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839B1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839B1
KR101869839B1 KR1020167012906A KR20167012906A KR101869839B1 KR 101869839 B1 KR101869839 B1 KR 101869839B1 KR 1020167012906 A KR1020167012906 A KR 1020167012906A KR 20167012906 A KR20167012906 A KR 20167012906A KR 101869839 B1 KR101869839 B1 KR 10186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assage
valve
internal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146A (ko
Inventor
유타카 니와
히데토 다카하시
데츠로 오카조노
히로노부 오키
아키나리 스기야마
아키히로 이시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6007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8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ue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3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or inclined rotation or symmetry axis submerged i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6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F02M2037/2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29Pressure regulator in the low pressur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2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fluid-driven, e.g. by compressed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펌프 및 연료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 내로부터 압송된 연료를 연료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필터 케이스 내로부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는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 연료 통로의 유통 연료를 내연 기관 측을 향하여 토출하는 토출 통로 및 연료 통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 밸브를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에 치우쳐서 일체로 가진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해당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 출원에 편입된, 2013년 11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229594호 및 2014년 8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75197호를 토대로 한다.
본 개시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 내로부터 압송된 연료를 필터 케이스 내부의 연료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상기 케이스 내로부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차량에 탑재됨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료 공급 장치의 일종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 및 연료 통로의 유통 연료를 내연 기관 측을 향하여 토출하는 토출 통로가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특히,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필터 케이스에 설치된 복수의 개폐 밸브에 의해 연료 통로가 개폐됨으로써 내연 기관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7―239682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개시 장치에서는 필터 케이스의 둘레 방향으로 각 개폐 밸브를 각각 개폐 대상의 연료 통로와 함께 복수 부분으로 나누어서 배치한다. 그 때문에, 필터 케이스의 축방향에서 보아, 각 개폐 밸브가 배치되는 부분의 외주를 포함시킨 상기 케이스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의 직경은 커지게 된다. 즉, 필터 케이스의 직경 방향 사이즈(size)가 커지기 때문에, 탑재의 제약으로부터 소형화가 요구되는 연료 공급 장치로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본 개시는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의 개폐 밸브를 필터 케이스에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제 1 개시는, 연료 펌프 및 연료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 내로부터 압송된 연료를 연료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필터 케이스 내로부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로서, 필터 케이스는 연료 필터보다도 하류측에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 연료 통로의 유통 연료를 내연 기관측을 향하여 토출하는 토출 통로 및 연료 통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 밸브를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에 치우쳐서 일체로 가진다.
이와 같은 제 1 개시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개폐 밸브는 이들의 개폐 대상인 연료 통로와 연료 통로의 유통 연료를 토출하는 토출 통로와 일체로 되어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에 치우쳐 있다. 이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의 축방향에서 보아 각 개폐 밸브가 배치되는 특정 개소 외주를 포함시킨 상기 케이스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의 직경은 작아진다. 즉, 필터 케이스의 직경 방향 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개폐 밸브를 상기 케이스에 가진 연료 공급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개시에서는, 연료 통로와 토출 통로와 복수의 개폐 밸브는 필터 케이스 중 연료 필터의 수용 부분으로부터 특정 개소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에 수납된다.
제 2 개시에서는, 필터 케이스 중 연료 필터의 수용 부분으로부터 특정 개소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에 복수의 개폐 밸브가 연료 통로 및 토출 통로와 함께 수납된다. 이에 따르면, 돌출부 외주를 포함시킨 필터 케이스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을 소직경화하여 연료 공급 장치의 소형화를 상기 케이스의 직경 방향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개시에서는, 연료 통로는 필터 케이스 중 연료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에 대하여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통하는 연통구를 가지고, 연통구로부터 연료를 유통시키고, 개폐 밸브의 하나는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내연 기관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스프링리스식 외부 잔압 유지 밸브로서,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개방하고 밸브 스토퍼에 걸려 고정되는 밸브 엘리먼트를 가진 외부 잔압 유지 밸브이고, 개폐 밸브의 다른 하나는, 수용실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을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스프링 가압식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서,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를 가진 내부 잔압 유지 밸브이고, 연통구는 연료 통로 중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부터 외부 잔압 유지 밸브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로 개구하고, 토출 통로에 의해 내연 기관측을 향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연료를 연통구로부터 외부 잔압 유지 밸브 측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외부용 통로부 및 연통구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측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연료의 흐름을 외부용 통로부보다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는 연료 통로에 형성되고, 내부용 통로부의 통로 단면적을 원통관의 통로 단면적으로서 변환한 경우, 상기 원통관의 통로 직경(D)과 내부용 통로부의 길이(L)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제 3 개시에 따르면, 외부 잔압 유지 밸브는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개방하고 밸브 스토퍼에 걸려 고정되는 밸브 엘리먼트를 가진 스프링리스식이다. 그 때문에, 연료 펌프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압력 맥동이 발생하여도 걸림 고정 상태의 밸브 엘리먼트가 진동하기 어렵다.
또 한편으로 제 3 개시에 따르면, 내부 잔압 유지 밸브는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를 가진 스프링 가압식이다. 여기에서, 토출 통로로부터 내연 기관측으로의 토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 중 연료 필터보다도 하류측에서 수용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부터 외부 잔압 유지 밸브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로 개구한다. 이에 따라, 연료 통로에서는 연통구로부터 외부 잔압 유지 밸브 측으로 연료가 향하는 외부용 통로부보다 상기 연통구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 측으로의 연료 흐름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에 대하여, 상기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길이(L)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은 스프링 가압식 내부 잔압 유지 밸브를 향하기까지의 길게 좁혀진 내부용 통로부에서 감쇠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잔압 유지 밸브에서의 밸브 엘리먼트의 진동도 감쇠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 3 개시에 따르면, 외부 잔압 유지 밸브 및 내부 잔압 유지 밸브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압력 맥동이 밸브 엘리먼트의 진동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통로로부터 내연 기관까지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제 4 개시에서는, 연료 통로는 필터 케이스 중 연료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에 대하여 연료 필터보다도 하류측에서 연통하는 연통구를 가지고, 연통구로부터 연료를 유통시키고, 개폐 밸브의 하나는 수용실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을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스프링 가압식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서,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를 가진 내부 잔압 유지 밸브이고, 연통구는 연료 통로 중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부터 토출 통로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로 개구하고, 연통구로부터 토출 통로 측을 향하여 연료를 유통시키는 외부용 통로부 및 연통구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측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연료의 흐름을 외부용 통로부보다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는 연료 통로에 형성되고, 내부용 통로부의 통로 단면적을 원통관의 통로 단면적으로서 변환한 경우, 상기 원통관의 통로 직경(D)과 내부용 통로부의 길이(L)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제 4 개시에 따르면, 내부 잔압 유지 밸브는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를 가진 스프링 가압식이다. 여기에서, 토출 통로로부터 내연 기관 측으로의 토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 중 연료 필터보다도 하류측에서 수용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부터 상기 토출 통로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로 개구한다. 이에 따라, 연료 통로에서는 연통구로부터 토출 통로 측으로 연료가 향하는 외부용 통로부보다 상기 연통구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측으로의 연료 흐름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에 대하여, 상기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길이(L)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은 스프링 가압식 내부 잔압 유지 밸브를 향하기까지의 내부용 통로부에서 감쇠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잔압 유지 밸브에서의 밸브 엘리먼트의 진동도 감쇠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 4 개시에 따르면, 내부 잔압 유지 밸브에 있어서 압력 맥동이 밸브 엘리먼트의 진동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통로로부터 내연 기관까지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펌프 유닛을 도시 한 도면으로서, 도 3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펌프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대한 케이스 캡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펌프 유닛을 도 2에 대응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대한 케이스 캡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펌프 유닛을 도 2에 대응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대한 케이스 캡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펌프 유닛을 도 2에 대응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펌프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5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펌프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 6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 1에 대응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펌프 유닛을 도 2에 대응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7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7의 ⅩⅤ―ⅩⅤ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펌프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7의 ⅩⅤⅠ―ⅩⅤⅠ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ⅩⅤⅡ―ⅩⅤⅡ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7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은 제 7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21은 제 7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22는 제 8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4의 ⅩⅩⅡ―ⅩⅩⅡ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펌프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4의 ⅩⅩⅢ―ⅩⅩⅢ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ⅩⅩⅣ―ⅩⅩⅣ선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해당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 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1)는 차량의 연료 탱크(2)에 탑재된다. 장치(1)는 연료 탱크(2) 내의 연료를 내연 기관(3)의 연료 분사 밸브로 직접적으로 또는 고압 펌프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장치(1)가 탑재되는 연료 탱크(2)는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연 기관(3)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한다. 또한, 장치(1)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내연 기관(3)으로서는, 가솔린 엔진이어도 좋고, 디젤 엔진이어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1)의 상하 방향은 수평면 상에 있어서의 차량의 상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구성 및 작동)
이하, 장치(1)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는 플랜지(10), 서브 탱크(20), 조정 기구(30) 및 펌프 유닛(4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는 수지에 의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료 탱크(2)의 천판부(天板部, top plate portion)(2a)에 장착된다. 플랜지(10)는 천판부(2a)와의 사이에 패킹(10a)을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천판부(2a)에 형성된 관통 구멍(2b)을 폐쇄한다. 플랜지(10)는 연료 공급관(12) 및 전기 커넥터(14)를 일체로 가진다.
연료 공급관(12)은 플랜지(10)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양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연료 공급관(12)은 만곡 가능한 플렉시블 튜브(flexible tube)(12a)를 통하여 펌프 유닛(40)과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의해 연료 공급관(12)은 펌프 유닛(40) 중 연료 펌프(42)에 의해 연료 탱크(2) 내로부터 압송되는 연료를 연료 탱크(2) 외부의 내연 기관(3) 측으로 공급한다. 전기 커넥터(14)도 플랜지(10)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양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전기 커넥터(14)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회로에 대하여 연료 펌프(42)를 전기 접속한다. 이러한 전기 접속에 의해 연료 펌프(42)가 외부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탱크(20)는 수지에 의해 바닥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료 탱크(2) 내에 수용된다. 서브 탱크(20)의 저부(20a)는 연료 탱크(2)의 저부(2c) 상에 탑재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20a) 중 위쪽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저부(20b)는 저부(2c)와의 사이에 유입 공간(22)을 확보한다. 또한, 오목 저부(20b)에는 유입구(24, 25)가 형성된다. 유입구(24, 25)는 유입 공간(22)을 통하여 연료 탱크(2) 내에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있어서, 한쪽의 유입구(24)는 펌프 유닛(40) 중, 제트 펌프(jet pump)(45)가 연료 탱크(2) 내로부터 이송시키는 연료를 서브 탱크(20) 내로 유입시킨다. 또한, 다른쪽의 유입구(25)는 빈 연료 탱크(2)에 대한 급유 시에 상기 탱크(2) 내로의 급유 연료를 서브 탱크(20) 내로 유입시킨다. 이렇게 하여 유입구(24, 25)를 통해서 유입된 연료는 연료 펌프(42)의 주위를 포함하는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도 1 참조)에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오목 저부(20b) 상에는 후술하는 제트 펌프(45)로부터의 부압(負壓)의 작용 시에 유입구(24)를 개방하는 리드(reed) 밸브(27)와, 급유압의 작용 시에 유입구(25)를 개방하는 리드 밸브(28)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기구(30)는 유지 부재(32), 한쌍의 지주(34) 및 탄성 부재(36) 등으로 구성된다.
