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124B1 - 절연 캡 - Google Patents

절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124B1
KR102562124B1 KR1020210081596A KR20210081596A KR102562124B1 KR 102562124 B1 KR102562124 B1 KR 102562124B1 KR 1020210081596 A KR1020210081596 A KR 1020210081596A KR 20210081596 A KR20210081596 A KR 20210081596A KR 102562124 B1 KR102562124 B1 KR 10256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ripping
outer cap
wire
gripp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579A (ko
Inventor
김송수
정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1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Abstract

절연 캡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은: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외부캡; 및 외부캡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외부캡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외부캡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편부; 파지편부에 장착되고, 관통홀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가압에 의해 파지편부를 회전시키는 누름부; 및 일측이 외부캡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파지편부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 캡{INSULATED CAP}
본 발명은 절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활선 작업시 절단된 전선을 파지할 수 있는 절연 캡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배전공사 작업시 간접활선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특고압 전력선의 점퍼선 절분·압축 작업시에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점퍼선(전선)의 전달부에 절연 캡을 임시로 설치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절연 단말캡은 간접활선 공구(그랩스틱)로 단말캡의 종단 인입구를 스프링 집게를 가압하여 전선의 인입 공간을 확보한다. 인입 공간 확보 후 전선을 절연 단말캡 내측으로 밀어 넣고, 스프링 집게의 복원력에 의해 전선을 파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절연 단말캡에서는 간접활선 공구의 세밀한 조절이 어려워 집게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절연 단말캡의 집게를 정확하게 파지하지 않으면 절연 단말캡이 공구에서 탈락될 수 있다. 집게와 절연 단말캡의 몸체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간접활선 공구의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9707호(2018.06.15 등록, 발명의 명칭: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접활선 작업시 절단된 전선을 파지할 수 있는 절연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은: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외부캡; 및 상기 외부캡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캡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외부캡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편부; 상기 파지편부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파지편부를 회전시키는 누름부; 및 일측이 상기 외부캡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편부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부; 일측이 상기 누름버튼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편부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로드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파지편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편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돌기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캡에 장착되고, 한 쌍의 상기 파지부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전선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캡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감지캡부; 및 상기 감지캡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의 인입시 점등되는 램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캡과 상기 파지부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에 의하면, 외부캡의 내부에 파지부가 장착되고 파지부의 회전에 의해 전선을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 내부로 전선의 인입시, 감지부에서 점등되어 전선의 인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파지부가 전선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누름부가 가압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전선이 인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전선 인입을 감지부가 감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누름부의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파지편부가 전선을 파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영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누름부가 가압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전선이 인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전선 인입을 감지부가 감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누름부의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에서 파지편부가 전선을 파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은 외부캡(100)과 파지부(200)를 포함한다. 외부캡(100)과 파지부(200)를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캡(100)과 파지부(200)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절단된 전선(10) 파지 시 외부캡(100)과 파지부(200)를 통해 작업자에게 감전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캡(100)은 외부캡몸체부(110)와 관통홀부(120)를 포함한다. 외부캡몸체부(110)는 일측(도 1 기준 좌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외부캡몸체부(110)의 타측(도 1 기준 우측)에는 감지부(300)가 장착된다. 외부캡몸체부(110)는 개구된 일측에서 감지부(300) 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관통홀부(120)는 외부캡몸체부(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각각 개구되게 형성된다(도 3 참조). 관통홀부(120)를 통해 파지부(200)의 누름부(230)의 누름버튼부(2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파지부(200)는 외부캡(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외부캡(100)으로 인입되는 전선(10)을 파지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파지부(200)는 고정부(210), 파지편부(220), 누름부(230), 탄성부(240)를 포함한다.
고정부(210)는 외부캡(100)의 외부캡몸체부(110)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고정부(210)는 외부캡몸체부(1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파지편부(2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파지편부(220)와 힌지 결합된다.
