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279Y1 -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 Google Patents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279Y1
KR200406279Y1 KR2020050030698U KR20050030698U KR200406279Y1 KR 200406279 Y1 KR200406279 Y1 KR 200406279Y1 KR 2020050030698 U KR2020050030698 U KR 2020050030698U KR 20050030698 U KR20050030698 U KR 20050030698U KR 200406279 Y1 KR200406279 Y1 KR 200406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outlet
leakage
plug
earth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남
Original Assignee
이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남 filed Critical 이기남
Priority to KR2020050030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콘센트가 설치되고, 배면에 플러그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누전을 체크하는 누전회로가 몸체 내측에 설치되고, 전원복귀, 누전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몸체 전면에 설치되는 누전체크부와; 몸체 내측에 과부하회로가 설치되고, 전원복귀, 과부하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콘센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과부하체크부와; 몸체 전면에 형성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누전차단기 또는 과부하차단기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곳에 단순히 콘세트에 플러그를 꼽는 것만으로 누전과 과부하를 체크하므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콘센트구 각각에 누전 및 과부하를 각각 체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전기기구에서 발생하는 누전 또는 과부하에 대해 해당 콘센트구의 전원만 차단하므로 다른 콘센트구에 연결된 전기기구는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전, 복귀, 꽂임형, 콘센트,

Description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Wall outlet preventing electric leakge and overloa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플러그
12: 콘센트구 13: 커버
20: 누전체크부 21:누전복귀스위치
21a: 누름버튼 21b: 푸시돌기
21c: 스프링 21d: 작동편
22: 누전체크스위치 23: 누전작동부
23a: 연결편 23b:누름편
30: 과부하체크부 31: 과부하복귀스위치
31a: 누름버튼 31b: 푸시돌기
31c: 스프링 31d: 작동편
32: 과부하체크스위치 32a: 과부하작동부
32b: 연결편 33b: 누름편
본 고안은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누전차단과 과부하차단을 행할 수 있도록 회로를 적용시켜 누전 또는 과부하에 의해 감전 및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전면에 커버를 설치하여 어린이 등이 금속물을 삽입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누전차단기 또는 과부하차단기가 설치되지 않은 곳의 콘센트에 설치하여 누전, 과부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시켜 전기를 공급하여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정격전압은 110V, 220V 정격전류는 10~50A, 보통 10A의 1~3 구멍 형을 비롯하여 세탁기의 감전방지를 위한 접지 단자 붙이, 옥외나 목욕탕 등의 방수형, 냉장 고 등에 사용되는 플러그가 빠지지 않게 하는 걸침형, 환풍기 등의 스위치붙이, 정격전류가 큰 20~50A 용 등 종류가 많다.
벽이나 바닥에 설치하며, 노출형과 매설형이 있고, 사용기구, 방의 넓이, 설치장소 등 그 용도에 따라서 설치한다.
그러나 통상의 콘센트에 다수의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정격용량을 넘어서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이러한 경우 과부하에 의해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센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전기기구 등에 의해 전류가 누설되는 경우가 있고, 누전이 생기게 됨에 따라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감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콘센트에 과부하를 차단할 수 있는 회로를 적용하여 생산되고 있으나, 이러한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의 경우 내부 회로가 매우 복잡하여 콘센트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기존의 매립형 콘센트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부하 기능을 갖는 콘센트의 경우 누전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그에 따른 대처를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생산되고 있는 콘센트의 경우 대부분이 매립형으로만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장소를 이동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278988호(이하 '종래고안'이라 칭함)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콘센트구를 가지며, 일측에 차단부와 측정부가 설치되어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을 시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종래고안의 경우 측정부를 통해 누전 및 과부하를 측정하고, 차단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다수의 콘세트구로 인가되는 메인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 또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고안의 경우 어느 콘센트구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멀티콘센트에 연결된 모든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언급하면, 멀티 콘센트에 다수의 전기기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전기기구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므로 계속하여 누전, 과부하에 의해 메인 전원이 차단되고,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므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항상 감전사고 및 전기화재에 노출되어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전기기구가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누전, 과부하에 의한 감전사고 및 전기화재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멀티 콘센트와 같이 다수의 콘센트구 하나하나에 과부하가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감지하고, 과부하가 발생하였을 시에 가장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기기구의 콘센트구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다른 전기기구는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콘센트구가 형성된 콘센트에 누전 및 과부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누전 및 과부하가 발생한 전기기구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면에 커버를 설치하여 어린이 등이 금속물을 삽입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순간적으로 물 등이 떨어졌을 시에 콘센트구의 구멍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콘센트가 설치되고, 배면에 플러그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누전을 체크하는 누전회로가 몸체 내측에 설치되고, 전원복귀, 누전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몸체 전면에 설치되는 누전체크부와; 몸체 내측에 과부하회로가 설치되고, 전원복귀, 과부하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콘센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과부하체크부와; 몸체 전면에 형성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에 콘센트(12)와 커버(13)가 설치되고, 배면에 플러그(11)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가 구성된다.
