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104B1 -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104B1
KR102364104B1 KR1020200083378A KR20200083378A KR102364104B1 KR 102364104 B1 KR102364104 B1 KR 102364104B1 KR 1020200083378 A KR1020200083378 A KR 1020200083378A KR 20200083378 A KR20200083378 A KR 20200083378A KR 102364104 B1 KR102364104 B1 KR 10236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de terminal
terminal
ground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789A (ko
Inventor
전홍수
Original Assignee
전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홍수 filed Critical 전홍수
Priority to KR102020008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1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중앙부에 전원스위치가 구비되고 상,하에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가 구비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는 플러그 단자부가 삽입되는 콘센트홈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홈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부와 접하는 접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와 통전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는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와 상기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단자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접지부는 볼트공이 형성된 원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접지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판은 'C'형태로 한 쌍이 돌출되고, 상기 접지판에는 상기 콘센트홈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는 상부면에 볼트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돌출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부와 접하는 접지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지부는 고정볼트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홈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접지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트삽입홈은 중앙부에 원형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끼움부로 이루어지고, 접지판에는 상기 콘센트홈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는 콘센트홈을 개폐하는 먼지유입 차단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단전이나 누전차단기의 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 없이 간편하게 단전, 누전차단기의 고장을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꽂아 즉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소한 설치 공간에도 설치하여 전기기구의 전기를 인가하는 콘센트 역할을 하여 각 전기기구의 누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Earth leakage breaker with power terminal}
본 발명은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 및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누전차단기의 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가 구비된 콘센트홈에 플러그를 꽂아 단전 및 누전차단기의 고장을 간편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플러그를 통해 전기기구의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전류 등 누전 차단기의 출력단자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콘센트가 연결되어 콘센트에 각종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할 경우 과전류가 발생되면 차단기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과전류로부터 콘센트를 비롯하여 사용중인 전기기기의 훼손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 차단기가 결합된 콘센트는 분전반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8834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콘센트의 몸체 내부에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여 콘센트구멍에 플러그 핀을 꽂은 채 뽑지 않고도 안전 스위치를 열어 두면 플러그핀과 콘센트 단자가 접속되어 있어도 전원이 차단되어서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997호의 "차단기가 결합된 매립형 콘센트"는 복수개의 콘센트와 차단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콘센트의 전원 측에 과전류차단기가 구비되어 콘센트에 접속된 전기기기의 플러그 핀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차단기에 의해 콘센트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콘센트의 소손방지 및 전기기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단기가 구비된 콘센트는 분전판에 장착된 차단기의 좌우 양측에 통상의 콘센트를 배치하고 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콘센트의 입력단자에 도선을 각각 연결하여 조립하였으나, 콘센트의 장착과 콘센트 및 차단기 간에 도선을 연결하여 조립하는 수순이 복잡하여 능률적으로 조립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의 전극 접속구는 절곡부가 형성된 납작한 2개의 전극판을 요홈에 설치하여 절곡부로 된 접속구에 플러그 핀을 접속하게 되어 있으나 플러그 핀과 콘센트 접속구의 상호 협지력이 강하지 못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에 각각 전기 플러그를 꽂아 전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단전 및 누전차단기의 고장을 간편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플러그를 통해 전기기구의 전기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중앙부에 전원스위치가 구비되고 상,하에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가 구비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는 플러그 단자부가 삽입되는 콘센트홈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홈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부와 접하는 접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와 통전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는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와 상기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단자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접지부는 볼트공이 형성된 원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접지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판은 'C'형태로 한 쌍이 돌출되고, 상기 접지판에는 상기 콘센트홈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는 상부면에 볼트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돌출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부와 접하는 접지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지부는 고정볼트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홈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접지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트삽입홈은 중앙부에 원형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끼움부로 이루어지고, 접지판에는 상기 콘센트홈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는 콘센트홈을 개폐하는 먼지유입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먼지유입 차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홈과 대응되는 결착공이 관통된 'ㄷ'형태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본체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콘센트홈에 삽입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착공의 둘레와 본체에 밀착 고정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차단막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전이나 