4: 마그네트
5: 구동원 6: 제1고정 버스바
7: 제2고정 버스바 8: 멀티 컨텍터
12: 멀티 컨텍터 서포터 12a: 걸림턱
13: 제2통전 케이싱 14: 제1통전 케이싱
15: 절연 케이싱 21: 가동 접점
22: 고정 접점 23: 이너 하우징
31: 가동부 연장로드 32: 래치 플레이트
33: 핀 34: 플레이트 바디
41: 마그네트 홀더 51: 피스톤
52: 인플레이터 52a: 하우징
52b: 가스 분출기 53: 공간
81: 접촉부 82: 아우터 바디부

Claims (23)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공 인터럽터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제1고정 버스바와;
    상기 케이싱에 상기 제1고정 버스바와 이격되게 고정된 제2고정 버스바와;
    상기 가동 접점에 연결된 무빙 푸셔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 푸셔를 상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점되는 위치로 밀어내는 구동원과;
    상기 무빙 푸셔에 접촉되게 배치된 멀티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컨택터는
    상기 무빙 푸셔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무빙 푸셔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부에 돌출되어 상기 무빙 푸셔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푸셔는
    상기 가동 접점에 연결된 가동부 연장로드와;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에 연결된 래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에 접촉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과 이격시키는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원은 구동시,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상기 인력보다 큰 외력을 가하도록 피스톤을 동작시키며,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마그네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 홀더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부가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복수개가 상기 아우터 바디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복수개가 상기 아우터 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아우터 바디부에 내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푸셔와 접촉되는 바이패스 스위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는
    상기 피스톤이 외력을 가하는 핀과,
    상기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플레이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는 일면에 상기 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핀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가동부 연장로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멀티 컨택터를 지지하고 통전 재질인 멀티 컨택터 서포터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는 내주에 상기 멀티 컨택터가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된 바이패스 스위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부는 상기 무빙 푸셔의 일부를 둘러싸는 중공 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통체는 상기 무빙 푸셔와 멀티 컨택터 서포터의 사이에 상기 무빙 푸셔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중공 통체의 내주에 돌출된 돌기인 바이패스 스위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통체는 상기 무빙 푸셔의 외면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는 바이패스 스위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 접점 및 제1고정 버스바와 결합된 제1통전 케이싱과,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 및 제2고정 버스바와 결합된 제2통전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전 케이싱에는 상기 구동원의 일부를 둘러싸는 중공 통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고정 버스바는 상기 중공 통부가 관통하는 중공통부 관통공이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 버스바는 상기 제2통전 케이싱에 접촉되는 접촉판체와,
    상기 접촉판체에서 절곡되고 상기 구동원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절곡부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와 상기 제1통전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케이싱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외측에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를 둘러싸는 바이패스 스위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컨택터 서포터는 상기 제2통전 케이싱과 절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스위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전 케이싱에는 상기 제1통전 케이싱을 상기 절연 케이싱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 버스바는 상기 체결부재 관통공 및 체결부재을 덮는 바이패스 스위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전 케이싱은 상기 고정접점과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상기 제1고정 버스바는 상기 체결부재를 회피하는 회피공이 형성된 바이패스 스위치.