유지 부재(32)는 수지에 의해 원환 형상(torus shape)으로 형성되고, 연료 탱크(2) 내에서 서브 탱크(20)의 상부(20c)에 장착된다. 각 지주(34)는 금속에 의해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료 탱크(2) 내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지주(34)의 상단부는 플랜지(10)에 고정된다. 이 상단부보다 아래쪽에서 각 지주(34)는 서브 탱크(20)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유지 부재(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된다.
탄성 부재(36)는 금속에 의해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료 탱크(2) 내에 수용된다. 탄성 부재(36)는 대응하는 일 지주(34)의 주위에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탄성 부재(36)는 대응 지주(34)와 유지 부재(32)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져 있다. 이러한 끼워짐 형태에 의해 탄성 부재(36)는 유지 부재(32)를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저부(20a)를 연료 탱크(2)의 저부(2c)로 향하여 밀어붙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유닛(40)은 연료 탱크(2) 내에 수용된다. 펌프 유닛(40)은 흡입 필터(41), 연료 펌프(42), 필터 케이스(43), 포트 부재(44) 및 제트 펌프(45) 등으로 구성된다.
흡입 필터(41)는 예를 들면, 부직포 필터 등이고, 서브 탱크(20) 내에서 저부(20a) 상에 탑재된다. 흡입 필터(41)는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으로부터 연료 펌프(42)로 흡입시키는 연료를 여과함으로써 상기 흡입 대상 연료 중의 큰 이물질을 제거한다.
연료 펌프(42)는 서브 탱크(20) 내에서 흡입 필터(41)의 위쪽에 배치된다. 전체적으로 원주 형상의 연료 펌프(42)는, 그 축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치시키고 있다. 연료 펌프(4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식 펌프이다. 연료 펌프(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가능한 플렉시블 배선(flexible wire)(42a)을 통하여 전기 커넥터(14)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연료 펌프(42)는 전기 커넥터(14)를 통하여 외부 회로로부터의 구동 제어를 받음으로써 작동한다. 여기에서, 작동 중의 연료 펌프(42)는, 그 주위에 저장된 연료를 흡입 필터(41)를 통하여 흡입하고, 또한 상기 흡입 연료를 내부에서의 가압에 의하여 압력을 조정한다.
연료 펌프(42)는 연료를 송출하는 송출구(420)에 일체로 송출 밸브(421)를 가진다. 송출 밸브(42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리스식식(spring-less type) 체크 밸브(check valve)이다. 연료 펌프(42)의 작동에 따라 연료가 가압되는 동안, 송출 밸브(421)가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송출구(420)로부터 연료가 필터 케이스(43) 내로 압송된다. 한편, 연료 펌프(42)의 정지에 따라 연료의 가압이 멈추면, 송출 밸브(421)가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는, 필터 케이스(43) 내로의 연료의 압송도 멈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43)는 수지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서 서브 탱크(20)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43)는 유지 부재(32)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서브 탱크(2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43) 중, 수용부(46)는 내부 통부(460)와 외부 통부(461)로부터 이중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료 펌프(42)의 주위에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수용부(46)의 배치 형태에 의해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은 상하 방향을 따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6)는 내부 통부(460) 및 외부 통부(461)의 위쪽에서 송출구(420)와 연통하는 연통실(462)을 편평형의 공간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수용부(46)는 내부 통부(460)와 외부 통부(461)의 사이에서 연통실(462)과 연통하는 수용실(463)을 원통 구멍 형상으로 형성한다. 수용실(463)에는 원통 형상의 연료 필터(464)가 수용된다. 연료 필터(464)는 예를 들면, 허니컴 필터(honeycomb filter) 등이고, 연통실(462)을 통하여 송출구(420)로부터 수용실(463)로 송출된 가압 연료를 여과함으로써 상기 가압 연료 중의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43) 중, 돌출부(47)는 외부 통부(461)로부터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S)를 향하는 직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7)에는 연료 통로(470), 격벽(47), 토출 통로(472),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 분기 통로(474),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 및 릴리프 통로(476)가 수납된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47)는 요소들(470, 471, 472, 473, 474, 475, 476)을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S)에 치우쳐서 일체로 가진다.
연료 통로(470)는 돌출부(47)를 역U자형으로 연장되는 공간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료 통로(470)는 격벽(471)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르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서 되꺾여 있다. 여기에서, 특히 연료 통로(470)는 평판 띠형상의 격벽(471)에 의해 직선 형상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구획 형태에 의해 연료 통로(470)에 있어서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되꺾임부(470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와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가 아래쪽을 향하여 스트레이트한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 형상으로 연장된다. 즉, 되꺾임부(470a)와, 상기 되꺾임부(470a)보다 상류측 부분의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와, 상기 되꺾임부(470a)보다 하류측 부분의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로 연료 통로(470)가 구성된다.
연료 통로(4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를 수용실(463)의 연료 출구(463a)에 연통시킴으로써 연료 필터(464)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형태의 연료 통로(470)는 연료 필터(464)에 의해 여과되어 연료 출구(463a)로부터 도출된 가압 연료를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의 최하류단(470d)측을 향하여 유통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통로(472)는 돌출부(47) 중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 통로(472)는 연료 통로(470)에서 연료 출구(463a)보다 하류측의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로부터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분기한다. 토출 통로(472)는 포트 부재(44) 중 토출 포트(440)와 연통함으로써 연료 통로(470)의 유통 연료를 플렉시블 튜브(12a) 및 연료 공급관(12)(도 1 참조)을 통하여 내연 기관(3) 측으로 토출한다. 이때, 연료 통로(470)에서는 토출 통로(472)에 의해 내연 기관(3) 측을 향해 가는 흐름으로부터 분류된 연료가 상기 통로(472)보다 하류측에서 유통하게 된다.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토출 통로(472)보다 상류측의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에 연료 출구(463a)보다 하류측에서 설치된다. 즉,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연료 통로(470)에서 연료 출구(463a)로부터 토출 통로(472)를 향하는 중도부에 배치된다.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리스식 체크 밸브이다.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를 포함한 연료 통로(470)를 개폐하기 위하여, “복수의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기능한다. 연료 펌프(42)의 작동에 따라 연료 출구(463a)로부터 여과 완료의 가압 연료가 도출되는 동안,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가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연료 통로(470)에 도출된 가압 연료가 토출 통로(472) 및 최하류단(470d) 측을 향하여 유동한다. 한편, 연료 펌프(42)의 정지에 따라 연료 출구(463a)로부터 연료의 도출이 멈추면,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가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는, 토출 통로(472) 및 최하류단(470d) 측을 향하는 연료의 유통도 멈추기 때문에, 토출 통로(472)로부터의 폐쇄 전의 토출에 의하여 내연 기관(3)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은 유지되게 된다. 즉, 폐쇄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에 의해 연료 통로(470)를 통한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에 대하여 잔압 유지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의 잔압 유지 기능에 의한 유지 압력은 연료 펌프(42)의 정지 시에 조정된 압력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연료 통로(470)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 및 토출 통로(472)를 경유하여 내연 기관(3)측으로 통하는 형태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 실현을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케이스(43)가 갖는 케이스 본체(430)와 케이스 캡(case cap)(431)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가 갖는 밸브 하우징(477)에 걸쳐 연료 통로(47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430)는 수용부(46) 중 수용실(463)을 형성하는 바닥을 가진 형상 부분과, 돌출부(47) 중 스트레이트부(470b, 470c)를 형성하는 바닥을 가진 형상 부분을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 본체(430)는 원통 구멍 형상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32a, 432b, 432c)와 편평형의 공간 형상으로 개구하는 압입 오목부(433)를 상부에 형성한다. 여기에서, 수용 개구부(432a)는 수용실(46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류 개구부(432b)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하류 개구부(432c)는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압입 오목부(433)는 상류 개구부(432b)의 주위와 하류 개구부(432c)의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캡(431)은 수용부(46) 중 연통실(462)을 형성하는 오목 형상 부분과, 돌출부(47) 중 되꺾임부(470a)를 형성하는 오목 형상 부분을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 캡(431)은 케이스 본체(430)에 대하여 용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상기 본체(430)의 모든 개구부(432a, 432b, 432c)를 덮고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430)의 상면부(430a)와 케이스 캡(431)의 하면부(431a)는 모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공통의 가상 평면(Icv) 상에 접합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가상 평면(Icv)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정됨으로써 서브 탱크(20) 내의 케이스 본체(430)와 상기 탱크(20) 외부의 케이스 캡(431)의 사이에 상기 평면(Icv) 상의 접합 경계(B)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하우징(477)은 통 형상의 하우징 본체(477a)와 평판 형상의 접합 플레이트(477b)를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 본체(477a)는 상류 개구부(432b)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러한 끼워 넣음 형태에 의해 하우징 본체(477a)에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하우징 본체(477a)는 아래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밸브 시트(valve seat)(477as)를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주위에서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하우징 본체(477a)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접합 플레이트(477b)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본체(477a)보다 튀어나와 있다. 접합 플레이트(477b)는 개구부(432b, 432c) 주위의 압입 오목부(433)에 압입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플레이트(477b)의 상면부(477bu)와 하면부(477bl)는 모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면부(477bu)는 케이스 본체(430)의 상면부(430a) 중 압입 오목부(433)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케이스 캡(431)의 하면부(431a)에 대하여 공통 가상 평면(Icv) 상에서의 용착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들의 압입 및 접합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430)와 케이스 캡(431)의 사이에 삽입된 접합 플레이트(477b)에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일부와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이러한 구성의 밸브 하우징(477)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 엘리먼트(valve element)(478)를 더 조합하고 있다. 밸브 엘리먼트(478)는 수지 및 고무의 복합재 또는 금속 및 고무의 복합재에 의해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477a)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 형태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478)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관통 부분에서 밸브 시트(477as)에 대한 안착 및 분리(seat and separate)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밸브 시트(477as)로부터 밸브 엘리먼트(478)가 분리(separating)되는 것에 따라 개방하는 한편, 밸브 시트(477as)에 밸브 엘리먼트(478)가 안착(seating)되는 것에 따라 폐쇄한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캡(431)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를 케이스 본체(430)에 대하여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차례 차례 실행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430)에 대하여 하우징 본체(477a)를 끼워 넣고, 또한 접합 플레이트(477b)를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캡(431)을 케이스 본체(430) 및 접합 플레이트(477b)에 대하여 공통 가상 평면(Icv) 상에 겹쳐서 용착함으로써 요소들(431, 430, 477b)을 접합한다. 그 결과로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43) 중 케이스 본체(430)와 케이스 캡(431)의 접합 경계(B)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통로(474)는 돌출부(47) 중 토출 통로(472) 및 최하류단(470d)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에서 단차(stepped) 원통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기 통로(474)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에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보다 상류측으로부터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분기한다. 여기에서 특히, 제 1 실시 형태의 분기 통로(474)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로부터 최하류단(470d)의 아래쪽을 향하여 분기함으로써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와는 교차하지 않는다. 분기 통로(474)는 포트 부재(44) 중 제트 포트(441)와 연통함으로써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통하여 연료 통로(47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제트 펌프(45)까지 안내한다.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는 분기 통로(474)에 설치된다.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는 본 실시 형태에서 스프링 가압식 체크 밸브이다.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는 분기 통로(474)에 연통된 연료 통로(470)를 개폐하기 위하여, “복수의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기능한다. 연료 펌프(42)의 작동에 따라 연료 출구(463a)로부터 설정압 이상의 연료가 도출되는 동안,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가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연료 통로(470)로부터 분기 통로(474)로 분류된 가압 연료가 제트 펌프(45) 측을 향하여 유통한다. 한편, 연료 펌프(42)의 작동에 있어서도 연료 출구(463a)로부터 도출되는 연료의 압력이 설정압 미만으로 되거나 연료 펌프(42)의 정지에 따라 상기 도출이 멈춤으로써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가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는, 제트 펌프(45) 측을 향하는 연료의 유통도 멈추기 때문에, 특히 연료 펌프(42)의 정지에 따른 경우에는, 송출 밸브(421)의 폐쇄와 함께 수용부(46)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이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의 설정압으로 유지된다. 즉, 폐쇄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에 의해 연료 필터(464)의 수용 부분의 연료에 대하여 잔압 유지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의 잔압 유지 기능에 의한 유지 압력은 예를 들면, 250kPa로 설정된다.