누전차단기의 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 없이 간편하게 단전, 누전차단기의 고장을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꽂아 즉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소한 설치 공간에도 설치하여 전기기구의 전기를 인가하는 콘센트 역할을 하여 각 전기기구의 누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의 다른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의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이하 '누전차단기'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누전차단기(1)는 전원스위치(11)가 구비되고, 대략 사각케이스의 본체(10)의 내부에 메인기판 및 누전을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및 트립코일이 구비된 공지의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통상 상부에 부스바와 연결되는 전원측단자(20)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에 전원을 분재하는 부하측단자(30) 역시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본원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중앙부에 전원스위치(11)가 구비되고 상,하에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가 구비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단자(20)와 부하측단자(30)는 플러그 단자부(40)가 삽입되는 콘센트홈(12)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홈(12)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부(40)와 접하는 접지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50)는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통전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벽면에 볼트 등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전방 상,하측은 일반적인 콘센트 삽입구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에 플러그를 삽입 할 수 있도록 접지부(50)가 맞닿은 상태로 고정볼트(5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5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상기 접지부(50)를 연결하는 연결단자(60)가 고정볼트(51)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접지부(50)는 볼트공(52a)이 형성된 원형의 바닥판(52)과 상기 바닥판(52)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접지판(53)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판(53)은 'C'형태로 한 쌍이 돌출되고, 상기 접지판(53)에는 상기 콘센트홈(12)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5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단자(60)는 전체적으로 'ㄷ'형태의 금속 판재로 형성되고, 일단이 U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51)의 머리 하측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에 삽입되어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51)의 단부와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51)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단자(60)가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전선(3)을 가압, 고정하여, 전기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51)의 머리부와 이격된 몸체에는 상기 연결단자(60)의 일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원판형의 고정판(51a)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60)의 일단이 상기 고정볼트(51)의 머리부와 상기 고정판(51a)에 삽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는 양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고정볼트(51)가 관통되는 볼트홀(2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50)의 볼트공(52a)를 관통한 고정볼트(51)에 의해 접지부(50)와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가 통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50)는 플러그 단자부(40)와 접하도록 바닥판(52)에서 돌출되는 상기 접지판(53)이 'C'형태로 한쌍이 마주보게 돌출되어 플러그 단자부(4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즉, 상기 접지판(53)은 일부가 절개된 원통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접지판(53)는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금속판재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판(53)은 길이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탄성부(53a)가 형성되되 외측으로 '〈'형태로 절곡되어 절곡단이 상기 콘센트홈(12)의 내벽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가 접지부(50)에 삽입시 상기 외측으로 탄성밀착되어 접지부(5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접지부(50)는 도 5와 같이 상부면에 볼트홈(54)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55)가 돌출되는 바닥판(52)과 이 바닥판(52)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부(40)와 접하는 접지판(53)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예의 고정볼트(51)가 접지부(50)의 하부면에서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전원측단자(20)와 부하측단자(30)에 상기 결합부(55)가 고정볼트(51)와 같이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접지부의 접지판(53)은 제1실시예의 접지판(53)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50)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이 상기 접지부(50)는 고정볼트(51)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홈(56)이 형성되는 바닥판(52)과 상기 바닥판(52)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접지판(53)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트삽입홈(56)은 중앙부에 원형의 삽입홈(56a)과 상기 삽입홈(56a)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끼움부(56b)로 이루어지고, 접지판(53)에는 상기 콘센트홈(12)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53a)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50)의 바닥판(52)은 상기 연결단자(60)의 일단과 같이 고정볼트(51)의 머리 하측에 끼움결합된다.
즉, 고정볼트(51)의 몸체를 상기 삽입홈(56a)까지 상기 끼움부(56b)를 따라 접지부(50)를 고정볼트(51)의 측방향에서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판(53)은 원통형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끼움부(56b)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다.
따라서, 누전차단기(1)의 전원스위치(11)가 OFF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측단자(20)에 전원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원이 차단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원스위치(11)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부하측단자(30)에 플러그를 삽입하여 누전차단기(1)의 고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누전차단기(1)와 별도로 전원단자를 구비한 분전함에 비해 협소한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각 전기기구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전기기구마다 누전을 감지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는 콘센트홈(12)을 개폐하는 먼지유입 차단부(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먼지유입 차단부(7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홈(12)과 대응되는 결착공(71a)이 관통된 'ㄷ'형태의 브라켓(71)과; 상기 브라켓(71)과 본체(10)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콘센트홈(12)에 삽입되며, 관통구(72a)가 형성된 개폐부(72)와 상기 개폐부(72)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착공(71a)의 둘레와 본체(10)에 밀착 고정되는 날개부(73)로 이루어진 차단막(7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하부 