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22B1 -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322B1
KR101868322B1 KR1020170015104A KR20170015104A KR101868322B1 KR 101868322 B1 KR101868322 B1 KR 101868322B1 KR 1020170015104 A KR1020170015104 A KR 1020170015104A KR 20170015104 A KR20170015104 A KR 20170015104A KR 101868322 B1 KR101868322 B1 KR 10186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ver
cable
cable guide
guide groov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복
Original Assignee
김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복 filed Critical 김성복
Priority to KR102017001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전원 측 단자 및 부하 측에 삽탈식으로 끼워져 단자와 접촉으로 인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상간절연을 확보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안전 커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전 커버 몸체의 소정 부위에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 돌조를 두고 이 파지 돌조의 중간에는 유동이 가능한 손잡이를 설치하여 커버 분리의 필요시 공구나 손을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안전 커버의 분리 이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은 통과시키면서 케이블 안내요구 전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는 별도의 마개를 케이블 안내요구에 삽탈 가능한 상태로 두도록 하여 케이블 단자의 안정성 유지와 더불어 케이블 안내요구의 완벽한 차단기능을 통한 더욱 강화된 이물질의 침투 억제로 제품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the terminal cover of a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전원 측 단자 및 부하 측에 삽탈식으로 끼워져 단자와 접촉으로 인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상간절연을 확보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안전 커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커버 몸체의 소정 부위에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 돌조를 두고 이 파지 돌조의 중간에는 유동이 가능한 손잡이를 설치하여 안전 커버 분리의 필요시 공구나 손을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안전 커버의 분리 이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은 통과시키면서 케이블 안내요구 전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는 별도의 마개를 케이블 안내요구에 삽탈 가능한 상태로 두도록 하여 케이블 단자의 안정성 유지와 더불어 케이블 안내요구의 완벽한 차단기능을 통한 더욱 강화된 이물질의 침투 억제로 제품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주택이나 빌딩, 공장 등의 옥내 배선을 위한 분전반에 설치되어 부하 측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개폐장치로써, 부하선로에 과전류나 단락과 같은 이상현상이 발생하여 허용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선로 상의 전선 및 부하 측에 연결되는 전기 및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누전이나 과전류로 인한 화재 등의 전기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기는 순간적으로 정격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인가되거나 단락이 발생할 경우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키는 트립 장치가 구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전원이 서로 접하게 되는 접점에서는 아크(arc)가 발생하여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전류가 차단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고열 및 가스압력 등을 신속하게 억제, 소멸 및 배출시키는 소호 기능의 안전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한편, 차단기의 전원 측 단자와 부하 측 단자는 입력 및 출력전원과 회로를 결선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한 접촉 시 자칫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전기적으로 안전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단기의 전원 측 단자 및 부하 측 단자를 별도의 커버로 차폐 및 덮음으로써 단자와 접촉으로 인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상간절연을 확보하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단자와 부스 바를 연결할 때 나사의 조임 등에 의한 기계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일어나는 접속불량 등으로 인해 야기되는 플래시 오버((flash over) 현상으로부터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 및 주변 부하기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안전용 커버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657호에 보호덮개가 구비된 차단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차단기의 본체에 커버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여 그 힌지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차단기를 설치 또는 교체하거나 배선,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작업시에는 커버를 열어야만 하는 데다 각 단자에 부스 바를 연결한 후에는 원래대로 일일이 닫아야하므로 그만큼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수반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커버는 단순히 본체의 단자부를 덮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 데다 부스 바의 선단부가 피복을 제거한 상태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특성상 상간절연이 미흡하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및 플래시 오버현상이 쉽게 유발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도 도 11에서와 같이 전면부(2)에 직각으로 케이블 안내요구(4)를 가진 덮개부(3)를 구비하고 덮개부(3)의 저면으로 돌출 구성되는 지지편(6)의 하단에는 상기 차단기 몸체(A)의 결속요홈(A')에 슬라이드 상태로 끼워지는 결속돌기(5)를 일체로 구비하는 슬라이드 커버(1)가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비교적 구성이 단순한 효과는 있으나 케이블 안내요구(4)가 케이블을 충분히 안내할 수 있을 정도로 여유 있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슬라이드 커버(1)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케이블 안내요구(4)와 케이블 간에는 여유 공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의 유동 가능성이 있어 케이블 단자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 안내요구(4)와 케이블 간의 공간으로 먼지나 외부의 미세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다분하여 이물질 차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1)는 장착되는 과정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비교적 타이트한 상태로 결합되는 바, 이로 인해 한번 차단기(A)에 장착된 슬라이드 커버(1)는 장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차단기를 설치 또는 교체하거나 배선,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작업 시에는 커버를 열어야만 하는 데 맨손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의 분리 이탈이 매우 까다롭고 힘들어 취급에 불편함이 노출되었으며 대부분 드라이버 등의 단부가 납작한 도구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경우가 많아 슬라이드 커버(1)나 차단기의 훼손이나 파손이 잦아지는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커버 분리의 필요시 공구나 손을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커버의 분리 이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은 통과시키면서 케이블 안내요구 전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는 구조를 적용시켜 케이블 단자의 안정성 유지와 더불어 케이블 안내요구의 완벽한 차단기능을 통한 더욱 강화된 이물질의 침투 억제로 제품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를 제시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분리되는 안전 커버의 전면부 또는 덮개부에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 돌조를 두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 돌조의 중간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지지와 케이블 안내요구 전부를 가려줄 수 있는 별도의 마개를 케이블 안내요구에 삽탈 가능한 상태로 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 커버 분리의 필요시 벤치나 플라이어 등의 파지가 용이한 구조의 단부를 가진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를 위해 특정하게 구비시킨 부분인 파지 돌조를 물고 당겨줌으로써 안전 커버를 분리시키거나 또는 손잡이를 돌출시킨 뒤 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안전 커버를 분리하게 되는 것으로 손상과 훼손 없이 신속 간편하게 안전 커버의 분리 이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케이블 안내요구에 끼워지는 마개를 통해 케이블은 통과시키면서 케이블 안내요구 전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는 것이어서 케이블 단자의 설치 안정성 유지와 더불어 케이블 안내요구의 완벽한 차단기능을 통한 더욱 강화된 이물질의 침투 억제로 제품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로서 안전 커버와 마개를 분리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손잡이의 분리 상태도.