KR1020160018051A 2016-02-16 2016-02-16 바이패스 스위치 KR10187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051A KR101870016B1 (ko) 2016-02-16 2016-02-16 바이패스 스위치
EP16183762.0A EP3208825B2 (en) 2016-02-16 2016-08-11 Bypass switch
ES16183762T ES2712667T5 (es) 2016-02-16 2016-08-11 Interruptor de derivación
US15/240,862 US9953779B2 (en) 2016-02-16 2016-08-18 Bypass switch
JP2016176455A JP6378270B2 (ja) 2016-02-16 2016-09-09 バイパススイッチ
CN201710076171.6A CN107086164B (zh) 2016-02-16 2017-02-13 旁路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051A KR101870016B1 (ko) 2016-02-16 2016-02-16 바이패스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39A KR20170096539A (ko) 2017-08-24
KR101870016B1 true KR101870016B1 (ko) 2018-07-23

Family

ID=5668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051A KR101870016B1 (ko) 2016-02-16 2016-02-16 바이패스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53779B2 (ko)
EP (1) EP3208825B2 (ko)
JP (1) JP6378270B2 (ko)
KR (1) KR101870016B1 (ko)
CN (1) CN107086164B (ko)
ES (1) ES2712667T5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031A (ko) * 2019-05-24 2020-12-02 엘에스일렉트릭(주) 바이패스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6160B2 (en) 2015-05-18 2020-02-18 Gigavac, Llc Passive triggering mechanisms for use with switching devices incorporating pyrotechnic features
US11239038B2 (en) 2015-05-18 2022-02-01 Gigavac, Llc Mechanical fuse device
US10281248B2 (en) * 2015-11-11 2019-05-07 Northrop Grumman Innovation Systems, Inc. Gas generators, launch tube assemblies including gas generat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7217166A1 (de) * 2017-09-27 2019-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und Verfahren zum Dämpfen des Kontaktprellens bei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n
KR20190002819U (ko) 2018-05-03 2019-1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바이패스 스위치
CN112714740A (zh) * 2018-05-17 2021-04-27 亚当斯瑞特航空航天公司 响应于减压检测系统和方法的烟火闩锁致动器
US11276535B2 (en) * 2018-08-28 2022-03-15 Gigavac, Llc Passive triggering mechanisms for use with switching devices incorporating pyrotechnic features
CN113874975A (zh) * 2019-05-24 2021-12-31 Ls电气株式会社 旁路开关
KR102190066B1 (ko) * 2019-05-24 2020-12-11 엘에스일렉트릭(주) 바이패스 스위치
US10825625B1 (en) * 2019-06-07 2020-11-03 Smart Wires Inc. Kinetic actuator for vacuum interrupter
US11443910B2 (en) 2019-09-27 2022-09-13 Gigavac, Llc Contact levitation triggering mechanisms for use with switching devices incorporating pyrotechnic features
CN111539170B (zh) * 2020-04-09 2023-04-25 南昌工程学院 一种statcom冗余子模块开关暂态建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30A (ja) * 2003-07-15 2005-02-10 Toshiba Corp 真空遮断装置
JP2005197094A (ja) * 2004-01-07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操作機構の手動開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5856U (ko) 1976-02-27 1977-09-02
JPS583791B2 (ja) 1976-06-14 1983-01-22 新東工業株式会社 竪割無枠鋳型における鋳造品の取り出し移し替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477974U (ko) 1977-11-14 1979-06-02
US4396969A (en) * 1981-11-27 1983-08-02 Porta Systems Corp. Gas tube protector module
JPH0832132B2 (ja) 1984-11-09 1996-03-27 日新電機株式会社 瞬時電圧低下補償装置
JPS6323743U (ko) * 1986-07-30 1988-02-17
JPH01279528A (ja) 1988-05-02 1989-11-09 Hitachi Ltd 高速度真空遮断装置
JPH02281521A (ja) * 1989-03-16 1990-11-19 Sprecher Energ Ag 多極真空遮断器および多極真空遮断器のための絶縁支持枠
DE4021945C2 (de) * 1990-07-10 1999-12-30 Alstom Sachsenwerk Gmbh Schaltvorrichtung zur Unterbrechung von Fehlerströmen
DE4133091C2 (de) * 1991-09-30 1995-06-01 Siemens Ag Vakuumschalter mit einer Antriebsvorrichtung und einer Polantriebseinheit
JPH0652761A (ja) * 1992-08-01 1994-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DE9401655U1 (de) 1993-06-18 1994-11-03 Siemens Ag Vakuumschaltröhre mit ringförigem Isolator
US5438173A (en) 1994-01-27 1995-08-01 G & H Technology, Inc. Cell bypass switch
US5808258A (en) 1995-12-26 1998-09-15 Amerace Corporation Encapsulated high voltage vacuum switches