누전을 체크하는 누전회로가 몸체(10) 내측에 설치되며, 복귀, 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누전체크부(20)가 몸체(10) 전면에 설치된다.
몸체(10) 내측에 과부하회로가 설치되고, 복귀, 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콘센트구(12)에 인접되어 과부하체크부(30)가 설치된다.
누전체크부(20)는 몸체(10)의 콘센트구(1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누전복귀스위치(21)와, 누전복귀스위치(21)가 설치된 콘센트구(12)의 다른 부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누전체크스위치(22)와, 누전복귀스위치(21)가 눌려지면 초기상태로 세팅되도록 몸체(10) 내측에 설치되는 누전작동부(23)로 형성된다.
누전복귀스위치(21)는 제1누름버튼(21a)과, 제1누름버튼(21a)의 하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푸시돌기(21b)와, 제1누름버튼(21a)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도록 제1푸시돌기(21a)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1c)과, 제1푸시돌기(21a)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작동편(21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과부하체크부(30)는 몸체(10) 전면에 설치되는 과부하복귀스위치(31)와, 과부하복귀스위치(31)에 인접하여 몸체(10)에 설치되는 과부하체크스위치(32)와, 과부하복귀스위치(31)의 하방향의 몸체(10) 내측에 설치되는 과부하작동부(33)로 구성된다.
과부하작동부(33)는 일측에 접점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몸체(10)에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된 과부하연결편(33a)과, 과부하복귀스위치(31)의 과부하작동편(31d)의 하방향으로 과부하연결편의 접점과 맞닿아지도록 위치되어, 일측이 몸체(10)에 고정되는 과부하누름편(33b)으로 형성된다.
과부하복귀스위치(31)는 제2누름버튼(31a)과, 제2누름부(31a)의 하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푸시돌기(31b)와, 제2누름버튼(31a)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도록 제2푸시돌기(31b)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31c)과, 제2푸시돌기(31b)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작동편(31d)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콘센트구(12)가 형성하고, 일측에 누전의 발생을 체크하는 누전체크부(20)를 설치한다.
콘센트를 통해 인가될 시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도록 콘센트구(12)에 인접하여 각각의 과부하체크부(30)가 설치된다.
누전체크부(20)와 과부하체크부(30)는 도 1 또는 2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구(12) 각각에 누전체크부(20)와 과부하체크부(30)를 설치하여 전기기구를 사용할 시에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감전 및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각각의 콘센트구(1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기구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여도, 해당 콘센트구(12) 만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콘센트구(12)에는 계속하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의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10)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11)를 통상의 콘센트에 꼽는다.
통상의 콘센트에 몸체(10) 배면에 형성된 플러그(11)를 꼽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몸체(10) 전면에 설치된 커버(13)를 회전시켜 콘센트구(12)가 노출되도록 한다.
콘센트구(12)가 노출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할 전기기구의 플러그(미도시) 또는 멀티콘센트(미도시)를 콘센트구(12)에 꼽아 사용하고. 이때 커버(13)를 닫아도 플러그에 의해 커버가 닫히는 것은 방해받지 않는다.
콘센트구(12)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꼽아 사용하는 상태에서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과부하로 판단하여 과부하체크부(30)에서 전원을 차단한다.
