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236Y1 -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 Google Patents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236Y1
KR200224236Y1 KR2019970041568U KR19970041568U KR200224236Y1 KR 200224236 Y1 KR200224236 Y1 KR 200224236Y1 KR 2019970041568 U KR2019970041568 U KR 2019970041568U KR 19970041568 U KR19970041568 U KR 19970041568U KR 200224236 Y1 KR200224236 Y1 KR 200224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circuit breaker
trip button
cov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930U (ko
Inventor
배용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41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23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속장치의 취부를 위해 보조커버를 열 경우, 트립버튼이 차단기를 자동적으로 트립시키도록하여 부속장치의 교환시 충전부의 노출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트립버튼 설치공(1)이 형성된 커버(2)와, 상기 설치공(1) 내에 탄력설치되어 누름력을 가함에 따라 트립바를 밀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는 트립버튼(3)과, 상기 커버(2)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기에 설치되는 부속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커버(4)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트립버튼(3)을 보조커버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개방측에 대해 반대측으로 설치하고 보조커버에는 그 끝단부가 트립버튼의 상부까지 연장된 누름편(6)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조커버의 개방시 누름편에 의해 트립버튼이 눌러질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trip-button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trip butto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를 온(on) 상태에서 수동으로 트립시키는 트립 시험용 버튼의 커버에 대한 장착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프레임의 크기, 극수, 동작방식등이 상이하여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제작되고 있으나, 몰드케이스·접촉자·트립장치·개폐기구·소호장치·단자 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전로를 차단하여 배선 및 접속기기의 파괴 또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특성은 시연트립, 순시트립, 단·한시트립의 3가지로 구분된다.
상기한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연트립은 정격전류의 125% 이상의 전류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 전선이 뜨거워지고 방치하면 화재의 원인이 되므로, 전선의 온도가 위험한 정도까지 이르기 전에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를 차단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순시트립은 부하 선로나 부하의 이상으로 순간적으로 큰 사고전류가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를 트립시켜서 사고전류를 차단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단·한시트립은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와,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은 계통에서 부하측에 가까운 한 분기회로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분기회로의 배선용 차단기가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보다 먼저 트립되게하여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가 트립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서, 이 특성은 순시트립값을 조정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만 해당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커버(2)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에 형성된 설치공(1)을 통해 트립버튼(3)이 조립된다.
이 때, 상기 트립버튼(3)은 상기 설치공(1) 내에 위치하는 헤드부(8)와, 상기 헤드부(8) 하부로 연장형성된 로드부(9)와, 상기 로드부(9)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0)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8)와 걸림턱(10) 사이의 로드부(9) 외주면 상에는 압축스프링(1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립버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배선용 차단기를 수동으로 트립시키기 위하여 트립버튼(3)을 누르면, 트립버튼(3)이 하강하므로써 트립버튼(3) 하부에 위치하는 트립바(도시는 생략함)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기구(도시는 생략함)를 연동시켜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고, 트립버튼(3)에 가해진 누름력을 해제시키면 로드부(9) 외주면 상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트립버튼(3)이 복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 커버(2) 상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속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커버(4)가 설치되어 있어, 부속장치의 교체 및 점검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커버(4)를 열고 부속장치를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부속장치란 경보스위치 또는 보조스위치 등을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트립버튼(3)을 눌러 차단기를 트립시킨 후 부속장치의 취출 및 교환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부주의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차단기를 트립시키지 않은 상태로 부속장치의 취출 및 교환을 행할 경우, 차단기 내부의 충전부가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중 충전부에 흐르는 전류로 인해 감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속장치의 취부를 위해 보조커버를 열 경우, 트립버튼이 차단기를 자동적으로 트립시키도록하여 부속장치의 교환시 충전부의 노출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 커버에 트립버튼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단기 커버와 트립버튼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단기 커버와 트립버튼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트립버튼 설치공 2:커버
3:트립버튼 4:보조커버
5:요입홈 6:누름편
7:힌지 8:헤드부
9:로드부 10:걸림턱
