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799A -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799A
KR20210118799A KR1020210126433A KR20210126433A KR20210118799A KR 20210118799 A KR20210118799 A KR 20210118799A KR 1020210126433 A KR1020210126433 A KR 1020210126433A KR 20210126433 A KR20210126433 A KR 20210126433A KR 20210118799 A KR20210118799 A KR 2021011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bolt member
terminal groo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407B1 (ko
Inventor
김무진
Original Assignee
김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진 filed Critical 김무진
Priority to KR102021012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은, 일면에 전선의 단말이 삽입되는 단말홈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상기 단말홈에 대향되는 영역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부재의 상기 단말홈의 외측에 위치되는 머리부는 스마트 스틱의 후크(Hook)가 걸릴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CAP FOR INSULATING END OF WIRE FOR INDIRECT HOT-LINE WORK}
본 발명은 절연을 위해 전선의 단말에 씌우는 단말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간접활선 작업시 절연을 위해 전선의 단말에 씌우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배전선로의 배선작업시 통전중인 전선을 절단하였을 경우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간접활선공구인 스마트 스틱(Smart stick)을 사용하여 임시로 절연 단말캡을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노출부에 씌워 작업자의 감전사고와 배전선로의 합선 및 지락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의 그랩스틱(20)에 의해 파지된 상태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은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이 전선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 전선을 집을 수 있도록 집게(11)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을 전선의 단말에 씌우기 위해서, 스마트 스틱인 그랩스틱의 집게부(20)의 끝부분으로 집게(11)를 파지하여 집게(11)를 벌리고 전선의 단말에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을 씌우고, 이후, 집게부(20)를 벌려 집게(11)를 놓아 삽입된 전선 단말을 집도록 한다.
이 경우, 집게부(20)의 끝부분만으로 집게(11)를 파지하는데, 일반적으로 집게(11)는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멀리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고, 집게부(20)와 집게(11) 간의 접촉면이 작고 집게(11)의 집게부(20)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 마모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하여, 집게(11)가 집게부(20)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집게(11)가 전선 단말을 집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의 탄성 감소로 인해 전선을 무는 힘이 약해져 집게형 절연 단말캡(10)이 쉽게 전선 단말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집게(1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의 탄성력 만으로는 전선피복에 물기가 있을 경우 집게(11)가 전선피복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랩스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단말에 씌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은, 일면에 전선의 단말이 삽입되는 단말홈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상기 단말홈에 대향되는 영역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부재의 상기 단말홈의 외측에 위치되는 머리부는 스마트 스틱의 후크(Hook)가 걸릴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이 상기 단말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볼트 부재는 MC 나일론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볼트 부재는 절삭 가공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반대면에는 상기 단말홈에 삽입되는 전선의 대전 여부를 나타내는 검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은 그랩스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은 전선 단말에 씌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집게형 절연 단말캡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집게형 절연 단말캡의 그랩스틱에 의해 파지된 상태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에 전선의 단말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의 크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볼트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에 전선의 단말(1)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의 배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은 특고압 배전선로의 배선작업시 통전중인 전선을 절단하였을 경우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노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전선의 단말(1)에 씌워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은 하우징(110), 볼트 부재(120) 및 검전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면에 단말홈(111)의 내측으로 만입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절연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은 MC나일론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홈(111)에는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단말(1)이 삽입된다. 단말홈(111)은 이하 설명될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홀 및 단말홈(111)의 개방된 입구 외의 다른 측면은 하우징(110)의 측벽에 의해 밀폐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측벽은 하우징(110)의 일면 및 일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반대면의 사이를 연결한다.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하우징(110)의 측벽의 두께는 단말홈(111)이 형성된 일면을 바라볼 때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홀의 반대측면으로부터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측면으로 갈수록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단말(1)이 단말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에 볼트 부재(120) 아직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두께에 의한 측벽의 영역별 무게 차이에 의해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홀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별도의 위치 조정 없이 볼트 부재(120)를 쉽게 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하우징(110)의 측벽의 두께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볼트 부재(120)가 단말홈(111)에 삽입된 전선의 단말(1)을 누르도록 조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의 중량 및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측벽에는 미끄럼 방지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홈(112)은 하우징(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홈(112)은 단말홈(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홈(112)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또는 그랩스틱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파지 시 하우징(110)이 손이나 그랩스틱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다.
