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707B1 -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 Google Patents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707B1
KR101869707B1 KR1020170010013A KR20170010013A KR101869707B1 KR 101869707 B1 KR101869707 B1 KR 101869707B1 KR 1020170010013 A KR1020170010013 A KR 1020170010013A KR 20170010013 A KR20170010013 A KR 20170010013A KR 101869707 B1 KR101869707 B1 KR 10186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rical
wire
cylindrical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배전선로 상에서 무정전보수 작업시 절단된 한쪽의 전선(40) 단말을 삽입하여 절연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개구된 구조의 조립전단부(11a) 및 삽입후단부(11b)를 갖춘 원통몸체부(11)로 이루어지고, 이 원통몸체부(11)의 삽입후단부(11b)쪽에 원통몸체부(11)의 양측면 및 저면이 절개되어 연통되는 구조의 삽입공간(12)이 형성 구비된 원통캡부(10)와, 상기 원통캡부(10)의 삽입후단부(11b)에 형성된 개구된 관통공(13)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40)을 집게 구조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원통캡부(10)의 삽입공간(12) 저면쪽 개구 부위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13)을 개폐할 수 있는 한 쌍의 선단집게편(22)과 이 선단집게편(22)에서 대향되게 하향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파지편(21) 및 선단집게편과 파지편 사이에서 집게 작용을 구현할 수 있게 연결하는 집게축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파지부(20)와, 상기 원통캡부(10)의 조립전단부(11a)에 끼움 조립되어 원통캡부(10)에 삽입된 전선(40) 말단의 충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전기(31)와 이 검전기(31)를 수용하여 원통캡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검전부뚜껑(32)으로 구성된 검전부(30)를 포함하는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Cap of power transmission line for a live wire having electroscopic function}
본 발명은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상에서 무정전공사(활선시공)시 절단한 전선의 단부를 간편하게 절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감전사고와 배전선로의 합선 및 지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단말캡을 사용할 때, 단말캡의 설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용이 간편한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말캡에 검전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배전선로 상에서 절단된 전선 단말의 충전 여부를 쉽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감전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活線, a live wire)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은 2가지 종류 즉, 직접활선 작업과 간접활선 작업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직접활선 작업은 고압용 고무 장갑 등의 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통전 중의 피복 전선에 직접 접해 배전 공사를 하는 작업 방법이고, 간접활선 작업은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통전 중의 피복 전선에 직접 접하는 일 없이 배전 공사를 하는 작업 방법이다.
이와 같이 직접 활선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절연 장갑을 끼고 전압이 22.9kV나 되는 특고압 전선을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단점이 있으며, 그동안 작업 부주의로 인한 인명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왔다.
이처럼 직접 활선작업의 경우, 특고압의 전선을 절연 장갑을 통해 직접 접촉하여 작업을 하는 관계로, 작업자는 항시 많은 위험성을 느끼며 작업을 하고 있고, 순간적인 방심이나 부주의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작업 환경의 개선 관점에서 직접활선 작업 방법에서 간접활선 작업 방법으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간접활선 작업의 경우, 핫스틱이라는 공구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간접활선 작업은 공구를 이용한 작업으로서 안전성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간접활선 작업시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상에서 전선을 절단하고 이 절단된 전선을 전선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는바, 이때, 전선은 피복을 벗겨낸 후 전선의 심선이 전선슬리브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간접활선 작업 방법은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직접활선 작업 방법보다 난이도가 높은 작업이 된다. 