WO1999017412A1 (fr) * 1997-09-29 1999-04-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utation
US6326872B1 (en) * 2000-05-09 2001-12-04 Eaton Corporation Power circuit breaker with air gap between molded insulative casing and grounded barrier insulating operating mechanism
US6853525B2 (en) 2002-06-14 2005-02-08 Eaton Corporation Vacuum arc interrupter actuated by a gas generated driving force
US6657150B1 (en) * 2002-06-14 2003-12-02 Eaton Corporation Shorting switch and system to eliminate arcing faults in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US6930271B1 (en) * 2004-08-13 2005-08-16 Eaton Corporation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linear actuator and manual pivot member
US7538454B2 (en) * 2005-06-30 2009-05-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eakage current shunt in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tilizing solid state relays
CN200990333Y (zh) * 2006-07-31 2007-12-12 厦门华电开关有限公司 一种真空断路器极柱
DE102007018344B4 (de) 2007-04-16 2022-08-04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utz von Umrichtermodulen
EP2034503B1 (en) 2007-09-05 2014-11-05 ABB Technology AG Low-voltage, medium-voltage or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having a short-circuiting system
FR2925214B1 (fr) 2007-12-18 2009-11-27 Schneider Electric Ind Sas Court-circuit pyrotechnique a contacts electrique auto-serrant et ensemble de protection contre les arcs internes comportant un tel court-circuiteur
JP4946920B2 (ja) * 2008-03-03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開閉器
DE102008059670B3 (de) * 2008-11-26 2010-06-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akuumschalter mit beidseitig fest verschienten Anschlussklemmen
JP5338477B2 (ja) 2009-05-25 2013-11-13 株式会社明電舎 真空遮断器
CN101976626A (zh) * 2010-11-09 2011-02-16 常州市明及电气技术开发有限公司 真空灭弧室的结构
JP5199498B2 (ja) * 2011-04-27 2013-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接点用グリース及び摺動通電構造、電力用開閉機器、真空遮断器、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並びに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の組立方法
KR101613812B1 (ko) 2015-01-12 2016-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송전의 바이패스 스위치
CN104851740B (zh) * 2015-05-28 2017-06-30 东南大学 一种带辅助线圈的高压真空断路器用长行程永磁操动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30A (ja) * 2003-07-15 2005-02-10 Toshiba Corp 真空遮断装置
JP2005197094A (ja) * 2004-01-07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操作機構の手動開放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031A (ko) * 2019-05-24 2020-12-02 엘에스일렉트릭(주) 바이패스 스위치
KR102190065B1 (ko) * 2019-05-24 2020-12-11 엘에스일렉트릭(주) 바이패스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86164B (zh) 2020-03-27
US20170236663A1 (en) 2017-08-17
CN107086164A (zh) 2017-08-22
EP3208825B1 (en) 2019-01-09
EP3208825B2 (en) 2021-12-29
ES2712667T5 (es) 2022-04-20
JP6378270B2 (ja) 2018-08-22
JP2017147216A (ja) 2017-08-24
KR20170096539A (ko) 2017-08-24
EP3208825A1 (en) 2017-08-23
ES2712667T3 (es) 2019-05-14
US9953779B2 (en)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016B1 (ko) 바이패스 스위치
US9659727B2 (en) Switch
KR101086908B1 (ko) 전자 개폐기
KR101681591B1 (ko) 전자 개폐기
US20180269017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KR101704807B1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JP4038950B2 (ja) 電磁継電器
KR102330627B1 (ko) 중간 전압 접촉기
TW200941851A (en) Separable connector with interface undercut
EP3125262B1 (en) Hybrid switching device
KR101224403B1 (ko) 진공차단기의 접점장치
JP6169289B1 (ja) 開閉器
EP3979286A1 (en) Bypass switch
KR102190065B1 (ko) 바이패스 스위치
KR102190066B1 (ko) 바이패스 스위치
KR20190002819U (ko) 바이패스 스위치
US20150114933A1 (en) Pushrod assembly for a medium voltage vacuum circuit breaker
JP7051011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150115568A (ko) 친환경 휴대용 발전기
KR20150115569A (ko) 친환경 휴대용 발전기
JP2013115015A (ja) ガス絶縁開閉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