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044B1 -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 Google Patents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044B1 KR102579044B1 KR1020210081592A KR20210081592A KR102579044B1 KR 102579044 B1 KR102579044 B1 KR 102579044B1 KR 1020210081592 A KR1020210081592 A KR 1020210081592A KR 20210081592 A KR20210081592 A KR 20210081592A KR 102579044 B1 KR102579044 B1 KR 102579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chain
- main body
- unit
- hold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연결되고,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파지부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파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부와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파지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애자 교체 시 사용될 수 있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고압 또는 특 고압(23㎸)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활선작업은 2가지 종류 즉, 직접 활선 공법과 간접 활선 공법으로 나누어져 있다.
직접 활선 공법의 경우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끼고 전압이 22.9kV나 되는 특고압 전선에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단점이 있으며, 그동안 작업 부주의로 인한 인명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왔다. 이러한 위험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핫스틱과 같은 절연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간접 활선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현수애자를 지지하는 쇄클을 교체하는 경우 이에 적용 가능한 별도의 작업 공법 또는 공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는 특고압접근한(약 90cm) 이내로 접근해야 하며, 이에 따라 간접활선공법의 의미가 퇴색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883호(2021.04.21 등록, 발명의 명칭: 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스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쇄클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고,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파지부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파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파지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파지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재와의 상대 거리가 가변되는 제2파지부재; 및 상기 제2파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제2파지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파지부재의 회전 경로에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파지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지강화부는 상기 파지부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비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파지부의 단부에 밀착된다.
상기 파지강화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와 상기 제2파지부재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되고,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파지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은: 쇄클핀으로부터 코타핀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쇄클핀을 소정 거리 밀어내는 단계; 상기 파지부로 쇄클을 파지하여 상기 쇄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쇄클핀을 상기 쇄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쇄클을 완철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밀어내는 단계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을 상기 쇄클의 상측에 접촉시키고, 타측을 상기 쇄클핀의 하측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조절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파지부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파지부의 타측이 상기 쇄클핀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쇄클핀을 상방으로 소정 거리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는 파지부가 쇄클에 규격에 알맞는 너비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간접 활선 작업에 의해 쇄클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는 조절부에 의해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파지부의 개폐 동작을 원격에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는 파지강화부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강화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은 쇄클핀을 완전히 분리하기 전 쇄클핀이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킴에 따라 쇄클핀의 헤드 부분이 그랩스틱 등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은 쇄클핀의 분리 과정에서 쇄클을 지지함에 따라 따라 현수애자로 인한 장력 또는 자중에 의해 쇄클이 지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의 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의 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1)는 본체부(100), 파지부(200), 조절부(300), 파지강화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1)의 개략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파지부(200), 조절부(3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간접 활선 작업 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된다. 본체부(10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며 후술하는 파지부(200)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과 같이 절연성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작업자가 전력설비로부터 충분한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파지부(200)는 본체부(1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상물을 파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지부(200)는 개방 동작 시 양단부가 벌어지며 내부에 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폐쇄 동작 시 양단부가 대상물에 접촉되어 대상물을 파지한다. 파지부(200)는 대상물을 견고하게 파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물은 쇄클(2)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200)는 제1파지부재(210), 제2파지부재(220), 동력전달부(230), 스토퍼부(240)를 포함한다.
제1파지부재(21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재(210)는 대략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본체부(100)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제1파지부재(210)는 쇄클(2)의 교체 작업 시 쇄클(2)의 일측 둘레에 내측면이 안착되어 파지부(200)의 자세를 유지하는 지지대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제1파지부재(210)는 후술하는 제2파지부재(220)가 올바른 위치에서 쇄클(2)의 타측 둘레에 접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파지부재(22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파지부재(22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제1파지부재(210)와의 상대 거리가 가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재(220)는 대략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본체부(100)의 전단부에 핀결합 또는 힌지 결합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파지부재(220)는 일측(도 2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부가 제1파지부재(210)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며 파지부(200)를 개방한다. 제2파지부재(220)는 일측으로 최대로 회전된 경우, 쇄클(2)이 제1파지부재(210)와 제2파지부재(220)의 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파지부재(210)와의 거리가 쇄클(2)의 너비보다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파지부재(220)는 타측(도 2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부가 제1파지부재(210)의 단부와 가까워지며 파지부(200)를 폐쇄한다. 제2파지부재(220)는 타측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된 경우, 내측면이 쇄클(2)의 타측 둘레에 접촉되어 쇄클(2)을 파지한다.