릴리프 통로(476)는 돌출부(47) 중 상하 방향의 통로(472, 474)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서 원통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릴리프 통로(476)는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에서 토출 통로(472)보다 하류측으로부터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분기한다. 릴리프 통로(476)는 포트 부재(44) 중 릴리프 포트(442)와 연통함으로써 필터 케이스(43) 내의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보다 하류측에서 내연 기관(3) 측을 향하는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를 릴리프 밸브(relief valve)(443)로까지 안내한다.
포트 부재(44)는 수지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브 탱크(20) 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부재(44)는 특정 개소(S)의 돌출부(47)에 대하여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여기에서, 포트 부재(44)의 측면(44a)과 돌출부(47)의 측면(47a)은 모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공통의 가상 평면(Ifp) 상에 접합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가상 평면(Ifp)은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을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포트 부재(44)는 상기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돌출부(47)로부터 튀어나오는 자세로 접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포트 부재(44)는 “곡면 형상”으로서 원통면 형상으로 만곡하는 외부 통부(461)의 외주면(461a)에 대하여, 그 원형 윤곽의 접선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그와 함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개소(S)의 외주로 되는 돌출부(47)의 외주를 포함시킨 필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하고, 또한 포트 부재(44)의 외주에도 접하는 도 3의 외접원(C)에 대하여, 그 직경이 가급적 작아지도록 포트 부재(44)의 튀어나옴량(jutting out amount)이 설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부재(44)는 토출 포트(440), 제트 포트(441), 릴리프 포트(442) 및 릴리프 밸브(443)를 필터 케이스(43) 외부에서 일체로 가진다.
토출 포트(440)는 포트 부재(44) 중 상하 방향의 상부에서 L자형의 공간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포트(440)는 측면(47a)으로 개구하는 토출 통로(472)와 연통한다. 그와 함께, 토출 포트(440)는 토출 통로(472)의 연통 개소와는 반대측에서 최하류단을 위쪽으로 향함으로써 플렉시블 튜브(12a)(도 1 참조)와 연통한다. 이들의 연통 형태에 의해, 토출 포트(440)는 필터 케이스(43) 내의 연료 통로(470)에 토출 통로(472)를 통하여 연통하고, 또한 필터 케이스(43) 외부의 내연 기관(3) 측으로 플렉시블 튜브(12a) 및 연료 공급관(12)을 통하여 연통한다. 이렇게 하여 필터 케이스(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연료 포트”의 하나로서 기능하는 토출 포트(440)는 연료 통로(470)로부터 토출 통로(472)로의 유통 연료를 내연 기관(3) 측을 향하여 토출한다.
제트 포트(441)는 포트 부재(44) 중 토출 포트(44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에서 역L자형의 공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트 포트(441)는 측면(47a)으로 개구하는 분기 통로(474)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연통 개소와는 반대측에서 제트 펌프(45)와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의해 제트 포트(441)는 필터 케이스(43) 내의 연료 통로(470)에 분기 통로(474)를 통하여 연통하고, 또한 필터 케이스(43) 외부에서 제트 펌프(45)와 직접적으로 연통한다. 이렇게 하여 필터 케이스(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연료 포트”의 하나로서 기능하는 제트 포트(441)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통한 연료 통로(470)로부터의 배출 연료에 대하여, 제트 펌프(45)를 향한 안내 작용을 발휘한다.
릴리프 포트(442)는 포트 부재(44) 중 상하 방향의 포트(440, 441)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서 단차 원통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릴리프 포트(442)는 측면(47a)으로 개구하는 릴리프 통로(476)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연통 개소와는 반대측에서 릴리프 밸브(443)와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의해, 릴리프 포트(442)는 필터 케이스(43) 내의 연료 통로(470)에 릴리프 통로(476)를 통하여 연통하고, 또한 필터 케이스(43) 외부에서 릴리프 밸브(443)와 직접적으로 연통한다. 이렇게 하여 필터 케이스(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연료 포트”의 하나로서 기능하는 릴리프 포트(442)는 연료 통로(470)에서 내연 기관(3) 측으로의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에 대하여, 릴리프 밸브(443)를 향한 안내 작용을 발휘한다.
릴리프 밸브(443)는 릴리프 포트(442)에 설치됨으로써 릴리프 통로(476)를 통하여 연료 통로(470)에 연통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443)는 릴리프 포트(442)의 최하류단(442a)을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과 연통함으로써 릴리프 통로(476)의 안내 연료를 상기 공간(26)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릴리프 밸브(44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가압식 체크 밸브이다. 릴리프 밸브(443)는 릴리프 포트(442)에 연통된 연료 통로(470)를 개폐한다. 연료 펌프(42)의 작동 및 정지에도 불구하고, 연료 통로(470)로부터 내연 기관(3)에 이르는 연료 공급 경로의 정상 상태가 유지되어 릴리프 포트(442)의 압력이 릴리프압(relief pressure) 미만으로 되는 동안에는 릴리프 밸브(443)가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 연료 펌프(42)의 작동에 의하여 압력이 조정된 연료는 필터 케이스(43) 내부의 토출 통로(472) 및 상기 케이스(43) 외부의 토출 포트(440)를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로 된다. 한편, 연료 펌프(42)의 작동 및 정지에도 불구하고, 연료 통로(470)로부터 내연 기관(3)에 이르는 연료 공급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릴리프압 이상의 연료가 릴리프 포트(442)로 안내되면, 릴리프 밸브(443)가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릴리프 밸브(443)로의 안내 연료가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이 릴리프압으로 되기까지 빠져나간다. 즉,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에 대해서는, 개방한 릴리프 밸브(443)에 의한 릴리프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443)의 릴리프 기능에 의한 릴리프압은 예를 들면, 650kPa로 설정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펌프(45)는 수지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브 탱크(20) 내에서 포트 부재(44)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트 펌프(45)는 서브 탱크(20)의 저부(20a) 중 특히 오목 저부(20b) 상에 탑재된다. 이러한 탑재 형태에 의해 제트 펌프(45)와 포트 부재(44)는 저부(20a) 상에서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으로 유입구(24)와 겹쳐 있다. 제트 펌프(45)는 가압부(450), 노즐부(451), 흡입부(452) 및 디퓨저부(453)를 일체로 가진다.
가압부(450)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차 원통 구멍 형상으로 가압 통로(454)를 형성한다. 가압 통로(454)는 포트 부재(4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제트 포트(441)와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43) 내의 연료 통로(470)로부터 상기 케이스(43) 내의 분기 통로(474)를 통하여 배출된 가압 연료는 상기 케이스(43) 외부의 제트 포트(441)를 경유하여 가압 통로(454)로 안내된다.
노즐부(451)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구멍 형상으로 노즐 통로(455)를 형성한다. 노즐 통로(455)는 가압부(45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가압 통로(454)와 연통한다. 또한, 노즐 통로(455)는 가압 통로(454)보다도 통로 단면적을 좁히고 있다. 이들 연통 및 좁힘 형태에 있어서, 가압 통로(454)로 안내된 가압 연료는 노즐 통로(455)로 유입된다.
흡입부(452)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편평형의 공간 형상으로 흡입 통로(456)를 형성한다. 흡입 통로(456)는 가압부(450) 및 노즐부(451)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유입구(24)와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있어서, 유입구(24)를 통하여 서브 탱크(20) 내로 유입된 연료는 흡입 통로(456)를 유통한다.
