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955Y1 -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955Y1
KR200196955Y1 KR2019970044175U KR19970044175U KR200196955Y1 KR 200196955 Y1 KR200196955 Y1 KR 200196955Y1 KR 2019970044175 U KR2019970044175 U KR 2019970044175U KR 19970044175 U KR19970044175 U KR 19970044175U KR 200196955 Y1 KR200196955 Y1 KR 200196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eset
trip
hing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457U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44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95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72Release mechanisms which are reset by opening movement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단기의 리셋상태에서도 외부에 설치된 트립버튼으로 수동트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개폐용 핸들(1)과, 상기 개폐용 핸들(1)에 결합된 레버(2)와, 상기 레버(2)가 힌지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3)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에 힌지결합되는 래치(4)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4)를 홀딩하는 래치홀더(5)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 타측 선단에 힌지결합되는 네일(6)과, 상기 래치(4) 양측면에 쌍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7)와, 상기 상부링크(7)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8)와, 상기 핸들(1) 일측과 상·하부링크(8)의 연결지점에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스프링(9)과, 상기 네일(6)을 수동으로 트립시키도록 몰드 케이스의 커버(10)에 설치되는 트립버튼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래치(4)의 중간부위에 래치(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2)에 상부링크(7) 선단을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핸들(1)의 전원측 하부에 트립 및 리셋시 래치(4)의 돌출부(12) 후방에 걸리는 리셋 구동바(13)를 설치하여,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 개폐용 핸들(1)을 리셋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리셋 구동바(13)가 래치(4)의 돌출부(12)를 미는 힘에 의해 래치(4)가 회동하여 래치홀더(5)에 구속되어 리셋되고, 리셋된 상태에서 트립버튼을 눌러 네일(6)을 회동시킴에 따라 네일(6)의 지지턱(6a)이 래치홀더(5)를 벗어나므로써 상기 래치(4)가 메인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홀더(5)를 벗어나 트립위치로 석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가 리셋된 상태에서도 커버에 설치된 트립버튼으로 수동트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배선용 차단기는 프레임의 크기, 극수, 동작방식등이 상이하여 여러가지 구조의 것이 제작되고 있으나, 몰드케이스·접촉자·트립장치 개폐기구부·소호장치·단자 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전로를 차단하여 배선 및 접속기기의 파괴 또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특성은 시연트립, 순시트립, 단·한시트립의 3가지로 구분된다.
상기한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연트립은 정격전류의 125% 이상의 전류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 전선이 뜨거워지고 방치하면 화재의 원인이 되므로, 전선의 온도가 위험한 정도까지 이르기 전에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를 차단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순시트립은 부하 선로나 부하의 이상으로 순간적으로 큰 사고전류가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를 트립시켜서 사고전류를 차단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단·한시트립은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와,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은 계통에서 부하측에 가까운 한 분기회로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분기회로의 배선용 차단기가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보다 먼저 트립되게하여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가 트립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서, 이 특성은 순시트립값을 조정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만 해당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로서, 먼저 배선용 차단기는 온(on) 상태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4)가 래치홀더(5)에 의하여 구속을 받고, 상기 래치홀더(5)는 네일(6) 상단의 지지턱(6a)에 의해 지지되므로써, 메인스프링(9)(도시는 생략함)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하려는 경향을 지닌 래치(4)가 래치홀더(5)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메인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4)는 래치홀더(5)를 벗어나려고 하나 래치홀더(5)가 네일(6)의 지지턱(6a)에 걸려 움직일 수 없으므로 인해, 상기 래치(4)또한 래치홀더(5)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므로써, 접점이 폐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상태에서 과부하로 인해 차단기의 트립작용이 이루어질 때에는, 트립장치의 동작에 의해 트립전류검출장치에 구비된 슈터(도시는 생략함)가 화살표 방향으로 네일(6)을 쳐서 네일(6)을 힌지축(14)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네일(6)의 지지턱(6a)이 래치홀더(5)를 더 이상 지지하지 못하게 되므로써, 메인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4)가 래치홀더(5)로부터 석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4)가 석방됨에 따라, 래치(4)에 연결된 링크기구가 연동하여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써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을 개리시키게 되는데, 이는 차단기가 트림된 상태이다.
또한, 제1도와 같은 온상태에서 개폐용 핸들(1)을 조작하여 수동으로 차단기를 오프(off)시킨 경우에는 개폐용 핸들(1)에 연결된 레버(2)와, 메인스프링(9) 및 링크기구의 연동작용에 의해 가동접촉자의 접점 또한 고정접촉자의 접점으로부터 개리되는데, 이는 오프상태가 된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 차단기를 온시킬 경우에는, 개폐용 핸들(1)을 도면상 오른쪽으로 더 이동시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차단기를 일단 리셋(reset)시킨 다음 다시 개폐용 핸들(1)을 도면상 왼쪽인 투입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등접촉자 및 고정접촉자의 접점은 폐로된다.