볼트 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측벽의 단말홈(111)에 대향되는 영역을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트 부재(120)는 볼트부(121) 및 머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부재(120)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절연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볼트 부재(120)는 MC나일론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볼트부(121)는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볼트부(121)는 하우징(110)의 측벽을 직접 관통한다. 하우징(110)의 볼트부(121)가 삽입되는 홀의 내측면에는 볼트부(121)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나사면이 형성된다.
머리부(122)는 단말홈(111)의 외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머리부(122)는 볼트부(121)의 단말홈(111)의 외측에 위치되는 일단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머리부(122)에는 스마트 스틱의 후크(Hook)가 걸릴 수 있는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머리부(122)는 고리(Ring)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작업자는 스마트 스틱의 후크(Hook)를 머리부(122)에 형성된 홀(123)에 걸고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부(121)의 하우징(110) 내에 위치되는 타단을 단말홈(111)에 삽입된 전선 단말(1)의 측부를 향해 이동시켜 전선 단말(1)에 힘을 가하도록 밀착시킴으로써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이 전선의 단말(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는 볼트 부재(120)가 제공됨으로써, 스마트 스틱 중 그랩스틱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파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그랩스틱을 단말캡에 제공되는 집게를 벌리는 데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그랩스틱을 하우징(110)을 파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이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그랩스틱의 끝부분이 아닌 내측 둥근 부분으로 파지될 수 있어 기존의 단말캡들에 비해 안정적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 및 볼트 부재(120)는 절삭 가공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재료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후, 미끄럼 방지홈(112) 및 단말홈(111)을 선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볼트부(121)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재료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후, 선반 공정을 이용하여 나사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122)는 적절한 너비 및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재료에 밀링 공정을 이용하여 고리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의 크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단말홈(111)의 직경(D2)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직경(D1)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직경(D1)은 45 내지 55 mm, 바람직하게는 50 mm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홈(111)은 특고압 배전선로에 쓰이는 전선의 단말(1)이 삽입 가능하되, 삽입된 전선의 단말(1)이 볼트부(121)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홈(111)의 직경(D2)은 25 내지 35mm, 바람직하게는 30mm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홈(111)은 하우징(110)의 길이(L1)보다는 얕되 전선의 단말(1)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이 형성된 일면을 바라볼 때,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측벽의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영역의 두께(t1)는 볼트 부재(120)가 단말홈(111)에 삽입된 전선의 단말(1)을 조이는 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측벽의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영역의 두께(t1)는 11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13mm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이 형성된 일면을 바라볼 때,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측벽의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영역의 반대 영역의 두께(t2)는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영역의 두께(t1)보다 얇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측벽의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영역의 반대 영역의 두께(t2)는 5 내지 9mm, 바람직하게는 7mm로 제공될 수 있다.
머리부(122)는 스마트 스틱의 후크를 이용하여 조여질 때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외측 직경(d1) 및 두께(t3)와, 스마트 스틱의 후크가 걸릴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내측 직경(d2)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머리부(122)의 외측 직경(d1)은 40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45 mm로 제공될 수 있다. 머리부(122)의 두께(t3)는 13 내지 17 mm, 바람직하게는 15 mm로 제공될 수 있다. 머리부(122)의 내측 직경(d2)은 17 내지 23 mm, 바람직하게는 20 mm로 제공될 수 있다.
볼트부(121)는 하우징(110)의 단말홈(111)을 둘러싸는 측벽의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영역의 두께(t1)보다는 길되, 볼트 부재(120)가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머리부(122)가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충분한 길이의 전선의 단말(1)이 삽입될 수 있는 단말홈(111)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길이(L1)는 190 내지 210 mm, 바람직하게는 200 mm로 제공될 수 있다.