디퓨저부(diffuser portion)(453)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구멍 형상으로 디퓨저 통로(457)를 형성한다. 디퓨저 통로(457)는 가압부(45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노즐 통로(455)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연통 개소와는 반대측에서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과 연통한다. 또한, 디퓨저 통로(457)는 노즐 통로(455)보다 통로 단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이들 연통 및 확대 형태에 있어서, 노즐 통로(455)에 유입된 가압 연료가 디퓨저 통로(457)로 분출됨으로써 상기 분출류의 주위에 부압이 발생하면, 연료 탱크(2) 내의 연료가 유입구(24)로부터 흡입 통로(456) 및 디퓨저 통로(457)로 차례 차례 흡입된다. 이렇게 하여 흡입된 연료는 디퓨저 통로(457)에서 디퓨저 작용을 받아서 압송됨으로써 연료 펌프(42)의 주위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26)까지 이송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직경 원형인 디퓨저 통로(457)는 횡단면이 소직경 원형인 노즐 통로(455)에 대하여 위쪽으로 편심되어 있다. 그와 함께, 본 실시 형태의 디퓨저 통로(457)에 있어서 내부 공간(26)과 연통하는 최하류단(457a)은 서브 탱크(20)의 저부(20a) 중 오목 저부(20b)의 주위를 둘러싸는 최심(deepest) 저부(20d)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3)에 있어서 복수의 밸브(473, 475)는 이들의 개폐 대상인 연료 통로(470) 및 연료 통로(470)의 유통 연료를 토출하는 토출 통로(472)와 일체로 되어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S)에 치우쳐 있다. 이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서 보아, 각 밸브(473, 475)가 배치되는 특정 개소(S)의 외주를 포함시킨 상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C)의 직경은 작아진다. 즉, 필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 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밸브(473, 475)를 상기 케이스(43)에 가지는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3) 중 연료 필터(464)의 수용부(46)로부터 특정 개소(S)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47)에는, 복수의 밸브(473, 475)가 연료 통로(470) 및 토출 통로(472)와 함께 수납된다. 이에 따르면, 돌출부(47)의 외주를 포함시킨 필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C)을 소직경화하여 장치(1)의 소형화를 상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3)가 특정 개소(S)에 가지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는 연료 필터(464)의 수용부(46)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을 연료 펌프(42)의 정지에 따라 유지한다. 이러한 잔압 유지 기능에 따르면, 연료 펌프(42)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연료 필터(464)의 수용부(46)에서 고온 연료의 압력이 저하하여 증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료 펌프(42)의 정지 상태로부터 내연 기관(3)측으로의 연료의 재공급이 요구될 때에는 연료 필터(464)의 수용부(46)에 발생한 증기에 기인하여 상기 재공급이 늦어지거나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료 탱크(2) 내의 연료를 연료 펌프(42)의 주위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트 펌프(45)는 연료 통로(470)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료를 분출시킨다. 이에 따르면, 잔압 유지 기능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배출 연료를 이용함으로써 연료 펌프(42)의 주위로의 연료 이송 기능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의 집약에 의한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3)가 특정 개소(S)에 가지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는 토출 통로(472)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내연 기관(3)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연료 펌프(42)의 정지에 따라 유지한다. 이러한 잔압 유지 기능에 따르면, 연료 펌프(42)의 정지 상태로부터 내연 기관(3) 측으로의 연료의 재공급이 요구될 때에는, 상기 재공급이 즉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트 펌프(45)는 연료 통로(470)로부터의 배출 연료가 분기 통로(474)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 연료의 분출에 의한 연료 이송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기 통로(474)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보다 상류측에서 연료 통로(470)로부터 분기한다. 따라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의 잔압 유지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제트 펌프(45)의 연료 이송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통로(474)가 특정 개소(S)에서 밸브(473, 475) 및 통로(470, 472)와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필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C)을 소직경화하여 장치(1)의 소형화를 상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보다 상류측에서 연료 통로(470)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통로(474)는 그에 설치된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통하여 연료 통로(47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제트 펌프(45)로 안내한다. 이에 따르면,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의 잔압 유지 기능과 함께,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의 잔압 유지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제트 펌프(45)의 연료 이송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료 통로(470)에서 내연 기관(3) 측을 향하는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가 릴리프 통로(47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릴리프 밸브(443)는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을 빼낸다. 이러한 릴리프 기능에 따르면,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이상 사태를 회피하여 내연 기관의 내구성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릴리프 통로(476)는 특정 개소(S)에서 밸브(473, 475) 및 통로(470, 472, 474)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필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C)을 소직경화하여 장치(1)의 소형화를 상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릴리프 통로(476)는 필터 케이스(43) 중 특정 개소(S)의 측면(47a)에서 통로(472, 474)와 함께 개구함으로써 장치(1)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릴리프 밸브(443)와 연통하는 연료 통로(470)가 특정 개소(S)의 축방향으로 되꺾여 있기 때문에 상기 부분(S)의 외주를 포함시킨 필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하는 외접원(C)을 확실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장치(1)의 소형화를 필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료 통로(470)를 필터 케이스(43) 외부로 연통하게 하는 포트(440, 441, 442)는 필터 케이스(43) 중 특정 개소(S)에 접합되는 각 포트 부재(44)에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특정 개소(S)의 외주를 포함시킨 필터 케이스(43)의 외주에 접할 뿐만 아니라, 포트 부재(44)의 외주에도 접하는 외접원(C)을 소직경화하여 장치(1)의 소형화를 필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 형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2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캡(2431)의 하부 중 되꺾임부(470a)의 개구부 주위에는 편평형 공간 형상의 압입 오목부(2433)가 형성된다. 오목부(2433)에 대하여, 밸브 하우징(2477)의 접합 플레이트(2477b)가 압입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 플레이트(2477b)의 하면부(2477b1)와 상면부(2477bu)는 모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하면부(2477bl)는 케이스 캡(2431)의 하면부(2431a) 중 압입 오목부(2433)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케이스 본체(2430)의 상면부(2430a)에 대하여, 공통 가상 평면(Icv) 상에서의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들의 압입 및 접합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430)와 케이스 캡(243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캡(2431) 내로 들어간 접합 플레이트(2477b)에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일부와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캡(2431)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2473)를 케이스 본체(2430)에 대하여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차례 차례 실행한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플레이트(2477b)를 케이스 캡(2431)에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430)에 대하여, 하우징 본체(477a)를 끼워 넣으면서 접합 플레이트(2477b) 및 케이스 캡(2431)을 공통 가상 평면(Icv) 상에 겹쳐서 용착함으로써 요소들(2430, 2477b, 2431)을 접합한다. 그 결과로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247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2043) 중 케이스 본체(2430)와 케이스 캡(2431)의 접합 경계(B)에 설치되게 된다.
이상, 이와 같은 제 2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제 3 실시 형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3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3 실시 형태의 압입 오목부(3433)는 케이스 본체(3430)의 상부 중,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대응 위치로 되는 상류 개구부(432b)의 주위에만 편평형 공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의 밸브 하우징(3477)은 접합 플레이트(477b)에 대신하는 접합 플랜지(3477b)를 수지에 의하여 하우징 본체(477a)와 함께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 본체(477a)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접합 플랜지(3477b)는 상기 본체(477a)의 외주를 따르는 원환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합 플랜지(3477b)는 압입 오목부(3433)에 압입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 플랜지(3477b)의 상면부(3477bu)와 하면부(3477bl)는 모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면부(3477bu)는 케이스 본체(3430)의 상면부(3430a) 중, 압입 오목부(3433)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케이스 캡(431)의 하면부(431a)에 대하여, 공통 가상 평면(Icv) 상에서의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들의 압입 및 접합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3430)와 케이스 캡(431)의 사이에 삽입된 접합 플랜지(3477b)에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와 같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캡(431)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3473)를 케이스 본체(3430)에 대하여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차례 차례 실행한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430)에 대하여, 하우징 본체(477a)를 끼워 넣고, 또한 접합 플랜지(3477b)를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캡(431)을 케이스 본체(3430) 및 접합 플랜지(3477b)에 대하여 공통 가상 평면(Icv) 상에 겹쳐서 용착함으로써 요소들(431, 3430, 3477b)을 접합한다. 그 결과로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347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3043) 중 케이스 본체(3430)와 케이스 캡(431)의 접합 경계(B)에 설치되게 된다.
이상, 이와 같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 형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4 실시 형태는 제 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4 실시 형태의 하류 스트레이트부(4470c)는 돌출부(4047)에 있어서 최하류단(4470d)을 분기 통로(4474)보다 아래쪽까지 연장시킨다. 이러한 연장 형태에 의해, 분기 통로(4474)는 하류 스트레이트부(4470c)와 교차,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설치된다. 여기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통로(4474)의 통로 벽(4474a)은 교차에 의해 들어간 하류 스트레이트부(4470c)의 통로 벽(4470cw)과의 사이에 최하류단(4470d) 측으로의 통로 단면적을 확보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의 릴리프 통로(4476)는 돌출부(4047) 중 분기 통로(4474)보다 아래쪽까지 연장된 하단부에서 단차 원통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릴리프 통로(4476)는 연료 통로(4470)에 대하여, 그 최하류단(4470d)으로부터 필터 케이스(4043)의 축방향으로 더욱 연장하게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의 포트 부재(4044)는 필터 케이스(4043)의 돌출부(4047)에 접합되어 토출 포트(440) 및 제트 포트(441)를 형성하지만, 릴리프 포트(442)는 형성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의 릴리프 밸브(4443)는 필터 케이스(4043) 내의 릴리프 통로(4476)에 설치되어 연료 통로(4470)와 연통함으로써 상기 통로(4470)를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기능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4443)는 릴리프 통로(4476)의 최하류단(4476a)을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과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의해, 릴리프 밸브(4443)는 필터 케이스(4043) 내에서 내연 기관(3)측을 향하는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가 릴리프 통로(4476)로부터 안내됨으로써 상기 안내 연료를 내부 공간(26)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4443)의 작동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릴리프 밸브(443)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이상, 이와 같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브(473, 475)에 추가하여 릴리프 밸브(4443)도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S)에 치우쳐서 필터 케이스(4043)의 돌출부(4047)에 수납된다. 그 때문에, 릴리프 통로(476)의 측면 개구에 관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터 케이스(4043)가 특정 개소(S)에 일체로 가지는 릴리프 밸브(4443)의 릴리프 기능에 의해서도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이상 사태를 회피하여 내연 기관(3)의 내구성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5 실시 형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5 실시 형태는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5 실시 형태의 포트 부재(5044)는 필터 케이스(4043)의 수용부(46) 중 원통면 형상의 외주면(461a)에 대하여, 그 원형 윤곽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상기 외주면(461a)측으로 기울어서 돌출부(4047)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이러한 튀어나옴 형태에 의해, 포트 부재(5044)는 토출 포트(5440)와 제트 포트(5441)를 외주면(461a)을 따라 형성한다.
이상, 이와 같은 제 5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트 부재(5044)는 곡면 형상으로 만곡하는 외주면(461a)을 가진 필터 케이스(4043) 중 특정 개소(S)에 접합됨으로써 포트(5440, 5441)를 상기 외주면(461a)을 따라서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043)의 외주 및 포트 부재(5044)의 외주의 양쪽에 접하는 외접원(C)을 확실하게 소직경화하여 장치(1)의 소형화를 필터 케이스(4043)의 직경 방향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이외에 대해서는,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의 발휘가 제 5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발휘 가능하다.
(제 6 실시 형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6 실시 형태는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6 실시 형태의 필터 케이스(6043)에서는 케이스 본체(6430)가 되꺾임부(470a)의 일부를 형성하고, 케이스 캡(6431)이 상기 되꺾임부(470a)의 나머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제 6 실시 형태의 외부 잔압 유지 밸브(6473)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6477)의 접합 플랜지(6477b)는 돌출부(4047) 중 되꺾임부(470a)의 아래쪽에서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를 형성하는 중간부에 압입되어 있다.
또한, 제 6 실시 형태의 케이스 캡(6431)은 케이스 본체(6430)에 대한 가상 평면(Icv) 상에서의 용착에 의하여 접합됨으로써 상기 본체(6430) 중 되꺾임부(470a)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료 개구부(6432)를 수용 개구부(432a)와 함께 덮고 있다. 또한, 제 6 실시 형태의 분기 통로(6474)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로부터 최하류단(4470d)과는 반대측으로 분기함으로써 하류 스트레이트부(4470c)와는 교차하지 않는다.
이상, 이와 같은 제 6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제 7 실시 형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7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7 실시 형태의 연료 펌프(7042)로부터 토출되는 가압 연료의 압력은 예를 들면, 300kPa∼600kPa의 범위 내에서 가변 조정된다.
제 7 실시 형태의 수용부(7046)는 수용실(463)과 연통하는 중계 통로(7465)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해서는 경사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한다. 중계 통로(7465)는 수용실(463) 중 연료 필터(464)보다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연료 출구(463a)에 대하여 연통한다. 중계 통로(7465)는 연료 출구(463a)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이격될수록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여 스트레이트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경사 형태의 중계 통로(7465)는 연료 필터(464)에 의해 여과되어 연료 출구(463a)로부터 도출되는 연료를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여 안내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 7 실시 형태의 연료 통로(7470)는 상류 스트레이트부(7470b) 중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서 개구하도록 연통구(7470e)를 형성한다. 상류 스트레이트부(7470b)는 중계 통로(7465)를 통하여 연통구(7470e)를 수용실(463)과 연통시킴으로써 연료 필터(464)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 의하여, 중계 통로(7465)를 통하여 안내되는 가압 연료는 연통구(7470e)로부터 상류 스트레이트부(7470b)로 도출된다. 상류 스트레이트부(7470b)는 연통구(7470e)가 개구하는 외부용 통로부(7470f) 및 상기 외부용 통로부(7470f)를 통하여 상기 연통구(7470e)와 연통하는 내부용 통로부(7470g)를 형성한다. 이들 외부용 통로부(7470f) 및 내부용 통로부(7470g)는 특정 개소(S)의 요소(471, 472, 7473, 7474, 7475, 476)와 함께 돌출부(7047)에 수납된다.
외부용 통로부(7470f)는 연통구(7470e)로부터 도출되는 연료를 상기 연통구(7470e)보다 위쪽의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 측으로 유통시킨다. 이러한 유통 형태에 의하여, 중계 통로(7465)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 통로부(7470f)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외부용 통로부(7470f)의 통로 단면적은 연통구(7470e)와 수용실(463)의 사이를 중계하는 중계 통로(7465)의 통로 단면적보다 확대되어 있다. 이러한 확대 형태의 외부용 통로부(7470f)는 연통구(7470e)로부터의 가압 연료를 토출 통로(472)에 의해 토출시키기 위하여,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 측을 향하여 안내한다.