이 때문에 간접활선 방법에 의한 작업은 간단하고 공정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 배전선로의 보수공사시에 배전선로를 정전시키지 않고 무정전상태(활선시공)로 시공할 경우에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선(1)을 보수하고자 하는 보수작업구간(L)을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2)을 사용하여 병렬 연결시킴으로써 배전선로의 경로를 형성하여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다음, 도 1(B)와 같이 보수작업구간(L)을 절단하여 휴전시킨 후 보수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도 1(B)에서와 같이 절단된 전선(1)의 1b, 1c 절단부는 휴전 상태이나 1a, 1d 절단부는 바이패스 케이블(2)에 의해 고압이 존재하는 충전부(활선상태)이므로 전선(1)의 1a, 1d 절단부는 절연테이프 등으로 감아서 작업자의 감전이나 지지물과의 접촉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도 1(B)의 예시도에서와 같이 고압 또는 저압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절연테이프를 감는 작업이 어려우며, 고압의 전선인 경우 절연테이프만으로 완전한 방호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상 복귀할 시에는 감겨있는 절연테이트를 제거하는 작업이 어렵고, 일부 작업자는 안일하게 생각하여 절연테이프를 감는 작업을 하지 않는 관계로 중대한 안전사고 내지는 전선로의 사고를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종래 고압 배전선로에서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절단한 경우에 전선 말단의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전선 단말에 단말캡을 설치하여 충전부를 커버하는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7818호(1999.6.15. 공고)에는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7818호에 개시된 절연캡(3)은 절단한 고압선(1)을 삽입시켜 고압선(1)을 잡아주는 고압선홀더(4)와, 이 고압선홀더(4)가 삽입되면 고압선홀더(4)를 내측으로 조여주는 원통형태의 절연캡몸체(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압선홀더(4)는 상측 머리부(5)의 중심선상에 입구가 넓고 내측이 좁은 경사삽입구멍(5a)이 형성되고, 머리부(5)의 하측에는 하단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면서 외주연에 숫나사부(4b)가 형성된 홀딩부(4a)가 머리부(5)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홀딩부(4a)의 내측에는 경사삽입구멍(5a)과 이어지는 홀딩홀(4d)이 관통 형성되고, 이 홀딩부(4a)는 방사상으로 3~6개의 절개부(4c)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캡몸체(6)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홀딩부(4a)의 숫나사부(4b)와 체결될 암나사부(6a)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소정크기의 공간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절연캡(3)을 제공함으로써, 특고압 선로의 보수 공사시에 전선로를 정전시키지 않고 무정전상태로 시공할 경우, 절단한 고압선(1)의 단부를 절연재로 된 절연캡(3)에 끼워서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무정전공사시 절단한 고압선(1)의 단부를 간편하게 절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감전사고와 전선로의 합선 및 지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7818호에 개시된 절연캡(3)과 같은 종래의 절연캡(혹은 단말캡)은 그 구조적 특징상 주로 직접활선 작업에 활용될 수 있을 뿐 작업자가 배전선로의 절단된 전선 단말과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절연캡 내에 전선 단말을 삽입하여야 하는 간접활선 작업에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배전선로 상에서 절단된 전선 단말의 충전 유무를 보수작업 중 반드시 확인하고, 적절한 절연 조치를 취해야만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 종래에는 별도의 검전기를 이용하여 전선 단말의 충전 유무를 검출한 다음, 절연캡(혹은 단말캡)으로 전선 단말을 절연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검전기를 사용하여 전선 단말의 충전 유무를 일일이 확인하는 방식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있었고, 배전선로 보수작업 중 이러한 검전 작업을 소홀히 할 경우에 감전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7818호(1999.6.15. 공고, 명칭: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절연캡(혹은 단말캡)의 문제점을 보완 및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단말캡을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 상에서 간접활선 방식으로 절단된 전선의 단말을 절연캡(혹은 단말캡)으로 절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단말캡의 설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간접활선 공구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절연작업 및 사용이 간편한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배전선로 상에서 절단된 전선 단말의 충전 여부를 쉽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감전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 상에서 무정전보수 작업시 절단된 한쪽의 전선 단말을 삽입하여 절연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개구된 구조의 조립전단부 및 삽입후단부를 갖춘 원통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이 원통몸체부의 삽입후단부쪽에 원통몸체부의 양측면 및 저면이 절개되어 연통되는 구조의 삽입공간이 형성 구비된 원통캡부와, 상기 원통캡부의 삽입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된 관통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을 집게 구조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원통캡부의 삽입공간 저면쪽 개구 부위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을 개폐할 수 있는 한 쌍의 선단집게편과 이 선단집게편에서 대향되게 하향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파지편 및 이 파지편과 선단집게편 사이에서 집게 작용을 구현할 수 있게 연결하는 집게축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파지부와, 