상기한 리셋 상태에서는 개폐기구부의 상태가 상기한 오프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프상태에서 차단기를 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셋위치로 보낼 필요없이 바로 개폐용 핸들(1)을 도면상 왼쪽인 투입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의 접점 및 고정접촉자의 접점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로된다.
한편,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온 상태에서는 외부의 트립버튼(도시는 생략함)을 이용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 있으나,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셋된 상태에서는 외부의 트립버튼을 이용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가 없었다.
이는, 리셋상태에서는 핸들(1)과 함께 이동하는 레버(2)에 설치된 리셋롤러(17) 및 래치(4)의 캠면(16)의 작용에 의해, 리셋롤러(17)가 래치(4)의 선단면상에 위치하므로써 핸들(1)이 래치(4)를 구속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리셋된 상태에서는 트립버튼을 이용하여 트립을 시키지 못하므로, 수동으로 차단기를 트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개폐용 핸들(1)을 조작하여 차단기를 온상태로 만든 다음, 트립버튼을 눌러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일본 특개평6-28961에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단기의 개폐기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단기가 리셋된 상태에서 트립버튼으로 수동트립이 가능하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온시의 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트립시의 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리셋시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온시의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트립시의 상태도.
제6도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리셋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용 핸들 2 : 레버
3 : 사이드 플레이트 4 : 래치
5 : 래치홀더 6 : 네일
6a : 지지턱 7 : 상부링크
8 : 하부링크 9 : 메인스프링
10 : 커버 12 : 돌출부
13 : 리셋 구동바 14 : 힌지축
15 : 회동축 16 : 캠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개폐용 핸들과. 상기 개폐용 핸들에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가 힌지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래치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홀딩하는 래치홀더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타측 선단에 힌지결합되는 네일과, 상기 래치 양측면에 쌍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와, 상기 핸들 일측과 상·하부링크의 연결지점에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스프링과, 상기 네일을 수동으로 트립시키도록 몰드 케이스의 커버에 설치되는 트립버튼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중간부위에 래치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상부링크 선단을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핸들의 전원측 하부에 트립 및 리셋시 래치의 돌출부 후방에 걸리는 리셋 구동바를 설치하여,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 개폐용 핸들을 리셋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리셋 구동바가 래치의 돌출부를 미는 힘에 의해 래치가 회동하여 래치홀더에 구속되어 리셋되고, 리셋된 상태에서 트립버튼을 눌러 네일을 회동시킴에 따라 네일의 지지턱이 래치홀더를 벗어나므로써 상기 래치가 메인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홀더를 벗어나 트립위치로 석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온시의 상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트립시의 상태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리셋시의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개폐용 핸들(1)과, 상기 개폐용 핸들(1)에 결합된 레버(2)와, 상기 레버(2)가 힌지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3)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에 힌지결합되는 래치(4)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4)를 홀딩하는 래치홀더(5)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 타측 선단에 힌지결합되는 네일(6)과, 상기 래치(4) 양측면에 쌍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7)와, 상기 상부링크(7)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8)와, 상기 핸들(1) 일측과 상·하부링크(8)의 연결지점에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스프링(9)과, 상기 네일(6)을 수동으로 트립시키도록 몰드 케이스의 커버(10)에 설치되는 트립버튼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래치(4)의 중간부위에 래치(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2)에 상부링크(7) 선단을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핸들(1)의 전원측 하부에 트립 및 리셋시 래치(4)의 돌출부(12) 후방에 걸리는 리셋 구동바(13)를 설치하여,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 개폐용 핸들(1)을 리셋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리셋 구동바(13)가 래치(4)의 돌출부(12)를 미는 힘에 의해 래치(4)가 회동하여 래치홀더(5)에 구속되어 리셋되고, 리셋된 상태에서 트립버튼을 눌러 네일(6)을 회동시킴에 따라 네일(6)의 지지턱(6a)이 래치홀더(5)를 벗어나므로써 상기 래치(4)가 메인스프링(9)의 복원력이 의해 래치홀더(5)를 벗어나 트립위치로 석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단기의 온·오프 및 트립 동작은 전술한 종래의 차단기의 동작원리로 수행되므로 생략하고 리셋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트립시키는 경우를 주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가 온된 상태에서는 커버(10)에 설치된 트립버튼을 눌러 차단기를 수동으로 트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4도의 상태에서 수동으로 트립시키거나, 과부하 검출기구의 작용에 의해 차단기가 자동으로 트립되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4)가 래치홀더(5)에서 석방된 상태에서 차단기를 다시 온시키기 위해서는 차단기를 리 셋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해, 개폐용 핸들(1)을 파지하여 리셋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본 고안에서는 개폐용 핸들(1)의 전원측 하부에 구비된 리셋 구동바(13)가 래치(4)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12)의 후방을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플레이트(3)에 힌지 결합된 래치(4)는 리셋 구동바(13)가 돌출부(12)를 가하는 미는 힘에 의해 회전모멘트를 받아 회동하게 되며, 일정 각도 이상회동시 래치홀더(5)에 걸리게 된다.