중계 통로(7465)에 의해 안내되어 연통구(7470e)로부터 도출된 연료는 외부용 통로부(7470f)를 통하여 아래쪽의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측으로 되꺾임으로써 내부용 통로부(7470g)를 향하여 유통한다. 이러한 유통 형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중계 통로(7465)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은 내부용 통로부(7470g)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에 대해서도 경사져 있다. 내부용 통로부(7470g)의 통로 단면적은 중계 통로(7465)의 통로 단면적 및 외부용 통로부(7470f)의 통로 단면적보다 축소되어 있다. 이러한 축소 형태에 의해, 내부용 통로부(7470g)에 있어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 측을 향하는 연료 흐름은 외부용 통로부(7470f)에 있어서보다 좁혀져 있다.
여기에서, 도 19(a)에 교차 해칭으로 표시하여 도시된 내부용 통로부(7470g)의 최소의 통로 단면적을 도 19(b)에 교차 해칭으로 표시하여 도시된 원통관(P)의 통로 단면적으로서 가상적으로 변환한다. 그러면, 변환된 통로 단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원통관(P)의 통로 직경(D)과, 도 15에 도시된 외부용 통로부(7470f)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까지의 거리로 되는 내부용 통로부(7470g)의 길이(L)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통로 직경(D) 및 길이(L)가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내부용 통로부(7470g)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외부용 통로부(7470f)에서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로부터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개소(R)에 연통구(7470e)가 개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위치 어긋남 개소(R)보다 아래쪽에 내부용 통로부(7470e)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 통로부(7470g)의 개구는 외부용 통로부(7470f) 중 중계 통로(7465)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를 끼워서 직경 외부 방향으로 이격된 이격 개소(Q)에 설치된다. 또한, 연료 통로(7470)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연료 통로(470)의 구성에 준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스프링리스식 체크 밸브인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는 상류 스트레이트부(470b) 중, 연통구(7470e)보다 하류측, 또한 토출 통로(472)보다 상류측의 외부용 통로부(7470f)에 설치된다. 즉,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는 연료 통로(7470)에서 연통구(7470e)로부터 토출 통로(7472)를 향하는 중도부에 배치된다.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밸브 하우징(477) 및 밸브 엘리먼트(478)와 함께, 밸브 스토퍼(valve stopper)(7479)를 가진다. 밸브 스토퍼(7479)는 수지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477a) 내에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밸브 스토퍼(7479)는 밸브 엘리먼트(478)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밸브 스토퍼(7479)는 밸브 시트(477as)로부터 분리된 개방 시의 밸브 엘리먼트(478)를 걸어 고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는 연료 통로(7470)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펌프(7042)의 작동에 따라 연통구(7470e)로부터 외부용 통로부(7470f)로 가압 연료가 도출되는 동안에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의 밸브 엘리먼트(478)가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밸브 엘리먼트(478)가 밸브 스토퍼(7479)에 걸려 고정되는 상태에 있어서, 외부용 통로부(7470f)에 도출된 가압 연료가 토출 통로(472) 및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의 최하류단(470d) 측을 향하여 유동한다. 한편, 연료 펌프(7042)의 정지에 따라 연통구(7470e)로부터 연료의 도출이 멈추면, 밸브 엘리먼트(478)가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는, 토출 통로(472) 및 최하류단(470d)측을 향하는 연료의 유통도 멈추기 때문에, 토출 통로(472)로부터의 폐쇄 전의 토출에 의하여 내연 기관(3)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은 유지되게 된다. 즉, 폐쇄한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에 의해, 연료 통로(7470)를 통한 내연 기관(3)측으로의 공급 연료에 대하여 잔압 유지 기능이 발휘된다. 여기에서,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의 잔압 유지 기능에 의한 유지 압력은 연료 펌프(7042)의 정지 시에 조정된 압력으로 된다. 또한,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의 구성에 준한다.
제 7 실시 형태의 분기 통로(7474)는 돌출부(7047)에 있어서 중계 통로(7465)와 그 직경 외부 방향의 이격 개소(Q)에 있는 내부용 통로부(7470g)에 끼워지는 부분으로부터 포트 부재(44) 측으로 연장되는 공간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기 통로(7474)는 내부용 통로부(7470g) 중, 외부용 통로부(7470f)와는 반대측으로 되는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되꺾이는 형태로 분기한다. 이러한 분기 형태의 분기 통로(7474)는 하류 스트레이트부(470c)와는 교차하지 않는다. 분기 통로(7474)는 돌출부(7047)의 측면(47a)으로 개구하여 제트 포트(441)와 연통함으로써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를 통하여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제트 펌프(45)로까지 안내한다.
이렇게 하여 안내된 연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의 내부용 통로부(7470g) 및 가압 통로(454)보다 통로 단면적이 좁혀진 노즐 통로(7455)로 유입됨으로써 유량이 좁혀져서 디퓨저 통로(457)로 분출된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직경 원형인 디퓨저 통로(457)는 횡단면이 소직경 원형인 노즐 통로(7455)에 대하여 중심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유입구(25) 및 리드 밸브(27, 28)가 설치되지 않은 제 7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 펌프(45)로부터의 부압의 작용시에 유입구(24)를 개방하는 우산형 밸브(umbrella valve)(70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개폐 밸브”의 다른 하나로서 스프링 가압식 체크 밸브인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는 분기 통로(7474)에 설치된다.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는 밸브 하우징(7475a), 밸브 엘리먼트(7475b) 및 밸브 스프링(7475c)을 가진다.
밸브 하우징(7475a)은 금속의 복합재에 의해 단차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7047)에 끼워 넣어져 있다. 밸브 하우징(7475a)에는 분기 통로(7474)의 일부가 관통한다. 밸브 하우징(7475a)은 평면 형상의 밸브 시트(7475as)를 분기 통로(7474) 중에 형성한다. 밸브 하우징(7475a)에서는 원환 판 형상의 플랜지부(7475af)가 중계 통로(7465)의 아래쪽과 내부용 통로부(7470g)의 아래쪽에 겹쳐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7047)에 의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의 위치 결정과 함께 장치(1)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밸브 엘리먼트(7475b)는 금속의 복합재에 의해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7475a)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 형태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7475b)는 밸브 시트(7475as)에 대한 안착 및 분리가 왕복 이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는 밸브 시트(7475as)로부터 밸브 엘리먼트(7475b)가 분리되는 것에 따라 개방하는 한편, 밸브 시트(7475as)에 밸브 엘리먼트(7475b)가 안착되는 것에 따라 폐쇄한다.
밸브 스프링(7475c)은 금속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7475a) 내에 동축상으로 걸려 고정되어 있다. 밸브 스프링(7475c)은 스프링 반력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7475b)를 밸브 시트(7475as)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는 분기 통로(7474)에 연통된 연료 통로(7470)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펌프(7042)의 작동에 따라 연통구(7470e)로부터 통로부(7470f, 7470g)로 설정압 이상의 연료가 도출되는 동안에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의 밸브 엘리먼트(7475b)가 밸브 스프링(7475c)의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밸브 엘리먼트(7475b)가 밸브 스프링(7475c)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태에 있어서,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분기 통로(7474)로 유입된 가압 연료가 제트 펌프(45) 측을 향하여 유통한다. 한편, 연료 펌프(7042)의 작동에 있어서도, 연통구(7470e)로부터 도출되는 연료의 압력이 설정압 미만으로 되거나 연료 펌프(7042)의 정지에 따라 해당 도출이 멈춘다. 그 결과, 밸브 엘리먼트(7475b)가 스프링 반력에 의해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는, 제트 펌프(45)측을 향하는 연료의 유통도 멈추기 때문에 특히 연료 펌프(7042)의 정지에 따른 경우에는, 송출 밸브(421)의 폐쇄와 함께, 수용실(463)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이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의 설정압으로 유지된다. 즉, 폐쇄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에 의해 수용실(463) 내의 체류 연료에 대하여 잔압 유지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의 잔압 유지 기능에 의한 유지 압력은 예를 들면, 250kPa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질량계를 구성하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에서는 밸브 시트(7475as)로부터의 리프트량(분리량)이 작을 때 등의 밸브 엘리먼트(7475b)는 연료 펌프(7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을 받아서 진동하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 7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용 통로부(7470g)의 통로 단면적으로부터 변환된 원통관(P)의 통로 직경(D)과, 상기 통로부(7470g)의 길이(L)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의 결과, 압력 맥동에 의한 밸브 엘리먼트(7475b)의 진동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라 실질적으로 0레벨까지 감쇠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통로(7470)로부터 내연 기관(3)까지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저감된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서는 제 7 실시 형태로서 L/D=3 및 L/D=4의 경우가 도시되는 한편, 비교예로서 L/D=1 및 L/D=2의 경우가 도시된다.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프링 가압식 체크 밸브인 릴리프 밸브(7443)는 릴리프 포트(442)에 설치되어 있다. 릴리프 포트(442)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7443)는 돌출부(7047)의 측면(47a)으로 개구하는 릴리프 통로(476)를 통하여 연료 통로(7470)에 연통한다. 그에 추가하여 릴리프 밸브(7443)는 릴리프 포트(442)의 최하류단(442a)을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과 연통함으로써 릴리프 통로(476)로부터 릴리프 포트(442)로의 안내 연료를 상기 공간(26)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7443)는 밸브 리테이너(valve retainer)(7443a), 밸브 엘리먼트(7443b) 및 밸브 스프링(7443c)을 가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리테이너(7443a)는 수지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포트 부재(44)에 끼워 넣어져 있다. 밸브 리테이너(7443a)에는 릴리프 포트(442) 중 평면 형상으로 밸브 시트(7442s)를 형성하는 단차 부분보다 하류측의 최하류단(442a)이 관통한다.
밸브 엘리먼트(7443b)는 수지 및 고무의 복합재에 의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릴리프 포트(442)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 형태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7443b)는 밸브 시트(7442s)에 대한 안착 및 분리가 왕복 이동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7443)는 밸브 시트(7442s)로부터 밸브 엘리먼트(7443b)가 분리되는 것에 따라 개방하는 한편, 밸브 시트(7442s)에 밸브 엘리먼트(7443b)가 안착되는 것에 따라 폐쇄한다.
밸브 스프링(7443c)은 금속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 스프링(7443c)은 릴리프 포트(442)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되고, 밸브 리테이너(7443a)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있다. 밸브 스프링(7443c)은 스프링 반력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7443b)를 밸브 시트(7442s) 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릴리프 밸브(7443)는 릴리프 통로(476)를 통하여 릴리프 포트(442)와 연통한 연료 통로(7470)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펌프(7042)의 작동 및 정지에도 불구하고, 연료 통로(7470)로부터 내연 기관(3)에 이르는 연료 공급 경로의 정상 상태가 유지되어 릴리프 포트(442)의 압력이 릴리프압 미만으로 되는 동안에는 릴리프 밸브(7443)의 밸브 엘리먼트(7443b)가 밸브 스프링(7443c)의 스프링 반력에 의해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 연료 펌프(7042)의 작동에 의하여 압력이 조정된 연료는 필터 케이스(43) 내의 토출 통로(472) 및 상기 케이스(43) 외부의 토출 포트(440)를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로 된다. 한편, 연료 펌프(7042)의 작동 및 정지에도 불구하고, 연료 통로(7470)로부터 내연 기관(3)에 이르는 연료 공급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릴리프압 이상의 연료가 릴리프 포트(442)로 안내되면, 밸브 엘리먼트(7443b)가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밸브 엘리먼트(7443b)가 밸브 스프링(7443c)에 탄성 지지되는 상태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7443)로의 안내 연료가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으로 배출된다. 그 결과,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이 릴리프압으로 되기까지 빠져나간다. 즉,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에 대해서는, 개방한 릴리프 밸브(7443)에 의한 릴리프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7443)의 릴리프 기능에 의한 릴리프압은 예를 들면, 650kPa로 설정된다.