11:압축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트립버튼 설치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설치공 내에 탄력설치되어 누름력을 가함에 따라 트립바를 밀어 개폐기구를연동시키는 트립버튼과, 상기 커버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기에 설치되는 부속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커버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트립버튼 설치공이 노출되도록 보조커버에 형성된 요입홈에 부하측 방향으로 누름편이 연장 형성되어, 보조커버의 개방시 상기 누름편이 설치공내의 트립버튼 상단을 눌러 차단기를 자동적으로 트립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차단기 커버와 트립버튼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트립버튼 설치공(1)이 형성된 커버(2)와, 상기 설치공(1) 내에 탄력설치되어 누름력을 가함에 따라 트립바를 밀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는 트립버튼(3)과, 상기 커버(2)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기에 설치되는 부속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커버(4)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2)의 트립버튼 설치공(1)이 노출되도록 보조커버(4)에 형성된 요입홈(5)에 누름편(6)이 연장 형성되어, 보조커버(4)의 개방시 상기 누름편(6)이 설치공(1)내의 트립버튼(3) 상단을 눌러 차단기를 자동적으로 트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립버튼(3)은 보조커버(4)의 회전 중심축보다 비깥측, 즉 보조커버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보조커버(4)의 개방측에 대해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누름편(6)은 트립버튼 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트립버튼의 상방에 위치하여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커버(2)를 열고 부속장치를 취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가 보조커버(4)를 열면 자동적으로 트립버튼(3)이 연동하여 차단기의 트립시키게 된다.
즉, 보조커버(4)가 힌지(7)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릴 때 보조커버(4)와 일체로 형성되어 트립버튼(3)쪽으로 연장된 누름편(6)은 아래쪽을 향하여 내려가게 된다.
이 때, 하향하는 누름편(6)은 트립버튼(3)의 상단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트립버튼(3)은 누름편(6)이 누르는 힘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하면서 트립버튼(3) 하부에 위치하는 트립바(도시는 생략함)를 밀게 되며, 트립바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기구(도시는 생략함)를 연동시켜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된다.
즉, 작업자가 보조커버(4)를 열면 자동적으로 트립버튼(3)이 도 5의 가상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하강하면서 트립바를 밀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므로써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차단기의 부속장치 취부시 차단기 내부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부속장치를 안전한 상태에서 취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부속장치의 취부를 위해 보조커버(4)를 열 경우, 트립버튼(3)이 차단기를 자동적으로 트립시키므로 인해, 부속장치의 교환시 충전부의 노출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차단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트립버튼 설치공이 형성된 커버(2)와, 상기 설치공 내에 탄력설치되어 누름력을 가함에 따라 트립바를 밀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는 트립버튼(3)과, 상기 커버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기에 설치되는 부속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커버(4)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트립버튼(3)을 보조커버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개방측에 대해 반대측으로 설치하고 보조커버에는 그 끝단부가 트립버튼의 상부까지 연장된 누름편(6)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조커버의 개방시 누름편에 의해 트립버튼이 눌러질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2019970041568U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KR200224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68U KR200224236Y1 (ko)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68U KR200224236Y1 (ko)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30U KR19990028930U (ko) 1999-07-15
KR200224236Y1 true KR200224236Y1 (ko) 2001-07-19

Family

ID=5389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568U KR200224236Y1 (ko)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2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425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보조커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425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보조커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30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3886B2 (en) Current breaking device with solid-state switch and built-in protective circuit breaker
US7167349B2 (en) Earth leakage breaker
KR200477244Y1 (ko) 배선용 차단기
CA2181727A1 (en) A circuit breaker
US4829278A (en) Circuit breaker trip bar interlock
KR200224236Y1 (ko)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KR100852365B1 (ko) 단자보호커버
KR200224237Y1 (ko)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EP1343183B1 (en) Circuit breaker
AU2381199A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KR19990021000U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체결구조
JPH0132672Y2 (ko)
KR19990028927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19695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3764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액세서리 작동 레버
KR2001567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부
KR10057669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KR19990028933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용 핸들구조
KR19990028932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용 핸들
KR20019695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148676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래치 홀더 구조
KR20040008425A (ko) 회로차단기의 보조커버 장치
KR960005893Y1 (ko) 상자 개폐기
KR19990020994U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용 마이크로 스위치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