즉, 차단기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셋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차단기가 리셋된 상태에서 차단기를 수동으로 트립시키고자하는 경우, 몰드 케이스의 커버(10)에 설치된 트립버튼을 누르면, 트립버튼이 하강하여 네일(6)을 치므로써 상기 네일을 힌지축(14)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네일(6)의 지지턱(6a)이 래치홀더(5)를 벗어나면, 메인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4)가 회동축(15)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하는 래치(4)는 돌출부(12) 후방에 핸들(1)의 리셋 구동바(13)가 맞닿아 있으므로, 리셋 구동바(13)를 밀게 되며, 이에 따라 핸들(1)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트립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차단기의 경우, 래치(4)의 캠면(16)과 리셋롤러(17)의 작용에 의해 차단기 리셋 위치에서는 리셋롤러(17)가 래치(4) 선단을 구속하게 되므로 인해, 수동트립이 불가능했으나, 본 고안의 차단기는 리셋 상태에서도 래치(4)의 선단이 구속되지 않으므로 인해 수동트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단기의 리셋 상태에서도 외부에 설치된 트립버튼으로 수동트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차단기가 리셋된 상태에서도 트립버튼을 이용하여 트립을 시킬 수 있으므로, 차단기를 반드시 온상태로 만들지 않고도 트립버튼을 조작하여 리셋상태에서 바로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1)

  1. 개폐용 핸들과, 상기 개폐용 핸들에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가 힌지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래치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홀딩하는 래치홀더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타측 선단에 힌지결합되는 네일과, 상기 래치 양측면에 쌍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와, 상기 핸들 일측과 상·하부링크의 연결지점에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스프링과, 상기 네일을 수동으로 트립시키도록 몰드 케이스의 커버에 설치되는 트립버튼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중간부위에 래치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상부링크 선단을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핸들의 전원측 하부에 트립 및 리셋시 래치의 돌출부 후방에 걸리는 리셋 구동바를 설치하여,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 개폐용 핸들을 리셋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리셋 구동바가 래치의 돌출부를 미는 힘에 의해 래치가 회동하여 래치홀더에 구속되어 리셋되고, 리셋된 상태에서 트립버튼을 눌러 네일을 회동시킴에 따라 네일의 지지턱이 래치홀더를 벗어나므로써 상기 래치가 메인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홀더를 벗어나 트립위치로 석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19970044175U 1997-12-31 1997-12-31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196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175U KR200196955Y1 (ko) 1997-12-31 1997-12-31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175U KR200196955Y1 (ko) 1997-12-31 1997-12-31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57U KR19990031457U (ko) 1999-07-26
KR200196955Y1 true KR200196955Y1 (ko) 2000-10-02

Family

ID=1952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175U KR200196955Y1 (ko) 1997-12-31 1997-12-31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9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5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277A (en) Circuit breaker with blow open latch
JP5426702B2 (ja) 配線用遮断器
JPH0336264B2 (ko)
KR101144585B1 (ko) 소형 회로차단기의 트립 경보 장치
JPH0139179B2 (ko)
JPH03133019A (ja) 回路遮断器
KR101078974B1 (ko) 4극 회로차단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19695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US6727788B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US3748620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barrier means
KR200224234Y1 (ko) 배선용차단기의가동접촉자구조
KR100885849B1 (ko) 컨택트 온 기구를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
KR200224242Y1 (ko) 배선용차단기의트립장치
KR20020821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장치
US3930214A (en) Pushbutton electric switch with reset mechanism
KR19990028927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224237Y1 (ko)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KR200224239Y1 (ko) 배선용차단기의가동접촉자회동범위제한장치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EP0189887B1 (en) Closing delay arrangement for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contacts
KR19990028942U (ko) 배선용 차단기의 메인샤프트 회동범위 제한장치
JP2724027B2 (ja) 回路遮断器
KR20019695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JP3059879U (ja) 配線用遮断器のメインシャフト揺動範囲の制限装置
KR200224236Y1 (ko)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