여기까지의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그와 함께,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는 연료 펌프(7042)의 작동에 따라 개방하여 밸브 스토퍼(7479)에 걸려 고정되는 밸브 엘리먼트(478)를 가진 스프링리스식이다. 그 때문에, 연료 펌프(7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압력 맥동이 발생하여도 걸림 고정 상태의 밸브 엘리먼트(478)가 진동하기 어렵다.
또 한편으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는 연료 펌프(7042)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7475b)를 가진 스프링 가압식이다. 여기에서, 토출 포트(440)로부터의 토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7470) 중, 연료 필터(464)보다 하류측에서 수용실(463)과 연통하는 연통구(7470e)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로부터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 측으로의 위치 어긋남 개소(R)로 개구한다. 이에 따라, 연통구(7470e)로부터 밸브(7473) 측으로 연료가 향하는 외부용 통로부(7470f)보다 상기 연통구(7470e)로부터 밸브(7475) 측으로의 연료 흐름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7470g)에 대하여, 상기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길이(L)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7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은 스프링 가압식 밸브(7475)를 향하기까지의 길게 좁혀진 내부용 통로부(7470g)에서 감쇠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7475)에서의 밸브 엘리먼트(7475b)의 진동도 감쇠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잔압 유지 밸브(7473, 7475)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압력 맥동이 밸브 엘리먼트(478, 7475b)의 진동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통로(7470)로부터 내연 기관(3)까지의 경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용실(463)과의 사이를 중계 통로(7465)에 의해 중계되는 연통구(7470e)는 위치 어긋남 개소(R)에서 개구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연통구(7470e)로부터 밸브(7475) 측으로의 연료 흐름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7470g)에 대하여,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길이(L)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실(463)로부터 상기 연통구(7470e)까지의 중계 통로(7465)의 길이도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7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은 스프링 가압식 밸브(7475)를 향하기까지, 긴 중계 통로(7465)와 길게 좁혀진 내부용 통로부(7470g)에서 감쇠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소음의 저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위치 어긋남 개소(R)에서 외부용 통로부(7470f)로 개구하는 연통구(7470e)는 상기 통로부(7470f)를 통하여 내부용 통로부(7470g)와 연통한다. 여기에서, 내부용 통로부(7470g)에서는 연료 흐름이 외부용 통로부(7470f)보다도 좁혀지기 때문에, 내연 기관(3) 측으로의 토출을 위해 외부용 통로부(7470f)에서 유통시키는 연료 유량을 확보하면서, 내부용 통로부(7470g)에서 압력 맥동을 감쇠시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 통로부(7470g)는 외부용 통로부(7470f) 중 중계 통로(7465)로부터 밸브(7475)를 끼운 이격 개소(Q)로 개구한다. 따라서, 상기 통로부(7470f) 중, 연통구(7470e)로부터 상기 부분(Q)까지의 거리를 중계 통로(7465)의 길이와 함께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7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은 스프링 가압식 밸브(7475)를 향하기까지, 긴 중계 통로(7465)와, 거리가 확보된 각 부분(R, Q)의 사이와 길게 좁혀진 내부용 통로부(7470g)에서 감쇠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소음의 저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용 통로부(7470g)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중계 통로(7465)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이 경사진다. 이에 따라, 중계 통로(7465)로부터 외부용 통로부(7470f)를 통하여 내부용 통로부(7470g)를 향하는 연료 흐름이 원활히 되꺾임으로써 통로부들(7470f, 7470g)을 형성하는 내벽면으로부터 연료 흐름이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그러한 연료 흐름의 박리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여 소음의 요인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료 통로(7470)에서 내연 기관(3) 측을 향하는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가 릴리프 통로(47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릴리프 밸브(7443)는 내연 기관(3) 측으로의 공급 연료의 압력을 빼낸다. 이러한 릴리프 기능에 따르면, 내연 기관(3)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 빼냄을 위해 밸브 엘리먼트(7443b)가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스프링 가압식 릴리프 밸브(7443)에는, 연료 통로(7470) 중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보다 하류측으로부터 릴리프 통로(476)를 통하여 연료가 안내된다. 이에 따라, 연통구(7470e)로부터 연료 통로(7470) 및 릴리프 통로(476)를 통한 밸브(7443)까지의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연료 펌프(7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한 압력 맥동은 감쇠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7443)에서는 압력 맥동이 밸브 엘리먼트(7443b)의 진동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통로(7470)로부터 내연 기관(3)까지의 경로에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의 제트 펌프(45)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함으로써 길게 좁혀진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밸브(7475)를 통한 배출 연료를 더욱 좁혀서 분출시킴으로써 연료 탱크(2) 내의 연료를 연료 펌프(7042)의 주위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제트 펌프(45)에서는 내부용 통로부(7470a)에서 압력 맥동이 감쇠된 연료가 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이송 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하고, 또한 연료 분출이 단속(斷續)되는 것에 기인하여 사람에게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 8 실시 형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8 실시 형태는 제 7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8 실시 형태의 연료 펌프(8042)로부터 토출되는 가압 연료의 압력은 예를 들면, 400kPa로 고정된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의 연료 통로(8470)는 돌출부(8047)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따른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스트레이트한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료 통로(8470) 중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연통구(7470e)가 개구 형성된다. 연료 통로(8470)는 도 22의 중계 통로(7465)를 통하여 연통구(7470e)를 수용실(463)과 연통시킴으로써 연료 필터(464)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 의해, 중계 통로(7465)를 통하여 안내되는 가압 연료는 연통구(7470e)로부터 연료 통로(8470)로 도출된다.
이러한 연료 통로(8470)에 형성되는 외부용 통로부(7470f) 및 내부용 통로부(7470g)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특정 개소(S)의 요소(8472, 7474, 8475, 8476, 8479)와 함께 돌출부(8047)에 수납된다. 여기에서, 격벽(471) 및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가 설치되지 않은 제 8 실시 형태의 외부용 통로부(7470f)에서는 연통구(7470e)로부터의 도출 연료가 상기 연통구(7470e)보다 위쪽의 토출 통로(8472)측으로 유통한다. 또한, 토출 통로(8472)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하여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가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밸브(8475)로부터 토출 통로(8472)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개소(R)에 연통구(7470e)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 통로부(7470g)의 개구는 외부용 통로부(7470f) 중, 중계 통로(7465)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를 끼워서 직경 외부 방향으로 이격된 이격 개소(Q)에 설치된다.
또한, 연료 통로(8470)에 대해,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구성은 제 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연료 통로(7470)의 구성에 준해 있다. 따라서, 내부용 통로부(7470g)의 통로 단면적으로부터 가상되는 원통관(P)의 통로 직경(D) 및 외부용 통로부(7470f)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까지의 내부용 통로부(7470g)의 길이(L)(도 22 참조)는 제 8 실시 형태에서도 L/D≥3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의 토출 통로(8472)는 돌출부(8047) 중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연통구(7470e)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 통로(8472)는 연료 통로(8470) 중 외부용 통로부(7470f)에 있어서 연통구(7470e)보다 하류측으로부터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분기한다. 또한, 토출 통로(8472)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토출 통로(472)의 구성에 준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의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를 요소(7475a, 7475b)와 함께 구성하는 밸브 스프링(8475c)에 대하여, 스프링 반력의 설정이 제 7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에 따라,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의 개방 시에는, 외부용 통로부(7470f)로부터 토출 통로(8472)를 향하는 가압 연료의 압력이 예를 들면, 400kPa로 조정된다. 이때,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분기 통로(7474)로 유입된 가압 연료는 제트 펌프(45) 및 릴리프 밸브(8479) 측을 향하여 유통하는데, 상기 유통은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의 폐쇄 시에는 멈추게 된다. 그 결과, 폐쇄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의 잔압 유지 기능에 의한 유지 압력은 예를 들면, 400kPa로 된다. 또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구성은 제 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의 구성에 준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의 릴리프 통로(8476)는 돌출부(8047) 중, 상하 방향의 토출 통로(8472)와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서 단차 원통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릴리프 통로(8476)는 분기 통로(7474)에 있어서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보다 하류측으로부터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분기하고, 또한 상기 분기 개소와는 반대측에서 릴리프 밸브(8479)와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형태에 의해 릴리프 통로(8476)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를 통하여 내부용 통로부(7470a)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릴리프 밸브(8479)까지 안내한다.
“복수의 개폐 밸브” 중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와는 다른 하나로서, 스프링 가압식 체크 밸브인 제 8 실시 형태의 릴리프 밸브(8479)는 릴리프 통로(8476)에 설치된다. 릴리프 밸브(8479)는 릴리프 통로(8476)를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과 연통함으로써 상기 통로(8476)의 안내 연료를 상기 공간(26)까지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릴리프 밸브(8479)는 밸브 엘리먼트(8479b) 및 밸브 스프링(8479c)을 가진다.
밸브 엘리먼트(8479b)는 수지 및 고무의 복합재에 의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 엘리먼트(8479b)는 릴리프 통로(8476) 중, 평면 형상으로 밸브 시트(8476s)를 형성하는 단차 부분보다 하류측의 최하류단(8476a)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 형태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8479b)는 밸브 시트(8476s)에 대한 안착 및 분리가 왕복 이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8479)는 밸브 시트(8476s)로부터 밸브 엘리먼트(8479b)가 분리되는 것에 따라 개방하는 한편, 밸브 시트(8476s)에 밸브 엘리먼트(8479b)가 안착되는 것에 따라 폐쇄한다.