상기 원통캡부의 조립전단부에 끼움 조립되어 원통캡부에 삽입된 전선 말단의 충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전기와 이 검전기를 수용하여 원통캡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검전부뚜껑으로 구성된 검전부를 포함하는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을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몸체부의 삽입공간에는 원통몸체부의 내경보다 넓은 형태를 갖는 수평한 플랜지조립면이 원통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플랜지조립면의 중앙 부위에 파지부의 집게축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축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파지편과 선단집게편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는 플랜지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하 집게구조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 파지편과 선단집게편의 상호교차 연결지점인 플랜지면의 중앙 부위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이 축공에 집게축이 끼움 체결됨에 따라 파지편과 선단집게편이 집게축에 의해서 집게 작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비틀림 용수철로 이루어져 이 비틀림 용수철의 코일형 부분에 집게축이 관통 삽입되고, 이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한 쌍의 파지편의 내측면에 각각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파지부의 플랜지면이 삽입공간의 저면 개구 부위의 플랜지조립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삽입된 상태에서 집게축이 축조립공 및 축공을 따라 관통 삽입됨에 따라 파지부가 삽입공간 내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검전부의 검전기는 반도체회로가 구성된 검전회로기판과, 이 검전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전선 단말의 충전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출 확인 방법으로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이 램프의 일측으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고, 상기 원통몸체부의 조립전단부 내주면에 검전기의 검전회로기판을 끼워서 수용 장착할 수 있는 회로기판조립부가 마련되며, 상기 검전부뚜껑은 불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조립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뿔형의 원통캡부와, 이 원통캡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원통캡부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을 집게구조로 파지하는 고정하는 파지부와, 이 파지부의 반대편 원통캡부의 전방에 끼움 장착되어 원통캡부에 삽입되는 전선 단말의 충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전부를 갖춘 단말캡을 제공함으로써, 배전선로상에서 무정전공사(활선시공)시 절단한 전선의 단부를 원통캡부에 삽입하여 파지부로 파지하여 고정함에 따라 간편하게 절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감전사고와 배전선로의 합선 및 지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캡이 파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간접활선 공구를 사용하여 단말캡의 설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와 함께 단말캡에 검전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배전선로 상에서 절단된 전선 단말의 충전 여부를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감전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B)는 통상적인 무정전 배전선로의 보수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7818호에 개시된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절연캡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반단면 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캡을 구성하는 파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A),(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캡에서 파지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캡(100)은 크게 원통캡부(10), 파지부(20), 검전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캡부(10)는 배전선로 상에서 절단된 전선(40)의 말단 부위를 끼워넣어 외부와 절연되도록 보호하는 부위로써, 상기 원통캡부(10)는 양단부에 개구를 가지고 있는 원통뿔 형태의 원통몸체부(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캡부(10)는 폴리에틸렌 혼합물 및 합성고무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은 폴리에틸렌 혼합물 및 합성고무 혼합물은 절연(絶緣)기능이 있어, 전선(40)의 외주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다만, 원통캡부(10)의 재질은 상기와 같은 폴리에틸렌 혼합물 및 합성고무 혼합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절연기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몸체부(11)의 일단 개구부에는 검전부(30)가 조립 장착되는 원통형의 조립전단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몸체부(11)의 타단 개구부에는 파지부(20)가 끼움 삽입된 후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의 삽입후단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몸체부(11)의 외주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원형 