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49B1 -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 Google Patents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49B1
KR102318849B1 KR1020170029054A KR20170029054A KR102318849B1 KR 102318849 B1 KR102318849 B1 KR 102318849B1 KR 1020170029054 A KR1020170029054 A KR 1020170029054A KR 20170029054 A KR20170029054 A KR 20170029054A KR 102318849 B1 KR102318849 B1 KR 10231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astened
power
circuit breaker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427A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 (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 (주)
Priority to KR102017002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는 인입(인출) 단자부를 이중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차단기에 추가로 계기(전원)을 연결하고자 할 때 체결 스크류(screw)를 풀지 않고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의 체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크류를 풀고 다시 체결하는 과정에서 조임이 약해지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스크류 조임상태의 불량이 일어나지 않아 단자부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열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SPLIT CONNECTABL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공장 및 건물,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반 및 분전반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사고 시 전원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시, 또는 단락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를 지칭한다.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차단기의 단자부는 전원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전원을 공급받는 인입 단자부와 부하에 전원을 전달하는 인출 단자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의 인입 단자부 및 인출 단자부에는 각각 전원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인입 케이블(cable) 및 인출 케이블이 스크류(screw)를 통해 체결되어 있다.
이때, 판넬 제작 시 보통은 인입 케이블과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을 인입 단자부에 같이 놓고 스크류를 통해 인입 단자부에 체결한다. 그러나, 차단기 LINE측에 인입 케이블만 체결되어 있고,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이 체결되어 있지 않을 때,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을 추가로 체결하려면, 우선 스크류를 푼 다음 인입 케이블과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을 같이 놓고 스크류로 체결한다. 차단기 LOAD측의 인출 단자부도 인입 단자부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현장에서 차단기에 추가로 계기(전원)를 연결하고자 할 때는 인입(인출) 케이블의 체결 스크류를 풀고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을 같이 체결한다. 이때, 스크류를 풀고 다시 체결하는 과정에서 조임이 약해지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스크류 조임상태의 불량으로 접촉불량에 의한 열발생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건설되는 건물의 특성상 판넬간의 거리가 멀어 차단기간의 거리가 멀어져 전압강화가 일어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부스바(busbar))의 용량을 차단기 단자부 규격 용량보다는 크게 설계되어 차단기 인입(인출) 단자부에 체결이 어렵거나, 조임이 약하게 되어 단자부에 열이 발생하고 풀림이 발생하여 결상(단락)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전기설비기준에서는 케이블 굵기가 120SQ 이상은 케이블을 2가닥으로 분리하여 시설하게끔 규정이 되어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을 인입(인출) 단자부에 2가닥으로 체결하게 되면 체결 시에 조임이 약하게 되어 각종 전기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기에 추가로 계기(전원)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도 기존의 인입(인출) 케이블의 체결을 풀지않고도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을 체결할 수 있도록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는 개폐기구를 수납하는 주 케이스, 상기 주 케이스를 덮는 커버, 상기 주 케이스의 일단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upstream connection)를 구비하는 인입 단자부, 상기 주 케이스의 다른 일단에 위치하여 부하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며,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downstream connection)를 구비하는 인출 단자부 및 상기 개폐기구를 인위적으로 온 또는 오프위치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입 단자부는, 상기 주 케이스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인입 케이블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입 단자부는, 추가적인 계기(전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이 체결되며, 상기 인입 케이블의 끝단이 제 1 인입 케이블과 제 2 인입 케이블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1 인입 케이블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2 인입 케이블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 단자부는, 상기 주 케이스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인출 케이블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 단자부는, 추가적인 계기(전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이 체결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의 끝단이 제 1 인출 케이블과 제 2 인출 케이블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1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2 인출 케이블이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는 차단기에 추가로 계기(전원)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도 기존의 인입(인출) 케이블의 체결을 풀지않아, 스크류를 풀고 다시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임이 약해지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스크류 조임상태의 불량이 일어나지 않아 단자부에 열이 발생하거나, 조임이 풀려 결상(단락) 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 단자부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출 단자부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의 다른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 단자부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출 단자부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의 다른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6은 차단기에 추가로 계기(전원)을 연결하는 경우의 인입(인출) 케이블과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100)는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를 수납하는 주 케이스(102)와, 주 케이스(102)를 덮는 커버(104) 및 개폐기구를 인위적으로 온 또는 오프위치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10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04)에는 부속장치가 장착될 때 제거되는 보조커버(106)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커버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조커버(106)에는 차단기(100)의 온, 오프 또는 트립의 동작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들(101)은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기(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커버(106)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커버(106)의 중앙에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개폐기구를 동작시키는 핸들(101)이 이 개구부를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차단기(100), 더욱 구체적으로 개폐기구를 온 또는 오프위치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핸들(101)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 접촉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 접촉자도 포함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는 트립 기구부에 의해서 트립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서, 트립 기구부의 작동 방식은 종래부터 알려진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의미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폐기구는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위치, 또는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 위치로 변위시키는 메카니즘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동접촉자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와 핸들(101)사이에 구동접속되는 상부 및 하부링크와, 일단부가 상, 하부링크의 중간 연결축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핸들(101)의 저부에 지지되고 핸들(101)의 온 위치에서 탄성에너지를 축세하고 핸들(101)의 트립 또는 오프위치에서 축세된 탄성 에너지를 방세하는 트립스프링과, 이 트립스프링을 온 위치에서 축세상태 유지하기 위한 래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차단기(100)는 공장 및 건물,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반 및 분전반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사고 시 전원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전기기기로, 전원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차단기(100)의 단자부는 전원을 공급받는 LINE측의 인입 단자부(130)와 부하에 전원을 전달하는 LOAD측의 인출 단자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배전반은 전력선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아 여러 개의 분전반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분전반은 배전반으로부터 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 받아 말단 부하, 다시 말해서 전기사용설비 등으로 전력을 공급해주기 위한 장치이다.