도 3은 안전 커버에 마개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 예시도.
도 5는 마개가 결합된 본 발명의 안전 커버를 공지의 차단기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마개가 결합된 본 발명의 안전 커버를 공지의 차단기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마개가 결합된 본 발명의 안전 커버를 공지의 차단기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8은 차단기와 안전 커버, 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9는 마개가 결합된 본 발명의 안전 커버를 공지의 차단기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 안전 커버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기존 구조의 안전 커버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로서 안전 커버와 마개를 분리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안전 커버에 마개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전면부(11)의 상단에 직각으로 덮개부(12)가 구비되며 덮개부(12)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케이블 안내요구(13)를 구비하고 덮개부(12)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4)의 하단에는 차단기 몸체(A)의 결속요홈(A')에 슬라이드 상태로 끼워지는 결속돌기(15)가 일체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안전 커버(10)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10)의 전면부(11)에 횡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구성되며 중간부에 이격 공간부(21)를 구비하는 파지 돌조(20)와;
상기 이격 공간부(21)로 노출되는 파지 돌조(20)의 끼움공(32)에 양 고정단부(31)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손잡이(30)와;
몸체부(41)의 전면과 양측부에 걸쳐 상기 케이블 안내요구(13)의 내연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삽지요홈(42)을 구비하며 절결부(43)를 통해 횡 방향 개방이 가능한 케이블 지지공(44)을 몸체부(41)에 종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하는 마개(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C)는 케이블을 보이는 것이고
(T)는 단자를 보이는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 안전 커버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것으로,
상기한 파지 돌조(20)와 이격 공간부(21) 및 측부 설치공(32), 손잡이(30)의 구조를 전면부(11)가 아닌 덮개부(12)상에 적용시킨 것으로,
차단기(A)의 설치 방향이나 위치 등의 조건에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 커버(10)의 분리가 최대한 용이하도록 파지 돌조(20)와 손잡이(30)의 적용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마개(40)의 재질은 특정의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고무나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 신축성과 밀착성이 우수한 소재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안전 커버(10)가 차단기(A)의 단자(T)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개(40)의 절결부(43)를 벌려 케이블 지지공(44)을 열어 준 상태에서 이에 케이블(C)을 끼워 넣어 마개(40)를 케이블(4)에 결합시킨다.
케이블(C)이 끼워지면 마개(40)는 소재의 자체 탄력으로 자연스럽게 오므려지게 되며 케이블 지지공(44)의 내면은 케이블(C)에 빈틈없이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단기(A)의 단자(T)에 고정될 케이블(4)의 단자편을 차단기(A)의 단자(T)에 고정시킨 뒤 안전커버(10)의 결속돌기(15)는 차단기(A)의 결속요홈(A')에 맞추고 마개(40)의 삽지요홈(42)은 케이블 안내요구(13)의 내주면에 맞춰지도록 한 상태에서 밀어 끼워 넣어주면 마개(40)는 도 4에서와 같이 케이블 안내요구(13)에 끼워져 결합되며 안전커버(10)는 도 6에서와 같이 차단기(A)에 결합되는 것이다.