파지편부(220)는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어 개방된 한 쌍의 파지편부(220)로 사이로 인입된 전선(10)을 파지한다. 파지편부(220)는 단면의 형상이 반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서 전선(10)의 외측을 파지한다.
누름부(230)는 파지편부(220)에 장착되고, 관통홀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누름부(230)는 간접활선공구(20)의 가압에 의해 파지편부(220)를 회전시켜 파지편부(220)의 내측으로 전선(10)이 인입되게 할 수 있다.
누름부(230)는 누름버튼부(231), 연결로드부(233), 가이드부(235)를 포함한다. 누름버튼부(231)는 관통홀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누름버튼부(231)는 관통홀부(120)보다 작게 형성된다.
연결로드부(233)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연결로드부(233)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이 누름버튼부(231)에 연결되고, 타측(도 3 기준 상측)이 파지편부(220)에 힌지 연결된다.
가이드부(235)는 관통홀부(120)에서 파지편부(220) 측을 향해 수직(도 3 기준)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부(235)는 누름버튼부(23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누름버튼부(231)는 가이드부(235)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부(235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부(240)는 외부캡(100)의 외부캡몸체부(110)와 파지편부(22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파지편부(220)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고, 파지편부(220)의 가압이 해제되면 파지편부(2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3 기준 하측에 배치된 탄성부(240)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이 외부캡(1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도 3 기준 상측)이 파지편부(220)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다.
탄성부(240)는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4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파지편부(220)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고, 파지편부(220)의 가압이 해제되면 파지편부(2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파지부(200)는 가압돌기부(250)를 더 포함한다. 가압돌기부(250)는 파지편부(220)의 단부(도 3 기준 좌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전선(10)의 외측면을 가압한다. 가압돌기부(250)가 인입된 전선(1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전선(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돌기부(250)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가압돌기부(250)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가압돌기부(250)에 접촉되는 전선(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은 감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300)는 외부캡(100)의 외부캡몸체부(110)에 장착되고, 한 쌍의 파지부(200)의 파지편부(220) 사이로 인입되는 전선(10)을 감지한다.
감지부(300)에서 한 쌍의 파지편부(220) 사이로 전선(10)이 인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간접활선공구(20)의 누름부(230) 가압을 해체하여 인입된 전선(10)을 파지편부(220)가 가압 지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전선(10)의 설정 거리(L) 이내로 인입시, 전선(10)의 인입을 나타낸다.
감지부(300)는 감지캡부(310)와 램프부(320)를 포함하다. 감지캡부(310)는 외부캡(100)의 외부캡몸체부(110)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감지캡부(310)의 내부 공간에 램프부(320)를 수용한다. 램프부(320)의 점등시, 투명 재질의 감지캡부(310)를 통해 빛이 발산되어, 작업자가 전선(10)의 인입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감지캡부(310)는 외부캡(100)의 외부캡몸체부(110)에 수밀되게 장착되어, 내부로 눈, 비, 이슬 등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에 수용된 램프부(320)를 보호한다.
램프부(320)는 감지캡부(3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전선(10)의 인입시 점등된다. 램프부(320)는 전선(10)이 설정 거리(L) 이내로 인입됨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램프부(320)의 거리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전선(10)이 설정 거리(L) 이내로 인입됨을 감지한다.
전선(10)이 설정 거리(L) 이내로 인입시, 램프부(320)는 전선(10)을 감지하고 점등되면, 감지캡부(310)를 통해 빛을 외부로 발산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캡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에서 누름부(230)는 간접활선공구(20)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파지편부(220)의 일측(도 3 기준 좌측)이 폐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간접활선공구(20)에 의해 상측과 하측의 누름부(230)는 가압된다. 누름부(230)가 가압됨에 따라, 파지편부(220)는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탄성부(240)는 파지편부(220)에 의해 압축 변형된다. 파지편부(220)의 일측(도 4 기준 좌측)이 개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방된 파지편부(220)에 전선(10)이 인입된다. 이때 누름부(230)는 간접활선공구(2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선(10)이 감지부(300)에서 설정 거리(L) 이내로 인입되면, 감지부(300)의 램프부(320)가 점등된다. 작업자는 램프부(320)의 점등에 의해 전선(10)이 파지편부(220)의 내측으로 설정 거리(L) 이내로 인입됨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간접활선공구(20)가 누름부(230)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누름부(230)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지편부(220)가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전선(10)을 파지한다. 이때 가압돌기부(250)가 전선(1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전선(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에서 전선(10)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간접활선공구(20)에 의해 누름부(230)가 가압되고,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파지편부(220)에서 전선(10)이 인출된다. 전선(10)이 설정 거리(L) 이내에서 벗어나면 감지부(300)의 램프부(320)가 소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에 의하면, 외부캡(100)의 내부에 파지부(200)가 장착되고 파지부(200)의 회전에 의해 전선(10)을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200) 내부로 전선(10)의 인입시, 감지부(300)에서 점등되어 전선(10)의 인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파지부(200)가 전선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전선 20: 간접활선공구
100: 외부캡 110: 외부캡몸체부
120: 관통홀부 200: 파지부
210: 고정부 220: 파지편부
230: 누름부 231: 누름버튼부
233: 연결로드부 235: 가이드부
240: 탄성부 250: 가압돌기부
300: 감지부 310: 감지캡부
320: 램프부