배전반으로부터 말단 부하까지의 순서를 간단히 보자면 배전반 → 간선 → 분전반 → 분기회로 → 말단 부하와 같다.
간선은 부하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전력선이고, 분기회로는 부하와 직접 연결된 전력선이다.
차단기(100)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는 보통 회로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회로를 개폐할 수 있고, 단락 고장 등의 이상 상태에서는 회로를 자동 차단하도록 설계된 장치를 말한다. 차단이 실시되는 부분의 매체에 의해 오일, 공기, 진공 등의 종류가 있다. 또한, 고압, 저압, 고속도 등 특성에 따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100)는 인입(인출) 단자부(130, 120)를 위, 아래 이중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입 단자부(130)는 스크류(109)를 통해 인입 케이블(135a)이 체결되는 업스트림 연결부(upstream connection)(131)와, 주 케이스(102)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134) 및 업스트림 연결부(131)와 체결부(13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업스트림 연결부(131)는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131b, 131a)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131b, 131a)의 끝단에는 각각 스크류(109)가 체결되기 위한 소정의 홀(13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131b)와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131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공간 내에 인입 케이블(135a)이 위치하여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131a)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계기(전원) 연결케이블(135b)이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131b) 위에 위치하여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131b)에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 단자부(120)는 스크류(109)를 통해 인출 케이블(125a)이 체결되는 다운스트림 연결부(downstream connection)(121)와, 주 케이스(102)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124) 및 다운스트림 연결부(121)와 체결부(1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운스트림 연결부(121)는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b, 121a)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b, 121a)의 끝단에는 각각 스크류(109)가 체결되기 위한 소정의 홀(12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b)와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공간 내에 인출 케이블(125a)이 위치하여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a)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계기(전원) 연결케이블(125b)이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b) 위에 위치하여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121b)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단기(100)에 추가로 계기(전원)을 연결하고자 할 때 인입(인출) 케이블(135a, 125a)의 체결 스크류(109)를 풀지 않고, 계기(전원) 연결케이블(135b, 125b)을 추가된 단자부, 즉 상부 업/다운스트림 연결부(131b, 121b)에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단기(100)에 추가로 계기(전원)을 연결하고자 할 때, 기 연결되어 있는 인입(인출) 케이블(135a, 125a)의 체결을 해체하지 않고 추가로 계기(전원) 연결케이블(135b, 125b)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109)를 풀고 다시 체결하는 과정에서 조임이 약해지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스크류(109) 조임상태의 불량이 일어나지 않아 인입(인출) 단자부(130, 120)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열발생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에 있어, 인입(인출) 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는 인입(인출) 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200)는 개폐기구를 수납하는 주 케이스(202)와, 주 케이스(202)를 덮는 커버(204) 및 개폐기구를 인위적으로 온 또는 오프위치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20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204)에는 부속장치가 장착될 때 제거되는 보조커버(206)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커버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조커버(206)에는 차단기(200)의 온, 오프 또는 트립의 동작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들(201)은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기(2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커버(206)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2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인입(인출) 단자부(230, 220)를 위, 아래 이중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입 단자부(230)는 스크류(209)를 통해 인입 케이블(235)이 체결되는 업스트림 연결부와, 주 케이스(202)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업스트림 연결부와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인입 단자부(230)에 체결되는 인입 케이블(235)의 끝단이 제 1 인입 케이블(235a)과 제 2 인입 케이블(235b)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업스트림 연결부는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의 끝단에는 각각 스크류(209)가 체결되기 위한 소정의 홀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와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공간 내에 제 1 인입 케이블(235a)이 위치하여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인입 케이블(235b)이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 위에 위치하여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 단자부(220)는 스크류(209)를 통해 인출 케이블(225)이 체결되는 다운스트림 연결부와, 주 케이스(202)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다운스트림 연결부와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인출 단자부(220)에 체결되는 인출 케이블(225)의 끝단이 제 1 인출 케이블(225a)과 제 2 인출 케이블(225b)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운스트림 연결부는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의 끝단에는 각각 스크류(209)가 체결되기 위한 소정의 홀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와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공간 내에 제 1 인출 케이블(225a)이 위치하여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인출 케이블(225b)이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 위에 위치하여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인입(인출) 케이블(235, 225)의 끝단이 제 1 인입(인출) 케이블(235a, 225a)과 제 2 인입(인출) 케이블(235b, 225b)의 2가닥으로 분리된 경우에, 2개의 제 1 인입(인출) 케이블(235a, 225a)과 제 2 인입(인출) 케이블(235b, 225b)을 상, 하부 업/다운스트림 연결부에 각각 개별로 분리하여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가닥으로 분리된 제 1 인입(인출) 케이블(235a, 225a)과 제 2 인입(인출) 케이블(235b, 225b)을 인입(인출) 단자부(230, 220)에 체결하고자 할 때, 위, 아래의 상, 하부 업/다운스트림 연결부에 개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림으로 인한 열발생 및 결상(단락) 사고를 방지하여 전기안전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200 : 차단기 101,201 : 핸들