구조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보강리브(15)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몸체부(11)의 내경은 삽입후단부(11b)에서 조립전단부(11a)쪽으로 점점 축소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삽입후단부(11b)에는 원통몸체부(11)의 내경에 연통하는 관통공(13) 및 이 관통공(13) 상에 파지부(20)를 끼움 삽입하여 체결 조립할 수 있는 삽입공간(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12)은 원통몸체부(11)의 저면 및 양측면이 절개되어 각각 개구된 빈 공간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삽입공간(12)의 양측면 개구부위에는 원통몸체부(11)의 직경보다 더 넓은 형태로 돌출된 수평한 평판 형태의 플랜지조립면(12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조립면(12a)의 중앙 부위에는 후술하는 파지부(14)의 집게축(24)을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축조립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원통몸체부(11)의 조립전단부(11a)측을 전방 쪽, 삽입후단부(11b) 측을 후방 쪽이라고 칭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0)는 집게 형태를 취하면서 전선(40)을 파지하는 부위로써, 파지부((20)는 크게 한 쌍의 파지편(21), 한 쌍의 선단집게편(22), 탄성부재(23), 집게축(2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파지편(2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면(21a)을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집게편(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파지편(21)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선단집게편(22) 및 플랜지면(21a)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이 한 쌍의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의 상호교차 연결지점인 플랜지면(21a)의 중앙 부위에는 축공(25)이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공(25)들을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집게축(24)이 축공(25)에 끼움 체결됨에 따라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이 집게축(25)에 의해서 집게 작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파지편(21)을 간접활선 공구로 잡고 파지할 때, 잘 미끄러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파지편(21)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돌출리브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단집게편(22)의 내주면에는 전선(40)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미끄러짐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쐐기형 돌기(혹은, 나사산 형태의 돌기)를 갖는 집게면(22a)이 호(弧)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집게 작용에 필요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비틀림 용수철을 탄성부재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3)인 비틀림 용수철의 코일형 부분에 집게축(24)이 관통 삽입되고, 탄성부재(23)의 양단부는 한 쌍의 파지편(21)의 내측면에 각각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지부(20)는 원통몸체부(11)의 삽입공간(12) 내에 삽입 장착되게 된다.
즉, 상기 원통몸체부(11)의 삽입공간(12)쪽 저면 개구 부위를 통해서 파지부(20)가 삽입 조립되게 되고, 이때, 파지부(20)의 플랜지면(21a)이 삽입공간(12)을 구성하는 플랜지조립면(12a)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집게축(24)이 축조립공(14) 및 축공(25)을 따라 관통 삽입됨에 따라 파지부(20)가 삽입공간(12) 내에 체결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은 각각 집게축(24)을 축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여 집게 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예를 들면, 파지 기능을 가지는 간접활선 공구(도시안됨)를 통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파지편(21)의 외주면을 파지한 다음, 간접활선 공구로 한 쌍의 파지편(21)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선단집게편(22)이 벌어지게 된다.
반대로, 한 쌍의 파지편(21)을 가압하여 눌러 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간접활선 공구를 조작하게 되면, 탄성부재(23)의 탄성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선단집게편(22)이 맞물려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관계를 갖는 한 쌍의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후단부(11a)의 삽입공간(12)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간접활선 작업 시 단말캡이 사용될 때, 간접활선 공구로 파지부(20)의 파지편(21)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함으로써, 관통공(13)의 내측에서 개폐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파지부(14)는 원통몸체부(11)의 관통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40)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전부(30)는 배전선로 보수작업 수행시 저압 또는 고압의 충전 유무를 검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부위로써, 검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검전기(31)가 장착되어 있다.