과부하체크부(3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면, 사용자는 과부하에 따른 전기기구의 사용을 제한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과부하복귀스위치(31)를 누르면, 그 하단에 형성된 제2푸시돌기(31b)가 제2작동편(31d)을 몸체(10)의 하방향 쪽으로 이동시키고, 제2작동편(31d)은 다시 과부하작동부(33)의 제2누름편(33b)을 눌러 제2연결편(33a)의 접점과 접촉되도록 하여 초기상태로 세팅한다.
초기상태로 세팅된 후 플러그를 통해 통상의 전원이 콘센트로 인가되어 전기기구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과부하에 대한 체크가 행하여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콘센트에 인접하여 형성된 과부하체크스위치(32)를 누르면, 그 하단에 형성된 접점이 서로 접촉되면서 과부하에 대한 체크를 행한다.
이때 전원이 단전되면, 과부하에 대한 체크가 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전원에 대하여 단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는 과부하에 대한 체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의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통해 통상의 전원을 받아 사용하는 전기기구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누전체크부(20)에서 이를 확인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이 차단된 후 누전의 발생원인을 사용자가 파악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누전복귀스위치(21)를 누른다.
누전복귀스위치(21)를 누르면, 누전복귀스위치(21)의 하방향에 일체로 형성된 제1푸시돌기(21b)가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푸시돌기(21b)의 하단에 형성된 제1작동편(21d)이 제1누름편(23b)을 누르면서, 제1누름편(23b) 일측에 형성된 접점이 제1연결편(23a)의 접점에 접촉된다.
제1누름편(23b)의 접점과 제1연결편(23a)의 접점이 서로 맞닿아지므로 인하여 누전체크부(20)가 초기상태로 세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누전복귀스위치(21)에 인접하여 형성된 누전체크스위치(22)를 누르면, 그 하단에 형성된 접점이 서로 접촉되면서 누전이 발생한 상황과 동일한 상황을 연출하여 전원의 차단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전원의 차단이 일어나면, 누전점검에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고, 전원의 차단이 일어나지 않으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본 고안의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를 교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콘센트구(12)로 이루어져, 콘센트구(12)의 일측에 설치된 누전체크부(20)에 의해 콘센트구(12) 전체에서 발생하는 누전에 대하여 체크하고, 과부하는 콘센트구(12) 각각에 연결된 전기기구에서 발생한 과부하를 확인한다.
만약, 하나의 콘센트구(12)에서 과부하가 발생하였다면 그 해당 콘센트구(12)로 인가되는 전원만 차단되고, 나머지 콘세트구(12)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는 전기기구는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행사장과 같이 소정의 전기설비를 가설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가 정, 사무실, 영업소와 같이 분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를 통해 전원의 누전 및 과부하를 체크하여 전원의 단전이 이루어질 시에 전원에 의해 행사에 방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콘센트구(12) 각각에 누전체크부(20)와 과부하체크부(30)가 구성된 경우, 콘센트구(12)에 각각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구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하여 각각의 콘센트구(12)를 체크한다.