102,202 : 주 케이스 104,204 : 커버
106,206 : 보조커버 120,220 : 인출 단자부
121 : 다운스트림 연결부 122,132 :홀
123,133 : 연결부 124,134 : 체결부
125a,225 : 인출 케이블 125b,135b : 계기(전원) 연결케이블
130,230 : 인입 단자부 131 : 업스트림 연결부
135a,235 : 인입 케이블

Claims (5)

  1. 개폐기구를 수납하는 주 케이스;
    상기 주 케이스를 덮는 커버;
    상기 주 케이스의 일단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upstream connection)를 구비하는 인입 단자부;
    상기 주 케이스의 다른 일단에 위치하여 부하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며,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downstream connection)를 구비하는 인출 단자부; 및
    상기 개폐기구를 인위적으로 온 또는 오프위치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 단자부는,
    상기 주 케이스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인입 케이블이 체결되고,
    상기 인입 단자부는,
    추가적인 계기(전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이 체결되며,
    상기 인입 케이블의 끝단이 제 1 인입 케이블과 제 2 인입 케이블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1 인입 케이블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업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2 인입 케이블이 체결되는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자부는,
    상기 주 케이스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는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자부는,
    추가적인 계기(전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이 체결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의 끝단이 제 1 인출 케이블과 제 2 인출 케이블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1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2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는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4. 개폐기구를 수납하는 주 케이스;
    상기 주 케이스를 덮는 커버;
    상기 주 케이스의 일단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 하부 업스트림 연결부(upstream connection)를 구비하는 인입 단자부;
    상기 주 케이스의 다른 일단에 위치하여 부하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며,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downstream connection)를 구비하는 인출 단자부; 및
    상기 개폐기구를 인위적으로 온 또는 오프위치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 단자부는,
    상기 주 케이스의 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상,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고,
    상기 인출 단자부는,
    추가적인 계기(전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계기(전원) 연결케이블이 체결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의 끝단이 제 1 인출 케이블과 제 2 인출 케이블의 2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1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다운스트림 연결부에 상기 제 2 인출 케이블이 체결되는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5. 삭제
KR1020170029054A 2017-03-07 2017-03-07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KR10231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054A KR102318849B1 (ko) 2017-03-07 2017-03-07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054A KR102318849B1 (ko) 2017-03-07 2017-03-07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27A KR20180102427A (ko) 2018-09-17
KR102318849B1 true KR102318849B1 (ko) 2021-10-28

Family

ID=6372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054A KR102318849B1 (ko) 2017-03-07 2017-03-07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843A (ja) 2007-08-20 2009-03-05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US20100134221A1 (en) * 2008-12-03 2010-06-03 Square D Company Add-on trip module for multi-pole circuit breaker
JP2016207617A (ja) 2015-04-28 2016-1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端子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843A (ja) 2007-08-20 2009-03-05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US20100134221A1 (en) * 2008-12-03 2010-06-03 Square D Company Add-on trip module for multi-pole circuit breaker
JP2016207617A (ja) 2015-04-28 2016-1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端子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27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3821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terminal guard assembly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CN106300104B (zh) 应急电源车与低压架空导线的通用型连接装置及其应用
KR102318849B1 (ko) 분할 결선이 가능한 차단기
KR200449081Y1 (ko) 전력량계의 개방형 단자대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KR102212143B1 (ko) 도전 방지 구조를 가진 전력량계 일체형 분전반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200235038Y1 (ko) 전력선용 접지기구
US8322494B2 (en) Temporary main switch arrangement for connecting power supplies of a power tool and an elevator
KR200379736Y1 (ko)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9990021000U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체결구조
CN219892797U (zh) 一种开关柜
KR20190114140A (ko)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KR20220167553A (ko) 슬리브 커버장치
KR100463604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셔터 플레이트 결합구조
AU2018100282A4 (en) A circuit arrangement and a switchboard with the circuit arrangement
KR20190046005A (ko) 컷아웃 스위치와 연결애자의 체결구조
JPH10108312A (ja) 住宅用分電盤
KR20040101095A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KR200322691Y1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KR20230105462A (ko) 보호배전반 트립 회로 겸용 감시 장치
KR100960025B1 (ko) 접지가 형성된 기중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