밸브 스프링(8479c)은 금속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릴리프 통로(8476) 내에 동축상으로 걸려 고정되어 있다. 밸브 스프링(8479c)은 스프링 반력에 의해 밸브 엘리먼트(8479b)를 밸브 시트(8476s)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릴리프 밸브(8479)는 분기 통로(7474)를 통하여 릴리프 통로(8476)와 연통한 연료 통로(8470)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펌프(8042)의 작동 및 정지에도 불구하고,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가 폐쇄하여 릴리프 통로(8476)의 압력이 릴리프압 미만으로 되는 동안에는 릴리프 밸브(8479)의 밸브 엘리먼트(8479b)가 밸브 스프링(8479c)의 스프링 반력에 의해 폐쇄한다. 이 폐쇄 시에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도 폐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트 펌프(45) 측으로는 연료가 유통하지 않는다. 한편, 연료 펌프(8042)의 작동에 의해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가 개방하여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릴리프압 이상의 연료가 상기 밸브(8475)에 의해 배출되면, 밸브 엘리먼트(8479b)가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한다. 이 개방 시에는, 밸브 엘리먼트(8479b)가 밸브 스프링(8479c)으로 탄성 지지되는 상태에 있어서,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연료가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를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으로 배출된다. 그 결과, 제트 펌프(45) 측을 향하는 연료의 압력은 릴리프압으로 되기까지 빠져나간다. 즉,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에 의한 연료 통로(8470)로부터의 배출 연료에 대해서는, 개방한 릴리프 밸브(8479)에 의해 릴리프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8479)의 릴리프 기능에 의한 릴리프압은 예를 들면, 50kPa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도 24에 도시된 제 8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릴리프 통로(8476)의 최하류단(8476a)은 연료 펌프(8042) 및 필터 케이스(43) 등으로 이루어진 펌프 유닛(40)을 수용한 서브 탱크(20) 중 내주면(8020e)과 대향하는 형태로 개구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8479)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는 이러한 릴리프 통로(8476)의 최하류단(8476a)을 통하여 서브 탱크(20)의 내부 공간(26)으로 유입된다. 그래서 최하류단(8476a)을 통한 릴리프 밸브(8479)로부터의 배출 연료의 흐름을 가로 방향으로 빼내기 위해, 서브 탱크(20) 중, 내주면(8020e)은 상기 최하류단(8476a)과의 대향 부분에서 산형(山形)으로 돌출함으로써 정류부(8020f)를 형성한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의 포트 부재(8044)는 토출 포트(8440) 및 제트 포트(441)를 필터 케이스(43) 외부에서 일체로 가진다. 즉, 포트 부재(8044)에는 릴리프 포트(442) 및 릴리프 밸브(744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포트 부재(8044)에 있어서 토출 포트(8440)는 “복수의 연료 포트”의 하나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토출 포트(8440)는 필터 케이스(43) 중, 원통면 형상으로 만곡하는 외부 통부(461)의 외주면(461a)을 따르도록 굴곡 형성되어 가로 방향으로 최하류단(8440a)을 향함으로써 플렉시블 튜브(12a)(도 22 참조)와 연통한다. 여기에서, 토출 포트(8440)의 최하류단(8440a)이 향하게 되는 가로 방향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필터 케이스(43)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약간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토출 포트(8440)는 돌출부(8047)의 측면(47a)으로 개구하는 토출 통로(8472)에 대하여, 도 23과 같이 최하류단(8440a)과는 반대측에서 연통한다. 또한, 포트 부재(8044) 및 토출 포트(8440)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포트 부재(44) 및 토출 포트(440)의 구성에 준한다.
이와 같은 제 8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는 연료 펌프(8042)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7475b)를 가진 스프링 가압식이다. 여기에서, 토출 통로(8472)로부터 내연 기관(3)측으로의 토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8470) 중 연료 필터(464)보다 하류측에서 수용실(463)과 연통하는 연통구(7470e)는 밸브(8475)로부터 상기 통로(8472)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R)로 개구한다. 이에 따라, 연료 통로(8470)에서는 연통구(7470e)로부터 통로(8472) 측으로 연료가 향하는 외부용 통로부(7470f)보다 상기 연통구(7470e)로부터 밸브(8475) 측으로의 연료 흐름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7470g)에 대하여, 상기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길이(L)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8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해 발생한 압력 맥동은 스프링 가압식 밸브(8475)를 향하기까지의 길게 좁혀진 내부용 통로부(7470g)에서 감쇠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밸브(8475)에서의 밸브 엘리먼트(7475b)의 진동도 감쇠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에 있어서 압력 맥동이 밸브 엘리먼트(7475b)의 진동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통로(8470)로부터 내연 기관(3)까지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8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은 예를 들면, 제트 펌프(45)에서의 상기 배출 연료의 좁힘 작용 등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도 릴리프 밸브(8479)에 의해 빠져나간다. 이러한 릴리프 기능에 따르면, 토출 통로(8472)를 향하는 연료의 압력, 즉, 내연 기관(3) 측으로의 토출 연료로의 압력을 조정하는 밸브(8475)의 압력 조정 기능에 대해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 빼냄을 위해, 밸브 엘리먼트(8479b)가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스프링 가압식 밸브(8479)에는 내부용 통로부(7470g)로부터의 연료가 밸브(8475)를 통하여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L/D≥3의 관계식을 만족함으로써 길게 좁혀지는 통로부(7470g)의 작용뿐만 아니라, 연통구(7470e)로부터 연료 통로(8470)를 통한 밸브(8479)까지의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연료 펌프(8042)로부터의 연료 압송에 의한 압력 맥동은 감쇠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8479)에서는 압력 맥동이 밸브 엘리먼트(8479b)의 진동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통로(8470)로부터 내연 기관(3)까지의 경로에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8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트 부재(8044)는 곡면 형상으로 만곡하는 외주면(461a)을 가진 필터 케이스(43) 중 특정 개소(S)에 접합됨으로써 토출 포트(8440)를 상기 외주면(461a)을 따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3)의 외주 및 포트 부재(8044)의 외주의 양쪽에 접하는 외접원(C)을 확실하게 소직경화하여 장치(1)의 소형화를 필터 케이스(43)의 직경 방향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8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브 탱크(20)의 내주면(8020e)을 향하여 개구하는 릴리프 통로(8476)의 최하류단(8476a)은 상기 탱크(20)의 정류부(8020f)와 대향한다. 이에 따라, 릴리프 통로(8476)의 최하류단(8476a)을 통하여 릴리프 밸브(8479)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흐름은 가로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에 서브 탱크(20)의 상부로부터 연료가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이외의 제 8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7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및 조합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로서는, 필터 케이스(43, 2043, 3043, 4043, 6043) 중, 연료 필터(464)를 수용시키지 않고 있는 비수용 부분을 둘레 방향의 일부에 설치하여 상기 비수용 부분을 특정 개소(S)에 설정하여도 좋다.
제 4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로서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3473, 6473) 또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특정 개소(S) 이외의 부분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3473, 6473)를 예를 들면, 토출 포트(440, 5440) 등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예를 들면, 제트 포트(441, 5441) 등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 4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3으로서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 6473) 또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 4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4로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준하여 릴리프 통로(4476)가 연통하고, 또한 릴리프 밸브(4443)가 설치되는 릴리프 포트(442)를 포트 부재(4044, 5044)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5로서는, 릴리프 밸브(443, 4443, 7443)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6으로서는, 제트 펌프(45)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포트 부재(44, 4044, 5044, 8044)에는 포트(441, 5441)를 형성하여도 좋고,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7로서는, 포트 부재(44, 4044, 5044, 8044)에 토출 포트(440, 5440, 8440)를 형성하지 않고, 토출 통로(472, 8472)를 플렉시블 튜브(12a)에 직접적으로 연통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8로서는, 포트 부재(44, 4044, 5044, 8044)에 제트 포트(441, 5441)를 형성하지 않고 분기 통로(474, 4474, 6474, 7474)를 제트 펌프(45)에 직접적으로 연통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및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9로서는, 제 4 실시 형태에 준하여 포트 부재(44)에 릴리프 포트(442)를 형성하지 않고 릴리프 밸브(443, 7443)를 릴리프 통로(476)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0으로서는, 통로(472, 474, 476, 4474, 6474, 7474, 8472) 중 어느 하나를 필터 케이스(43, 2043, 3043, 4043, 6043) 중 포트 부재(44, 4044, 5044, 8044)와의 접합 측면(47a) 이외의 면으로 개구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1로서는, 축방향으로 되꺾이지 않는 형상으로 연료 통로(470, 4470, 7470)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및 제 6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2로서는, 제 5 실시 형태에 준하여 포트(440, 441, 442)를 외주면(461a)을 따라 형성하여도 좋다.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3으로서는, 필터 케이스(43)에 중계 통로(7465)를 설치하지 않고, 수용실(463)의 연료 출구(463a)를 연통구(7470e)와 실질적으로 일치시켜도 좋다. 또한,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4로서는, 중계 통로(7465)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을 내부용 통로부(7470g)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정하여도 좋다.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5로서는, 중계 통로(7465)로부터 내부용 통로부(7470g)를 끼워서 이격된 이격 개소(Q)에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 8475)를 설치하여 외부용 통로부(7470f) 중 상기 이격 개소(Q)보다 중계 통로(7465)에 근접한 부분에 있어서 내부용 통로부(7470g)를 개구시켜도 좋다. 또한,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6으로서는, 위치 어긋남 개소(R)에 있어서 연통구(7470e)를 내부용 통로부(7470g)로 개구시킴으로써 외부용 통로부(7470f)를 내부용 통로부(7470g)를 통하여 연통구(7470e)와 연통시켜도 좋다.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7로서는, 돌출부(7047, 8047)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43) 중 연료 필터(464)를 수용하지 않고 있는 비수용 부분을 둘레 방향의 일부에 설치하여 상기 비수용 부분을 특정 개소(S)에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8로서는, 정류부(8020f)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9로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준하여 토출 포트(8440)의 최하류단(8440a)을 위쪽으로 향해도 좋다.
제 1 내지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0으로서는, 제 8 실시 형태에 준하여 토출 포트(440, 5440)의 최하류단을 가로 방향으로 향해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1로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전자 구동식 릴리프 밸브(443, 4443, 7443, 8479)를 설치하여도 좋다.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2로서는, 연료 통로(470, 4470, 7470, 8470)로부터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 7475, 8475)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 이외의 연료를 제트 펌프(45)에서 분출시켜도 좋다. 이러한 제트 펌프(45)에서의 분출용 연료에는 예를 들면, 연료 펌프(42, 7042, 8042)로부터의 배출 연료나 내연 기관(3)측으로부터의 리턴 연료 등이 채용된다.
제 1 내지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3으로서는, 포트(440, 5440, 8440, 441, 5441, 442)마다 분할된 포트 부재(44, 4044, 5044, 8044)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 1∼제 3 및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4로서는, 포트(440, 441, 442)의 1개와 2개에 대응하여 분할된 포트 부재(44)를 채용하여도 좋다.