통상 검전기는 정전조작, 회로의 수리, 설비검사 등에서 전기가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장치로써, 그 동작원리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배전선로 상에서 활선 작업 시 절단된 전선(40) 단말을 단말캡(100)으로 씌워서 절연 과정에서 전선(40) 단말의 충전 유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캡(100)에 검전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활선 작업 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전부(30)는 통상의 검전기(31)와, 이 검전기(31)를 수용하여 원통캡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검전부뚜껑(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검전부(30)에 사용되는 검전기(31)는 통상의 전자회로식 검전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 전자회로식 검전기는 반도체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전부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충전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부위에서도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의 존재 확인 뿐만 아니라 전압 검출 감도에 따른 전동기 접지 유무 등도 대략적인 판별이 가능하다. 이때, 검출 확인 방법으로는 소리와 광(즉, 빛)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전부(30)를 구성하는 검전기(31)는 반도체회로가 구성된 검전회로기판(33)과, 이 검전회로기판(33) 상에 양쪽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 단말(즉, 충전부)의 충전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출 확인 방법으로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램프(34)와, 이 램프(34)의 일측으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35)를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검전기(31)는 원통몸체부(11)의 조립전단부(11a) 내주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조립부(11c) 상에 끼움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조립전단부(11a) 내주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조립부(11c)는 검전기(31)의 검전회로기판(33)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서 수용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렇게 검전기(31)가 조립전단부(11a)의 회로기판조립부(11c)에 조립된 상태에서 검전부뚜껑(32)이 원통몸체부(11)의 전방에 위치한 조립선단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조립됨으로써, 작업자는 검전기(31)의 램프(34)에서 전선(40) 단말의 충전 유무를 검출하여 발광함에 따라 검전부뚜껑(32)을 통해서 램프(34)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검전부뚜껑(32)은 검전기(31)의 램프(34)에서 전선(40) 충전부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여 빛이 발산될 때, 외부에서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 상에서 간접활선 작업 방식으로 무정전공사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캡(100)으로 절단된 전선(40)의 단말을 절연할 경우, 단말캡(100)의 원통캡부(10) 내에 삽입되는 전선(40) 단말의 충전 유무를 검전부(30)에서 곧바로 검출하여 램프(34)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별도의 검전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절단된 전선(40) 단말의 충전 유무를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감전 사고와 같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 기능을 갖는 단말캡(100)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상에서 간접활선 작업에 의한 무정전공사시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압의 배전 선로 보수공사시에 배전선로를 정전시키지 않고 무정전상태(활선 시공)로 시공할 경우, 종래의 배경 기술로 설명하고 있는 도 1(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보수를 하고자 하는 보수작업구간(L)을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2)을 사용하여 병렬 연결시킴으로써, 배전선로의 경로를 형성하여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다음, 도 1(B)에서와 같이 보수작업구간(L)을 절단하여 휴전시킨 후 보수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된 전선(40)의 단부에는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이나 합선, 지락사고 등의 위험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캡(100)에 절단한 전선(40)의 단부를 삽입시키고 파지부(20)로 전선(40)을 파지하여 고정함으로써, 전달된 전선(40)의 단말을 절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말캡(100)의 설치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를 들면, 배전선로 상에서 전선(40)을 절단하는 작업을 실시한 경우,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충전부가 노출된 상태의 한쪽 전선(40) 단말을 원통캡부(10)의 일측 관통공(13)을 통해서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40)을 파지부(20)로 파지함으로써, 전선(40)의 단말 즉, 충전부를 커버하여 절연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해 파지부(20)의 파지편(21)을 파지한상태에서 가압하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편(21)이 서로 맞닿도록 눌러주게 되면, 선단집게편(22)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삽입후단부(11b)의 