안전커버(1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안전커버(10)의 전면부(11)와 덮개부(12) 및 이에 끼워진 마개(40)가 전방과 상방으로 개방되는 차단기(A)의 단자(T)를 완전히 커버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미세한 이물질조차 침투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차단기(A)의 단자(T)와 연결되는 케이블(C)의 단부는 케이블 지지공(44)에 홀딩 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유동 없이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기(A)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안전커버(10)는 단자의 정기적인 점검이나 부품의 교체, 수리 등의 필요 목적에 의해 차단기(A)에서 분리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존과 같은 탈거 방식 즉 덮개부(12)의 후방에서 드라이버 등의 단부가 납작한 도구를 이용하여 앞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전면부(11)와 차단기(A)의 사이를 비집고 틈새를 만든 후 집어넣고 앞으로 젖힘으로써 안전 커버(1)나 차단기(A)의 표면 훼손 및 파손을 유발시키면서 안전 커버(10)를 분리 이탈시키는 비합리적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손잡이(30)를 잡고 앞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안전 커버(10)를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며(도 9 참고),
만일 결합상태가 긴밀하여 안전커버(10)가 손잡이(30)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벤치나 플라이어 등의 파지가 용이한 구조의 단부를 가진 공구를 이용하여 전면부(11)에 일체로 돌출 구성된 파지 돌조(20)를 물고 당겨줌으로써 안전 커버(10)를 분리시키게 되는 것으로 탈거용도의 특정한 파지부위가 마련됨으로써 기존과 같이 안전커버(10)의 타 부위나 차단기(A)의 표면 훼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차단기(A)의 설치 방향이 변경되어 전면부(11)의 전방으로 손과 공구 등이 들어갈 작업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한 파지 돌조(20)와 이격 공간부(21) 및 측부 설치공(32), 손잡이(30)의 구조를 전면부(11)가 아닌 덮개부(12)상에 적용시켜 앞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손잡이(30)를 당기거나 파지 돌조(20)를 물어 당겨줌으로써 분리 이탈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A: 차단기
A': 결속 요홈
10: 안전 커버
11: 전면부
12: 덮개부
13: 케이블 안내요구
14: 지지편
15: 결속돌기
20: 파지돌조
21: 이격 공간부
30: 손잡이
31: 고정단부
32: 끼움공
40: 마개
41: 몸체부
42: 삽지요홈
43: 절결부
44: 케이블 지지공

Claims (2)

  1. 전면부(11)의 상단에 직각으로 덮개부(12)가 구비되며 덮개부(12)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케이블 안내요구(13)를 구비하고 덮개부(12)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4)의 하단에는 차단기 몸체(A)의 결속요홈(A')에 슬라이드 상태로 끼워지는 결속돌기(15)가 일체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안전 커버(10)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10)의 전면부(11)에 횡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구성되며 중간부에 이격 공간부(21)를 구비하는 파지 돌조(20)와;
    상기 이격 공간부(21)로 노출되는 파지 돌조(20)의 끼움공(32)에 양 고정단부(31)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손잡이(30)와;
    몸체부(41)의 전면과 양측부에 걸쳐 상기 케이블 안내요구(13)의 내연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삽지요홈(42)을 구비하며 절결부(43)를 통해 횡 방향 개방이 가능한 케이블 지지공(44)을 몸체부(41)에 종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하는 마개(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2. 삭제
KR1020170015104A 2017-01-31 2017-01-31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KR101868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04A KR101868322B1 (ko) 2017-01-31 2017-01-31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04A KR101868322B1 (ko) 2017-01-31 2017-01-31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322B1 true KR101868322B1 (ko) 2018-06-15

Family

ID=6262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04A KR101868322B1 (ko) 2017-01-31 2017-01-31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5289A (zh) * 2019-03-27 2020-10-09 三菱电机株式会社 端子罩及开闭装置单元
KR20220005789A (ko) * 2020-07-07 2022-01-14 전홍수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2753U (ko) * 1978-10-04 1980-04-08
JP2012079586A (ja) * 2010-10-04 2012-04-19 Nitto Kogyo Co Ltd 配線用遮断器の端子カバー
KR101242194B1 (ko) * 2013-01-31 2013-03-15 팔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2753U (ko) * 1978-10-04 1980-04-08
JP2012079586A (ja) * 2010-10-04 2012-04-19 Nitto Kogyo Co Ltd 配線用遮断器の端子カバー
KR101242194B1 (ko) * 2013-01-31 2013-03-15 팔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5289A (zh) * 2019-03-27 2020-10-09 三菱电机株式会社 端子罩及开闭装置单元
CN111755289B (zh) * 2019-03-27 2024-04-02 三菱电机株式会社 端子罩及开闭装置单元
KR20220005789A (ko) * 2020-07-07 2022-01-14 전홍수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KR102364104B1 (ko) * 2020-07-07 2022-02-18 전홍수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6356B2 (en) Lockout tagout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EP2498354B1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10186832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KR200482658Y1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KR100852365B1 (ko) 단자보호커버
KR100866318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JP2012094397A (ja) ヒューズ装置
US20070209818A1 (en) Nonmetallic electrical outlet box repair device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US10763067B1 (en) Panel wire install indicator of a residential circuit breaker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US11152163B2 (en) Switch blocking device
JP2008079404A (ja) 電線管挿入用工具及び電線管挿入工法
JP4832233B2 (ja) 電線管
JP6951686B2 (ja) 試験用端子台の端子カバー
KR102088887B1 (ko) 프로텍터
KR20210032097A (ko) 컷아웃스위치용 방호장치
EP2269204B1 (en) Modular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protection means for preventing electric arcs
KR101018472B1 (ko) 차단기용 안전 단자대
KR102318849B1 (ko)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KR200492963Y1 (ko) 계전판넬용 푸쉬핸들 오프너기구
KR200224237Y1 (ko)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KR100463604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셔터 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0280184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결합구조
KR200224236Y1 (ko)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