Claims (23)

  1. 연료 펌프(42, 7042, 8042) 및 연료 필터(464)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스(43, 2043, 3043, 4043, 6043)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2) 내로부터 압송된 연료를 상기 연료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로부터 내연 기관(3)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470, 4470, 7470, 8470),
    상기 연료 통로의 유통 연료를 상기 내연 기관 측을 향하여 토출하는 토출 통로(472, 8472) 및
    상기 연료 통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 밸브(473, 2473, 3473, 6473, 7473, 475, 7475, 8475, 4443, 8479)를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S)에 치우쳐서 일체로 가지며;
    상기 연료 통로(7470)는, 상기 필터 케이스(43) 중 상기 연료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463)에 대하여 상기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통하는 연통구(7470e)를 가지고, 상기 연통구로부터 연료를 유통시키고,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는 상기 토출 통로(472)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상기 연료 펌프(7042)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스프링리스식 외부 잔압 유지 밸브(7473)로서, 상기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개방하고 밸브 스토퍼(7479)에 걸려 고정되는 밸브 엘리먼트(478)를 가진 외부 잔압 유지 밸브이고,
    상기 개폐 밸브의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실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을 상기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스프링 가압식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로서, 상기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7475b)를 가진 내부 잔압 유지 밸브이고,
    상기 연통구는 상기 연료 통로 중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부터 상기 외부 잔압 유지 밸브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R)로 개구하고,
    상기 토출 통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측을 향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연료를 상기 연통구로부터 상기 외부 잔압 유지 밸브 측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외부용 통로부(7470f) 및 상기 연통구로부터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측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연료의 흐름을 상기 외부용 통로부보다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7470g)는 상기 연료 통로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 통로부의 통로 단면적을 원통관(P)의 통로 단면적으로서 변환한 경우, 상기 원통관의 통로 직경(D)과 상기 내부용 통로부의 길이(L)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연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통로, 상기 토출 통로 및 상기 복수의 개폐 밸브는 상기 필터 케이스 중 상기 연료 필터의 수용 부분(46, 7046)으로부터 상기 특정 개소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47, 4047, 7047, 8047)에 수납되는
    연료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연료 필터의 수용 부분(46, 7046)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을 상기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내부 잔압 유지 밸브(475, 7475, 8475)를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통로로부터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료를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의 주위로 이송하는 제트 펌프(45)를 구비하는
    연료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상기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 2473, 3473, 6473)를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가지고,
    또한, 상기 외부 잔압 유지 밸브보다 상류측에서 상기 연료 통로로부터 분기함으로써 상기 연료 통로로부터의 배출 연료를 상기 제트 펌프로 안내하는 분기 통로(474, 4474, 6474)를 상기 특정 개소에 일체로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는 상기 분기 통로에 설치되는
    연료 공급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상기 연료 펌프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외부 잔압 유지 밸브(473, 2473, 3473, 6473, 7473)를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빼내는 릴리프 밸브(443, 4443, 7443) 및
    상기 연료 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의 주위로 이송하는 제트 펌프(45)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연료 통로에서 상기 내연 기관 측을 향하는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를 상기 릴리프 밸브로 안내하는 릴리프 통로(476, 4476) 및
    상기 연료 통로로부터 분기함으로써 상기 연료 통로로부터의 배출 연료를 상기 제트 펌프로 안내하는 분기 통로(474, 4474, 6474, 7474)를 상기 특정 개소에 일체로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 상기 릴리프 통로(476) 및 상기 분기 통로(474, 7474)는 상기 필터 케이스(43, 2043, 3043) 중 상기 특정 개소의 측면(47a)으로 개구하는
    연료 공급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4043, 6043)는 상기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빼내는 릴리프 밸브(4443)를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로서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빼내는 릴리프 밸브(443, 4443, 7443)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와 연통하는 상기 연료 통로는 상기 필터 케이스(43, 2043, 3043, 4043, 6043)의 축방향으로 되꺾이는
    연료 공급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 중 상기 특정 개소에 접합되는 포트 부재(44, 4044, 5044, 8044)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부재는 상기 연료 통로를 상기 필터 케이스 외부로 연통하게 하는 연료 포트(440, 5440, 8440, 441, 5441, 442)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43, 4043)는 곡면 형상으로 만곡하는 외주면(461a)을 가지고,
    상기 포트 부재(5044, 8044)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연료 포트(5440, 8440, 5441)가 형성되는
    연료 공급 장치.
  14. 삭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로부터의 토출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 측으로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빼내는 스프링 가압식 릴리프 밸브(7443)로서, 상기 압력 빼냄을 위해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7443b)를 가진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연료 통로 중 상기 외부 잔압 유지 밸브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내연 기관측을 향하는 흐름과는 분류된 연료를 상기 릴리프 밸브로 안내하는 릴리프 통로(476)를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16. 연료 펌프(42, 7042, 8042) 및 연료 필터(464)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스(43, 2043, 3043, 4043, 6043)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2) 내로부터 압송된 연료를 상기 연료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로부터 내연 기관(3) 측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료를 유통시키는 연료 통로(470, 4470, 7470, 8470),
    상기 연료 통로의 유통 연료를 상기 내연 기관 측을 향하여 토출하는 토출 통로(472, 8472) 및
    상기 연료 통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 밸브(473, 2473, 3473, 6473, 7473, 475, 7475, 8475, 4443, 8479)를 둘레 방향의 특정 개소(S)에 치우쳐서 일체로 가지며;
    상기 연료 통로(8470)는, 상기 필터 케이스(43) 중 상기 연료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463)에 대하여 상기 연료 필터보다 하류측에서 연통하는 연통구(7470e)를 가지고, 상기 연통구로부터 연료를 유통시키고,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는 상기 수용실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력을 상기 연료 펌프(8042)의 정지에 따라 유지하는 스프링 가압식 내부 잔압 유지 밸브(8475)로서, 상기 연료 펌프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7475b)를 가진 내부 잔압 유지 밸브이고,
    상기 연통구는 상기 연료 통로 중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로부터 상기 토출 통로(8472)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위치 어긋남 개소(R)로 개구하고,
    상기 연통구로부터 상기 토출 통로측을 향하여 연료를 유통시키는 외부용 통로부(7470f) 및 상기 연통구로부터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측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연료의 흐름을 상기 외부용 통로부보다도 좁히는 내부용 통로부(7470g)는 상기 연료 통로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 통로부의 통로 단면적을 원통관(P)의 통로 단면적으로서 변환한 경우, 상기 원통관의 통로 직경(D)과 상기 내부용 통로부의 길이(L)는 L/D≥3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연료 공급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는 상기 토출 통로를 향하는 연료의 압력을 조정하고,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와는 별개의 상기 개폐 밸브의 하나는 상기 내부용 통로부로부터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빼내는 스프링 가압식 릴리프 밸브(8479)로서, 상기 압력 빼냄을 위해 스프링 반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밸브 엘리먼트(8479b)를 가진 릴리프 밸브인
    연료 공급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 내에서 상기 연료 펌프 및 상기 필터 케이스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20)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서브 탱크의 내주면(8020e)을 향하여 개구하는 릴리프 통로(8476)를 상기 특정 개소에 가지고,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릴리프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 탱크는 상기 릴리프 통로의 최하류단(8476a)과 대향함으로써 상기 최하류단을 통하여 상기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흐름을 가로 방향으로 빼내는 정류부(8020f)를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19.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수용실과 상기 연통구의 사이를 중계하는 중계 통로(7465)를 가지는
    연료 공급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위치 어긋남 개소에서 상기 외부용 통로부로 개구하고,
    상기 내부용 통로부는 상기 외부용 통로부 중 상기 중계 통로로부터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 8475)를 끼워서 이격된 이격 개소(Q)로 개구함으로써 상기 외부용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연통구와 연통하는
    연료 공급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로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이 상기 내부용 통로부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중계 통로로부터의 연료 흐름은 상기 외부용 통로부를 통하여 되꺾여 상기 내부용 통로부를 향하는
    연료 공급 장치.
  22.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위치 어긋남 개소에서 상기 외부용 통로부로 개구함으로써 상기 외부용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용 통로부와 연통하는
    연료 공급 장치.
  23.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 통로부로부터 상기 내부 잔압 유지 밸브(7475, 8475)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료를 좁혀서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7042, 8042)의 주위로 이송하는 제트 펌프(45)를 구비하는
    연료 공급 장치.
KR1020167012906A 2013-11-05 2014-11-03 연료 공급 장치 KR101869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9594 2013-11-05
JP2013229594 2013-11-05
JPJP-P-2014-175197 2014-08-29
JP2014175197A JP6318987B2 (ja) 2013-11-05 2014-08-29 燃料供給装置
PCT/JP2014/005534 WO2015068373A1 (ja) 2013-11-05 2014-11-03 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146A KR20160070146A (ko) 2016-06-17
KR101869839B1 true KR101869839B1 (ko) 2018-06-21

Family

ID=5304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906A KR101869839B1 (ko) 2013-11-05 2014-11-03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65494A1 (ko)
JP (1) JP6318987B2 (ko)
KR (1) KR101869839B1 (ko)
CN (1) CN105705766B (ko)
DE (1) DE112014005053T5 (ko)
WO (1) WO2015068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4463B2 (ja) * 2013-11-05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248868B2 (ja) * 2013-11-05 2017-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15148214A (ja) 2014-02-07 2015-08-20 京三電機株式会社 バルブ構造体及び燃料供給装置
JP6327067B2 (ja) * 2014-08-29 2018-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476722B2 (ja) * 2014-10-13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331980B2 (ja) * 2014-11-06 2018-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424854B2 (ja) * 2016-03-18 2018-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59313B2 (en) * 2016-03-30 2019-04-16 Walbro Llc Fuel pump assembly with removable supports
US10549631B2 (en) 2016-03-30 2020-02-04 Walbro Llc Fuel pump assembly with removable and/or movable supports
JP7066370B2 (ja) * 2017-10-27 2022-05-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体燃料供給管及び粉砕装置並びに固体燃料供給方法
CN207864271U (zh) * 2017-12-27 2018-09-14 康明斯滤清系统知识产权公司 过滤器组件和与过滤器组件一起使用的泵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7309A (zh) 1998-02-25 1999-09-01 三菱电机株式会社 燃料供给装置
JP2004156588A (ja) 2002-10-18 2004-06-03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3884212B2 (ja) 2000-03-24 2007-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供給装置
JP2012097640A (ja) * 2010-11-01 2012-05-24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742A (en) * 1993-02-08 1994-11-08 Walbro Corporation Fuel pump manifold
US5511957A (en) * 1994-09-27 1996-04-30 Walbro Corporation High capacity fuel pump and filter combination
JP3509881B2 (ja) * 1997-12-08 2004-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5908020A (en) * 1998-07-13 1999-06-01 Uis, Inc. Marine fuel pump and cooling system
US6655364B1 (en) * 2000-08-18 2003-12-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feed device
DE60031892T2 (de) * 2000-08-18 2007-06-21 Mitsubishi Denki K.K. Brennstoffzufuhr
JP4374789B2 (ja) * 2000-09-06 2009-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2003155963A (ja) * 2001-11-20 2003-05-30 Kyosan Denki Co Ltd フューエルポンプモジュールにおける脈動減衰装置
US7306715B2 (en) * 2002-08-05 2007-12-11 Denso Corporation Pump module
JP2005069171A (ja) * 2003-08-27 2005-03-17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FR2864169B1 (fr) * 2003-12-22 2007-06-15 Marwal Systems Filtre a carburant a evacuation d'eau facilitee
JP2007239682A (ja) * 2006-03-10 2007-09-20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7255378A (ja) * 2006-03-24 2007-10-04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US7441545B1 (en) * 2007-12-12 2008-10-28 Robert Bosch Gmbh Fuel pressure relief valve
US7753033B2 (en) * 2008-09-05 2010-07-13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module with orifice upstream from regulator
JP5581925B2 (ja) * 2010-09-14 2014-09-0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5818433B2 (ja) * 2010-12-24 2015-11-18 株式会社ミツバ 燃料供給装置
US9938942B2 (en) * 2012-05-22 2018-04-10 Robert Bosch Gmbh Fuel supply system
JP6248868B2 (ja) * 2013-11-05 2017-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311537B2 (ja) * 2013-11-05 2018-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354463B2 (ja) * 2013-11-05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7309A (zh) 1998-02-25 1999-09-01 三菱电机株式会社 燃料供给装置
JP3884212B2 (ja) 2000-03-24 2007-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供給装置
JP2004156588A (ja) 2002-10-18 2004-06-03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12097640A (ja) * 2010-11-01 2012-05-24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8373A1 (ja) 2015-05-14
JP6318987B2 (ja) 2018-05-09
CN105705766B (zh) 2018-09-11
CN105705766A (zh) 2016-06-22
JP2015110939A (ja) 2015-06-18
KR20160070146A (ko) 2016-06-17
DE112014005053T5 (de) 2016-08-25
US20160265494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839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1869840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1869838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1869837B1 (ko) 연료 공급 장치
JP6432217B2 (ja) 燃料供給装置
JP6327067B2 (ja) 燃料供給装置
US10054089B2 (en) Fuel supply device
US9915234B2 (en) Valve structure and fuel supply device
JP6365180B2 (ja) リリーフバルブ及び燃料供給システム
US9850865B2 (en) Fuel supply device
US20090020104A1 (en) Fuel supply tank, fuel supply system and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the system
US8066030B2 (en) Fuel conveying device
JP2005320884A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