측면에는 끼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71)의 양측면에는 상기 끼움홈(13)과 대응되는 끼움돌기(71b)가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홈(12)과 대응되는 관통구(72a)에 차단막(74)이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74)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자체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74)은 원형의 개폐부(72)에 십자형태의 관통구(72a)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73)에서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홈(12)으로 삽입되어 콘센트(2) 연결 시 관통구(72a)가 내측으로 벌어지고 해제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내부에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먼지유입 차단부(70)는 도 8과 같이 양단에 상기 콘센트홈(12)에 끼워지는 끼움구(75)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75)를 상호 연결하여 손잡이 역할을 하는 연결구(76)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콘센트(2)를 연결시 제거하고 콘센트(2)를 연결하지 않을시 결합하여 먼지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끼움구(75)는 원통형으로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76)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누전차단기 10: 본체
11: 전원스위치 12: 콘센트홈
13: 끼움홈 20: 전원측단자
30: 부하측단자 40: 플러그 단자부
50: 접지부 51: 고정볼트
52: 바닥판 53: 접지판
54: 볼트삽입홈 60: 연결단자
70: 먼지유입 차단부 71: 브라켓
72: 개폐부 73: 날개부
74: 차단막 75: 끼움구
76: 연결구

Claims (6)

  1. 본체(10)의 중앙부에 전원스위치(11)가 구비되고 상,하에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가 구비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단자(20)와 부하측단자(30)는 플러그 단자부(40)가 삽입되는 콘센트홈(12)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홈(12)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부(40)와 접하는 접지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50)는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상기 접지부(50)를 연결하는 연결단자(60)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50)는 상부면에 볼트홈(54)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55)가 돌출되는 바닥판(52)과 이 바닥판(52)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부(40)와 접하는 접지판(5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2. 본체(10)의 중앙부에 전원스위치(11)가 구비되고 상,하에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가 구비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단자(20)와 부하측단자(30)는 플러그 단자부(40)가 삽입되는 콘센트홈(12)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홈(12)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부(40)와 접하는 접지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50)는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단자(20) 및 부하측단자(30)와 상기 접지부(50)를 연결하는 연결단자(60)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50)는 고정볼트(51)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홈(56)이 형성되는 바닥판(52)과 상기 바닥판(52)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접지판(53)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트삽입홈(56)은 중앙부에 원형의 삽입홈(56a)과 상기 삽입홈(56a)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끼움부(56b)로 이루어지고, 접지판(53)에는 상기 콘센트홈(12)의 내벽과 밀착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된 탄성부(5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는 콘센트홈(12)을 개폐하는 먼지유입 차단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유입 차단부(70)는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홈(12)과 대응되는 결착공(71a)이 관통된 'ㄷ'형태의 브라켓(71)과;
    상기 브라켓(71)과 본체(10)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콘센트홈(12)에 삽입되며, 관통구(72a)가 형성된 개폐부(72)와 상기 개폐부(72)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착공(71a)의 둘레와 본체(10)에 밀착 고정되는 날개부(73)로 이루어진 차단막(7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3378A 2020-07-07 2020-07-07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KR10236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78A KR102364104B1 (ko) 2020-07-07 2020-07-07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78A KR102364104B1 (ko) 2020-07-07 2020-07-07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89A KR20220005789A (ko) 2022-01-14
KR102364104B1 true KR102364104B1 (ko) 2022-02-18

Family

ID=7934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378A KR102364104B1 (ko) 2020-07-07 2020-07-07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3152A (ja) * 2006-10-18 2008-05-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ソケット端子
JP2018006134A (ja) * 2016-06-30 2018-01-11 テンパール工業株式会社 遮断範囲可変形のプラグ形漏電遮断器
KR101868322B1 (ko) * 2017-01-31 2018-06-15 김성복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979U (ko) * 2010-04-15 2011-10-21 박정식 콘센트를 구비하는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3152A (ja) * 2006-10-18 2008-05-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ソケット端子
JP2018006134A (ja) * 2016-06-30 2018-01-11 テンパール工業株式会社 遮断範囲可変形のプラグ形漏電遮断器
KR101868322B1 (ko) * 2017-01-31 2018-06-15 김성복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89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7170375B2 (en) Permanent-magne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plug and its permanent-magnet mechanism therein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US6767245B2 (en) Modular GFCI receptacle
US7355827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KR20040060828A (ko) 차단 수단을 지니는 누전 방지용 회로 차단기용의 리셉터클
JPH11507200A (ja) スナップ式回路遮断器の取付け装置
CA2714540A1 (en) Safety electrical receptacle
KR101055354B1 (ko) 멀티 콘센트
KR102364104B1 (ko)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TWM531682U (zh) 過熱破壞式插座構造
KR101501990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200406279Y1 (ko)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KR200252581Y1 (ko)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KR960007501Y1 (ko) 어댑터의 접지구조
KR102523127B1 (ko) 전원플러그의 단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KR200218871Y1 (ko) 누전차단기
US20230124082A1 (en) Sliding Block - Micro-Switch Assembly for Circuit Interrupters
CN210074319U (zh) 插座
CN211530258U (zh) 一种插头桥接件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200251247Y1 (ko) 전기퓨즈박스 장치
KR200326549Y1 (ko) 휴즈 커넥터
KR200275386Y1 (ko) 과부하 차단기능을 갖는 매립형 콘센트
JP2008017674A (ja) テスト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