관통공(13)에 전선(40)의 단말을 선단집게편(22)의 집게면(22a)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40) 단말이 원통몸체부(11)의 검전부(30)쪽으로 삽입되어 도달한 시점에서 파지편(2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전선(40)이 선단집게편(21)에 의해 파지되고 전선(40) 단말이 단말캡(100)에 의해 커버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절연재로 된 단말캡(100)으로 전기가 통하고 있는 전선(40)을 견고하게 잡아주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감전사고 및 배전선로의 합선이나 누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전선(40)의 단말이 삽입되어 있는 원통몸체부(11)의 전방이 검전부(30)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이므로 더욱더 감전사고나 합선 및 누전사고 등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검전부(30)에서는 원통몸체부(11) 내에 삽입된 전선(40)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검출하여 램프(34)의 불빛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검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캡(100)을 이용하여 절단한 전선(40)을 완벽하게 절연시킨 상태로 배전선로의 보수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단말캡(100)의 설치 상태와 역순으로 단말캡(100)에서 전선(40)을 분리하고, 이 절단된 전선(40)을 연결하면 무정전상태에서 배전선로의 보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원통캡부 11 : 원통몸체부
11a : 조립전단부 11b : 삽입후단부
12 : 삽입공간 12a : 플랜지조립면
13 : 관통공 14 : 축조립공
15 : 보강리브 20 : 파지부
21 : 파지편 21a : 플랜지면
22 : 선단집게편 22a : 집게면
23 : 탄성부재 24 : 집게축
25 : 축공 30 : 검전부
31 : 검전기 32 : 검전부뚜껑
33 : 검전회로기판 34 : 램프
35 : 전원공급부 100 : 단말캡

Claims (3)

  1. 배전선로 상에서 무정전보수 작업시 절단된 한쪽의 전선(40) 단말을 삽입하여 절연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개구된 구조의 조립전단부(11a) 및 삽입후단부(11b)를 갖춘 원통몸체부(11)로 이루어지고, 이 원통몸체부(11)의 삽입후단부(11b)쪽에 원통몸체부(11)의 양측면 및 저면이 절개되어 연통되는 구조의 삽입공간(12)이 형성 구비된 원통캡부(10)와,
    상기 원통캡부(10)의 삽입후단부(11b)에 형성된 개구된 관통공(13)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40)을 집게 구조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원통캡부(10)의 삽입공간(12) 저면쪽 개구 부위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13)을 개폐할 수 있는 한 쌍의 선단집게편(22)과 이 선단집게편(22)에서 대향되게 하향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파지편(21) 및 이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 사이에서 집게 작용을 구현할 수 있게 연결하는 집게축(24) 및 탄성부재(23)를 포함하는 파지부(20)와,
    상기 원통캡부(10)의 조립전단부(11a)에 끼움 조립되어 원통캡부(10)에 삽입된 전선(40) 말단의 충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전기(31)와 이 검전기(31)를 수용하여 원통캡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검전부뚜껑(32)으로 구성된 검전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몸체부(11)의 삽입공간(12)에는 원통몸체부(11)의 내경보다 넓은 형태를 갖는 수평한 플랜지조립면(12a)이 원통몸체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플랜지조립면(12a)의 중앙 부위에 파지부(20)의 집게축(24)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축조립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20)의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는 플랜지면(21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하 집게구조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의 상호교차 연결지점인 플랜지면(21a)의 중앙 부위에는 축공(25)이 형성되고, 이 축공(25)에 집게축(24)이 끼움 체결됨에 따라 파지편(21)과 선단집게편(22)이 집게축(25)에 의해서 집게 작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23)가 비틀림 용수철로 이루어져 이 비틀림 용수철의 코일형 부분에 집게축(24)이 관통 삽입되고, 이 탄성부재(23)의 양단부는 한 쌍의 파지편(21)의 내측면에 각각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파지부(20)의 플랜지면(21a)이 삽입공간(12)의 저면 개구 부위의 플랜지조립면(12a)에 밀착되는 구조로 삽입된 상태에서 집게축(24)이 축조립공(14) 및 축공(25)을 따라 관통 삽입됨에 따라 파지부(20)가 삽입공간(12) 내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전부(30)의 검전기(31)는 반도체회로가 구성된 검전회로기판(33)과, 이 검전회로기판(33)상에 배치되어 전선(40) 단말의 충전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출 확인 방법으로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34)와, 이 램프(34)의 일측으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3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고, 상기 원통몸체부(11)의 조립전단부(11a) 내주면에 검전기(31)의 검전회로기판(33)을 끼워서 수용 장착할 수 있는 회로기판조립부(11c)가 마련되며, 상기 검전부뚜껑(32)은 불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조립전단부(11a)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3. 삭제