동력전달부(230)는 제2파지부재(220)로부터 연장되고, 조절부(300)와 연결된다. 동력전달부(230)는 조절부(30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제2파지부재(2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230)는 대략 막대 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30)는 일측이 제2파지부재(220)에 고정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조절부(300)에 구비되는 구동부(3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230)는 구동부(320)의 직선 운동을 제2파지부재(22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토퍼부(240)는 제2파지부재(220)의 회전 경로에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제2파지부재(2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40)는 본체부(100)의 전단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240)는 제2파지부재(220)가 일측, 즉 파지부(20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경우, 제2파지부재(22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240)는 제2파지부재(220)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제2파지부재(220)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해 파지부(200)가 인접 물체와 간섭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부(300)는 파지부(200)에 연결되고,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파지부(200)의 개폐 동작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조절부(300)는 작업자가 파지부(200)를 원격에서 조작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00)는 조작부(310),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조작부(310)는 본체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310)는 고정부(311), 회전부(312),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고정부(311)는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회전부(3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부(311)는 용접 등에 의해 본체부(10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볼팅 결합 등에 의해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311)는 작업 시 작업자의 회전부(312)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311)는 본체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12)는 일측이 고정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부(312)는 타측이 작업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손잡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작업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다. 회전부(312)는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고정부(311)를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연결부(313)는 회전부(312)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하는 구동부(320)에 연결된다. 연결부(313)는 회전부(312)의 회전에 연동되어 구동부(32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연결부(313)는 회전부(312)의 회전 운동을 구동부(320)의 직선 운동으로 원활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구동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12)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부(312)와 함께 회전되며 구동부(320)를 하방으로 당겨주고, 회전부(31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부(312)와 함께 회전되며 구동부(320)를 상방으로 밀어준다.
구동부(320)는 조작부(310)의 회전에 연동되어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구동부(320)는 조작부(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되며 파지부(2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20)는 대략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동력전달부(230)와 연결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부(320)는 회전부(312)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313)에 의해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제2파지부재(220)를 일측(도 2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파지부(200)를 개방한다. 구동부(320)는 회전부(31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313)에 의해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2파지부재(220)를 타측(도 2 기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파지부(200)를 폐쇄한다.
파지강화부(400)는 파지부(200)와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파지부(200)의 파지 성능을 강화한다. 파지강화부(400)는 파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파지강화부(400)는 손상 발생 시 파지부(200)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강화부(400)는 파지부(200)의 단부에 씌워지는 캡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지강화부(400)는 파지부(200)보다 마찰 계수가 높음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파지강화부(40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지부(200)의 단부에 씌워진 후 파지부(200)의 단부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파지강화부(400)는 마찰력에 의해 파지부(200)와 대상물의 상대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지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파지강화부(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파지부재(210)와 제2파지부재(220)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1)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철거 공법의 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쇄클핀(3)을 쇄클(2)에 구속시키는 코타핀(4)을 쇄클핀(3)으로부터 제거한다(S100). 이하에서는 S100 단계가 그랩스틱(6)과 같은 별도의 파지공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1)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자는 그랩스틱(6)에 의해 코타핀(4)의 일단부를 파지한다. 이후 코타핀(4)을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코타핀(4)을 쇄클핀(3)으로부터 뽑아낸다. 이에 따라 쇄클핀(3)은 쇄클(2)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S100 단계 이후, 작업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1)를 이용하여 쇄클핀(3)을 쇄클(2)로부터 소정 거리 밀어낸다(S200).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작업자는 조절부(300)에 외력을 가해 파지부(200)를 개방시킨다. 이후, 파지부(200)의 일측을 쇄클(2)의 상측면에 접촉시키고, 타측을 쇄클핀(3)의 하측면에 접촉시킨다(S210). 도 7에서는 제1파지부재(210)가 쇄클(2)의 상측면에 접촉되고, 제2파지부재(220)가 쇄클핀(3)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2파지부재(220)가 쇄클(2)의 상측면에 접촉되고, 제1파지부재(210)가 쇄클핀(3)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자는 조절부(300)에 외력을 가해 파지부(200)를 폐쇄한다(S220).
제2파지부재(220)는 타측(도 7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쇄클핀(3)의 하측면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파지부(200)의 타측 즉, 제2파지부재(220)는 쇄클핀(3)의 하단부를 가압하며 쇄클핀(3)을 상방으로 소정 거리 밀어낸다(S230).