이때 각각의 콘세트구(12) 중 어느 하나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다면, 해당 콘센트구(1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나머지 콘센트구(12)로 인가되는 전원은 계속적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행사장 같은 곳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구(12) 각각에 누전체크부(20)와 과부하체크부(30)가 설치된 것을 사용하면, 하나의 콘센트구(12)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가 체크되어 전원이 차단되어도 누전과 과부하가 발생한 콘센트구(12)에 만 국한되어 전원이 차단되고, 다른 콘센트구(12)에는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차단된 콘센트구(12)를 제외한 나머지 콘센트구(12)를 통해 전원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는 누전차단기 또는 과부하차단기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누전과 과부하 에 대해 전원 사용시 계속하여 체크하므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구 각각에 누전 및 과부하를 각각 체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전기기구에서 발생하는 누전 또는 과부하에 대해 해당 콘센트구의 전원만 차단하므로 다른 콘센트구에 연결된 전기기구는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외에 일시적으로 생겼다 없어지는 곳에서 임시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면에 콘센트구(12)와 커버(13)가 설치되고, 배면에 플러그(11)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누전을 체크하는 누전회로를 가지며 전원복귀, 누전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몸체에 설치되는 누전체크부(20)와;
    과부하를 체크하는 과부하회로를 가지며 전원복귀, 과부하체크를 행할 수 있도록 콘센트구(1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과부하체크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누전체크부(20)는 몸체(10)의 콘센트구(1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누전복귀스위치(21)와;
    누전복귀스위치(21)가 설치된 콘센트구(12)의 다른 부분에 인접하여 몸체(10)에 설치되는 누전체크스위치(22)와;
    누전복귀스위치(21)가 눌려지면, 초기상태로 세팅되도록 몸체(10) 내측에 설치되는 누전작동부(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과부하체크부(30)는 몸체(10) 전면에 설치되는 과부하복귀스위치(31)와;
    과부하복귀스위치(31)에 인접하여 몸체(10)에 설치되는 과부하체크스위치(32)와;
    과부하복귀스위치(31)의 하방향의 몸체(10) 내측에 설치되는 과부하작동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4. 제2항에 있어서,
    누전복귀스위치(21)는 제1누름버튼(21a)과;
    제1누름버튼(21a)의 하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푸시돌기(21b)와;
    제1누름버튼(21a)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도록 제1푸시돌기(21b)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1c)과;
    제1푸시돌기(21b)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작동편(21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5. 제2항에 있어서,
    누전작동부(23)는 일측에 접점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몸체(10)에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편(12a)과;
    누전복귀스위치(21)의 제1작동편(21d)의 하방향에서 제1연결편(23a)의 접점과 맞닿아지도록 위치되고, 일측이 몸체(10)에 고정되는 제1누름편(2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6. 제3항에 있어서,
    과부하복귀스위치(31)는 제2누름버튼(31a)과;
    제2누름버튼(31a)의 하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푸시돌기(31b)와;
    제2누름버튼(31b)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도록 제2푸시돌기(31b)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31c)과;
    제2푸시돌기(31b)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작동편(31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7. 제3항에 있어서,
    과부하작동부(33)는 일측에 접점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몸체(10)에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2연결편(33a)과;
    과부하체크스위치(32)의 제2작동편(31d)의 하방향에서 제2연결편(33a)의 접점과 맞닿아지도록 위치되고, 일측이 몸체(10)에 고정되는 제2누름편(3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KR2020050030698U 2005-10-28 2005-10-28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KR200406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98U KR200406279Y1 (ko) 2005-10-28 2005-10-28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98U KR200406279Y1 (ko) 2005-10-28 2005-10-28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279Y1 true KR200406279Y1 (ko) 2006-01-20

Family

ID=4175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98U KR200406279Y1 (ko) 2005-10-28 2005-10-28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2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538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a protective shutter
US7852607B2 (en) Protection device with lockout test
US7619861B2 (en) Protective device having a thin construction
US8154831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US20070146946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KR20040060828A (ko) 차단 수단을 지니는 누전 방지용 회로 차단기용의 리셉터클
MXPA05006763A (es) Interruptor de deteccion de corriente de fuga con modulo sensor para detectar condiciones no electricas anormales.
CA2763517A1 (en) Low profile electrical device assembly
MXPA97000682A (en) Indicator of failure of installation in devices of protection of failure to tie
CN101958212B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WO2005096756A3 (en) Leakage current detector interrupter with reset lockout
CN201303151Y (zh) 漏电保护插座
CN201532918U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KR200443235Y1 (ko) 누전 차단기를 구비하는 멀티탭
KR200406279Y1 (ko)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CN201149977Y (zh) 即热式电热水器专用的带漏电保护器接线盒
KR101105102B1 (ko) 휴대용 회전식 누전차단기
KR100657042B1 (ko)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AU2019204959B2 (en)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testing same
CN111211435A (zh) 一种具有插入检测功能的通用式插座
US10571494B2 (en) Electric power measuring device
KR100436880B1 (ko) 누전차단기가 장착된 콘센트
KR200487241Y1 (ko) 대기전력 차단용 검전 플러그
KR102364104B1 (ko)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CN101567510B (zh) 新型漏电保护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