KR1020170010013A 2017-01-20 2017-01-20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KR10186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13A KR101869707B1 (ko) 2017-01-20 2017-01-20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13A KR101869707B1 (ko) 2017-01-20 2017-01-20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707B1 true KR101869707B1 (ko) 2018-06-21

Family

ID=6280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013A KR101869707B1 (ko) 2017-01-20 2017-01-20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88B1 (ko) 2019-04-15 2020-02-19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종단 절연캡
KR20210088942A (ko) * 2020-01-07 2021-07-15 김무진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20220170579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전력공사 절연 캡
KR20230109489A (ko) * 2022-01-13 2023-07-2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절연캡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818B1 (ko) 1989-02-27 1998-08-17 . 중합체로부터 더블 금속 시안화 착물 촉매의 회수 방법
JP2008249626A (ja) * 2007-03-30 2008-10-1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光体及び検電器
JP2015208155A (ja) * 2014-04-22 2015-11-19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用検電器
JP2016082726A (ja) * 2014-10-16 2016-05-16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818B1 (ko) 1989-02-27 1998-08-17 . 중합체로부터 더블 금속 시안화 착물 촉매의 회수 방법
JP2008249626A (ja) * 2007-03-30 2008-10-1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光体及び検電器
JP2015208155A (ja) * 2014-04-22 2015-11-19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用検電器
JP2016082726A (ja) * 2014-10-16 2016-05-16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88B1 (ko) 2019-04-15 2020-02-19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종단 절연캡
KR20210088942A (ko) * 2020-01-07 2021-07-15 김무진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102307360B1 (ko) * 2020-01-07 2021-09-30 김무진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20210118799A (ko) * 2020-01-07 2021-10-01 김무진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102600407B1 (ko) * 2020-01-07 2023-11-09 김무진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20220170579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전력공사 절연 캡
KR102562124B1 (ko) * 2021-06-23 2023-08-02 한국전력공사 절연 캡
KR20230109489A (ko) * 2022-01-13 2023-07-2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절연캡 구조체
KR102671547B1 (ko) * 2022-01-13 2024-06-0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절연캡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707B1 (ko)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KR101368384B1 (ko) 접지형 엘보접속재
US20180294600A1 (en) Electric connection arrangement
US8278573B2 (en) Circuit breaker for use in high power system and the power system
US6453776B1 (en)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flashover inhibiting cuff venting tool
KR101915323B1 (ko)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KR101469892B1 (ko)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US108453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acrificial cap and integrated test point
KR20140077234A (ko)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JP2018093578A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JP5897684B1 (ja)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US20100245023A1 (en) Safety fusible connector
KR10186832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CN202726760U (zh) 二次接线专用夹钳
JP2020065418A (ja) スリーブカバー
CN213240217U (zh) 短路夹及短接装置
CN209071953U (zh) 与剩余电流检测定位装置配套使用的连接套组件
JP6464838B2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US10921350B2 (en) Voltage testing system
JP6629946B1 (ja) バイパスケーブル及び電線ヒューズの取替方法
KR101488904B1 (ko) Cos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퓨즈홀더 및 이를 위한 퓨즈클립
US10234488B2 (en) Hand tool for current sensing
JP2018096791A (ja) 検電器用アタッチメント
CN209088161U (zh) 一种电焊机用电缆
CN203350299U (zh) 测试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