Claims (8)

  1.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외부캡;
    상기 외부캡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캡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 및
    상기 외부캡에 장착되고, 한 쌍의 상기 파지부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전선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외부캡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편부;
    상기 파지편부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파지편부를 회전시키는 누름부; 및
    일측이 상기 외부캡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편부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캡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감지캡부; 및
    상기 감지캡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의 인입시 점등되는 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선이 설정 거리 이내로 인입됨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부;
    일측이 상기 누름버튼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편부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로드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파지편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편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과 상기 파지부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KR1020210081596A 2021-06-23 2021-06-23 절연 캡 KR102562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96A KR102562124B1 (ko) 2021-06-23 2021-06-23 절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96A KR102562124B1 (ko) 2021-06-23 2021-06-23 절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79A KR20220170579A (ko) 2022-12-30
KR102562124B1 true KR102562124B1 (ko) 2023-08-02

Family

ID=8453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596A KR102562124B1 (ko) 2021-06-23 2021-06-23 절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1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2726A (ja) 2014-10-16 2016-05-16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869707B1 (ko) * 2017-01-20 2018-06-21 제룡산업 주식회사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2726A (ja) 2014-10-16 2016-05-16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869707B1 (ko) * 2017-01-20 2018-06-21 제룡산업 주식회사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79A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124B1 (ko) 절연 캡
WO2015115451A1 (ja) 掴線器
US7918148B2 (en) Wire stripping knife
US6598497B1 (en) Optical fiber cable cover removing device
US4667119A (en) Trigger switch
US53536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disassembly of failed high explosive type mine
US8555933B2 (en) Wire untwisting tool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EP1326261B1 (en) Grip type switch device and controller for industrial machinery using the switch device
JP6660011B2 (ja) 接地短絡器具
KR20110032509A (ko) 와이어하네스 회수용 클램퍼
KR102579044B1 (ko)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CN109310187B (zh) 绳的末端罩
JP4340180B2 (ja) 挿入補助具
KR200479231Y1 (ko) 와이어 커넥터
JP2005287116A (ja) 押込補助具
CN114325065A (zh) 一种用于电器检修的手持式工具
KR102621381B1 (ko) 건축용 방호관 밀림 방지 장치
US5003845A (en) Radiator cap remover
KR100960154B1 (ko)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KR101880169B1 (ko) 파이프 밴딩머신의 파이프 파지장치
TWM546505U (zh) 用以感測電流的手工具
JP2001352626A (ja) 電線把持具
KR20180127016A (ko) 전선 피복의 부분 탈피장치
CN204712037U (zh) 手持夹头开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