S200 단계 이후, 작업자는 파지부(200)로 쇄클(2)을 파지하여 쇄클(2)을 지지한다(S300). 이에 따라 쇄클(2)은 쇄클핀(2)의 분리 과정에서 현수애자로 인한 장력 또는 자중에 의해 지상으로 추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가 S200 단계 이후에 수행됨에 따라 작업자는 하나의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1)만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300 단계 이후, 작업자는 쇄클핀(3)을 쇄클(2)로부터 제거한다(S400). S400 단계는 그랩스틱(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작업자는 그랩스틱(6)에 의해 쇄클핀(3)의 헤드 부분을 파지한다. 이 경우, S230 단계에 의해 쇄클핀(3)이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쇄클핀(3)은 헤드 부분이 쇄클(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그랩스틱(6)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쇄클핀(3)을 상방으로 잡아당겨 쇄클핀(3)을 쇄클(2) 및 완철(5)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쇄클(2)은 완철(5)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S400 단계 이후, 작업자는 본체부(100)를 이동시켜 쇄클(2)을 완철로부터 분리한다(S50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2 : 쇄클
3 : 쇄클핀 4 : 코타핀
5 : 완철 6 : 그랩스틱
100 : 본체부 200 : 파지부
210 : 제1파지부재 220 : 제2파지부재
230 : 동력전달부 240 : 스토퍼부
300 : 조절부 310 : 조작부
311 : 고정부 312 : 회전부
313 : 연결부 320 : 구동부
400 : 파지강화부
3 : 쇄클핀 4 : 코타핀
5 : 완철 6 : 그랩스틱
100 : 본체부 200 : 파지부
210 : 제1파지부재 220 : 제2파지부재
230 : 동력전달부 240 : 스토퍼부
300 : 조절부 310 : 조작부
311 : 고정부 312 : 회전부
313 : 연결부 320 : 구동부
400 : 파지강화부
Claims (9)
-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고,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파지부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파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파지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파지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재와의 상대 거리가 가변되는 제2파지부재;
상기 제2파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파지부재의 회전 경로에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파지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파지부재가 상기 제1파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파지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제2파지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강화부는 상기 파지부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비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파지부의 단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강화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와 상기 제2파지부재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되고,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파지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고,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파지부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파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파지강화부를 구비하는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에 있어서,
쇄클핀으로부터 코타핀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쇄클핀을 소정 거리 밀어내는 단계;
상기 파지부로 쇄클을 파지하여 상기 쇄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쇄클핀을 상기 쇄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쇄클을 완철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철거 공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내는 단계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을 상기 쇄클의 상측에 접촉시키고, 타측을 상기 쇄클핀의 하측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조절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파지부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파지부의 타측이 상기 쇄클핀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쇄클핀을 상방으로 소정 거리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 철거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1592A KR102579044B1 (ko) | 2021-06-23 | 2021-06-23 |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1592A KR102579044B1 (ko) | 2021-06-23 | 2021-06-23 |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70575A KR20220170575A (ko) | 2022-12-30 |
KR102579044B1 true KR102579044B1 (ko) | 2023-09-18 |
Family
ID=8453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1592A KR102579044B1 (ko) | 2021-06-23 | 2021-06-23 |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90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1634B1 (ko) * | 2021-08-02 | 2024-02-28 | 조덕승 | 인장수단이 구비된 핸드그랩스틱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4251A (ja) * | 1995-02-21 | 1996-09-03 | Tsunoda Kagaku Kk | 鉗 子 |
KR20160004445U (ko) * | 2016-05-12 | 2016-12-26 |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KR20160004465U (ko) * | 2016-05-30 | 2016-12-27 |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KR20200004034A (ko) * | 2018-07-03 | 2020-01-13 | 한국전력공사 |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장치 |
-
2021
- 2021-06-23 KR KR1020210081592A patent/KR10257904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70575A (ko) | 2022-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9044B1 (ko) |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 |
TWI734784B (zh) |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 |
KR102177388B1 (ko) |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 |
JP6317769B2 (ja) | 掴線器 | |
WO2011001502A1 (ja) | 掴線器 | |
KR102162545B1 (ko) |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 |
JP5850800B2 (ja) | 掴線器 | |
CN205734543U (zh) | 手持工具 | |
JP2017028925A (ja) | 電線切断装置 | |
KR102549108B1 (ko) |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 |
KR20160043805A (ko) | 전선 이동용 방호관 | |
JP5249700B2 (ja) | 遠隔操作用作業器具 | |
KR102571927B1 (ko) | 점퍼선 고정장치 | |
KR200458548Y1 (ko) | 활선용 전선 피박기 | |
KR102291567B1 (ko) | 간접 활선용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전선 설치공법, 쐐기형 인장클램프 설치, 철거공법 | |
JP5795249B2 (ja) | 間接活線用把持工具 | |
JP5770226B2 (ja) | 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 |
JP4340180B2 (ja) | 挿入補助具 | |
JP5461675B1 (ja) |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 |
KR102671171B1 (ko) | 간접활선용 멀티스틱 | |
JP2005057948A (ja) | 架線引き留め用カムアロング | |
KR102526895B1 (ko) | 케이블 지지장치 | |
JP3716358B2 (ja) | 電線中間支持具 | |
JP3009436U (ja) | ケーブル切断ばさみ | |
JP4370174B2 (ja) | Laコネクタ用着脱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