검전기(130)의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L2)는 검전기(130)가 설치될 수 있되, 간접활선 작업시 주변 전선 등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의 전체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지 않을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전기(130)의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L2)는 30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35 mm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볼트 부재의 다른 예(120a)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볼트부(121)의 하우징(110)의 측벽에 삽입되는 타단에 단말홈(111)의 내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된 끝단면에는 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기(124)는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돌기(124)는 복수개가 끝단면의 전체에 걸쳐 배열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124)가 제공됨으로써, 전선 단말(1)이 단말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부재(120a)를 조이면 돌기(124)에 의해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100)이 전선 단말(1)에 씌워진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반대면에는 검전기(130)가 설치될 수 있다. 검전기(130)는 단말홈(111)에 삽입되는 전선의 대전 여부를 나타낸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110: 하우징
111: 단말홈 112: 미끄럼 방지홈
120, 120a: 볼트 부재 121: 볼트부
122: 머리부 124: 돌기
130: 검전기

Claims (5)

  1. 일면에 전선의 단말이 삽입되는 단말홈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상기 단말홈에 대향되는 영역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단말홈의 외측에 위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을 직접 관통하며,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스마트 스틱의 후크(Hook)가 걸릴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볼트부는 상기 나사산의 직경이 상기 머리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는 끝단은 상기 단말홈에 삽입되는 전선에 직접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볼트 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의 반대 영역보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볼트 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이 더 두껍게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말홈이 형성된 일면을 바라볼 때, 상기 단말홈은 중심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볼트 부재가 삽입되는 영역보다 상기 반대 영역에 인접하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이 상기 단말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볼트 부재는 MC 나일론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되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볼트 부재는 절삭 가공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반대면에는 상기 단말홈에 삽입되는 전선의 대전 여부를 나타내는 검전기가 설치되는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1020210126433A 2020-01-07 2021-09-24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10260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433A KR102600407B1 (ko) 2020-01-07 2021-09-24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36A KR102307360B1 (ko) 2020-01-07 2020-01-07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1020210126433A KR102600407B1 (ko) 2020-01-07 2021-09-24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36A Division KR102307360B1 (ko) 2020-01-07 2020-01-07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799A true KR20210118799A (ko) 2021-10-01
KR102600407B1 KR102600407B1 (ko) 2023-11-09

Family

ID=768895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36A KR102307360B1 (ko) 2020-01-07 2020-01-07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KR1020210126433A KR102600407B1 (ko) 2020-01-07 2021-09-24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36A KR102307360B1 (ko) 2020-01-07 2020-01-07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7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843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활선 표시 단말 처리캡 및 이의 조립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736A (ja) * 2001-07-02 2003-01-17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接続部の組立方法及び保護キャップ
JP2010198900A (ja) * 2009-02-25 2010-09-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器具
KR101869707B1 (ko) * 2017-01-20 2018-06-21 제룡산업 주식회사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JP2019009871A (ja) * 2017-06-22 2019-01-17 中国電力株式会社 防護管保持具
JP2019187013A (ja) * 2018-04-04 2019-10-24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防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736A (ja) * 2001-07-02 2003-01-17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接続部の組立方法及び保護キャップ
JP2010198900A (ja) * 2009-02-25 2010-09-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器具
KR101869707B1 (ko) * 2017-01-20 2018-06-21 제룡산업 주식회사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JP2019009871A (ja) * 2017-06-22 2019-01-17 中国電力株式会社 防護管保持具
JP2019187013A (ja) * 2018-04-04 2019-10-24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防護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843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활선 표시 단말 처리캡 및 이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407B1 (ko) 2023-11-09
KR102307360B1 (ko) 2021-09-30
KR20210088942A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20826A (en) Strain relief for electrical conductors
US3748371A (en) Insulated cable with wire for slitting a protective sheath
KR20210118799A (ko) 간접활선용 절연 단말캡
US9240655B2 (en) Automatic splice having a magnetic indicator
US2304711A (en) Clamp terminal construction
KR20100102330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봉 홀더
US2292102A (en) Insulating bushing
US2739291A (en) Electric lamp socket having insulation piercing means for contacting conductors
US2083923A (en) Electrical terminal
US3021501A (en) Removable insulating base for a metallic junction block for cables
US2716741A (en) Strain relief device
KR101610335B1 (ko) 와이어 커넥터
EP1497898B1 (en) Cable installation
US3004095A (en) Grounding clip
US2590505A (en) Interlock for electrical connectors
US4390233A (en) Battery cable connector
CN102560997A (zh) 在熨斗中和关于熨斗的改进及其方法
US1453001A (en) Cable connector
JP2612551B2 (ja) 電線端末処理キャップ
US2885771A (en) Spring type connector wrench
US4333231A (en) Wire release tool
US2062653A (en) Dead end clamp
US2973126A (en) Thread holding means for laying-on a thread to a spool
GB2028448A (en) Tensioning devices for corona disscharge wires
CN219287045U (zh) 一种电缆半导电层剥离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